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182B1 -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182B1
KR101446182B1 KR1020140085815A KR20140085815A KR101446182B1 KR 101446182 B1 KR101446182 B1 KR 101446182B1 KR 1020140085815 A KR1020140085815 A KR 1020140085815A KR 20140085815 A KR20140085815 A KR 20140085815A KR 101446182 B1 KR101446182 B1 KR 10144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peed
shaft
fertilizer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식
김양식
한희석
Original Assignee
지금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금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금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182B1/ko
Priority to PCT/KR2014/011548 priority patent/WO20150839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8Machines for both manuring and sowing or both manuring and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파종속도 제어장치는 프레임에 지지된 채 횡배열되는 다수의 종자 및 비료통; 상기 각 종자 및 비료통의 하부에 구비된 채 상기 종자 및 비료통 내에 수용된 종자 및 비료를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상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배출유닛을 구동시켜주는 상부 구동축; 상기 상부 구동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 상기 각 상부 배출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채 각 상부 배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자 및 비료를 연결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하부 구동축에 의해 동작되면서 지면으로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하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구동축 및 하부 구동축을 연결하여 이들 구동축을 연동시켜주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파종기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지면과 상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바퀴; 상기 회전바퀴의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동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여 주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종동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서 송신되는 회전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비례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상기 상부 구동축이 비례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Planters planting planting rate of speed control and automatic control using this method}
본 발명은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회전바퀴를 지면에 접촉시켜서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따라 회전되게 구성하고, 상기 회전바퀴의 회전수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에 따라 마이컴(제어부)이 상부 배출유닛의 구동수단인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결국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비례하여 종자 및 비료의 배출여부 및 배출속도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한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는 주로 이앙재배법으로 재배되나, 벼의 육묘 과정과 이앙 과정을 생략하고 벼가 자라야 할 논에 직접 볍씨를 파종하여 생육시키는 직파식 재배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직파식 재배방법은 직파식 파종기(이하 "파종기"라 약칭함)에 의해 수행된다.
일반의 파종기는 종자 및 비료를 파종 및 시비하는 파종유닛이 트랙터의 엔진과 연계된 취출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 경우 트랙터가 정지한 무부하 상태에서도 엔진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파종 및 시비가 이루어짐으로써 종자 및 비료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랙터의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는 극히 곤란한 바, 이러한 엔진 회전수의 변동으로 인하여 엔진과 연동되는 파종 및 시비작업 시 파종 및 시비량이 불규칙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공지기술로,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9863호에서 직파기용 파종기의 동력전달장치(이하 "선행특허"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특허는 첨부된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콤바인 궤도바퀴(1)에 치합될 수 있도록 동 간격의 기어치(11)가 형성된 구동치차(10)와, 상기 구동치차(10)에 축 결합된 제1 스프라켓에 연결되어 구동치차(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동체인(20)과, 상기 제1 전동체인(20)이 연결되며 중간축(4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30)과, 상기 중간축(40)의 전단에 축 결합되어 제2 스프라켓(30)과 함께 회전하는 제3 스프라켓(50)과, 상기 제3 스프라켓(5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동체인(60)과, 상기 제2 전동체인(60)의 타측에 설치되어 종자배출장치(7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4 스프라켓(80)으로 구성되어 콤바인 궤도바퀴(1)의 구동력을 종자통(80)의 종자배출장치(70)로 전달시켜주게 된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내용이나 도면을 살펴보건대, 부분적으로 불명료한 부분이 있어서 세부적으로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기술적인 핵심은 콤바인 체인바퀴(1)와 종자통(80)의 종자배출장치(70)가 연동되도록 하여, 별도의 동력원 없이 콤바인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콤바인의 궤도바퀴(1)의 돌기와 구동치차(10)를 치합시켜서 종자배출장치(70)를 작동시키는 기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구동치차(10)의 궤도바퀴는 애초부터 기어 형태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구동치차(10)를 치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이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궤도바퀴(1)와 구동치차(10)가 정확하게 맞물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구동치차(10)의 회전속도가 일정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치차(10)와 연동되는 종자배출장치(70)도 균일한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고, 파종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파종의 신뢰도도 떨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위의 선행특허는 이론적으로만 가능할 뿐 현실성이 배제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지면에 접촉된 채 회전되는 회전바퀴의 회전속도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속도에 맞춰서 상부 배출유닛의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맞춰서 종자 및 비료를 일정속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파종속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프레임에 지지된 채 횡배열되는 다수의 종자 및 비료통; 상기 각 종자 및 비료통의 하부에 구비된 채 상기 종자 및 비료통 내에 수용된 종자 및 비료를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상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배출유닛을 구동시켜주는 상부 구동축; 상기 상부 구동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 상기 각 상부 배출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채 각 상부 배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자 및 비료를 연결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하부 구동축의 의해 동작되면서 지면으로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하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구동축과 하부 구동축을 연결하여 이들 구동축을 연동시켜주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파종기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지면과 상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바퀴; 상기 회전바퀴의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동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여 주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종동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서 송신되는 회전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비례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상기 상부 구동축이 비례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축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종동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파종기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자유단을 탄력 연결한 채,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전후방향 회전범위를 탄력 제한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파종속도 제어방법으로, 지면에 접촉된 채 상기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맞게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와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종동축의 회전수를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회전수 데이터를 근거하여 상기 상부 배출유닛의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비례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따라 상부 배출유닛의 종자 및 비료의 배출속도가 비례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맞게 회전되는 회전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부 배출유닛으로부터의 종자 및 비료의 배출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줌으로써 일정하고 정확한 파종 및 시비가 가능하다. 따라서, 파종 및 시비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전자제어에 의해 파종 및 시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기존의 기구적인 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구조에 따라 오류발생을 줄일 수 있어서 이 역시 파종 및 시비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뿐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이득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콤바인용 파종기의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속도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속도 제어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위 도면들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는 파종기(100)에 설치되어 파종 및 시비속도를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맞게 기계 및 전자 제어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파종기(100)의 도면은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간략하게 표현되었음을 전제한다.
