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313A -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 Google Patents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313A
KR20220016313A KR1020200092134A KR20200092134A KR20220016313A KR 20220016313 A KR20220016313 A KR 20220016313A KR 1020200092134 A KR1020200092134 A KR 1020200092134A KR 20200092134 A KR20200092134 A KR 20200092134A KR 20220016313 A KR20220016313 A KR 2022001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unit
selectively
system capable
flow exp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740B1 (ko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썬
Priority to KR102020009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01C7/042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using pneuma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자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을 콘트롤 하는 오퍼레이팅 유닛(operating unit); 오퍼레이팅 유닛에 제공되어, 오퍼레이팅 유닛의 흡입 표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키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flow expanding unit); 및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종자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좌표를 제공하는 트레이 유닛(tray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sowing system for selective suction and dropping of seeds}
본 발명은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종자의 흡입 표면적을 확장하여 다량의 종자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다량의 종자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종자의 파종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파종은 작물의 번식에 쓰이는 종자를 심는 것을 파종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종자를 뿌려 심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대도시 및 중소도시의 변두리 휴경지를 이용하여 텃밭을 가꾸는 형태인 주말농장이 유행하고 있다. 도시에서 텃밭을 가꾸는 도시농부가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도시농부는 2010년 15만 3000명에서 2013년을 기준으로 88만명으로, 3년 사이에 5.8배로 급증했다고 한다.
도시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나, 사전에 준비와 농업적 지식이 부족하여 실패를 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소를 심는 방법에 따라서 씨앗을 뿌리거나 모종을 구매하여 심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특히 씨앗을 뿌리는 파종의 경우, 종자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파종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농사가 처음인 사람도 쉽고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여러가지 특허문헌들이 존재하고 있다.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육묘용 파종기 (공개번호 제10-2014-0142482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작물의 종자를 육묘상자에 능률적이고 효율적이면서 균일하게 파종할 수 있는 육묘용 파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내부에 종자를 담고 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하로 통하는 다수 개의 종자투입구가 일정 패턴으로 배열 형성되고, 양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바스켓과, 바스켓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바스켓에 담긴 종자를 펴는 스프레드와, 바스켓의 종자투입구와 통하는 다수 개의 종자배출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바스켓과 베이스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자투입구 및 종자배출구와 통하는 다수 개의 종자통과구가 형성된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종자통과구가 종자투입구 및 종자배출구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육묘용 파종기를 개시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휴대용 파종기 (공개번호 제10-2019-0129568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씨앗을 담는 공간을 형성하고 씨앗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씨앗 탑재부, 씨앗 탑재부의 밑면에 형성된 홀에 각각 대응하여 씨앗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이동 통로부, 이동 통로부의 말단에 각각 구비되어 씨앗이 배출되는 씨앗 배출부, 씨앗 탑재부와 이동 통로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씨앗 탑재부에 담긴 씨앗을 이동 통로부로 이송하는 통로 개폐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로 개폐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파종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등록번호 제10-2026779호, 이하 특허문헌3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 따른 발명의 경우, 종자수용공간에 수용된 종자는 호퍼면의 경사에 의해 종자공급구로 저절로 유입되어 주둥이의 파종문 상에 필요한 양만큼 모여 있는 상태에 놓인다. 파종깊이 조절수단의 구멍 크기를 원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파종깊이 조절수단이 호퍼면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누름 스위치를 누르기 시작하면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을 이기면서 피스톤이 밑으로 내려오기 시작하고, 피스톤의 푸쉬부가 파종문을 밑으로 밀게 된다. 이 때, 종자는 푸쉬부의 가운데 위로 오목하게 형성된 종자수렴공간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므로 종자가 피스톤과 파종문 사이에 눌려서 손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누름 스위치를 더 누르면 푸쉬부의 미는 힘에 의해서 파종문을 이루는 복수개의 절편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종자가 주둥이 밖으로 배출되어 파종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파종기 (공개번호 제10-2020-0079087 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파이프 형태의 파종관을 구비하되 파종관의 상측은 깔때기 형태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파종관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고정대의 상측으로 손잡이를 구비하는 한편 손잡이의 하측으로 핸들을 구비하고, 고정대의 하측에는 하측이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모종삽이 결합되게 하고, 모종삽의 상측에는 고리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고리에는 핸들에 의해 당겨지는 연결대를 결합하고, 연결대에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는, 종자를 파종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자의 종류 및 크기와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흡입하고 배출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공개번호 제10-2014-0142482호 공개번호 제10-2019-0129568호 등록번호 제10-2026779호 공개번호 제10-2020-0079087 호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종자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파종하고자 한다.
