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796B1 - 모종 식재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식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796B1
KR101727796B1 KR1020150010361A KR20150010361A KR101727796B1 KR 101727796 B1 KR101727796 B1 KR 101727796B1 KR 1020150010361 A KR1020150010361 A KR 1020150010361A KR 20150010361 A KR20150010361 A KR 20150010361A KR 101727796 B1 KR101727796 B1 KR 10172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water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504A (ko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5001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7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식재장치의 보관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이미 식재된 작물이나 잡초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일측에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와 연결되고, 그 중간 적소에는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관수조절레버가 설치되며, 또 다른 일측에는 암나사부가 구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그 상단부가 소정 길이 결합 설치되고, 그 하부 일측에 작물이나 잡초를 뽑거나 절단할 수 있는 잡초제거날이 설치되는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하단에 그 상단부가 결합설치되고, 그 상부 일측에는 상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하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부고정부에도 역시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이랑에 식재홈이 쉽게 형성될 수 있게 뾰족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방으로 물이 분사되는 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공의 상부에는 식재홈의 깊이를 제한하고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꼬깔형태의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식재홈 성형구와; 상기 하부고정부의 끼움부에 조정봉의 수직홈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정봉의 끝단에는 거리표시침이 구비되며, 상기 조정봉의 중간부에 고정밴드가 설치되어 소정 길이의 고정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대 상단의 사선홈이 상부고정부의 고정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종 식재장치{Hole Forming Tool For Transplanting Young Plant}
본 발명은 고추와 같은 모종을 식재할 수 있는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 식재장치의 보관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이미 식재된 작물이나 잡초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모종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이랑에 경작하고자 하는 작물의 크기에 적합한 이식홈을 호미나 괭이 등의 재래농기구를 사용하여 형성한 후, 물을 주고 모종을 옮겨 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래식 방법은 홈파기, 물주기, 모종옮겨심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따로따로 해야하고, 허리가 굽은 상태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감을 가중시켰다.
최근에는 고추, 오이, 가지 등의 각종 모종이 이식되는 이랑의 표면에 잡초생장억제, 수분증발 방지 및 빗물에 의한 토양의 침식 방지 등의 목적으로 멀칭필름을 지면에 깔아준 상태에서 모종이식을 행하게 되므로 이식하고자 하는 토양 표면에 깔려있는 멀칭필름에 대한 절단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적 농법에 대응하여 홈파기에 적당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원뿔 모양의 성형기를 장착한 모종이식용의 농기구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식홈의 성형시 이랑에 깔아준 멀칭필름을 과도하게 찢어지게 하여 잡초생장의 원인을 제공하고, 형성된 이식홈에 유묘의 생장에 필요한 관수를 공급하는 작업 역시 별도의 일손을 필요로 하거나, 기존에 관수공급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모종이식기를 사용하는 경우 관수조절을 위한 기능이 미미하여 물(관수)을 과도하게 소비하거나, 적당량만 살수하여야 하는 요구에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그래서, 근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요인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종이식 성형기(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290433호)가 개발되었던 바, 이의 구성을 도1 및 도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호스에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따라 관수가 유입되는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10), 외부 일측에 설치한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관수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관수조절부(20), 상기 상부손잡이(10)와 함께 이식홈 성형시 가하는 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하부손잡이(30)와, 관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손잡이(30)와 나사결합되어 연통되며 말단에 암나사를 형성한 파이프(40)와, 상기 파이프 말단 상측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중앙에 삽입공(51)을 형성하고, 삽입공의 양쪽으로 나사조임부(52)를 두어 나사의 조임에 의해 삽입공(51)의 내경을 조정하여 파이프(40)를 고정시키는 원형의 플랜지(50)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한 상기 파이프(40) 말단에 삽입되어 플랜지(50)의 밑면에 밀착되고, 원판 둘레에 칼날을 형성한 원형절단기(60)와, 배수공(71)을 갖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파이프(40)의 최말단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하면서, 상기 원형절단기(60)를 플랜지(50) 밑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성형구(7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종이식 성형기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다단할 뿐만 아니라, 식재를 하기 전 제거해야할 작물이나 그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고자 하면 호미나 낫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모종 식재장치의 보건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식재거리를 가늠할 수 있는 간격조정수단을 구성하고, 상부파이프의 하단부에 제거해야할 작물이나 잡초를 뽑거나 절단할 수 있는 잡초제거날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식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와 연결되고, 그 중간 적소에는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관수조절레버가 설치되며, 또 다른 일측에는 암나사부가 구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그 상단부가 소정 길이 결합 설치되고, 그 하부 일측에 작물이나 잡초를 뽑거나 절단할 수 있는 잡초제거날이 설치되는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하단에 그 상단부가 결합설치되고, 그 상부 일측에는 상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하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부고정부에도 역시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이랑에 식재홈이 쉽게 형성될 수 있게 뾰족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방으로 물이 분사되는 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공의 상부에는 식재홈의 깊이를 제한하고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꼬깔형태의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식재홈 성형구와; 상기 하부고정부의 끼움부에 조정봉의 수직홈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정봉의 끝단에는 거리표시침이 구비되며, 상기 조정봉의 중간부에 고정밴드가 설치되어 소정 길이의 고정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대 상단의 사선홈이 상부고정부의 고정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종 식재장치의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가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파이프에 간격조정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모종 식재장치의 포장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종 식재장치의 상부파이프 하단부에 구성되어진 하부파이프를 탈거한 후 잡초제거날을 이용하여 처리대상 작물이나 잡초를 제거함으로써, 낫과 같은 제거수단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요부를 절단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요부를 절단한 측면도이다.
