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996Y1 - 자동 파종기 - Google Patents

자동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996Y1
KR200187996Y1 KR2019990030141U KR19990030141U KR200187996Y1 KR 200187996 Y1 KR200187996 Y1 KR 200187996Y1 KR 2019990030141 U KR2019990030141 U KR 2019990030141U KR 19990030141 U KR19990030141 U KR 19990030141U KR 200187996 Y1 KR200187996 Y1 KR 200187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eeding
planter
shaf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장 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장 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장 자동화
Priority to KR2019990030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모터 및 엔진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 작동하면서 씨앗을 파종하도록 하는 자동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된 파종기는 사람이 직접 밀어 이동시켜야만 파종작업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파종해야할 밭의 면적이 클 경우에는 작업이 힘이 들고, 특히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다열식 파종기를 통해 파종할 때에는 사람의 힘으로는 파종기를 작동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파종기의 차체 후측부에 배터리장착부를 설치하여 이에 배터리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바퀴의 일측 후부에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의 축과 구동바퀴의 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동축의 후측 상부에 엔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의 일측에 상부에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의 후측에 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감속하는 감속기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을 상기 구동바퀴축에 연결하여 엔진에 의해 파종기가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파종기{An automatic sowing machine}
본 고안은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 및 엔진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하면서 씨앗을 파종하도록 하는 자동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이나 비닐하우스 내에 시금치, 열무, 배추 등의 각 채소류를 파종할 때 대부분 사람이 직접 씨앗을 뿌려 파종함에 따라 파종간격 및 파종밀도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채소의 성장 발육에 효과적이지 못한 상태가 됨은 물론 일정크기로 자라게 되면 이를 솎아주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관리상의 불편이 있고, 또 이는 채소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요즘은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한다.
종래의 파종기는 출원번호 제95-27602호로 본출원인에 의해 출원된바 있다.
이러한 파종기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차체와, 이 차체의 전방에 부착되는 구동바퀴와,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다짐롤러와, 상기 구동바퀴와 다짐롤러사이의 차체에 좌,우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복수의 고랑을 파는 쟁기와, 이 쟁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이 호퍼의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바퀴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호퍼에 담긴 씨앗을 고랑으로 낙하시켜 파종하는 파종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로 씨앗을 채우고 작업자가 핸들을 잡고 전방으로 밀게 되면 구동바퀴가 회전하면서 복식 파종기가 전진하게 되고, 하부의 쟁기는 좌,우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파게 된다. 또 구동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된 파종롤러가 회전하면서 호퍼내의 씨앗을 종류에 따라 일정량 및 일정주기로 선택하여 배출시켜 쟁기에 의해 파여진 고랑으로 낙하시킨다. 쟁기의 후측으로 끌려오는 체인에 의해 고랑이 복토되어 씨앗을 묻고 이어서 다짐롤러가 지나가면서 다져 마무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파종기에 의해 씨앗의 파종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쟁기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파종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파종하고자 하는 씨앗의 종류에 따라 파종량과 파종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종기는 파종간격과 파종깊이 및 파종량을 조절할 수는 있지만, 쟁기가 차체 양측에 고정되어 있어 횡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므로 파종열의 간격을 조절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복열 이상의 파종열은 제공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선출원된 파종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파종간격과 파종열 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를 출원번호 제98-15753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파종기는, 파종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씨앗받이를 다수개 구비하여 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를 쟁기와 플랙시블한 이송관으로 연결하며 횡방향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수평이동가능하면서 수직이동도 가능하도록 쟁기를 설치하므로써 씨앗의 파종열 및 파종깊이에 따라 파종열의 간격 및 높이조절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선출원된 파종기는 사람이 직접 밀어 이동시켜야만 파종작업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파종해야할 밭의 면적이 클 경우에는 작업이 힘이 들고, 특히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다열식 파종기를 통해 파종할 때에는 사람의 힘으로는 파종기를 작동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종기의 작동을 구동모터 또는 엔진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종작업을 보다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열식으로 대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11a,11b - 구동바퀴 12 - 다짐롤러
