KR20150112155A -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 Google Patents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155A
KR20150112155A KR1020140035675A KR20140035675A KR20150112155A KR 20150112155 A KR20150112155 A KR 20150112155A KR 1020140035675 A KR1020140035675 A KR 1020140035675A KR 20140035675 A KR20140035675 A KR 20140035675A KR 20150112155 A KR20150112155 A KR 20150112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llow tube
water
seedling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락
Original Assignee
홍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락 filed Critical 홍종락
Priority to KR102014003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155A/ko
Publication of KR2015011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자동 식재가 어려운 고추 등의 육묘나 콩 등의 종자를 비닐이 씌워진 이랑 위에 이식하거나 파종할 때 용수를 함께 급수하여 육묘 이식 및 파종 효율을 증대시키고 육묘의 이식시 발착을 빠르게 하고 종자는 발아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육묘 이식 및 파종기의 고정손잡이와 중공관이 연통되도록 하고 고정손잡이에 급수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육묘의 이식 작업을 하면서 이식되는 육묘의 뿌리에 용수를 급수할 수 있고, 또 종자의 파종시 파종된 종자에 용수를 급수할 수 있어 이식에는 발착을 빠르게 하고 파종에는 발아를 빠르게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The seedtime and raise seedlings transplant have water supply}
본 발명은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과 농지의 특성상 기계화 및 자동 식재가 어려운 감자, 고추, 가지, 배추, 무 등의 육묘를 비닐이 씌워진 이랑에 이식하고, 또 콩, 팥, 옥수수 등의 종자를 파종할 때 용수를 함께 급수하는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육묘 이식이라 함은 육묘상자 등지에 종자를 파종하여 성장시킨 고추, 가지, 배, 무 등의 육묘와 싹을 티운 감자를 비닐을 씌운 이랑에 식재하는 것이고, 파종이라 함은 비닐이 씌워진 이랑에 콩, 팥, 옥수수 등의 종자를 파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벼의 경우에는 줄기의 손상이 적어서 이앙기를 이용하여 자동 식재가 이루어지지만 감자, 고추, 가지, 배추, 무, 옥수수 등의 밭작물은 줄기가 약하며 기계를 이용한 자동 이식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는 방식으로 도1과 같이 중공관(a) 하방 지점에 한 쌍의 집게판(b)을 위치시키고, 상부 지점을 결속핀(c)으로 힌지 조립하고, 상기 집게판(b)에서 양측 결속핀(c) 사이의 중앙지점 상부에는 승강봉(d) 하방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봉(d)은 중공관(a) 상부의 고정손잡이(e) 하방으로 유도하여 가동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봉(d)과 중공관(a) 하방 사이에는 스프링(g)으로 연결하여서 스프링(g)의 탄성으로 집게판(b) 하방은 자동으로 닫혀지게 구성한 육묘 이식기가 사용된다.
상기 육묘 이식기는 중공관(a) 상부에 구비한 고정손잡이(e)와 하방의 가동손잡이(f)를 함께 잡고, 가동손잡이(f)를 고정손잡이(e) 방향으로 당기면 집게판(b) 하방이 벌어지고, 가동손잡이(f)를 놓으면 닫혀지게 되므로 이랑의 비닐 위에서 육묘 식재지점에 육묘 이식기 하방의 집게판(b)을 위치시키고, 지면으로 누르게 되면 집게판(b)이 진입하면서 이랑의 비닐이 타공된다.
이때 가동손잡이(f)를 고정손잡이(e) 방향으로 당기면 집게판(b)은 결속핀(c)을 중심으로 하고 하방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중공관(a) 상부로 싹이 난 감자 등의 육묘를 투입시킨 다음 육묘 이식기를 들어올리면 집게판(b)에서 외측으로 밀려나간 흙은 원상으로 복원되면서 육묘의 식재가 완료된다.
