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62B1 - 곡물 파종기 - Google Patents

곡물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62B1
KR102094762B1 KR1020190103852A KR20190103852A KR102094762B1 KR 102094762 B1 KR102094762 B1 KR 102094762B1 KR 1020190103852 A KR1020190103852 A KR 1020190103852A KR 20190103852 A KR20190103852 A KR 20190103852A KR 102094762 B1 KR102094762 B1 KR 10209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shaft
grain
suppl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섭
Original Assignee
최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섭 filed Critical 최형섭
Priority to KR102019010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111)를 구비하되 메인플레이트(111)의 양단에 수직플레이트(112)를 수직으로 세워 부착하되 메인플레이트(111)의 하측에 좌우로 메인샤프트(113)를 형성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이드프레임(114)를 형성하며 메인플레이트(111)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플레이트(115)를 형성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가이드프레임(114)에 하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관(121)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가이드관(121)의 하부에 지면을 가압하는 다짐롤러(122)를 하향으로 탄력설치한 배출다짐부(120)와,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가압롤러(13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고 가압롤러(131)와 가압롤러(131) 사이 메인샤프트(113)에 탄성제거봉(133)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가이드관(121)의 진행방향 앞측에 탄성제거봉(133)을 위치시키는 가압제거부(130)와,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플레이트(115)에 공급호퍼(141)를 설치하고 공급호퍼(141)의 하부를 가이드관(121)의 상부에 연통시키는 공급부(140)와, 상기 공급부(140)의 공급호퍼(141) 하측에 공급구(152)를 결합하여 곡물을 배출하는 조절배출부(15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 중앙에 원형플레이트(161)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조절배출부(150)의 공급구(152)에 인가하는 동력전달부(160)로 구성하므로, 볏짚을 덮은 농지 속으로 보리 씨앗을 효율적으로 묻고 눌러주므로 최적의 발아 상태로 보리 씨앗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보리 씨앗을 뿌린 후 농지를 눌러 지력을 높여 보온효과 향상시켜 냉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파종기{GRAIN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곡물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리 씨앗 등을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물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작업은 파종한 종자가 일시에 발아(發芽)하여 균일하게 생육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깊이로 적당한 양의 종자를 능률적으로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기의 주요기능은 골파기, 씨뿌리기, 흙덮기이다.
파종기를 크게 나누면 산파기(散播機:broad caster), 조파기(條播機:grain drill), 점파기(點播機:planter)의 3종류가 있다.
조파기는 맥류와 같은 곡물의 줄뿌림에 사용되는 작업기인데, 크기는 대개 골파기 기구의 수와 그들의 간격으로 표시하며, 골파기 기구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5~35cm이다.
점파기는 비교적 넓은 그루 사이를 필요로 하는 옥수수, 두류, 목화, 감자 등을 파종하는 데 사용한다.
산파기는 주로 알갱이가 작고 가벼운 목초나 아마 등의 종자를 흩어뿌리는 데 사용된다.
흙덮기 작업은 씨뿌림 직후 흙을 덮어주거나 퇴비나 볏짚 등 유기물을 덮어주는 것이 습해와 동해예방, 생육후기 쓰러짐 방지에 가장 좋으며, 3㎝이내 두께가 되도록 덮어 주는 것이 정상적인 생육과 안전월동에 크게 도움된다.
