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48Y1 -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48Y1
KR200466348Y1 KR2020100010214U KR20100010214U KR200466348Y1 KR 200466348 Y1 KR200466348 Y1 KR 200466348Y1 KR 2020100010214 U KR2020100010214 U KR 2020100010214U KR 20100010214 U KR20100010214 U KR 20100010214U KR 200466348 Y1 KR200466348 Y1 KR 20046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upling
seed
drive shaft
se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65U (ko
Inventor
김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일
Priority to KR202010001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4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앗통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구동륜(10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3)에 설치되는 구동축(119)에 설치되는 제1결합구(1); 일단은 상기 씨앗통(109)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휠(125)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축(119)의 회전력을 상기 분배휠(125)에 전달하는 제2결합구(3); 상기 씨앗통(109)의 배면에 돌출되는 고정구(127)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씨앗통(109)을 지지하는 동시에 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클립부재(5)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결합구(1,3)는 상기 구동축(119)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결합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Seed Case And Sowing Machine}
본 고안은 농업용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씨앗통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종기는 농업용 기계의 한 종류로서 파종시기에 각종의 씨앗을 밭에 파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파종기는 특히 개인이 손수 작동시킬 수도 있고, 여러 대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대량으로 파종하는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는 롤식 파종기이다.
종래 파종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파종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연결대(101)는 트랙터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며, 수동식 파종기일 경우에는 핸들이 연결되기도 한다. 연결대(101)의 하단에는 사다리 형태의 프레임(103)이 연결된다. 파종기의 선단에는 구동륜(105)이 설치되고 그 후방 하부에는 쟁기부(107)가 설치된다. 구동륜(105)에는 미도시된 배터리 등으로부터 동력이 가해질 수도 있다.
구동륜(105)의 후방 상부에는 씨앗통(109)을 포함하는 조출부(111)가 설치된다. 쟁기부(107)는 땅을 파헤치기 위한 쟁기날(107a)과 파종후 복토하기 위한 누름판(107b)을 포함한다.
조출부(111)는 파종기가 전진할 경우에만 씨앗통(109)에서 씨앗이 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씨앗통(109)은 일정량의 씨앗을 일정 간격으로 하방향으로 배출하는데, 쟁기날(107a)과 누름판(107b) 사이에 씨앗을 떨어뜨리게끔 되어 있다. 씨앗통(109)의 구조는 씨앗의 종류마다 다르게 되어 있다. 씨앗의 크기 내지 발육 특성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프레임(103) 후방에는 파종된 땅을 다지기 위한 다짐륜(113)이 설치된다.
씨앗통(109)에 문제가 생기거나 다른 종류의 씨앗을 파종하기 위해서는 씨앗통(109)을 파종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해야 하며, 이러한 착탈작업은 아주 흔하게 있는 일이다.
도 2는 종래 파종기에서의 씨앗통 착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프레임(103)은 평행하게 설치된 제1,2빔(115,117)을 포함하며 씨앗통(109)은 제1,2빔(115,117) 사이에 설치된다. 제1빔(115)의 내측벽으로부터는 구동륜(105,도 참조)과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구동축(119)이 프레임(103)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씨앗통(109)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수평방향(A1)으로 씨앗통(109)에 힘을 가한 후, 2차적으로 수직방향(A2)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씨앗통(109)은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121)으로 단단히 고정시키고 있어야 하는데, 씨앗통(109)을 수평방향(A1)으로 힘을 가하여 클립(121)으로부터 빼내기가 쉽지 않았다. 클립(121)이 빡빡하여 큰 힘으로 씨앗통(109)을 잡아 빼야 하는 경우, 씨앗통(109)이 빠지면서 제2빔(117)에 부딪혀 깨지는 때도 있고 손가락이 씨앗통(109)과 제2빔(117) 사이에 끼어 다치는 때도 있게 된다. 이는 제1,2빔(115,117) 사이의 좁은 공간이라는 한정된 구간에서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설명 전체를 통해 언급되고 있는 씨앗통(109)과 조출부(111)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씨앗통(109)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호퍼 형태의 씨앗통 본체(123)와; 구동축에 결합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씨앗통 본체(123)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휠(125)을 포함한다. 분배휠(125)은 씨앗을 담기 위한 씨앗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동축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된다. 씨앗통 본체(123)는 통상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다.