먼저, 본 발명의 파종속도 제어장치(200)가 적용되는 파종기(100)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파종기(100)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10)에 지지된 채 횡배열되는 다수의 종자통(121) 및 비료통(122)을 포함한다. 이하, 종자 및 비료통(120)이라 통칭한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종자 및 비료통(120) 내에 수용된 종자 및 비료를 각각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배출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상부 배출유닛(130)을 구동시켜주는 상부 구동축(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구동축(140)은 후술될 구동모터(15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 배출유닛(130)을 작동시켜 상기 종자 및 비료통(120)으로부터 종자 및 비료가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구동축(140)을 회전 구동시켜주는 구동모터(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150)는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채, 기어박스(151)를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축(140)을 회전시켜준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각 상부 배출유닛(130)의 하부에 배치된 채, 각 상부 배출유닛(130)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자를 각 연결호스(190)를 통해 공급받아 지면으로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하부 배출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한편, 비료는 상기 하부 배출유닛(160)을 통하지 않고 별도의 호스(191)를 통해 지면에 직접 배출된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하부 배출유닛(160)을 구동시켜주는 하부 구동축(1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종기(100)는 상기 상부 구동축(140)과 하부 구동축(170)을 연결하여 이들 구동축(140,170)을 상호 연동되게 함으로써, 결국은 상부 배출유닛(130) 및 하부 배출유닛(160)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된 파종기(100)에 적용되는 파종속도 제어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한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된 반대쪽)에 지면과 상기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종기(100)의 운행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바퀴(210)를 포함한다.
또한,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는 상기 회전바퀴(210)의 구동축(211)과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212) 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211)의 회전동력을 종동축(212)으로 전달하여 주는 동력전달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상기 구동축(211)에 결합되는 구동 체인기어(221)와, 상기 종동축(212)에 결합되는 종동 체인기어(222)와, 상기 구동 체인기어(221) 및 종동 체인기어(222)를 연결하는 체인(2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상기 구동 체인기어(221), 종동 체인기어(222) 및 체인(223)을 커버링하는 체인커버(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종기(100)는 무논, 습답 등의 농경지에서 사용되므로 물기를 머금은 진흙이 묻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20)에 흙이 묻게 되면 원활한 구동이 방해받을 수 있는 바, 체인커버(224)에 의해 체인기어 및 체인을 감싸줌으로써 흙에 의한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작업 후에 흙을 제거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상기 체인커버(224)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22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종동축(21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파종기(100)의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의 고저에 따라 상기 경사진 동력전달부재(220) 및 그 말단에 구비된 회전바퀴(210)가 상기 지면의 상태에 맞춰서 상·하로 자율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 구성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220)의 체인커버(224)의 자유단(도면상 하단에 해당됨)은 상기 프레임(110)에 인장스프링(25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재(220) 및 회전바퀴(210)는 항상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으면서도 지면의 고저에 따라 각도가 탄력 변경된다.
