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289B1 - 마늘 배종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289B1
KR102111289B1 KR1020180044521A KR20180044521A KR102111289B1 KR 102111289 B1 KR102111289 B1 KR 102111289B1 KR 1020180044521 A KR1020180044521 A KR 1020180044521A KR 20180044521 A KR20180044521 A KR 20180044521A KR 102111289 B1 KR102111289 B1 KR 10211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up
garlic
disc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38A (ko
Inventor
이충호
김태한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2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6Seeders with other distributing devices, e.g. brushes, discs, screws or sl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에 구비된 마늘 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 파종기에서 마늘을 배종하는 배종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쉽게 한 마늘 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된 배종 하우징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종 홈이 형성된 배종 원판과; 마늘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배종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종컵과; 배종 원판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종컵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배종컵 타이밍 바와; 배종 원판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를 포함하고,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에 배종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마늘 배종장치{Galic Me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에 구비된 마늘 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 파종 작업을 기계화한 마늘 파종기에서 마늘을 배종하는 배종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쉽게 한 마늘 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할 때, 종자가 지면에 일정 깊이로 묻힐 수 있도록 농기구를 이용하여 파종홈을 형성하고, 종자를 투입한 후 복토한다.
이러한 파종 작업은 파종기에 의해 자동화된다. 즉, 파종기는 종자를 직접 파종하는 파종장치와, 파종장치에 종자를 공급하는 배종장치를 구비하고, 작업자는 이와 같은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 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파종기는 파종하는 작물의 종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늘파종기를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늘파종기는 트랙터나 이앙기 등과 같은 주행성이 있는 농기계에 장착되어 주행되고, 이의 주행력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마늘 종자를 낱개씩 분배하여 파종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마늘파종기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1941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마늘파종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마늘파종기는, 프레임은 좌,우측면패널과 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결합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마늘파종기의 각 구성들이 그 내,외부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어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에 조립되는 견인부와, 견인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연결축(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플라인축과, 구름바퀴에 연결되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종동축이 형성된다.
제 1 종동축과 연결된 구름바퀴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의 회전력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에 전달되어, 구름바퀴의 회전과 더불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면서 마늘을 파종하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지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구름바퀴의 동력에 의해 마늘이 공급되고 공급된 마늘을 파종하는 방식이므로, 일정한 파종을 위해서는 양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토양의 높낮이가 불규칙한 굴곡지에서는 구름바퀴의 높이를 조정하여 양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춘 상태로 구름바퀴가 주행해야만 파종수단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양의 상태에 따라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춰야 일정한 파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마늘 파종기에 구비되는 마늘 배종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2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드럼버킷식 마늘 배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2의 드럼버킷식 마늘 배종장치는,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에 부착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을 안내하는 내측가이드 및 외측가이드와 마늘을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배종관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아 관리기 또는 경운기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소규모의 농가에서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마늘 파종에 대한 작업을 기계화하여 마늘의 안정적인 생산과 경쟁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마늘파종기와 드럼버킷식 마늘 배종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1941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늘의 배종 및 파종을 자동화한 마늘 파종기에 구비되며, 배종컵을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배종컵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마늘 배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는, 상측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된 배종 하우징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종 홈이 형성된 배종 원판과; 마늘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배종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종컵과; 배종 원판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종컵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배종컵 타이밍 바와; 배종 원판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를 포함하고,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에 배종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배종 원판에 설치되어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외측 홀더 및 배종컵 타이밍 바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내측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배종컵 타이밍 바의 일부가 삽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종컵 타이밍 바가 전후 이동되도록 배종 원판에 일정 간격으로 원주 방향의 장공이 형성된다.