13 - 호퍼 14 - 안내봉 15 - 파종롤러
16 - 씨앗받이 17 - 공급관 18 - 쟁기
19 - 체인 20 - 이동바퀴 21 - 핸들
30 - 배터리장착부 31 - 배터리 40 - 구동모터
41 - 구동축 42 - 프레임 43 - 감속기
44 - 구동체인 45 - 흙고름판 46 - 스프링
50 - 엔진 51 - 구동축 52 - 엔진고정대
53 - 지지축 54 - 연료통 55 - 감속기
56 - 출력축 57 - 구동체인 58 - 체인
61 - 핸들 62 - 가속레버 63 - 조절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종기 뼈대를 이루는 차체의 앞쪽에는 구동바퀴 및 후측에는 다짐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의 상부에 두 개 이상의 배출구를 갖는 호퍼를 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배출구 하부에 다른 직경과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씨앗홈을 외주면에 다열 형성된 파종롤러를 설치하고, 선택된 상기 파종롤러의 씨앗홈에 의해 공급되는 씨앗을 받는 씨앗받이를 상기 파종롤러의 하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씨앗이 묻힐 고랑의 깊이 및 간격을 조절가능도록 쟁기들을 설치하여 씨앗을 다열로 파종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차체의 후측부에 배터리장착부를 설치하여 이에 배터리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바퀴의 일측 후부에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 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의 축과 구동바퀴의 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또한 구동축의 후측 상부에 엔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의 일측에 상부에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의 후측에 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감속하는 감속기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을 상기 구동바퀴축에 연결하여 엔진에 의해 파종기가 작동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기의 차체(10)의 전, 후방에 각각 구동바퀴(11a)와 다짐롤러(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바퀴(11a)와 다짐롤러(12)사이에는 다수개의 쟁기(18)가 차체(10)에 횡설된 가이드바에 높이 및 간격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쟁기(18)의 상부에는 정량의 씨앗을 선택적으로 쟁기(18)로 공급하는 파종롤러(15)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다수개의 씨앗 배출구를 갖고 파종롤러(15)에 씨앗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호퍼(13)가 전후로 설치된 안내봉(14)에 횡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파종롤러(15)와 쟁기(18)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씨앗받이(16)와 씨앗받이(16)로부터 공급된 씨앗을 쟁기(18)로 공급되는 공급관(17)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바퀴(11a)축에는 체인커버에 의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파종롤러(15)축 일단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체인(19)으로 연결되어 있다.
참조번호 20은 파종작업 외로 파종기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이동바퀴이고, 참조번호 21은 파종기 핸들이며, 63은 호퍼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절레버이다.
또한 차체(10)의 후측부에 배터리장착부(30)가 설치되어 이에 배터리(31)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구동바퀴(11a)의 일측 후부에 배터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되는데, 양측 차체(10)를 가로질러 프레임(42)을 설치하여 이에 볼트로 구동모터(40)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구동모터(40)는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43)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원활한 출력을 위해 양측에 복수개 구성한다. 감속기(43)의 출력축(431)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구동바퀴(11a)의 일측 축에도 도면상의 체인커버(C1)에 의해 도시 생략된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이에 각각 구동체인(44)을 감아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동모터(40)를 필요시 온(ON),오프(OFF)시키고 또 속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모터(40)를 지지하는 프레임(42)의 양측 하부에 브래킷(421)을 설치하여 이에 하단이 땅의 표면에 접촉되는 흙고름판(45)이 횡설 되어 있다. 이 흙고름판(45)은 수직상태에서 후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측단 전방에 흙고름판(45)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프링(46)이 탄력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자동 파종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쪽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20)를 이용하여 파종해야할 밭으로 이동한 후 이동바퀴(20)를 접어 구동바퀴(11a)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호퍼(13)에 파종할 씨앗을 적당량 채워 넣은 후 쟁기(18)의 간격과 높이를 조절하여 씨앗의 종류에 따라 파종간격, 고랑의 깊이 및 파종열을 미리 조절하여 둔다.
이어서 제어부를 조작하여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은 감속기(43)에 의해 가속되어 출력축(431)으로 출력되고, 출력축(431)에 구동체인(44)을 회전시켜 연결된 구동바퀴(11a)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바퀴(11a)가 회전하게 되면 파종기가 전진하게 되는데, 구동바퀴(11a)에 의해 밭의 표면이 파여져 들쭉날쭉해질 수가 있으나 후속으로 전진하는 흙고름판(45)이 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해 전후로 회동되면서 땅의 표면을 고르게 펼쳐준다.
