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37A -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 Google Patents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37A
KR20220093737A KR1020200184767A KR20200184767A KR20220093737A KR 20220093737 A KR20220093737 A KR 20220093737A KR 1020200184767 A KR1020200184767 A KR 1020200184767A KR 20200184767 A KR20200184767 A KR 20200184767A KR 20220093737 A KR20220093737 A KR 20220093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coupled
supply roller
s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992B1 (ko
Inventor
한재헌
Original Assignee
한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헌 filed Critical 한재헌
Priority to KR102020018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9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배터리하우징과, 감속기가 연결된 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가 결합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와 밸트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씨앗을 파종하는 씨앗파종유닛;과,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식의자;와,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향바퀴;와, 일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조향바퀴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이 더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하우징의 상부면에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판넬이 장착되고,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측면프레임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2개의 지지축을 관통 연결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파종골을 형성하기 위한 배토판과, 파종골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판이 연설되어 독립적으로 씨앗 파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ELECTRIC SEEDING MACHINE WITH A CHAIR}
본 발명은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식의자에 탑승한 상태로 씨앗을 파종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씨앗 파종이 가능하고, 더불어 탑재된 배터리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마늘파종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일렬로 다수의 씨앗파종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자동으로 씨앗 파종과 함께 파종골과 복토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콩이나 무, 고구마, 감자와 같은 씨앗을 파종하기 위해 호미나 괭이를 사용해 밭에 앉아서 땅을 파고 씨앗을 넣은 후 다시 흙을 덮어주는 방법이 이용되었고, 대량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파종할 밭에 비닐을 깔고 다수 천공된 구멍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파종하는데 씨앗을 파종할 때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씨앗을 파종하는 씨앗 파종장치가 고안되기는 하였지만, 한 손으로 씨앗 파종장치의 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눌러 씨앗을 밭에 파종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고 씨앗의 손실도 많아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씨앗을 파종한 후 흙을 덮어 다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파종기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파종기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파종하는 수동 파종기와, 자체 설치된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종하는 자동파종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양자 모두 크기가 다른 씨앗 홈들을 다수 개 구비한 씨앗공급롤러가 바퀴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씨앗은 상부의 씨앗저장통에 저장되었다가 씨앗공급롤러가 회전하면서 씨앗홈에 담아 하부로 이송시키면 이송관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여 쟁기가 판 고랑으로 떨어지게 되고 후속으로 복토판이 고랑을 덮고 다짐롤러가 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파종기는 간헐적으로 씨앗공급롤러의 씨앗수용홈에 씨앗이 수용되지 않아 파종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지면에서 비산되는 흙에 의해 씨앗수용홈이 막혀 파종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종기는 엔진을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엔진의 진동으로 인해 씨앗공급롤러의 씨앗수용홈에 씨앗이 안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씨앗 파종기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면서 씨앗을 파종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씨앗을 파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63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좌식의자에 탑승한 상태로 씨앗을 파종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씨앗 파종이 가능하고, 조향이 가능하여 별도의 견인 장비 없이 도로 이동이 가능한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탑재된 배터리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마늘파종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일렬로 다수의 씨앗파종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자동으로 씨앗 파종과 함께 파종골과 복토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씨앗공급롤러의 원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1씨앗수용홈에 씨앗골을 더 형성하여 씨앗의 안착을 유도할 수 있고, 더불어 지면으로부터 비산된 흙에 의해 제1씨앗수용홈과 씨앗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씨앗파종유닛을 갖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배터리하우징과, 감속기가 연결된 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가 결합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와 밸트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씨앗을 파종하는 씨앗파종유닛;과,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식의자;와,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향바퀴;와, 일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조향바퀴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이 더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하우징의 상부면에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판넬이 장착되고,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측면프레임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2개의 지지축을 관통 연결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파종골을 형성하기 위한 배토판과, 파종골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판이 연설되어 독립적으로 씨앗 파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조향핸들은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바퀴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결합된 타이로드와, 상기 타이로드와 조향바퀴의 사이에 결합되는 너클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상부에는 덮개를 갖고, 하부에는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씨앗저장통;과,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연결공에 종동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장부에 사선방향으로 노출되고, 회전에 의해 씨앗저장통에 저장된 