물이 공급되는 호스(미도시)와 나사(111)로서 연결되는 손잡이부(110)는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중간 적소에는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관수조절레버(112)가 설치되는데, 상기 관수조절레버(112)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암나사부(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파이프(120)는 그 상단부에 수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10)의 암나사부와 밀봉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하단부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저부 일측으로는 고정브라켓(161)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61)에는 수확이 끝난 작물이나 잡초를 뽑거나 절단할 수 있는 잡초제거날(1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잡초제거날(160)은 낫과 같이 날카로워도 되고, 톱날과 같이 형성되어도 되며, 상기 잡초제거날(160)을 상부파이프(120)에 절첩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지는 하부파이프(130)는 그 상단부에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수나사부(122)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31)가 형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파이프(130)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고정부(132)가 고정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상부고정부(132)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끼움부(133) 및 그 끼움부(133) 사이에 고정핀(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파이프(130)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고정부(135)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부고정부(135)에도 역시 끼움부(136) 및 그 끼움부(136) 사이에 고정핀(137)을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파이프(13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식재홈 성형구(140)는 그 하단부가 이랑에 식재홈이 쉽게 형성될 수 있게 뾰족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홈 성형구(140)의 양측방으로는 두 파이프(120)(13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식재홈으로 분사될 수 있게 노즐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홈 성형구(140)의 상부에는 식재홈의 깊이를 제한하고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꼬깔형태의 플레이트(143)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파이프(130)의 측방으로 설치되어지는 간격조정수단(150)은 크게 나누어 다소 긴 조정봉(151)과, 이의 중간부분에 고정밴드(156)로서 일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고정대(157)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봉(151)의 일단에는 수직홈(152)이 형성되어 도5의 하부 확대도면과 같이 하부고정부(135)의 고정핀(13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정봉(151)의 타단에는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리조절공(153)이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공(153)에는 거리표시침(154)이 나사 결합되어 도 6과 같이 이랑에 식재홈의 간격을 표시하여준다.
그리고, 상기 조정봉(151)과 결합된 고정대(157)의 상단부에 사선홈(158)이 형성되어 도 5의 상부 확대도면과 같이 하부파이프(130)의 고정핀(134)과 탈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사선홈(158)이 고정핀(134)에 경사지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정봉(151)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종 식재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종 식재장치(100)의 조립은 물이 공급되는 호스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10)의 하단에 상부파이프(120)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하단 일측방으로 잡초제거날(160)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파이프(120)의 하단부에 하부파이프(130)를 나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파이프(130)의 하단에는 노즐공(142)을 구비한 식재홈 성형구(14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파이프(120)와 하부파이프(130)가 결합되면, 하부파이프(130)의 측방에 간격조정수단(15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필요시나 포장시 분리하거나 설치하는 것이다. 즉, 박스에 포장할 경우에는 간격조정수단(150)에 의해 박스의 용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파이프(13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식재홈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하부파이프(130)에 간격조정수단(150)을 설치하게 되는데, 먼저 도 3 및 도 5와 같이 간격조정수단(150)을 구성하고 있는 조정봉(151)의 수직홈(152)을 하부고정부(135)의 끼움부(136)에 삽입하여 고정핀(137)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조정봉(151)에 설치되어진 고정대(157)를 적당히 벌린 다음, 고정대(157) 상단의 사선홈(158)을 도 5의 상부 확대도면과 같이 하부파이프(130)의 끼움부(133)에 삽입하여 고정핀(134)과 결합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사선홈(158)이 고정핀(134)에 경사지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정봉(151)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사선홈(158)과 고정핀(134)이 수직 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고 상기 사선홈(158)을 고정핀(134)으로부터 경사지게 당겨야만 분리가 되므로 상기 조정봉(151)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핀(134)에 사선홈(158)이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파이프(130)로부터 간격조정수단(150)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종 식재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손잡이부(110)의 나사(111)에 물이 공급되는 호스를 연결시킨 후 손잡이부(110) 일측의 관수조절레버(112)를 작동하여 물의 량의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관수조절레버(112)를 통과한 물은 상부파이프(120)와 하부파이프(130)를 지나 그 하단부에 결합된 식재홈 성형구(140)로 공급되며, 상기 식재홈 성형구(140)로 공급된 물은 그 측방으로 형성된 노즐공(142)을 통해 식재홈으로 분사된다.
