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27B1 -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 Google Patents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27B1
KR101358327B1 KR1020110069214A KR20110069214A KR101358327B1 KR 101358327 B1 KR101358327 B1 KR 101358327B1 KR 1020110069214 A KR1020110069214 A KR 1020110069214A KR 20110069214 A KR20110069214 A KR 20110069214A KR 101358327 B1 KR101358327 B1 KR 10135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al
fertilizer
discharge
hoppe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706A (ko
Inventor
이효동
Original Assignee
이효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동 filed Critical 이효동
Priority to KR102011006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비료 살포 장치는 관리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중앙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에 끝단에 직교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부착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세 개의 다각봉과, 상기 세 개의 다각봉의 양측단을 따라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간격조절부와; 각각의 상기 제1 간격조절부의 선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봉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 간격조절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배출관과, 상기 제2 간격조절부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와 연통되며 비료가 저장되는 저장통을 가지는 국소배출부와; 상기 저장통의 하단과 상기 호퍼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FERTILIZER SPREADING APPARATUS FOR AN AGRICULTURAL MANAGING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농 분야에서 농지의 지력 향상이나 결핍 성분의 보충을 위해 비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들 비료의 효율적인 살포를 위하여 트랙터 등의 동력을 이용한 장치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 등 작물 성장 및 결실에 필수적인 성분을 화학적으로 조성하거나, 또는 퇴비, 골분, 계분, 분변, 어분 등 천연적으로 얻는다.
화학비료는 요소나 석회질소, 과인산석회나 소성인산비료, 염화칼륨이나 황산칼륨 등과 같이 작물의 생장 결실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성분 위주로 조성되거나 이들을 혼합한 복합비료 형태로 조성되기 때문에 작물의 종류나 발육상태를 고려하여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천연비료는 퇴비, 골분, 계분, 분변, 어분 등과 같이 질소, 인산, 칼륨 등을 고루 포함하는 종합 비료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화학비료만 사용하면 특정 성분이 결핍될 우려가 있어 천연비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영농 환경에서 이를 시행하고 있다.
기계화에 의한 시비 특성을 고려할 때, 통상 화학비료는 알갱이 형태의 유동성이 좋은 입상비료로 제조된다. 입상의 비료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살포되거나 비료 살포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살포된다.
이와 같이 입상 비료의 자동 살포를 위한 종래의 비료 살포 장치는 운반차와, 상기 운반차에 탑재되어 비료를 적재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형성하여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살포조절장치와, 상기 살포조절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비료를 살포하는 살포팬 및 상기 살포팬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비료 살포 장치는 관리기나, 경운기, 트랙터 등에 장착한 상태로 살포팬을 회전시켜 비료를 살포하고자 하는 농지에 확산 살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체 농지에 고르게 살포하는 방식으로 비료의 살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비료 살포 장치는 주로 농지 전체에 고르게 살포하는 확산 살포 방식으로 비료를 살포하게 됨으로써,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작물에 공급하기 위한 줄뿌림과 같은 비료 살포에 적절히 사용할 수 없고, 이와 같은 줄뿌림은 주로 인력에 의해 이루어져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줄뿌림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비료 살포 장치나 기구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시비를 하는 농지의 이랑과 이랑이나 골과 골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에 따라 줄뿌림 작업 시에 사용상 및 작동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줄뿌림용 비료 살포 기구는 비료의 자중에 의해 비료가 낙하하면서 줄뿌림되는 방식이므로, 비료 살포 기구의 이동 시간에 따라 낙하되는 비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7052호 “이중 배출구를 가지는 더블 비료살포기”(김완수) 2011. 03. 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바퀴의 수평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국소배출부의 수평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저장통에서 비료의 배출량 조절이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소적으로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재차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는, 관리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중앙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에 끝단에 직교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부착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세 개의 다각봉과, 상기 세 개의 다각봉의 양측단을 따라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간격조절부와; 각각의 상기 제1 간격조절부의 선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봉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를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간격조절부와; 두 개의 상기 다각봉의 사이에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배출관과, 상기 제2 간격조절부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와 연통되며 비료가 저장되는 저장통을 가지고, 비료를 국소적으로 두 곳에 배출시키는 국소배출부와; 상기 저장통의 하단과 상기 호퍼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의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의 내부로 비료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의 상기 제1 간격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수직봉이 선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다각관과, 상기 제1 다각관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선공과, 상기 제1 나선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다각관을 상기 다각봉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와, 상기 제1 고정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나사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의 상기 제2 간격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저장통이 내측에 부착되는 두 쌍의 제2 다각관과, 상기 제2 다각관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선공과, 상기 제2 나선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다각관을 상기 다각봉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와, 상기 제2 고정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나사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의 상기 배출조절부는, 상기 저장통의 연통된 하단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일측 힌지에 일단이 장착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통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로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와, 상기 작동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는,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재차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의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미세하게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걸리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볼트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배출관의 