또한 흙고름판(45)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펼쳐진 땅을 후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쟁기(18)가 전진하면서 씨앗이 파종될 고랑을 파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바퀴(11a)의 타측단에 연결된 체인(19)이 회전하여 파종롤러(15)를 회전시키게 된다. 파종롤러(15)가 회전하게 되면 호퍼(13)에 채워진 씨앗을 일정량씩 규칙적으로 씨앗받이(16)로 공급하여 공급관(17)을 통해 쟁기(18)의 후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어서 쟁기(18)의 후측에 체인이나 판을 설치하여 구성된 복토장치에 의해 고랑의 씨앗을 묻게 되고 최종적으로 다짐롤러(12)가 고랑을 다짐으로써 씨앗 파종이 마무리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평면도이다.
파종기가 파종열을 자율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됨에 따라 파종기를 대형화되는데, 파종기가 대향화되면 한번에 다줄의 씨앗을 파종할 수 있으므로 파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파종기가 대형화되면 그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서는 파종기를 작동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40)보다 높은 출력을 갖는 엔진(50)을 이용하여 파종기를 작동할 수밖에 없다.
엔진(50)을 이용한 파종기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먼저 구동축(51)의 후측에 가로로 설치된 프레임(42)의 상부에 엔진고정대(52)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엔진(50) 및 그 주변 장치들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엔진(50)의 작동은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타트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 엔진(50)의 측부에 수직의 지지축(53)을 설치하여 그 상단에 엔진(5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54)을 설치한다. 이때 연료통(54)은 원활한 연료의 공급을 위해 엔진(5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참조번호 541은 연료공급관이다.
엔진(50)의 구동축(56)을 후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단부에 감속기(55)를 연결하여 감속하고 그 출력축(56)을 측방으로 위치시켜 이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구동바퀴(11b)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구동체인(57)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모터(40)를 이용한 파종기와 같이 구동바퀴(11b)의 타측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이를 파종롤러(15)와 체인(58)으로 연결하여 구동바퀴(11b)와 연동하여 파종롤러(15)가 회전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엔진(50)의 출력이 크기 때문에 파종기의 전진작동에 저항을 받게 되면 이를 벗어날 때까지 구동바퀴(11b)가 지면에서 헛돌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파종롤러(15)가 불필요하게 회전하게 되어 중복된 자리에 씨앗을 파종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파종기의 전진거리만큼만 회전하는 다짐롤러(12)의 일측 축단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이에 파종롤러(15)의 축과 체인(58)으로 연결하여 다짐롤러(12)의 회전에 의해 파종롤러(15)가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엔진(50)을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축(51)의 회전력이 감속기(55)를 통해 감속되어 감속기(55)의 출력축(56)으로 출력되고 이는 구동체인(57)을 통해 구동바퀴(11b)를 작동시켜 파종기를 전진시킨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속레버(62)를 핸들(61)에 설치하여 이를 통해 엔진(5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파종기는 전진하게 되고 이어서 전진하는 흙고름판(45)이 구동바퀴(11b)에 의해 들쭉날쭉해진 땅의 표면을 고르게 펼쳐준다. 또 후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쟁기(18)가 전진하면서 씨앗이 파종될 고랑을 파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파종기의 전진작동에 의해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다짐롤러(12)의 축은 파종기의 전진작동에 저항이 발생하여도 헛도는 현상 없이 전진한 거리만큼만 균일하게 회전하게되므로 이와 체인(58)으로 연결된 파종롤러(15) 또한 거리에 비례하여 균일하게 회전된다. 따라서 호퍼(13)에 채워진 씨앗은 일정량씩 규칙적으로 씨앗받이(16)로 공급되어 공급관(17)을 통해 쟁기(18)의 후측으로 낙하되게 되므로 파종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쟁기(18)의 후측에 체인이나 복토판에 의해 개토된 고랑 덮어 씨앗을 묻게 되고 최종적으로 다짐롤러(12)가 고랑을 다짐으로써 씨앗 파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종기가 구동모터와 엔진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파종열을 다열로 구성하여 대형화된 파종기도 쉽고 빠르게 운전할 수 있고 또 파종작업을 신속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파종기 뼈대를 이루는 차체(10)의 앞쪽에는 구동바퀴(11a) 및 후측에는 다짐롤러(12)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10)의 상부에 두 개 이상의 배출구를 갖는 호퍼(13)를 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호퍼(13)의 배출구 하부에 다른 직경과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씨앗홈을 외주면에 다열 형성된 파종롤러(15)를 설치하고, 선택된 상기 파종롤러(15)의 씨앗홈에 의해 공급되는 씨앗을 받는 씨앗받이(16)를 상기 파종롤러(15)의 하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씨앗이 묻힐 고랑의 깊이 및 간격을 조절가능도록 쟁기(18)들을 설치하여 씨앗을 다열로 파종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차체(10)의 후측부에 배터리장착부(30)를 설치하여 이에 배터리(31)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바퀴(11a)의 일측 후부에 상기 