또, 배종컵 타이밍 바는 배종컵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부와, 길이 방향의 홈이 형성된 바 본체와, 배종 원판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바 본체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배종컵은 마늘을 고정하는 원판 형상의 덮개와, 배종 원판의 배종 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선단부에 덮개가 연결되는 본체와, 배종컵 타이밍 바에 결합되도록 배종컵 타이밍 바에 구비된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는 배종 원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배종 홈에 배종컵이 배치됨에 따라 마늘을 파종장치에 하나씩 공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종컵이 배종컵 타이밍 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원터치 방식으로 배종컵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 홀더와 내측 홀더에 의해 배종컵 타이밍 바가 지지됨에 따라 배종컵 타이밍 바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배종 원판에 원주 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배종컵 타이밍 바의 일부가 수용되므로 배종컵 타이밍 바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은 물론 배종 원판의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부에 배종컵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배종컵의 후단에 끼움부가 형성됨에 따라 배종컵이 배종컵 타이밍 바에 쉽게 착탈될 수 있고, 배종컵 타이밍 바에 결합된 배종컵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종컵 타이밍 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종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늘 배종장치의 실시예로서 마늘 종자를 배종하는 마늘배종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모든 파종기의 배종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배종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전면 개구(13)와 하부 개구(12)가 형성된 배종 하우징(10)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종 홈(22)이 형성되고 일부는 배종 하우징(10)의 전면 개구(13)에 삽입되어 마늘이 수용되도록 하고 일부는 하부 개구(12)의 하부로 노출되어 마늘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종 원판(20)과; 마늘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배종 홈(21)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종컵(50)과; 배종 원판(2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종컵(50)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배종컵 타이밍 바(40)와; 배종 원판(20)의 회전축(25)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26)과; 배종 원판(20)에 설치되어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외측 홀더(46) 및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내측 홀더(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선단에 배종컵(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배종 원판(20)이 회전될 때 배종 타이밍 바(40)에 의해 배종컵(50)이 개폐되면서 마늘이 배종컵(50)과 배종 홈(51) 사이 또는 배종컵(50)과 배종 원판(20)의 측면 사이에 수용된 후 파종장치로 배출되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종컵 타이밍 바(40)에 배종컵(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배종컵(50)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일부가 삽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종컵 타이밍 바(40)가 전후 이동되도록 배종 원판(20)에 일정 간격으로 원주 방향의 장공(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종 원판(20)이 회전될 때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후단부가 장공(22)을 따라 움직임과 동시에 전후 이동되어 배종컵(50)을 개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배종컵 타이밍 바(40)는 도 5와 같이, 배종컵(50)이 결합되는 결합홈(42)이 구비된 결합부(41)와, 길이 방향의 홈(44)이 형성된 바 본체(43)와, 배종 원판(2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바 본체(43)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구(4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결합부(41)에 배종컵(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배종 원판(20)의 측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종컵(50)은 마늘을 고정하는 원판 형상의 덮개(51)와, 배종 원판(20)의 배종 홈(2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선단부에 덮개(51)가 연결되는 본체(52)와, 배종컵 타이밍 바(40)에 결합되도록 배종컵 타이밍 바(40)에 구비된 결합부(4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52)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부(5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종컵(50)은 배종컵 타이밍 바(4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배종 원판(20)의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배종 원판(20)의 측면과의 덮개(51) 사이 또는 배종 홈(21)과 본체(52) 사이에 수용된 마늘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종 하우징(10)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30)에 덮개(51)가 접촉된 후 덮개(51)가 개방됨으로써 마늘이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늘 배종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종 하우징(10)의 투입구(11)를 통해 다수의 마늘이 투입된 상태에서 배종 원판(20)이 회전되면, 배종 하우징(10)의 전면 개구(13)로 삽입된 배종 원판(20)의 배종 홈(21)에 마늘이 삽입되거나 배종 원판(20)의 측면에 마늘이 배치된다. 이때, 배종컵(50)은 배종컵 타이밍 바(40)에 의해 배종 원판(20)의 측면으로부터 덮개(51)가 이격되고 본체(52)가 배종 홈(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마늘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어, 배종 원판(20)이 계속 회전되면 배종컵 타이밍 바(40)가 후방측으로 밀려나면서 배종컵(50)의 커버(51)가 배종 원판(20)의 측면측으로 이동하여 마늘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종컵(50)의 본체(52)가 배종 홈(21)의 마늘을 눌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종 원판(20)이 회전하는 동안 마늘이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후, 배종컵(50)이 배종 하우징(10)의 앞 부분에 위치한 가이드 롤러(30)에 접촉되는 순간 배종컵(50)의 커버(51)가 마늘로부터 이탈되어 마늘이 배종 하우징(10)의 하부 개구(12)를 통해 파종장치로 공급된다. 그리고, 커버(51)가 들릴 때 배종컵(50)의 본체(52)도 배종 홈(21)의 마늘로부터 이탈되어 배종 홈(21)이 배종 하우징(10)의 하부 개구(12)에 위치하는 순간 마늘이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된 마늘은 하부 개구(12)를 통해 파종장치로 공급된다.