외면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너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농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살포할 수 있어 줄뿌림을 위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최소화되며,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어 사용 및 작동 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바퀴의 수평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본체부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국소배출부의 수평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저장통에서 비료의 배출량 조절이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져 배출조절부의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작동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적으로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재차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비료의 배출량의 조절이 보다 원활하면서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배출조절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는 관리기(M)의 전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상기 장착부(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제1 간격조절부(30)와,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에 설치되는 바퀴(40)와,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제2 간격조절부(50)와,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에 설치되는 국소배출부(60)와, 상기 국소배출부(60)에 설치되는 배출조절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0)는 관리기(M)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 비료 살포 장치를 상기 관리기(M)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M)는 통상적으로 농지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엔진이 장착되는 농업용 차량으로써 공지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장착부(10)의 전방으로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와 제2 간격조절부(5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장착부(10)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중앙 프레임(21)과, 상기 중앙 프레임(21)에 끝단에 직교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부착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세 개의 다각봉(22)과, 상기 세 개의 다각봉(22)의 양측단을 따라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23)를 가진다.
상기 중앙 프레임(21)은 상기 세 개의 다각봉(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다각봉(22)은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와 제2 간격조절부(50)가 상기 다각봉(22)의 둘레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23)는 상기 세 개의 다각봉(22)의 양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다각봉(22)을 보강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22)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한 쌍의 상기 바퀴(4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수직봉(41)이 선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다각관(31)과, 상기 제1 다각관(31)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선공(32)과, 상기 제1 나선공(3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다각관을 상기 다각봉(2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33)와, 상기 제1 고정나사(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나사(33)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다각관(31)은 상기 바퀴(40)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나선공(32)은 상기 제1 고정나사(33)가 상기 제1 다각관(31)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고정나사(33)는 상기 제1 나선공(32)을 통해 상기 제1 다각관(3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다각관(31)의 내측에 있는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 다각관(3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수평부재(34)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나사(33)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평부재(34)를 잡고서 상기 제1 고정나사(33)를 상기 제1 나선공(32)을 통해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나사(33)가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 견고히 밀착되게 하면 상기 다각봉(22)에 상기 제1 다각관(31)이 고정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고정나사(33)를 회전시켜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상기 제1 다각관(31)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다각관(31)에 장착되는 상기 바퀴(4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퀴(40)는 각각의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의 선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봉(4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를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는 상기 본체부(20)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한 쌍의 상기 국소배출부(6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는 상기 본체부(20)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저장통(63)이 내측에 부착되는 두 쌍의 제2 다각관(51)과, 상기 제2 다각관(51)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선공(52)과, 상기 제2 나선공(5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다각관(51)을 상기 다각봉(2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53)와, 상기 제2 고정나사(5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나사(53)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다각관(51)은 상기 저장통(63)의 하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나선공(52)은 상기 제2 고정나사(53)가 상기 제2 다각관(51)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고정나사(53)는 상기 제2 나선공(52)을 통해 상기 제2 다각관(5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다각관(51)의 내측에 있는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다각관(5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평부재(54)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2 고정나사(53)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수평부재(54)를 잡고서 상기 제2 고정나사(53)를 상기 제2 나선공(52)을 통해 회전시켜 상기 제2 고정나사(53)가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 견고히 밀착되게 하면 상기 다각봉(22)에 상기 제2 다각관(51)이 고정되어 한 쌍의 상기 국소배출부(60)가 고정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2 고정나사(53)를 회전시켜 상기 다각봉(22)의 외면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상기 제2 다각관(51)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2 다각관(51)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기 국소배출부(6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국소배출부(60)는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료가 두 줄로 줄뿌림되도록 비료를 국소적으로 지면의 두 곳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국소배출부(60)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의 사이에 구비되는 호퍼(61)와, 상기 호퍼(61)의 하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배출관(62)과,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61)와 연통되며 비료가 저장되는 저장통(63)을 가진다.