씨앗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하는 씨앗공급롤러;와, 상기 씨앗공급롤러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고, 상기 씨앗저장통을 통해 배출되는 씨앗을 하부로 낙하되게 가이드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씨앗공급롤러는 원주면을 따라 단일 씨앗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1씨앗수용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씨앗공급롤러의 원주면에 근접시켜 제1씨앗수용홈에 수용된 씨앗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지면까지 가이드하는 "호" 형태의 탄성플레이트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의 사선 측면에는 씨앗공급롤러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제1씨앗수용홈에 저장된 씨앗만을 선별하여 탄성플레이트로 배출시키는 선별브러쉬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과 연장부의 경계면 내측에는 상기 씨앗공급롤러의 원주면 양측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씨앗공급롤러의 양측면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쌍의 러버부재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의 전방 하부 측면에는 씨앗을 낙하시킨 후 씨앗공급롤러의 원주면과 제1씨앗수용홈에 점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브러쉬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씨앗공급롤러에는 종동기어와 연결된 종동축이 삽입되고,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축설된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씨앗공급롤러는 제1씨앗수용홈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에는 함몰된 씨앗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씨앗공급롤러는 제1씨앗수용홈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세척브러쉬는 상기 씨앗저장통에 고정된 결합핀에 의해 승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은 상기 결합핀과 장홈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되, 상기 씨앗저장통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캠축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따르면, 좌식의자에 탑승한 상태로 씨앗을 파종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씨앗 파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향이 가능하여 별도의 견인 장비 없이 도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를 통해 씨앗 파종기의 진동을 억제하여 씨앗공급롤러의 씨앗수용홈에 씨앗이 안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승강되는 세척브러쉬를 통해 씨앗이 이탈된 제1씨앗수용홈이 씨앗저장통으로 재진입되면 흙에 의해 막힘 없이 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씨앗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이동바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좌/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핸들과 조향바퀴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측면프레임에 결합된 씨앗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발췌된 씨앗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배토판과 복토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배토판과 복토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씨앗파종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하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는 도 8에서 러버부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1는 도 8의 단면도,
도 12은 도 9에서 발췌된 씨앗공급롤러의 단면도,
도 13는 씨앗파종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에 이동바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좌/우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핸들과 조향바퀴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측면프레임에 결합된 씨앗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식의자에 탑승한 상태로 씨앗을 파종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씨앗 파종이 가능하고, 더불어 탑재된 배터리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마늘파종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일렬로 다수의 씨앗파종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은 자동으로 씨앗 파종과 함께 파종골과 복토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5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500)는 측면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전륜다짐롤러(300b)와, 후륜다짐롤러(300a)와, 씨앗파종유닛(400)과, 좌식의자(235)와, 조향바퀴(220) 및 구동바퀴(2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배터리하우징(110)과, 감속기(120)가 연결된 모터(M)가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하우징(110)은 내부에 충전 가능하도록 2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111)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콘트롤판넬(112)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다짐롤러(300a)는 상기 모터(M)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을 매개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 역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300a)와 밸트(B)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후륜다짐롤러(300a)는 감속기(120)와 체인(C)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로, 이러한 후륜다짐롤러(300a)는 씨앗이 파종되어 복토된 파종골의 다짐하여 씨앗의 발아 조건이 증대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는 씨앗을 파종하기 전에 지면을 평탄화시켜 파종골이 형성하기 전에 씨앗이 균형있는 깊이로 파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a)는 4륜 자동차와 같이, 동력이 모두 전달되어 지면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a)는 외주면을 매끄러운 스테인레이스강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면을 균형있게 다져 평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00)에는 전륜다짐롤러(300a)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후륜다짐롤러(300a)와 연결된 밸트(B)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레버(23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레버(230)에는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가압풀리(231)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가압풀리는 가압에 의해 상기 밸트(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식의자(235)는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의 상부면에 탑재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작업자가 좌식의자(235)에 탑승한 상태로 콘트롤판넬(112)의 조작과 함께 씨앗을 장시간에 걸쳐 파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좌식의자(235)에 탑승한 상태로 조향바퀴(220)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113)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바퀴(220)는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바퀴(210)는 일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구동바퀴(210)는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의 동력을 밸트(B)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향핸들(113)은 조향축(113a)과, 상기 조향축(113a)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13b)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바퀴(220)는 