종래의 파종 기술로는 등록특허 10-0514664호(파종기) 등이 있으나 보리 씨앗을 파종할 때 볏짚 등이 덮어진 상태에서 파종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파종기가 이동하면서 볏집을 끌고 다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볏짚을 일정 두께로 덮힌 상태에서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보리 씨앗등을 파종할 수 있는 파종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볏짚을 덮은 농지 속으로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효율적으로 묻고 눌러 파종하므로 최적의 발아 상태로 보리 씨앗을 파종하여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종작업과 동시에 보리 씨앗 등의 곡물 배출위치의 볏짚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면서 원활하게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 씨앗 등의 곡물 배출후 농지를 눌러 지력을 높여 보온효과 향상시키므로 냉해로 인한 피해를 억제하도록 하는 곡물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곡물 파종기는 지지부의 가이드프레임에 하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관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가이드관의 하부에 지면을 가압하는 다짐롤러를 하향으로 탄력설치한 배출다짐부와, 상기 지지부의 메인샤프트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가압롤러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고 가압롤러를 가이드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되 가압롤러와 가압롤러 사이 메인샤프트에 탄성제거봉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가압제거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플레이트에 공급호퍼를 설치하고 공급호퍼의 하부를 가이드관의 상부에 연통시키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공급호퍼 하측에 공급구를 결합하여 곡물을 배출하는 조절배출부, 및 지지부의 메인샤프트 중앙에 원형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조절배출부의 공급구에 인가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물 파종기는 공회전 상태의 가압롤러가 볏짚을 눌러 지지한 상태에서 탄성제거봉이 역회전하여 전방의 볏짚을 제거하므로 볏짚의 뭉침 형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볏짚이 덮힌 농지에서도 보리 씨앗 등의 곡물 파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 할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짐롤러가 뿌려진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눌러 가압하여 종자발아를 높혀주고, 냉해피해로 농지 다짐작업이 필요없어 작업효율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짐롤러의 작업 후 배수고랑의 흙과 볏짚을 복토하므로 최상의 상태로 파종작업을 수행하므로 최적의 발아조건으로 파종하여 냉해피해 억제는 물론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여 이삭을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도복을 강하게 하므로 수확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상태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측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측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해 전면측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전면측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의 공급구 이물 제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파종기의 공급구 이물 제거 중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 파종기(100)는 메인플레이트(111)를 구비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양단에 수직플레이트(112)를 수직으로 세워 부착하되 메인플레이트(111)의 하측에 좌우로 메인샤프트(113)를 형성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이드프레임(114)를 형성하며 메인플레이트(111)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플레이트(115)를 형성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가이드프레임(114)에 하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관(121)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가이드관(121)의 하부에 지면을 가압하는 다짐롤러(122)를 하향으로 탄력설치한 배출다짐부(120)와,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가압롤러(13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고 가압롤러(131)와 가압롤러(131) 사이 메인샤프트(113)에 탄성제거봉(133)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가이드관(121)의 진행방향 앞측에 탄성제거봉(133)을 위치시키는 가압제거부(130)와,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플레이트(115)에 공급호퍼(141)를 설치하고 공급호퍼(141)의 하부를 가이드관(121)의 상부에 연통시키는 공급부(140)와, 상기 공급부(140)의 공급호퍼(141) 하측에 공급구(152)를 결합하여 곡물을 배출하는 조절배출부(15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 중앙에 원형플레이트(161)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조절배출부(150)의 공급구(152)에 인가하는 동력전달부(16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횡으로 메인플레이트(111)를 형성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이드프레임(114)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키되 메인플레이트(111)의 좌우단에 수직플레이트(112)를 부착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하측에 메인샤프트(113)를 횡으로 설치하되 메인샤프트(113)의 양단을 좌우 수직플레이트(112)에 관통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메인샤프트(113)의 일측단에는 통상의 동력수단(나타내지 않음)을 결합하여 메인샤프트(113)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상측에는 상부플레이트(115)를 일정 높이로 형성하되 좌우로 각각 분리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메인샤프트(113)는 파종기(100)의 전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110)에는 브래킷, 리브, 지지바 등의 다양한 통상의 지지구조 등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배출다짐부(120)는 지지부(110)의 가이드프레임(114)에 가이드관(121)을 수직으로 관통시켜 가이드관(121)의 하단을 농지의 표면에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하되 다수개의 가이드관(121)을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가이드관(121)의 하부에는 하단에 다짐롤러(122)를 결합한 지지레그(123)의 상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지지레그(123)의 중심부와 가이드관(121)의 외주연을 인장스프링(124)으로 연결하여 다짐롤러(122)를 탄력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다짐롤러(122)가 탄성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당겨져 농지를 눌러 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이상적이다.