상기 호퍼(61)는 상기 저장통(63)에서 배출되는 비료를 하부방향으로 포집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출관(62)은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로 하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호퍼(61)를 통해 포집된 상태로 낙하는 비료를 상기 호퍼(61)에서 지면으로 일정한 양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통(63)은 상부에 개방 가능한 두껑을 가지고 내부에 비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61)와 연통되어 저장된 비료를 상기 호퍼(61)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출조절부(70)는 상기 저장통(63)의 하단과 상기 호퍼(6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통(63)의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61)의 내부로 비료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비료 살포 장치는 농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기(M)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국소배출부(60)를 농지에 줄뿌림과 같이 국소적으로 집중되게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와 제2 간격조절부(50)에 의해 줄뿌림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배출조절부(70)에 의해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배출조절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의 상기 배출조절부(70)는 상기 저장통(63)의 연통된 하단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71)과, 상기 개폐판(71)의 일측 힌지에 일단이 장착되는 작동로드(72)와, 상기 작동로드(7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통(63)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73)과, 상기 작동로드(7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로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74)와, 상기 작동 와이어(74)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와이어(74)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75)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71)은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통(63)의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71)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저장통(63)에 저장된 비료의 배출량이 조절된다. 상기 작동로드(72)는 상기 작동 와이어(74)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개폐판(7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73)은 상기 작동 와이어(74)에 의해 당겨지면서 각회전되는 상기 작동로드(72)를 상기 작동 와이어(74)에 의한 당겨짐의 해제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 와이어(74)는 상기 작동로드(72)와 상기 조작레버(75) 사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조작레버(75)는 상기 작동와이어를 사용자가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관리기 측에 구비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배출조절부(70)는 사용자가 관리기 측에 위치하는 상기 조작레버(75)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작동 와이어(74)를 당기거나 그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작동로드(72)를 하부측으로 각회전시키거나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개폐판(71)을 각회전시키거나 원위치로 복원시켜 상기 저장통(63)의 하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살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는 상기 호퍼(61)의 하부로 상기 배출관(62)에 설치되는 미세조절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세조절부(80)는 상기 배출관(62)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재차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미세조절부(80)는 상기 배출관(62)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62)의 내부를 미세하게 개방하는 개방판(81)과, 상기 개방판(81)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홀딩부재(82)와, 상기 홀딩부재(8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걸리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조절볼트(83)와, 상기 조절볼트(83)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볼트(83)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84)와, 상기 고정너트(84)와 상기 배출관(62)의 외면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너트(84)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5)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판(81)은 상기 배출관(62)의 내측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62)을 조금씩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홀딩부재(82)는 상기 개방판(81)의 외측단에서 상기 조절볼트(8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볼트(83)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판(81)을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너트(84)는 상기 조절볼트(83)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재(85)는 상기 고정너트(84)를 상기 배출관(62)의 외면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미세조절부(80)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볼트(83)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볼트(83)가 상기 고정너트(84)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홀딩부재(82)를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홀딩부재(82)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방판(81)이 상기 배출관(62)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관(62)을 통해 낙하는 비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미세조절부(8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배출관(62)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료 배출량의 조절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장착부
20 : 본체부
21 : 중앙 프레임 22 : 다각봉
23 : 지지대
30 : 제1 간격조절부
31 : 제1 다각관 32 : 제1 나선공
33 : 제1 고정나사 34 : 제1 수평부재
40 : 바퀴
41 : 수직봉
50 : 제2 간격조절부
51 : 제2 다각관 52 : 제2 나선공
53 : 제2 고정나사 54 : 제2 수평부재
60 : 국소배출부
61 : 호퍼 62 : 배출관
63 : 저장통
70 : 배출조절부
71 : 개폐판 72 : 작동로드
73 : 탄성스프링 74 : 작동 와이어
75 : 조작레버
80 : 미세조절부
81 : 개방판 82 : 홀딩부재
83 : 조절볼트 84 : 고정너트
85 : 고정부재
M : 관리기

Claims (6)

  1. 관리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상기 장착부(10)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중앙 프레임(21)과, 상기 중앙 프레임(21)에 끝단에 직교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부착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세 개의 다각봉(22)과, 상기 세 개의 다각봉(22)의 양측단을 따라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23)를 가지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22)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간격조절부(30)와;
    각각의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의 선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봉(4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20)를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40)와;