상기 피니언기어(113b)와 맞물리는 랙기어(221)가 결합된 타이로드(222)와, 상기 타이로드(222)와 조향바퀴(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너클암(2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조향핸들(113)을 돌리게 되면 조향핸들(113)에 연결된 조향축(113a)이 회전하게 되고, 그 끝에 달리 피니언기어(113b)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113b)와 맞물리는 랙기어(221)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타이로드(222)에 연결되는 너클암(223)을 통해 최종적으로 조향바퀴(220)의 방향이 전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씨앗 파종기(500)는 구동바퀴(210)과 조향바퀴(220)가 두둑한 두 땅 사이의 고랑에 진입되어 이동하며, 또한 조향이 가능하기 때문에 좌식의자(235)에 탑승한 상태로 씨앗 파종기(500)의 위치 전환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견인장비 없이 씨앗 파종기(500)의 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씨앗파종유닛(400)은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a)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씨앗을 파종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측면프레임(200)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2개의 지지축(234)을 관통 연결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60)이 더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460)의 하부에는 파종골을 형성하기 위한 배토판(470)과, 파종골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판(472)이 연설되어 독립적으로 씨앗 파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되는 구동축(233)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은 물론, 지지프레임(460)의 양측을 관통하여 횡설되는 2개의 지지축(234)을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200)에 수평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 때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체인(C)을 통해 전륜다짐롤러(300a)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233)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로, 상기 구동축(233)에는 씨앗파종유닛(400)의 갯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구동기어(233a)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상기 구동기어(233a)와 맞물리는 종동기어(424)를 구비하되, 상기 종동기어(424)는 후술되는 씨앗공급롤러(42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에 저장된 씨앗을 동시 파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씨앗파종유닛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서 발췌된 씨앗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배토판과 복토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배토판과 복토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씨앗파종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하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8에서 러버부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9에서 발췌된 씨앗공급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13는 씨앗파종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13과 같이,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1씨앗수용홈(421)에 씨앗골(422a)을 더 형성하여 씨앗의 안착을 유도하고, 또한 지면으로부터 비산된 흙에 의해 제1씨앗수용홈(421)과 씨앗골(422a)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씨앗저장통(410)과 씨앗공급롤러(420) 및 하부커버(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씨앗저장통(410)은 씨앗이 저장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덮개(411)를 갖고, 하부에는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2)를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를 교환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씨앗공급롤러(420)의 반쪽 부분만을 삽입 연결시켜 분해 조립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러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상기 연장부(412)에 형성된 연결공(412a)에 종동축(4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장부(412)에 사선방향으로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회전에 의해 씨앗저장통(410)에 저장된 씨앗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원주면을 따라 단일 씨앗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1씨앗수용홈(421)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이를 통해 씨앗을 파종골에 일정간격을 두고 파종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도 12의 (a)와 같이, 제1씨앗수용홈(421)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에는 함몰된 씨앗골(422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씨앗수용홈(421)은 씨앗골(422a)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상기 씨앗골(422a)에 쌓인 씨앗은 씨앗공급롤러(420)가 회전하면 1차적으로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씨앗이 밀려 제1씨앗수용홈(421)에 씨앗이 수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제1씨앗수용홈(421)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422b)을 더 형성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411)에는 씨앗 종류에 따른 씨앗 크기를 식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2씨앗수용홈(421)이 더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제2씨앗수용홈(421)에 맞는 씨앗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430)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고, 상기 씨앗저장통(410)을 통해 배출되는 씨앗을 하부로 낙하되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하부커버(430)는 분리시키지 않고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412)와 힌지핀(433)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430)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근접시켜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 씨앗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지면까지 가이드하는 "호" 형태의 탄성플레이트(432)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플레이트(432)는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 씨앗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하도록 일단에 절곡된 끼움부(432a)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432a)는 상기 하부커버(43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구(431)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제1씨앗수용홈(421)에 크기가 큰 씨앗이 수용될 경우 상기 씨앗의 크기에 맞게 탄성플레이트(432)가 탄력적으로 확장되어 제1씨앗수용홈(421)에서 씨앗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플레이트(432)는 상기 끼움부(432a)와의 사이에 씨앗의 진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경사면(432b)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432b)은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 씨앗이 탄성플레이트(432)와의 단차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씨앗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탄성플레이트(432)의 내부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한다.