둘째, 종자의 종류와 크기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흡입하고 배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종자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을 콘트롤 하는 오퍼레이팅 유닛(operating unit);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흡입 표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키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flow expanding unit); 및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에 제공 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좌표를 제공하는 트레이 유닛(tray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은,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낮은 기압을 형성하여, 상기 종자의 흡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제공되어, 외부의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역으로 유동시켜, 역류된 공기를 분출하여 상기 종자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은, 상기 연결부으로부터 표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유닛을 하부에 임의 고정시켜, 상기 트레이 유닛을 통해 상기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 또는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자가 흡입되며 배출되는 좌표를 제공하도록 몸체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흡입되도록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시드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의 엣지에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제1홀부를 구비하는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이격하게 배치되어, 제2홀부를 구비하는 제2플레이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가 오버랩되어 상기 시드홀부의 직경(diameter)을 임의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시드홀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 개별 좌표를 할당하며, 상기 개별 좌표를 임의 지정하여, 상기 종자가 선택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면,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홀딩되도록 하며,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양압(positive pressure) 형성되면, 하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가 흡입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상기 라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라인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각각에 흡입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를 원하는 위치에 타겟팅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하고 배출하여 정해진 수량의 종자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파종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제1플레이트부와 제2플레이트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종자의 크기와 상관없이 파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트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트레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제1플레이트부와 제2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 좌표가 할당된 것을 도시한 시드홀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홀딩부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라인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트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트레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제1플레이트부와 제2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 좌표가 할당된 것을 도시한 시드홀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홀딩부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라인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팅 유닛(100)으로부터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을 통해 흡입 표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여,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트레이 유닛(300)을 통해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하고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종자의 파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경우, 오퍼레이팅 유닛(operating unit, 100),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flow expanding unit, 200) 및 트레이 유닛(tray unit)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오퍼레이팅 유닛(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을 콘트롤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otor)부(110), 콘트롤(control)부(120), 연결부(130) 및 필터(filter)부(1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모터부(110)는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내부에 낮은 기압을 형성하여 종자의 흡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모터부(110)는 모터팬부(111)을 구비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모터팬부(111)가 회전하여 모터팬부(111)의 회전력에 의해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내부에 낮은 기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콘트롤부는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콘트롤부를 통해 오퍼레이팅 유닛(100)에 전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30)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연결부(130)는 모터부(110)의 흡입력으로 인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연결부(130)에 제공되어 외부의 공기와 합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필터부(140)는 연결부(130)의 일측에 제공되어, 필터부(140)는 각종 이물질, 예컨대,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을 통과한 작은 사이즈의 종자 또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퍼레이팅 유닛(100)은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역으로 유동시키며, 역류된 공기를 분출하여 흡입된 종자를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모터부(110)의 구동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오퍼레이팅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키면, 흡입된 종자를 배출하기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은, 오퍼레이팅 유닛(100)에 제공되어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흡입 표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키는 구성이다.