또 상기 육묘 이식기는 콩, 옥수수, 배추, 무의 씨앗을 파종할 때에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육묘 이식기를 이용하여 육묘를 이식하거나 종자를 파종하게 되면 육묘의 뿌리와 파종된 종자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못하여 육묘의 경우는 뿌리가 말라 죽게 되고 종자의 경우에는 발아가 늦어지는 결점이 있어서 육묘를 이식하거나 종자를 파종한 후에는 용수를 다시 급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제242961호(공고일자 : 2000. 02. 01.) ·국내 실용신안등록제269328호(공고일자 : 2002. 03. 21.) ·국내 실용신안등록제360825호(공고일자 : 2004. 09. 01.) ·국내 디자인등록출원제2013-39026호(출원일자 : 2013. 07. 29.)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서 육묘를 이식이나 파종을 하면서 용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2 내지 도4와 같이 중공관(1) 상부에는 고정손잡이(2)를, 한 쌍의 집게판(3) 상부 돌편(3a)지점을 대향하고 중공관(1) 하방에 위치시켜서 중공관(1)과 함께 힌지핀(4)으로 결합하고, 상기 집게판(3) 상부 중앙의 통공(3b)에 연결구(5)를 끼우고, 연결구(5) 중앙에는 승강봉(6)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봉(6)에는 탄성스프링(7)을 끼우고, 상기 탄성스프링(7) 하방은 연결구(5)에 상부는 중공관(1) 중앙의 지지관(8) 하방에 탄성 지지시키고, 승강봉(6)의 끝부는 굽혀서 가동손잡이(9)와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1)과 고정손잡이(2)는 이식 및 파종 과정에 용수공급 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5와 같이 중공관(1)에 관통공(10)을 형성하고, 고정손잡이(2)는 중공시키고 급수호스 연결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11)를 형성하며, 집게판(3)에는 도6과 같이 다량의 급수공(12)을 구비하여서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50은 급수호스, 51은 급수호스 연결구, 51a는 수나사, 51b는 오링, 51c는 걸림돌기, 60은 육묘 및 종자 투입구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육묘 이식 및 파종기는 중공관의 고정손잡이에 급수호스를 연결하여서 육묘를 이식하거나 종자를 파종할 때 사용하게 되면 비닐이 씌워진 이랑의 파종지점에 집게판을 꽂아서 천공하고 가동손잡이를 당겨서 이식 및 파종자리를 확보한 다음 육묘 또는 종자를 투하시키고 급수호스의 밸브를 열어서 용수를 급수시킨 다음 육묘 이식 및 파종기를 들어올리면 육묘 이식 및 종자 파종을 진행하면서 용수급수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식 및 파종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육묘 이식기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 육묘 이식기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중공관과 승강봉을 분리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중공관과 고정손잡이 및 급수호스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서 급수공이 구비된 집게판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승강봉을 발췌한 사시도
본 발명은 도2 내지 도4, 도6과 같이 중공관(1) 상부에는 고정손잡이(2)를 구비하고, 한 쌍의 집게판(3)을 대향으로 하고 중공관(1) 하방에 위치시켜서 중공관(1)과 함께 힌지핀(4)으로 결합하고, 상기 집게판(3) 상부 중앙의 통공(3b)에는 연결구(5)를 끼우고, 연결구(5) 중앙에는 승강봉(6)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봉(6)에는 탄성스프링(7)을 끼우고, 상기 탄성스프링(7)의 하방은 연결구(5)에, 상부는 중공관(1) 중앙의 지지관(8) 하방에 탄성이 형성되도록 지지시키고, 승강봉(6)의 끝부는 굽혀서 가동손잡이(9)와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1)과 고정손잡이(2)에는 이식 및 파종과정에서 용수공급 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5와 같이 중공관(1)에 관통공(10)을 형성하고, 고정손잡이(2)는 중공시키고 급수호스 연결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11)를 형성하고, 집게판(3)에는 도6과 같이 다량의 급수공(12)을 구비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집게판(3)은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기 성형공정에서 급수공(12)을 구비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고정손잡이(2)는 관체를 규격으로 절단하고 외측에 나사부(11)를 형성하고, 중공관(1)에는 고정손잡이가 위치되는 지점을 천공하여 관통공(1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0)에 상기 고정손잡이(2)를 끼우고 용착하여 제조하는데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사출 성형으로 제조한 고정손잡이(2)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육묘 이식 및 파종기는 용수가 저압인 경우에는 도5와 같이 고정 손잡이(2) 외면으로 급수호스(50)를 끼워서 사용하고, 용수가 고압이면 급수호스 연결구(51)의 수나사(51a)를 고정손잡이(2)의 나사부(11)에 체결하면 오링(51b)에서 밀봉 결속되고, 급수호스 연결구(51)의 걸림돌기(51c) 지점으로 급수호스(50)를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급수호스(50)에는 밸브를 설치하면 용수 개폐기능이 부가된다.
상기와 같이 육묘 이식 및 파종기의 고정손잡이(2)에 급수호스(50)를 연결하고 비닐을 씌운 이랑에 육묘를 이식하고자 할 때에는 통상과 같이 집게판(3)을 육묘 이식 지점의 이랑에 꽂아 이랑의 비닐을 타공시키고 가동손잡이(9)를 당기면 하방 집게판(3)이 힌지핀(4)을 중심으로 하방이 벌어져 이식 자리를 만들고, 육묘 및 종자 투입구(60)로 육묘의 뿌리 지점을 투입시키면 육묘는 중공관(1)에서 하강되어 집게판(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급수호스(50)의 밸브를 열면 용수는 고정손잡이(2)와 중공관(1)을 거쳐서 육묘 위로 용수가 급수된다.
상기에서 일정량의 용수가 급수되면 급수호스(50)를 밸브로 차단하고 육묘 이식 및 파종기를 들어올리면 파종이 완료된다.