배터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43)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4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43)의 출력축(431)과 구동바퀴(11a)의 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40)의 힘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파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1a)의 후측에 수직상태에서 후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흙고름판(45)을 횡설 하고, 양측 전방에 흙고름판(45)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프링(46)을 탄력 설치하여 밭의 표면을 고르게 펼쳐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파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1b)를 구동하는 동력을 엔진으로 구성하되, 구동바퀴(11b)의 후측 상부에 엔진(5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50)의 일측에 상부에 엔진(5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54)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50)의 후측에 엔진(50)의 구동축(51)과 연결되어 감속하는 감속기(55)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55)의 출력축(56)을 상기 구동바퀴(11b)의 축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파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롤러(12)의 일측 축단을 상기 파종롤러(15)의 축과 연결하여 파종롤러(15)의 구동에 의해 다짐롤러(12)가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파종기.
KR2019990030141U 1999-12-29 1999-12-29 자동 파종기 KR200187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41U KR200187996Y1 (ko) 1999-12-29 1999-12-29 자동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41U KR200187996Y1 (ko) 1999-12-29 1999-12-29 자동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996Y1 true KR200187996Y1 (ko) 2000-07-15

Family

ID=1960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141U KR200187996Y1 (ko) 1999-12-29 1999-12-29 자동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99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27B1 (ko) 2011-07-13 2014-02-11 이효동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20200029727A (ko) * 2018-09-11 2020-03-19 최호인 작물 맞춤형 스마트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102094762B1 (ko) * 2019-08-23 2020-03-30 최형섭 곡물 파종기
KR2020007783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그린맥스 복합형 정밀파종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6149A (ko) *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093737A (ko) * 2020-12-28 2022-07-05 한재헌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27B1 (ko) 2011-07-13 2014-02-11 이효동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20200029727A (ko) * 2018-09-11 2020-03-19 최호인 작물 맞춤형 스마트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102226527B1 (ko) * 2018-09-11 2021-03-11 최호인 작물 맞춤형 스마트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2020007783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그린맥스 복합형 정밀파종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4762B1 (ko) * 2019-08-23 2020-03-30 최형섭 곡물 파종기
KR20220086149A (ko) *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102657990B1 (ko) * 2020-12-16 2024-04-17 한재헌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093737A (ko) * 2020-12-28 2022-07-05 한재헌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102657992B1 (ko) * 2020-12-28 2024-04-15 한재헌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792834U (zh) 预切种式宽窄行智能甘蔗种植机
KR20200127606A (ko) 마늘파종기
JPH10271902A (ja) トラクタ牽引式移植機
CN110692294A (zh) 一种温室内马铃薯播种机
CN110754176B (zh) 预切种式宽窄行智能甘蔗种植机
KR200187996Y1 (ko) 자동 파종기
CN114128450B (zh) 南瓜播种覆膜一体化设备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KR200219524Y1 (ko)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CN211267637U (zh) 一种前耕后播型玉米播种机
CN112703855A (zh) 一种生态农业种植用横向可多点种植的播种机
KR20030018434A (ko) 전동식 부추 파종기
CN211019969U (zh) 一种温室内马铃薯播种机
KR200232978Y1 (ko) 파종기
CN207836103U (zh) 单沟可调施肥回填机
CN220606529U (zh) 一种农用播种机
KR20190121028A (ko) 마늘 파종기
CN219373076U (zh) 播种机
CN110915369B (zh) 一种水稻育秧用播种装置
KR102610618B1 (ko) 마늘 파종장치
CN117882522B (zh) 一种旱稻种植一体化播种机
CN218888981U (zh) 一种玉米种植机
CN220570965U (zh) 一种多功能播种机
CN217509399U (zh) 一种复合式山药旋耕播种机
CN218104128U (zh) 可调式固定架装配结构的多功能播种抛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508

Effective date: 20080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