이상에서는 마늘을 배종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마늘 이외에 쪽파 등 일정 크기를 갖는 종자를 배종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종 하우징 11 : 투입구
12 : 하부 개구 13 : 전면 개구
20 : 배종 원판 21 : 배종 홈
22 : 장공 25 : 회전축
26 : 베어링 30 : 가이드 롤러
40 : 배종컵 타이밍 바 41 : 결합부
42 : 결합홈 43 : 바 본체
44 : 홈 45 : 간격 유지구
46 : 외측 홀더 47 : 내측 홀더
50 : 배종컵 51 : 덮개
52 : 본체 53 : 끼움부

Claims (5)

  1. 상측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된 배종 하우징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종 홈이 형성된 배종 원판과;
    마늘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배종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종컵과;
    배종 원판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종컵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배종컵 타이밍 바와;
    배종 원판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를 포함하고,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에 배종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종 원판에 설치되어 배종컵 타이밍 바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외측 홀더 및 배종컵 타이밍 바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내측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배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종컵 타이밍 바의 일부가 삽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종컵 타이밍 바가 전후 이동되도록 배종 원판에 일정 간격으로 원주 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배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종컵 타이밍 바는 배종컵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부와, 길이 방향의 홈이 형성된 바 본체와, 배종 원판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바 본체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배종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종컵은 마늘을 고정하는 원판 형상의 덮개와, 배종 원판의 배종 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선단부에 덮개가 연결되는 본체와, 배종컵 타이밍 바에 결합되도록 배종컵 타이밍 바에 구비된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배종장치.
KR1020180044521A 2018-04-17 2018-04-17 마늘 배종장치 KR10211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1A KR102111289B1 (ko) 2018-04-17 2018-04-17 마늘 배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1A KR102111289B1 (ko) 2018-04-17 2018-04-17 마늘 배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38A KR20190121038A (ko) 2019-10-25
KR102111289B1 true KR102111289B1 (ko) 2020-05-15

Family

ID=6842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21A KR102111289B1 (ko) 2018-04-17 2018-04-17 마늘 배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2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585Y1 (ko) 2006-07-11 2006-10-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주아의 배종장치
KR101082462B1 (ko) * 2008-11-10 2011-11-11 권삼석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908A (ja) * 1985-08-30 1987-03-06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機の繰出装置
KR200297227Y1 (ko) 2002-08-26 2002-12-1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드럼버킷식 마늘 배종장치
KR101419417B1 (ko) 2012-07-27 2014-07-14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마늘파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585Y1 (ko) 2006-07-11 2006-10-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주아의 배종장치
KR101082462B1 (ko) * 2008-11-10 2011-11-11 권삼석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38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KR101746902B1 (ko) 점파식 파종기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어셈블리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JP2018143230A (ja) ビニール一貫播種機
KR102228840B1 (ko) 파종기
KR100913067B1 (ko) 최소경운 직파기
KR20080091566A (ko) 모종 이식기
KR101727638B1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KR20090060708A (ko) 버킷 조절형 마늘파종기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KR102111289B1 (ko) 마늘 배종장치
CN210381864U (zh) 一种农田播种机用出料机构
KR100991512B1 (ko) 농기계용 삽식기
CN105850302A (zh) 旱地播种机
KR20090022214A (ko) 고구마 순 파종장치
CN203851454U (zh) 多功能播种施肥覆膜机
KR101846928B1 (ko) 마늘 파종기
KR20010020775A (ko) 모내기기계 장착식 직파장치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CN104756650B (zh) 背负式免耕宽幅施肥播种机
KR102092808B1 (ko) 직파기
CN208175283U (zh) 一种一垄四行多功能膜上花生播种机
US3066622A (en) Combined sowing machine for individual grain seed and thinning-out machine
CN204762049U (zh) 背负式免耕宽幅施肥播种机
JP4568548B2 (ja) 種籾直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