이때 육묘에 용수 공급이 부족하거나 또는 육묘 이식과정에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고정손잡이(2) 방향으로 당긴 가동손잡이(9)를 놓으면 집게판(3)은 힌지핀(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모아지고, 급수호스(50)의 밸브를 열어서 용수를 급수시키면 상기 용수는 고정손잡이(2)의 중공부와 중공관(1)을 거쳐서 집게판(3)으로 공급되고 집게판(3)의 급수공(12)에서 확산되어 육묘 주위에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종자의 파종시에도 상기와 같이 파종하는 종자에 용수를 급수하면서 파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육묘를 이식하거나 종자를 파종하는 과정에서 육묘 이식 및 파종기를 사용하면서 용수를 함께 급수할 수 있게 되므로 이식 및 파종 효율이 높게 되고 이식된 육묘가 말라 죽는 일이 해소되고 파종된 종자는 발아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은 고정손잡이(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공관(1)의 일지점을 타공하고 타공된 관통공에 급수호스 연결구(51)를 연결하더라도 무방하다.
1 : 중공관 2 : 고정손잡이
3 : 집게판 3a : 돌편
3b : 통공 4 : 힌지핀
5 : 연결구 6 : 승강봉
7 : 탄성스프링 8 : 지지관
9 : 가동손잡이 10 : 관통공
11 : 나사부 12 : 급수공

Claims (1)

  1. 중공관(1) 상부에는 고정손잡이(2)를, 한 쌍의 집게판(3) 상부 돌편(3a)지점을 대향으로 하고 중공관(1) 하방에 위치시켜서 중공관(1)과 함께 힌지핀(4)으로 결합하고, 상기 집게판(3) 상부 중앙의 통공(3b)에 연결구(5)를 끼우고, 연결구(5) 중앙에는 승강봉(6)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봉(6)에는 탄성스프링(7)을 끼우고, 상기 탄성스프링(7) 하방은 연결구(5)에, 상부는 중공관(1) 중앙의 지지관(8) 하방에 탄성 지지시키고, 승강봉(6)의 끝부는 굽혀서 가동손잡이(9)와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육묘 이식 및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1)과 고정손잡이(2)는 이식 및 파종 과정에 용수공급 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중공관(1)에 관통공(10)을 형성하고, 고정손잡이(2)는 중공시키고 급수호스 연결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11)를 형성하며, 집게판(3)에는 다량의 급수공(12)을 구비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KR1020140035675A 2014-03-27 2014-03-27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KR20150112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75A KR20150112155A (ko) 2014-03-27 2014-03-27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75A KR20150112155A (ko) 2014-03-27 2014-03-27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155A true KR20150112155A (ko) 2015-10-07

Family

ID=5434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675A KR20150112155A (ko) 2014-03-27 2014-03-27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1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418A (zh) * 2020-12-21 2021-04-06 韩兵 一种百合种植快速补栽装置
CN112753326A (zh) * 2021-01-14 2021-05-07 郑明东 一种农业开沟播种覆土装置
KR20210133499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부농테크 파종기
CN116097957A (zh) * 2023-03-31 2023-05-12 蒙阴县蒙阴街道农业综合服务中心 一种幼苗快速移栽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99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부농테크 파종기
CN112602418A (zh) * 2020-12-21 2021-04-06 韩兵 一种百合种植快速补栽装置
CN112602418B (zh) * 2020-12-21 2022-01-11 苏州绿化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百合种植快速补栽装置
CN112753326A (zh) * 2021-01-14 2021-05-07 郑明东 一种农业开沟播种覆土装置
CN116097957A (zh) * 2023-03-31 2023-05-12 蒙阴县蒙阴街道农业综合服务中心 一种幼苗快速移栽设备
CN116097957B (zh) * 2023-03-31 2023-08-11 蒙阴县蒙阴街道农业综合服务中心 一种幼苗快速移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4723A (ko)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KR102037034B1 (ko) 수동식 파종기
KR20150112155A (ko)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KR100794259B1 (ko) 파종기
JP2015015949A (ja) 個別の育苗ポットを使用する元の位置における育苗及び定植方法
KR200444544Y1 (ko) 모종 이식기
CA2976423A1 (en) Seedling nursery member and seedling nursery set for graf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grafted seedling
KR200444545Y1 (ko) 멀티 파종 이식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KR101727796B1 (ko) 모종 식재장치
KR101805787B1 (ko) 모종기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KR20160119479A (ko) 흙 이탈판이 구비된 육묘이식 및 파종기
CN203618318U (zh) 中药材施肥注水设备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101590327B1 (ko)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KR20180022360A (ko) 밭작물 모종기
KR102542575B1 (ko) 습도센서 부착형 고추 모종 이식기
CN105613174A (zh) 早产香榧的快速繁育方法
KR20150069250A (ko) 육묘 이식기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20140005788U (ko) 모종 이식기의 깊이 조절장치
CN214507932U (zh) 幼苗移栽装置
KR102029289B1 (ko) 묘삼 보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