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은, 연결부(130)로부터 표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모터부(110)의 구동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트레이 유닛(300)을 하부에 임의 고정시켜, 트레이 유닛(300)을 통해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은 연결부(130)보다 큰 표면적을 형성하여, 다량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에 가까울수록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최대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트레이 유닛(3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에 제공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종자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좌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때, 트레이 유닛(300)에서의 미리 결정된 위치는 종자가 파종되어야 하는 위치를 말하며, 종자를 파종하기 전, 파종 위치를 사전에 결정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트레이 유닛(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plate)부(310), 시드홀(seed-hole)부(320) 및 홀딩(holding)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플레이트부(310)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종자가 흡입되며 배출되는 좌표를 제공하도록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플레이트부(310)는 트레이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며, 평평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플레이트부(310)의 면적과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표면적이 일치하는 곳에서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흡입력에 의하여 일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레이트부(310)와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 사이에 틈은 존재하지 않으며, 시드홀부(320)를 통해서 공기가 흡입되고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310)의 형상은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형상에 맞춰서 결정되며, 플레이트부(310)의 크기, 두께, 소재에는 제한이 없으며, 리지드(rigid)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부(310)는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부(311)와 제2플레이트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부(311)와 제2플레이트부(312)는 이격하게 배치된다. 이때,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부(311)와 제2플레이트부(312)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으며, 제1플레이트부(311)와 제2플레이트부(312)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상이한 크기일 수도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부(311)가 상부에 배치되고 제2플레이트부(312)가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부(312)가 상부에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부(311)가 하부에 배치된 반대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플레이트부(311)는 제1홀부(321)를 구비하며, 제2플레이트부(312)는 제2홀부(322)를 구비하게 된다. 제1홀부(321)의 위치와 제2홀부(322)의 같은 위치이거나 상이한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플레이트부(311) 또는 제2플레이트부(31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1홀부(321)와 제2홀부(322)가 오버랩(overlap)되어 시드홀부(320)의 직경을 임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부(311) 또는 제2플레이트부(312)가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하면, 도6의 (b)처럼 제1홀부(321)와 제2홀부(322)에 중첩된 부분이 없어 직경(d1)이 0이 되므로, 오퍼레이팅 유닛(100)에 구동력이 발생해도, 종자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부(321)와 제2홀부(322)가 일부 중첩되면, 중첩된 부분에 직경(d2)이 형성되면 d2보다 큰 크기의 종자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부(321)와 제2홀부(322)가 동일 선상에 중첩되면, 직경(d3)이 형성되고, d3보다 큰 크기의 종자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플레이트부(311)와 제2플레이트부(31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시드홀부(320)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종자의 종류와 크기에 제한 없이 파종할 수 있게 된다.
시드홀부(320)의 경우, 플레이트부(310)에 제공되어 종자가 흡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시드홀부(3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시드홀부(320)는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 개별 좌표를 할당하며, 개별 좌표를 임의 지정하여, 종자가 선택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시드홀부(32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홀 각각에 개별적인 좌표(h1, h2, h3 ??, hn)를 할당하고, 좌표가 할당된 복수 개의 홀을 임의 지정하여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에 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홀딩부(330)는 복수 개의 홀 각각의 엣지(edge)에 제공되어, 종자가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홀딩부(330)는 플레이트부(310)와는 다른 재질로서, 유연(flexible) 소재로 구성되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발생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달라지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110)로부터 구동이 발생하면, 외부 공기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내부로 이동하여,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된다. 음압의 형성에 의해 홀딩부(330)는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종자가 플레이트부(310)에 홀딩되도록 한다. 반대로, 모터부(110)로부터 외부 공기를 역류시켜 공기가 외부로 이동하면,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내부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형성된다. 양압의 형성에 의해 홀딩부(330)는 하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종자를 드랍시켜, 종자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홀딩부(330)는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향 볼록하거나 하향 볼록하게 형상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의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은 라인부(210)를 포함하게 된다.
라인부(21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200)의 내부에 제공되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가 흡입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
복수 개의 라인부(210) 각각의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종자를 임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오퍼레이팅 유닛(100)의 흡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종자가 각각의 라인부(2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된 종자는 오퍼레이팅 유닛(100)으로부터 발생하는 역류된 공기에 의해 배출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 파종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미리 결정된 위치 중 한 곳에 파종하는데 있어서, 트레이 유닛(300)은 한 개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다면, 복수 개의 라인부(210)는 한 번에 복수 개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라인부(210)를 개별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각각의 라인부(210)에 흡입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타겟팅(targeting)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오퍼레이팅 유닛 110: 모터부
111: 모터팬부 120: 콘트롤부
130: 연결부 140: 필터부
200: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 210: 라인부
300: 트레이 유닛 310: 플레이트부
311: 제1플레이트부 312: 제2플레이트부
320: 시드홀부 321: 제1홀부
322: 제2홀부 330: 홀딩부

Claims (10)