상기 가압제거부(130)는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에 다수개의 탄성제거봉(133)을 고정부재(135)로 결합함과 동시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결합하여 메인샤프트(113)의 회전으로 탄성제거봉(133)이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농지의 지면을 긁으면서 볏짚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샤프트(113)의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하는 탄성제거봉(133)은 메인샤프트(113)를 중심으로 다수개 방사선상으로 결합하되, 중심부에 메인샤프트(113)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스프링(134)을 형성하여 메인샤프트(113)의 회전에 따른 탄성제거봉(133)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제거봉(133)을 비틀림스프링(134)의 좌측단과 우측단으로 각각 형성하여 메인샤프트(113)에 교호로 결합하므로 비틀림스프링(134)의 길이만큼 농지의 지면에 탄성제거봉(133)이 일정폭 유지하면서 긁을 수 있도록 하고, 탄성제거봉(133)의 외향측을 후방으로 약간 절곡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농지의 지면을 탄성제거봉(133)이 경사진 상태로 긁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인샤프트(113)의 좌우로 다수개 설치한 탄성제거봉(133) 사이에는 가압롤러(131)를 베어링(132)으로 체결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하여 탄성제거봉(133)의 역회전할 때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제거봉(133)의 좌우 볏짚을 눌러 잡아주므로 전진방향과 역회전하는 탄성제거봉(133)이 파종 위치의 볏짚만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메인샤프트(113)의 좌우 최외각에는 가압원판(136)을 공회전하도록 하여 진행를 방향으로 가이드함 동시에 상기와 같이 볏짚을 눌러 잡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40)는 공급호퍼(141)의 하부에 용수철로 형성시킨 진동관(142)을 결합하여 하방의 배출다짐부(120) 가이드관(121)에 연통시켜 지속적으로 진동 발생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급진동관(142)의 상단을 후술하는 조절배출부(150)의 조절실(151) 측에 결합하여 연통시킨다.
따라서 배출하는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걸리는 경우 용수철을 벌려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배출부(150)는 공급부(140)의 공급호퍼(141) 배출구에 상하를 연통하는 조절실(151)을 형성하되 조절실(151)에 유입측에 홈부(153)를 형성한 공급구(152)를 키샤프트(154)로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공급구(162)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홈부(153)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회전으로 공급호퍼(141)의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하부로 정확하게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실(151)은 다수개 형성하되 공급구(152)의 축선을 일치시켜 한개의 키샤프트(154)로 연결하여 상호 연통하도록 하되 조절실(151)을 전후로 형성할 때 기어 등의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실(151)의 유입측에는 보호솔(156)을 형성하여 곡물의 끼임 등을 억제하고 공급구(152)에 제거핀(155)을 돌출시켜 이물을 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 제거하여 원활하고 일정하게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의 중앙에 외향으로 동력발생톱니(162)를 다수개 등간격으로 부착한 원형플레이트(16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므로 파종기(100)의 전진에 따른 이동으로 원형플레이트(161)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나아가, 원형플레이트(161)의 일측에 하부스프로킷(163)을 부착하고 하부스프로킷(163)의 상측에 위치하는 조절배출부(150)의 키샤프트(154)에 상부스프로킷(164)를 부착하되 하부스프로킷(163)과 상부스프로킷(164)을 체인(65)으로 연결하여 원형플레이트(161)의 이동에 따른 회전력을 키샤프트(154)에 인가하므로 키샤프트(154)에 결합시킨 공급구(152)도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상기와 같이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을 정확하고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동력발생톱니(162)는 원형플레이트(161)에 각각 부착하여 훼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종기(100)는 앞측을 트랙터(1)에 장착하여 사용하되 파종기(100)의 후측에 통상이 복토기(200)를 결합하여 파종과 동시에 복토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곡물 파종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랙터(1)로 파종기(100)를 끌어 전진시킴과 동시에 메인샤프트(113)를 회전시키면, 공회전 상태로 결합시킨 가압롤러(131)가 농지를 덮은 볏짚을 누르면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함과 동시에 메인샤프트(113)는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메인샤프트(113)에 결합하여 연동하는 탄성제거봉(133)도 역회전하여 전방의 볏짚을 제거하면서 전진한다.
이때 메인샤프트(113)에 공회전하도록 결합한 원형플레이트(161)의 동력발생톱니(162)가 지중으로 압입되면서 원활하게 회전하므로 체인(165)로 연결시킨 키샤프트(154)도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공급구(152)도 회전하므로 공급호퍼(141)의 보리 씨앗을 일정량씩 연속하여 배출하고 이로 인하여 배출시킨 보리 씨앗 등의 곡물은 진동관(142)을 거쳐 가이드관(121)을 하단을 빠져나와 탄성제거봉(133)의 역회전으로 볏짚을 제거한 노출된 농지에 뿌려진다.