    상기 본체부(20)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봉(22)을 따라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간격조절부(50)와;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의 사이에 구비되는 호퍼(61)와, 상기 호퍼(61)의 하단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배출관(62)과,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61)와 연통되며 비료가 저장되는 저장통(63)을 가지고, 비료를 국소적으로 두 곳에 배출시키는 국소배출부(60)와;
    상기 저장통(63)의 하단과 상기 호퍼(6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63)의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61)의 내부로 비료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조절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봉(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수직봉(41)이 선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다각관(31)과,
    상기 제1 다각관(31)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선공(32)과,
    상기 제1 나선공(3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다각관(31)을 상기 다각봉(2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33)와,
    상기 제1 고정나사(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나사(33)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조절부(50)는,
    상기 본체부(20)의 중앙 부위와 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다각봉(2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저장통(63)이 내측에 부착되는 두 쌍의 제2 다각관(51)과,
    상기 제2 다각관(51)에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선공(52)과,
    상기 제2 나선공(5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다각관(51)을 상기 다각봉(2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53)와,
    상기 제2 고정나사(5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나사(53)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절부(70)는,
    상기 저장통(63)의 연통된 하단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71)과,
    상기 개폐판(71)의 일측 힌지에 일단이 장착되는 작동로드(72)와,
    상기 작동로드(7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통(63)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73)과,
    상기 작동로드(7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로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74)와,
    상기 작동 와이어(74)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기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와이어(74)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62)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62)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재차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조절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80)는,
    상기 배출관(62)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62)의 내부를 미세하게 개방하는 개방판(81)과,
    상기 개방판(81)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홀딩부재(82)와,
    상기 홀딩부재(8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걸리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조절볼트(83)와,
    상기 조절볼트(83)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볼트(83)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84)와,
    상기 고정너트(84)와 상기 배출관(62)의 외면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너트(84)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1020110069214A 2011-07-13 2011-07-13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10135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14A KR101358327B1 (ko) 2011-07-13 2011-07-13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14A KR101358327B1 (ko) 2011-07-13 2011-07-13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06A KR20130008706A (ko) 2013-01-23
KR101358327B1 true KR101358327B1 (ko) 2014-02-11

Family

ID=4783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214A KR101358327B1 (ko) 2011-07-13 2011-07-13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731A1 (ko) * 2014-06-12 2015-12-17 김경호 심토파쇄기용 투입물 공급장치
CN107896572A (zh) * 2017-12-12 2018-04-13 霍邱县夏时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悬挂式急用施肥开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3750B2 (ja) * 2014-09-04 2018-07-04 落合刃物工業株式会社 局所施肥機
CN107690914A (zh) * 2017-11-26 2018-02-16 广西中港高科国宝金花茶产业有限公司 一种用于金花茶种植时的化肥撒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359A (ja) * 1997-09-17 1999-04-06 Kubota Corp 追肥機
KR200187996Y1 (ko)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JP2007236248A (ja) 2006-03-07 2007-09-20 Agritecno Yazaki Co Ltd 走行型追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359A (ja) * 1997-09-17 1999-04-06 Kubota Corp 追肥機
KR200187996Y1 (ko) 1999-12-29 2000-07-15 주식회사장 자동화 자동 파종기
JP2007236248A (ja) 2006-03-07 2007-09-20 Agritecno Yazaki Co Ltd 走行型追肥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731A1 (ko) * 2014-06-12 2015-12-17 김경호 심토파쇄기용 투입물 공급장치
CN106455479A (zh) * 2014-06-12 2017-02-22 金庚镐 障碍物检测装置和方法
CN107896572A (zh) * 2017-12-12 2018-04-13 霍邱县夏时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悬挂式急用施肥开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06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27B1 (ko)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102003266B1 (ko)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CN208285815U (zh) 一种农业用施肥装置
KR101514780B1 (ko)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US10543496B2 (en) Multifunctional dispensing mechanism for fertilizer/seed spreader apparatus
CN209345561U (zh) 一种农业肥料喷洒装置
KR101992462B1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1235209B1 (ko) 승용이앙기용 시비장치
CN209030571U (zh) 一体化作物精准施肥机
KR20110024213A (ko) 농약 살포기
CN217850019U (zh) 一种农耕用施肥装置
CN207340509U (zh) 用于颗粒状肥料的施肥装置
CN103857276B (zh) 用于喷洒微粒的便携式系统
CN216163209U (zh) 一种养殖专业合作社用土地施肥用翻土装置
CN201674784U (zh) 施肥播种器
CN211931345U (zh) 一种农业施肥装置
US6206406B1 (en) Multi-purpose dispensing apparatus
CN207560695U (zh) 一种铺设种膜的种植机
CN204810944U (zh) 一种蔬菜施肥机
KR0127016Y1 (ko)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
CN220191378U (zh) 一种小麦增产土地给肥设备
CN201036265Y (zh) 手摇施肥器
CN215073825U (zh) 一种便携式水肥点施装置
CN111201868A (zh) 一种农业机械用施肥装置
CN217217414U (zh) 一种小麦育种施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