  1. 종자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을 콘트롤 하는 오퍼레이팅 유닛(operating unit);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흡입 표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키는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flow expanding unit); 및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에 제공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종자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좌표를 제공하는 트레이 유닛(tray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은,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낮은 기압을 형성하여, 상기 종자의 흡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제공되어, 외부의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역으로 유동시켜, 역류된 공기를 분출하여 상기 종자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은,
    상기 연결부으로부터 표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유닛을 하부에 임의 고정시켜, 상기 트레이 유닛을 통해 상기 종자를 선택적으로 흡입 또는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자가 흡입되며 배출되는 좌표를 제공하도록 몸체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흡입되도록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시드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의 엣지에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제1홀부를 구비하는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이격하게 배치되어, 제2홀부를 구비하는 제2플레이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가 오버랩되어 상기 시드홀부의 직경을 임의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홀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 개별 좌표를 할당하며, 상기 개별 좌표를 임의 지정하여, 상기 종자가 선택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면,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홀딩되도록 하며,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양압(positive pressure) 형성되면, 하향 볼록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자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은,
    상기 플로우 익스펜딩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가 흡입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라인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각각에 흡입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자를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타겟팅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KR1020200092134A 2020-07-24 2020-07-24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KR10250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134A KR102504740B1 (ko) 2020-07-24 2020-07-24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134A KR102504740B1 (ko) 2020-07-24 2020-07-24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13A true KR20220016313A (ko) 2022-02-09
KR102504740B1 KR102504740B1 (ko) 2023-02-28

Family

ID=8026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134A KR102504740B1 (ko) 2020-07-24 2020-07-24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4060A (zh) * 2022-05-23 2022-09-09 江苏大学 一种用于气吸式精密排种器的流化种盘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28A (ko) * 2002-08-29 2004-03-11 박형갑 마늘 파종판
KR100566139B1 (ko) * 2004-08-28 2006-03-30 김경인 씨앗 자동파종기
US20080317279A1 (en) * 2006-03-02 2008-12-25 Monsanto Technology Llc Automated high-throughput seed sampler and methods of sampling, testing and bulking seeds
KR20140142482A (ko) 2013-06-04 2014-12-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묘용 파종기
KR2019005472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진공파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진공파종장치
KR102026779B1 (ko) 2017-11-03 2019-10-01 대한민국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20190129568A (ko) 2018-05-11 2019-11-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휴대용 파종기
KR20200079087A (ko) 2018-12-24 2020-07-02 조준래 파종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28A (ko) * 2002-08-29 2004-03-11 박형갑 마늘 파종판
KR100566139B1 (ko) * 2004-08-28 2006-03-30 김경인 씨앗 자동파종기
US20080317279A1 (en) * 2006-03-02 2008-12-25 Monsanto Technology Llc Automated high-throughput seed sampler and methods of sampling, testing and bulking seeds
KR20140142482A (ko) 2013-06-04 2014-12-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묘용 파종기
KR102026779B1 (ko) 2017-11-03 2019-10-01 대한민국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2019005472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진공파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진공파종장치
KR20190129568A (ko) 2018-05-11 2019-11-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휴대용 파종기
KR20200079087A (ko) 2018-12-24 2020-07-02 조준래 파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4060A (zh) * 2022-05-23 2022-09-09 江苏大学 一种用于气吸式精密排种器的流化种盘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024060B (zh) * 2022-05-23 2024-03-19 江苏大学 一种用于气吸式精密排种器的流化种盘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40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8842B1 (en) Nurse adapter for air seeders
US9155243B2 (en) Air drill diffuser
KR20220016313A (ko)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RU2478274C1 (ru) Пневмомехан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ATE253291T1 (de) Sävorrichtung und sämaschine mit solchen sävorrichtungen
CA2631473C (en) Agricultural furrowing tool
US20220015284A1 (en) Dual seed meter for planting crops and improving crop yields
KR101689533B1 (ko) 마늘 파종기
KR101791361B1 (ko) 토사 제거부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CN114096145A (zh) 气动式排种器具
CN113228925B (zh) 小区联合收获机粮仓清种装置
KR102291280B1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CN105815007B (zh) 水稻精准播种育秧方法
RU2618319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CN108925184A (zh) 辣椒播种装置
KR101743451B1 (ko) 인삼씨 파종 장치
KR20150109513A (ko) 파종기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100566139B1 (ko) 씨앗 자동파종기
RU163569U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 регулятором подачи семян
BR102019007097A2 (pt) Dosador/distribuidor de sementes com sistema de dosagem e distribuição por correia/corrente sincronizada perfurada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CN105815008B (zh) 水稻精准播种育秧装置
CN218337122U (zh) 一种烟草育苗播种器
KR20150085333A (ko) 개량된 종자 투입구조를 갖는 점파식 종자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