특히 공회전 상태의 가압롤러(131)가 볏짚을 눌러 지지한 상태에서 탄성제거봉(133)이 역회전하여 전방의 볏짚을 제거하므로 볏짚의 뭉침 형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볏짚이 덮힌 농지에서도 보리 씨앗 등의 곡물 파종작업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수행 할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리 씨앗이 농지에 뿌리진 직후 탄력설치한 다짐롤러(122)가 눌러 가압하여 지력을 높혀주므로 별도의 농지 다짐 작업이 불필요하다.
더욱이, 파종기(100)의 후측 중앙에 부착한 통상의 복토기(200)에서 다짐롤러(122)의 작업 후 고랑의 흙과 볏짚을 복토하므로 최상의 상태로 고물 파종작업을 수행하므로 최적의 발아로 인하여 생산량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트랙터 100 : 파종기
110 : 지지부 111 : 메인플레이트
112 : 수직플레이트 113 : 메인샤프트
114 : 가이드프레임 115 : 상부플레이트
120 : 배출다짐부 121 : 가이드관
122 : 다짐롤러 123 : 지지레그
124 : 인장스프링 130 : 가압제거부
131 : 가압롤러 132 : 베어링
133 : 탄성제거봉 134 : 비틀림스프링
135 : 고정부재 136 : 가압원판
140 : 공급부 141 : 공급호퍼
142 : 진동관 150 : 조절배출부
151 : 조절실 152 : 공급구
153 : 홈부 154 : 키사프트
155 : 제거핀 156 : 보호솔
160 : 동력전달부 161 : 원형플레이트
162 : 동력발생톱니 163 : 하측스프로킷
164 : 상측스프로킷 165 : 체인
200 : 복토기

Claims (8)

  1. 메인플레이트(111)를 구비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양단에 수직플레이트(112)를 수직으로 세워 부착하되 메인플레이트(111)의 하측에 좌우로 메인샤프트(113)를 역회전 하도록 결합하고 메인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이드프레임(114)을 형성하며 메인플레이트(111)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플레이트(115)를 형성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가이드프레임(114)에 하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관(121)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가이드관(121)의 후측으로 지면을 가압하는 다짐롤러(122)를 하향으로 탄력설치한 배출다짐부(120)와,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가압롤러(13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고 가압롤러(131)와 가압롤러(131) 사이 메인샤프트(113)에 탄성제거봉(133)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가이드관(121)의 진행방향 앞측에 탄성제거봉(133)을 위치시키는 가압제거부(130), 및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플레이트(115)에 공급호퍼(141)를 설치하고 공급호퍼(141)의 하부를 가이드관(121)의 상부에 연통시키는 공급부(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40)의 공급호퍼(141) 하측에 공급구(152)를 결합하여 곡물을 배출하는 조절배출부(15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 중앙에 원형플레이트(161)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조절배출부(150)의 공급구(152)에 인가하는 동력전달부(160)로 더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다짐부(120)는 가이드관(121)의 하단을 농지의 표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가이드관(121)을 등간격을 형성하되 가이드관(121)의 하부에 다짐롤러(122)를 결합한 지지레그(123)의 상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지지레그(123)와 가이드관(121)을 인장스프링(124)으로 연결하여 다짐롤러(122)를 하방으로 탄력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제거부(130)는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에 탄성제거봉(133)을 고정부재(135)로 결합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탄성제거봉(133)을 등간격으로결합하여 메인샤프트(113)에 연동하도록 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거봉(133)은 메인샤프트(113)를 중심으로 다수개 방사선상으로 결합하되, 중심부에 메인샤프트(113)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스프링(134)을 형성함과 동시에 탄성제거봉(133)을 비틀림스프링(134)의 좌측단과 우측단으로 각각 형성하여 메인샤프트(113)에 교호로 결합시키고, 탄성제거봉(133)의 외향측을 절곡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제거부(130)의 좌우 탄성제거봉(133) 사이 메인샤프트(113) 각각에는 가압롤러(13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함과 동시에 메인샤프트(113)의 최외각에는 가압원판(136)을 공회전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40)는 공급호퍼(141)의 하부에 용수철로 형성시킨 진동관(142)을 결합하여 배출다짐부(120)의 가이드관(121)에 연통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배출부(150)은 공급부(140)의 공급호퍼(141) 배출구에 상하를 연통하는 조절실(151)을 형성하되 조절실(151)의 유입측에 홈부(153)를 형성한 공급구(152)를 키샤프트(154)로 결합하고 조절실(151)의 유입측에 보호솔(156)을 형성하여 곡물의 끼임을 방지하며 공급구(152)에 제거핀(155)을 돌출시켜 이물을 배출제거하고,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지지부(110)의 메인샤프트(113) 중앙에 외향으로 동력발생톱니(162)를 다수개 등간격으로 부착한 원형플레이트(161)를 공회전하도록 결합하며, 원형플레이트(161)의 일측에 하부스프로킷(163)을 부착하며 하부스프로킷(163)의 상측 키샤프트(154)에 상부스프로킷(164)를 부착하되 하부스프로킷(163)과 상부스프로킷(164)을 체인(165)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파종기.