한편 상기 씨앗저장통(410)의 사선 측면에는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제1씨앗수용홈(421)에 저장된 씨앗만을 선별하여 탄성플레이트(432)로 배출시키는 선별브러쉬(44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브러쉬(440)는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되지 않은 씨앗은 간섭에 의해 차단하고, 상기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되어 구속된 씨앗만을 탄성플레이트(43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선별브러쉬(440)는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접촉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청소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씨앗저장통(410)과 연장부(412)의 경계면 내측에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 양측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씨앗공급롤러(420)의 양측면으로 이물질(모래, 깨진 씨앗)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쌍의 러버부재(413)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씨앗공급롤러(420)의 양측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씨앗공급롤러(420)가 회전하는데 있어 이물질의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 간섭이 발생하고, 또한 이물질에 의해 씨앗공급롤러(420)의 파손은 물론, 씨앗저장통(410)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러버부재(413)는 도10과 같이, "호" 형태의 금속판(413a)을 심재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 씨앗저장통(410)과 연장부(412)의 경계면 내측을 보강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씨앗저장통(410)의 전방 하부 측면에는 씨앗을 낙하시킨 후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과 제1씨앗수용홈(421)에 점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브러쉬(4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브러쉬(450)는 배토판(470)에 의해 파종골을 형성할 때 흙이 비산되는 바, 이렇게 비산된 흙이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과 제1씨앗수용홈(421)에 점착될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세척브러쉬(450)는 상기 씨앗저장통(410)에 고정된 결합핀(452)에 의해 승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장홈(451a)이 형성되는 승강판(45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승강판(451)은 상기 결합핀(452)과 장홈(451a)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453)에 의해 탄설되되, 상기 씨앗저장통(410)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캠축(454)에 의해 회전하는 캠(455)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캠축(454)은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될 수 있고, 밸트(B) 또는 체인(C)을 통해 감속기(120) 또는 전륜다짐롤러(300a) 또는 후륜다짐롤러(300a) 중 어느 하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많은 회전수가 요구되는 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측면프레임(200)에 고정시켜 회전력을 전달받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캠축(454)이 회전하면 캠(455)과 접촉되는 승강판(451)이 스프링(453)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세척브러쉬(450)가 승강에 의해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과 제1씨앗수용홈(421)의 내부까지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씨앗이 이탈된 제1씨앗수용홈(421)이 씨앗저장통(410)으로 재진입되면 흙에 의해 막힘 없이 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씨앗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세척브러쉬(450)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세척브러쉬(450)는 서로 교번되게 승강될 수 있도록 2개의 캠축(454)을 구비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종동축(423)에는 종동기어(424)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종동기어(424)는 구동축(233)의 구동기어(23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토판(470)은 상기 지지프레임(460)에서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봉(471)이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60)에는 상기 승강봉(471)을 고정하는 고정레버(461)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토판(472)은 배토판(47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배토판(470)을 형성된 파종골을 복토함으로써, 결국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독립적으로 파종골을 형성하고, 씨앗을 파종하고, 파종된 파종골을 복토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써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500)에 교체와 증설이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배토판(470)과 복토판(47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의 전체 크기에 비해 많은 갯수의 씨앗파종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씨앗기의 작동에 관하여 도 13을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자 사용자는 콘트롤판넬(112)을 이용하여 모터(M)를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M)는 감속기(120)와 체인(C) 연결된 후륜다짐롤러(300a)를 회전시킨다.