조출부(111)는 분배휠(1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씨앗통 본체(123)를 프레임(103)에 고정시키기 위한 씨앗통 고정수단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씨앗통 고정수단의 일부로서, 씨앗통의 배면에는 6면체 형태의 고정구(1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고정구(127)는 씨앗통 고정수단의 주요 구성요소인 클립(121)에 끼워져 결합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씨앗통(109)을 파종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은, 트랙터 또는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하단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는 구동륜; 상기 프레임의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쟁기부; 상기 쟁기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에 결합하여 작동하면서 씨앗을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씩 하방으로 배출하며,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씨앗통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씨앗통; 파종된 땅을 다지기 위해 상기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다짐륜을 포함하는 롤식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결합구; 일단은 상기 씨앗통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휠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분배휠에 전달하는 제2결합구; 상기 씨앗통의 배면에 돌출되는 고정구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씨앗통을 지지하는 동시에 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결합구는 상기 구동축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결합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에 의해 달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구동축 외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결합구와의 결합면에 상기 구동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구의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슬라이드되며 끼워질 수 있는 1개 이상의 결합홈이 패여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씨앗통(109)을 수직방향으로 끼우거나 빼냄으로써 프레임(103)에 착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씨앗통(109)을 파종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요소에 부딪힐 염려가 없게 되고, 씨앗통(109)을 한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누르기만 하면 되어 그의 착탈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파종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파종기에서의 씨앗통 착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롤식 파종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2결합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을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롤식 파종기는, 트랙터 또는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101); 상기 연결대(101)의 하단에 연결되는 프레임(103); 상기 프레임(103)의 선단에 설치되는 구동륜(105); 상기 프레임(103)의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쟁기부(107); 상기 쟁기부(107)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륜(10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119)에 결합하여 작동하면서 씨앗을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씩 하방으로 배출하며, 상기 프레임(103)에 마련되는 씨앗통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씨앗통(109); 파종된 땅을 다지기 위해 상기 프레임(103) 후방에 설치되는 다짐륜(113)을 포함한다. 연결대(101)의 형상은 파종기를 트랙터에 연결할지 인력으로 구동할지 여부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씨앗통과 파종기의 착탈구조 내지 그 방식에 있다.
제1결합구(1)가 구동축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제2결합구(3)는 일단은 상기 씨앗통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휠(125)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축(119)의 회전력을 분배휠(125)에 전달하게 된다.
클립부재(5)는 씨앗통(109)의 배면에 돌출되는 고정구(127)와 수직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클립부재(5)는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판재로서 개구부가 상방향을 향해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2결합구(1,3)는 구동축(119)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결합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제2결합구(3)를 가진 씨앗통(109)을 구동축(119)에 수직인 방향으로 끼워 제1결합구(1)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2결합구(1,3)는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19)은 제1,2결합구(1,3)를 통해 분배휠(125)을 정숙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제1,2결합구의 예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결합구(1)는 구동축(119) 외부에 끼워질 수 있는 원통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제1결합구(1)의 결합면(1a, 도 6 참조)에는 후술되는 결합홈(9)에 슬라이드되며 끼워질 수 있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결합돌기(7)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구(1)는 압입, 나사결합, 키(key)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동축(119)에 고정 설치된다.
제2결합구(3)는 씨앗통의 분배휠(125)의 회전중심이 되는 결합홀(15)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2결합구(3)는 직경이 큰 머리(17)와 봉형상의 결합축(19)으로 구성되며 결합축(19)의 끝부분에는 핀홀(21)이 뚫려있다. 이 결합축(19)은 결합홀(15)에 끼워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핀홀(21)에는 통상적인 분할핀(23)이 끼워짐으로써 제2결합구(3)를 씨앗통(109)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홀(17)에는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니들베어링이 설치된다(이는 공지사항이다). 따라서 구동축(119)의 특정방향으로의 회전만이 분배휠(125)에 전달된다.
제2결합구(3)의 결합면(3a, 도 6 참조)에는 구동축(119)에 직각인 방향으로 1개 이상의 결합홈(9)이 십(十)자 형태로 패여 있다. 결합홈(9)은 제1,2결합구(1,3)의 회전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결합면(3a)의 중심을 통과하고 있다. 결합홈(9)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십(十)자 형태이지만, 도 4와 같이 일(一)자 형태로 패여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Figure 112010063980966-utm00001