100:모종 식재장치 110:손잡이부
111:나사 112:관수조절레버
120:상부파이프 121,122:수나사부
130:하부파이프 131:암나사부
132:상부고정부 133:끼움부
134:고정핀 135:하부고정부
136:끼움부 137:고정핀
140:식재홈 성형구 141:뾰족부
142:노즐공 143:플레이트
150:간격조정수단 151:조정봉
152:수직홈 153:거리조절공
154:거리표시침 156:고정밴드
157:고정대 158:사선홈

Claims (2)

  1. 외부로 부터 물이 공급되는 호스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노즐을 구비한 식재홈 성형구가 설치되어진 모종 식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와 연결되고, 그 중간 적소에는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관수조절레버가 설치되며, 또 다른 일측에는 암나사부가 구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그 상단부가 소정 길이로 결합 설치되어지는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합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고정부가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부고정부에도 역시 끼움부 및 그 끼움부 사이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이랑에 식재홈이 쉽게 형성될 수 있게 뾰족부가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물이 분사되는 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공의 상부에는 식재홈의 깊이를 제한하고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꼬깔형태의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식재홈 성형구와;
    상기 하부고정부의 끼움부에 조정봉의 수직홈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정봉의 끝단에는 거리표시침이 구비되며, 상기 조정봉의 중간부에 고정밴드가 설치되어 소정 길이의 고정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대 상단의 사선홈이 상부고정부의 고정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종 식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의 하단 일측에 제거해야할 작물이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잡초제거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종 식재장치.
KR1020150010361A 2015-01-22 2015-01-22 모종 식재장치 KR10172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61A KR101727796B1 (ko) 2015-01-22 2015-01-22 모종 식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61A KR101727796B1 (ko) 2015-01-22 2015-01-22 모종 식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04A KR20160090504A (ko) 2016-08-01
KR101727796B1 true KR101727796B1 (ko) 2017-04-17

Family

ID=5670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361A KR101727796B1 (ko) 2015-01-22 2015-01-22 모종 식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408A1 (ko) * 2018-08-10 2020-02-13 김동근 이식기
KR20240012955A (ko) 2022-07-21 2024-01-30 한병희 모종 식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275A (zh) * 2018-06-14 2018-11-30 阮晓青 一种具有快速移栽功能的农业种植用设备
CN112753332B (zh) * 2021-02-04 2022-02-15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与罗汉果秧苗移栽机配套的秧苗喂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50Y1 (ko) 2001-07-12 2001-11-17 윤명복 모종 이식홈 성형기
KR200290433Y1 (ko) 2002-06-14 2002-09-27 정재희 모종이식 성형기
KR200312835Y1 (ko) 2003-02-20 2003-05-16 탁영균 모종 이식을 위한 시추 장치
KR200404928Y1 (ko) 2005-06-22 2006-01-10 이규동 모종 홈이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50Y1 (ko) 2001-07-12 2001-11-17 윤명복 모종 이식홈 성형기
KR200290433Y1 (ko) 2002-06-14 2002-09-27 정재희 모종이식 성형기
KR200312835Y1 (ko) 2003-02-20 2003-05-16 탁영균 모종 이식을 위한 시추 장치
KR200404928Y1 (ko) 2005-06-22 2006-01-10 이규동 모종 홈이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408A1 (ko) * 2018-08-10 2020-02-13 김동근 이식기
KR20240012955A (ko) 2022-07-21 2024-01-30 한병희 모종 식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04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24B1 (ko) 파종기
KR101727796B1 (ko) 모종 식재장치
KR101324896B1 (ko)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20090005273A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TWM458078U (zh) 水耕栽種裝置及其採收設備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CN204482312U (zh) 一种移栽开孔器
KR20150112155A (ko)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KR20150119688A (ko) 친환경 고효율 관개 트레이
KR100998665B1 (ko) 모종이식용 홈파기 장치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CN109197229A (zh) 一种栽培容器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101855462B1 (ko) 물공급이 가능한 고구마순 식재장치
KR200290433Y1 (ko) 모종이식 성형기
KR102620968B1 (ko) 자바라스트로우로 양액을 공급하는 비닐하우스용 양액재배장치
KR200480773Y1 (ko) 파종기
JP2019004716A (ja) 栽培容器
KR200229272Y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JP2008067602A (ja) 苗植え具及び苗植え方法
KR200493703Y1 (ko) 농사용 파지 장치
CN219893826U (zh) 一种秧苗栽植辅助器
AU2004201547B2 (en) Tray container for use with cuttings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