동시에 전륜다짐롤러(300a)는 후륜다짐롤러(300a)가 회전하게 되면 밸트(B)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그러면 4륜 차량과 같이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a)에 동력이 전달되어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도 원할히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33)은 전륜다짐롤러(300a)와 체인(C)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구동축(233)에 연결된 구동기어(233a)와 맞물리는 종동기어(424)를 통해 씨앗공급롤러(4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씨앗저장통(410)에 저장된 씨앗 중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씨앗골(422a)에 쌓인 씨앗은 씨앗공급롤러(4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 씨앗은 선별브러쉬(440)를 거쳐 탄성플레이트(432)의 내부로 진입되고,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되지 않은 선별브러쉬(440)의 간섭에 탄성플레이트(432)의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432)의 내부로 진입된 씨앗은 제1씨앗수용홈(421)에서 이탈됨이 없이 지면에 근접될때 까지 가이드되어 배토판(470)에 의해 형성된 파종골로 낙하되고 씨앗이 파종된 파종골은 복토판(472)에 의해 복토된다.
여기서 씨앗이 이탈된 제1씨앗수용홈(421)은 씨앗저장통(410)으로 재진입되기 전에 승강되는 세척브러쉬(450)에 의해 지면에서 비산되어 점착된 흙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흙에 의해 막힘 없이 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씨앗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륜다짐롤러(300a)를 통해 씨앗을 파종하기 전에 지면을 평탄화시켜 파종골이 형성하기 전에 씨앗이 균형있는 깊이로 파종골의 형성을 유도하고, 후륜다짐롤러(300a)를 통해 복토된 파종골의 다짐하여 씨앗의 발아 조건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메인프레임
110: 배터리하우징 112: 콘트롤판넬
113: 조향핸들 113a: 조향축
113b: 피니언기어 120: 감속기
200: 측면프레임
210: 구동바퀴 220: 조향바퀴
221: 랙기어 222: 타이로드
223: 너클암 230: 장력조절레버
231: 가압풀리 232: 힌지축
233: 구동축 233a: 구동기어
234: 지지축 235: 좌식의자
300a: 후륜다짐롤러 300b: 전륜다짐롤러
400: 씨앗파종유닛
410: 씨앗저장통 411: 덮개
411a: 제2씨앗수용홈 412: 연장부
412a: 연결공 413: 러버부재
413a: 금속판 420: 씨앗공급롤러
421: 제1씨앗수용홈 422a: 씨앗골
422b: 테이퍼면 423: 종동축
424: 종동기어 430: 하부커버
431: 삽입구 432: 탄성플레이트
432a: 끼움부 432b: 경사면
433: 힌지핀 440: 선별브러쉬
450: 세척브러쉬 451: 승강판
451a: 장홈 452: 결합핀
453: 스프링 454: 캠축
455: 캠 460: 지지프레임
461: 고정레버 470: 배토판
471: 승강봉 472: 복토판
M: 모터 C: 체인 B: 밸트
500: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Claims (7)

  1. 배터리하우징(110)과, 감속기(120)가 연결된 모터(M)가 탑재되고, 상기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300a)가 결합된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300a)와 밸트(B)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다짐롤러(300a);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a)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씨앗을 파종하는 씨앗파종유닛(400);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식의자(235);
    타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고, 상기 후륜다짐롤러(300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향바퀴(221);
    일측으로 연장된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구동바퀴(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조향바퀴(220)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113)이 더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모터(M)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판넬(112)이 장착되고,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측면프레임(200)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2개의 지지축(234)을 관통 연결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60)이 더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60)의 하부에는 파종골을 형성하기 위한 배토판(470)과, 파종골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판(472)이 연설되어 독립적으로 씨앗 파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113)은 조향축(113a)과, 상기 조향축(113a)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1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바퀴(220)는 상기 피니언기어(113b)와 맞물리는 랙기어(221)가 결합된 타이로드(222)와, 상기 타이로드(222)와 조향바퀴(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너클암(2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씨앗파종유닛(400)은
    상부에는 덮개(411)를 갖고, 하부에는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2)를 갖는 씨앗저장통(410);