"과 같은 성상(星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축(119)에 결합된 제1결합구(1)는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제1결합구(1)의 결합돌기(7)를 수직으로 맞춰놓은 상태에서, 역시 제2결합구(3)의 결합홈(9, 또는 결합홈중 하나)을 수직으로 맞춘 상태에서 씨앗통(109)을 위에서 아래로 끼우게 되면 제1,2결합구(1,3)가 서로 치합하게 되고, 씨앗통 배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구(127)는 클립부재(5)를 탄성적으로 확개시키면서 끼워진다. 클립부재(5)는 고정구(127)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씨앗통(109)의 무게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씨앗통(109)을 그대로 위에서 잡아 빼면 결합홈(9)과 결합돌기(7)가 수직으로 맞춰지도록 구동축(119) 또는 분배휠(125)이 회전하면서 씨앗통(109)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구(127) 또한 클립부재(5)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한편, 씨앗통의 고정구(127)에는 세로방향으로 끼움홀(11)이 마련되고, 클립부재(5)의 중심에는 끼움홀(11)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봉(13)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위에서 결합돌기(7)와 결합홈(9)은 제1결합구(1)에 결합홈(9)이, 제2결합구(3)에 결합돌기(7)가 형성되는 것과 같이, 그 설치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돌기(7)와 결합홈(9)의 형상 및 제1,2결합구(1,3)의 구체적 형상은 당업자의 단순한 설계변경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 제1 결합구 3 ; 제2 결합구
5 ; 클립부재 7 ; 결합돌기
9 ; 결합홈 11 ; 끼움홀
13 ; 고정봉 15 ; 결합홀
23 ; 분할핀 101 ; 연결대
103 ; 프레임 105 ; 구동륜
107 ; 쟁기부 109 ; 씨앗통
113 ; 다짐륜 125 ; 분배휠

Claims (2)

  1. 삭제
  2. 트랙터 또는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101); 상기 연결대(101)의 하단에 연결되는 프레임(103); 상기 프레임(103)의 선단에 설치되는 구동륜(105); 상기 프레임(103)의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쟁기부(107); 상기 구동륜(10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3)에 설치되는 구동축(119); 상기 쟁기부(107)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축(119)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분배휠(125)에 의해 씨앗을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씩 하방으로 배출하며, 상기 프레임(103)에 마련되는 씨앗통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씨앗통(109); 파종된 땅을 다지기 위해 상기 프레임(103) 후방에 설치되는 다짐륜(113)을 포함하는 롤식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9)에 설치되는 제1결합구(1); 일단은 상기 씨앗통(109)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휠(125)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축(119)의 회전력을 상기 분배휠(125)에 전달하는 제2결합구(3); 상기 씨앗통(109)의 배면에 돌출되는 고정구(127)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씨앗통(109)을 지지하는 동시에 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개구부가 상방향을 향해 고정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판재 형태의 클립부재(5)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결합구(1,3)는 상기 구동축(119)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결합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1결합구(1)는 상기 구동축(119) 외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결합구(3)와의 결합면(1a)에 상기 구동축(119)에 직각인 방향으로 결합돌기(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구(3)의 결합면(3a)에는 상기 결합돌기(7)가 슬라이드되며 끼워질 수 있는 1개 이상의 결합홈(9)이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KR2020100010214U 2010-10-04 2010-10-04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KR200466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14U KR200466348Y1 (ko) 2010-10-04 2010-10-04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14U KR200466348Y1 (ko) 2010-10-04 2010-10-04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65U KR20120004165U (ko) 2012-06-12
KR200466348Y1 true KR200466348Y1 (ko) 2013-04-11

Family

ID=466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14U KR200466348Y1 (ko) 2010-10-04 2010-10-04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49A (ko)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086139A (ko)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씨앗 파종기용 씨앗 파종 조립체
KR20220093737A (ko) 2020-12-28 2022-07-05 한재헌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113622A (ko) 2021-02-06 2022-08-16 한재헌 재배베드용 씨앗 파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93B1 (ko) 2015-05-11 2017-04-05 정태원 파종기용 씨앗공급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17Y1 (ko) * 2001-05-26 2001-10-15 한재헌 씨앗통이 착탈가능한 구조를 갖는 동력 파종기
KR100606143B1 (ko) 2006-01-19 2006-08-01 주식회사 장 자동화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JP2006246703A (ja) * 2005-03-08 2006-09-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KR100752725B1 (ko) 2006-02-03 2007-09-03 주식회사 장 자동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17Y1 (ko) * 2001-05-26 2001-10-15 한재헌 씨앗통이 착탈가능한 구조를 갖는 동력 파종기
JP2006246703A (ja) * 2005-03-08 2006-09-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KR100606143B1 (ko) 2006-01-19 2006-08-01 주식회사 장 자동화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KR100752725B1 (ko) 2006-02-03 2007-09-03 주식회사 장 자동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49A (ko)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086139A (ko) 2020-12-16 2022-06-23 한재헌 씨앗 파종기용 씨앗 파종 조립체
KR20220093737A (ko) 2020-12-28 2022-07-05 한재헌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KR20220113622A (ko) 2021-02-06 2022-08-16 한재헌 재배베드용 씨앗 파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65U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48Y1 (ko)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US20110061882A1 (en) Planting tool
KR101881004B1 (ko) 수동형 파종장치
CN105233958B (zh) 一种碎土机
CN214155363U (zh) 一种油菜种植用的施肥装置
CN112868326B (zh) 一种农业用颗粒种子自动化均匀播种设备
CN103252270A (zh) 移动式育秧筛土机
CN202603164U (zh) 手扶式旋耕、施肥、播种机
CN103270822B (zh) 点种器及其松土装置
CN102640589A (zh) 手扶式旋耕、施肥、播种机
CN203120430U (zh) 小型播种机
KR102403968B1 (ko)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CN201199788Y (zh) 播种机上用的花生玉米播种器
CN110972632B (zh) 一种温室大棚用播种设备
CN2912220Y (zh) 农用精密播种机
CN114931010A (zh) 工业大麻播种和施肥一体的播种器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CN114868476A (zh) 一种便于细化碎土的自清洁型农业深耕机
JP3117330U (ja) 播種機
KR101305017B1 (ko) 직파기의 흙 비산장치
CN207219365U (zh) 一种牧草种植打孔播种装置
CN217241310U (zh) 一种便于上料的微耕机
CN206118380U (zh) 小型电磁振动式小麦播种机
CN220402333U (zh) 一种农业种植播种机
CN218526696U (zh) 一种具备辅助控制种植深度功能的玉米种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