KR1020190103852A 2019-08-23 2019-08-23 곡물 파종기 KR10209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52A KR102094762B1 (ko) 2019-08-23 2019-08-23 곡물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52A KR102094762B1 (ko) 2019-08-23 2019-08-23 곡물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762B1 true KR102094762B1 (ko) 2020-03-30

Family

ID=7000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52A KR102094762B1 (ko) 2019-08-23 2019-08-23 곡물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211U (ja) * 1992-05-18 1993-12-14 みのる産業株式会社 播種装置における溝切り用爪車
KR200187996Y1 (ko) *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JP2003000010A (ja) * 2001-06-19 2003-01-07 Minoru Industrial Co Ltd 播種機
KR20080059701A (ko) * 2006-12-26 2008-07-01 우병희 인삼씨 파종기
KR20120100200A (ko)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장 자동화 종자를 등간격으로 파종 가능하게 하는 파종장치
KR101273011B1 (ko) * 2012-10-29 2013-06-10 최형섭 점파식 파종기
KR20170000715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마늘 파종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211U (ja) * 1992-05-18 1993-12-14 みのる産業株式会社 播種装置における溝切り用爪車
KR200187996Y1 (ko) *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JP2003000010A (ja) * 2001-06-19 2003-01-07 Minoru Industrial Co Ltd 播種機
KR20080059701A (ko) * 2006-12-26 2008-07-01 우병희 인삼씨 파종기
KR20120100200A (ko)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장 자동화 종자를 등간격으로 파종 가능하게 하는 파종장치
KR101273011B1 (ko) * 2012-10-29 2013-06-10 최형섭 점파식 파종기
KR20170000715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마늘 파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3642B (zh) 一种驱动圆盘玉米垄作免耕播种机
WO2013107317A1 (zh) 小麦均匀轧播方法和专用轧播机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CN204579077U (zh) 一种玉米种行清杆土肥旋混单双株可调穴施穴播种机
CN102656969A (zh) 小麦少耕深松精密耕作机
CN109496478A (zh) 带状均间隙播种机
RU190876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JP2018143230A (ja) ビニール一貫播種機
KR100913067B1 (ko) 최소경운 직파기
CN108055956B (zh) 自动切膜压膜起膜结构及振动结构施肥播种机
CN101982035A (zh) 精密播种机
CN210808145U (zh) 条带灭茬深松施肥免耕播种机
CN108781639A (zh) 一种定向播种机的轮式投送结构
CN209845675U (zh) 一种双芽段甘蔗种植机
CN106954411B (zh) 谷子玉米铺膜播种机
RU19801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2094762B1 (ko) 곡물 파종기
CN202697185U (zh) 小麦少耕深松精密耕作机
FR2624686A1 (fr) Semoir pour localiser avec precision les semences et produits de soutien
CN201267095Y (zh) 小型山地免耕播种机
RU224993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дисково-анкерный сошник
CN105850302A (zh) 旱地播种机
CN110574526B (zh) 一种玉米施肥播种一体机
RU19738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RU199371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