    상기 연장부(412)에 형성된 연결공(412a)에 종동축(4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장부(412)에 사선방향으로 노출되고, 회전에 의해 씨앗저장통(410)에 저장된 씨앗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하는 씨앗공급롤러(420);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고, 상기 씨앗저장통(410)을 통해 배출되는 씨앗을 하부로 낙하되게 가이드하는 하부커버(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원주면을 따라 단일 씨앗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1씨앗수용홈(421)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430)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근접시켜 제1씨앗수용홈(421)에 수용된 씨앗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지면까지 가이드하는 "호" 형태의 탄성플레이트(432)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410)의 사선 측면에는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제1씨앗수용홈(421)에 저장된 씨앗만을 선별하여 탄성플레이트(432)로 배출시키는 선별브러쉬(440)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410)과 연장부(412)의 경계면 내측에는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 양측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씨앗공급롤러(420)의 양측면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쌍의 러버부재(413)가 더 결합되고,
    상기 씨앗저장통(410)의 전방 하부 측면에는 씨앗을 낙하시킨 후 씨앗공급롤러(420)의 원주면과 제1씨앗수용홈(421)에 점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브러쉬(4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에는 종동기어(424)와 연결된 종동축(423)이 삽입되고, 상기 종동기어(424)는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의 동력을 체인(C)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233)이 축설된 구동기어(233a)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제1씨앗수용홈(421)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에는 함몰된 씨앗골(422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공급롤러(420)는 제1씨앗수용홈(421)으로 씨앗을 유도할 수 있도록 원주면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422b)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브러쉬(450)는 상기 씨앗저장통(410)에 고정된 결합핀(452)에 의해 승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장홈(451a)이 형성되는 승강판(45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451)은 상기 결합핀(452)과 장홈(451a)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453)에 의해 탄설되되, 상기 씨앗저장통(410)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캠축(454)에 의해 회전하는 캠(455)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1020200184767A 2020-12-28 2020-12-28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10265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67A KR102657992B1 (ko) 2020-12-28 2020-12-28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67A KR102657992B1 (ko) 2020-12-28 2020-12-28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37A true KR20220093737A (ko) 2022-07-05
KR102657992B1 KR102657992B1 (ko) 2024-04-15

Family

ID=8240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67A KR102657992B1 (ko) 2020-12-28 2020-12-28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9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96Y1 (ko) *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JP2013009652A (ja) * 2011-06-30 2013-01-17 Iseki & Co Ltd 播種機の繰出装置
KR200466348Y1 (ko) 2010-10-04 2013-04-11 주식회사경일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KR20170099262A (ko) * 2016-02-23 2017-08-31 한재헌 조향핸들형 파종장치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96Y1 (ko) *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KR200466348Y1 (ko) 2010-10-04 2013-04-11 주식회사경일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JP2013009652A (ja) * 2011-06-30 2013-01-17 Iseki & Co Ltd 播種機の繰出装置
KR20170099262A (ko) * 2016-02-23 2017-08-31 한재헌 조향핸들형 파종장치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992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9296A1 (en) Sowing Device For Lawns
KR20220093737A (ko)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JP5513141B2 (ja) 粉粒体供給装置
KR20220086149A (ko)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102673982B1 (ko) 재배베드용 씨앗 파종장치
KR20220113622A (ko) 재배베드용 씨앗 파종장치
KR20220086139A (ko) 씨앗 파종기용 씨앗 파종 조립체
JP6653523B2 (ja) 農作業機
JP4662836B2 (ja) 播種装置
KR200432384Y1 (ko) 수레형 파종기
JP5470112B2 (ja) 播種機
KR20170003409U (ko) 원판형 쟁기가 부착된 파종장치
KR102522409B1 (ko)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JP3867422B2 (ja) 苗移植機
JP5667583B2 (ja) 播種装置
KR101158634B1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CN212876647U (zh) 一种农业辅助播种装置
CN215301391U (zh) 一种农业种植用多功能播种机
CN219046699U (zh) 一种带有耐磨插秧针的自走式手扶插秧机
JPH0142971Y2 (ko)
JP2007110949A (ja) 灌水装置および灌水方法
JP5094699B2 (ja) 育苗用播種装置
JP2583601B2 (ja) 育苗用播種機
KR102111289B1 (ko) 마늘 배종장치
JPH01141511A (ja) 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