만약, 인장스프링(250)이 없다면 회전바퀴(210)가 지면의 고점에서 저점으로 내려올 때 갑자기 드롭(drop)되면서 일시적으로 슬립되거나 회전되지 않음으로 해서 종자 및 비료가 고르게 파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인장스프링(250)이 설치됨으로 인해서 회전바퀴(210)가 항상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함에 따라 상기한 동작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종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파종 및 시비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파종기의 이동시에는, 회전바퀴(210)가 지면에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상기 회전바퀴(2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를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핀(26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핀(260)은 프레임(110)에 핀홀을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핀홀에 꽂아 넣거나 또는 빼낼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는 상기 종동축(212)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종동축(212)은 동력전달부재(220)에 의해 회전바퀴(210)의 구동축(211)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회전바퀴(210)의 회전수는 종동축(212)의 회전수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수 감지센서(230)에 의해 종동축(212)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되면, 결국 회전바퀴(21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종속도 제어장치(200)는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230)에 송신되는 회전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150)의 회전수를 비례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회전바퀴(2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230)로부터 송출되는 회전수 데이터를 근거하여 구동모터(150)의 회전수를 이에 비례하여 제어함으로써, 결국 파종기(100)의 운행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50)에 의해 구동되는 상부 구동축(211)의 회전속도가 비례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파종기의 속도와 파종 및 시비작업을 속도를 정확하게 전자 제어할 수 있어서 파종 및 시비작업의 신뢰도를 기존 대비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200)의 제어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1 단계, 종동축 회전 여부 감지(S10)
상기 파종기(100)가 운행되면, 지면에 닿아 있는 회전바퀴(21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바퀴(210)의 구동축(211)과 프레임(110)에 지지된 종동축(212)을 연결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220)에 의해 종동축(21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212)이 회전하게 되면, 이를 파종속도 제어장치(200)의 회전수 감지센서(230)에 의해 감지하여, 이 감지된 회전데이터를 제어부(240)로 실시간으로 송출한다.
2 단계, 종동축의 회전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S20)
상기 종동축(212)이 회전하면 이를 회전수 감지센서(230)에 의해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40)로 송출하면, 제어부(240)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모터(150)를 가동시켜서, 구동모터에 연계된 상부 구동축(140) 및 하부 구동축(170)을 회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부 배출유닛(130) 및 하부 배출유닛(160)이 동작된다.
반대로, 종동축(212)이 정지한 상태라면 이 역시 회전수 감지센서(230)가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40)로 송출하면, 제어부(240)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모터(150)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구동축(140) 및 하부 구동축(170)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러한 제어 로직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기구 및 전자구성을 접목하여, 파종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파종 및 시비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 파종기 110 : 프레임
120 : 종자 및 비료통 130 : 상부 배출유닛
140 : 상부 구동축 150 : 구동모터
160 : 하부 배출유닛 170 : 하부 구동축
180 : 연결부재 200 : 파종속도 제어장치
210 : 회전바퀴 211 : 구동축
212 : 종동축 220 : 동력전달부재
230 : 회전수 감지센서 240 : 제어부
250 : 인장스프링 260 : 스토퍼 핀

Claims (4)

  1. 프레임에 지지된 채 횡배열되는 다수의 종자 및 비료통; 상기 각 종자 및 비료통의 하부에 구비된 채 상기 종자 및 비료통 내에 수용된 종자 및 비료를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상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배출유닛을 구동시켜주는 상부 구동축; 상기 상부 구동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 상기 각 상부 배출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채 각 상부 배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자 및 비료를 연결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하부 구동축에 의해 동작되면서 지면으로 배출하여 주는 다수의 하부 배출유닛; 상기 상부 구동축 및 하부 구동축을 연결하여 이들 구동축을 연동시켜주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파종기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지면과 상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바퀴;
    상기 회전바퀴의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동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여 주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종동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서 송신되는 회전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비례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종기의 운행속도에 따라 상기 상부 구동축이 비례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종동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파종기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됨을 더 포함하는,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자유단을 탄력 연결한 채,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전후방향 회전범위를 탄력 제한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
  4. 제1항에 기재된 파종기의 파종속도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파종속도 제어방법으로,
    지면에 접촉된 채 상기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맞게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와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종동축의 회전수를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회전수 데이터를 근거하여 상기 상부 배출유닛의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비례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종기의 진행속도에 따라 상부 배출유닛의 종자 및 비료의 배출속도가 비례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KR1020140085815A 2013-12-04 2014-07-09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KR10144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15A KR101446182B1 (ko) 2014-07-09 2014-07-09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PCT/KR2014/011548 WO2015083989A1 (ko) 2013-12-04 2014-11-28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15A KR101446182B1 (ko) 2014-07-09 2014-07-09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182B1 true KR101446182B1 (ko) 2014-10-01

Family

ID=5199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815A KR101446182B1 (ko) 2013-12-04 2014-07-09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1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72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감속기케이원 수동식 조절기를 갖는 농기계 감속장치
CN113079754A (zh) * 2021-03-02 2021-07-09 谢秀华 一种高山草原地区生态恢复用紫花针茅种植装置
KR20220090204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세안농기계 트랙터용 파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48A (ko) * 2002-06-28 2004-01-07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KR200358051Y1 (ko) 2004-05-24 2004-08-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KR101290720B1 (ko) 2013-01-25 2013-07-29 지금강 주식회사 트랙터 주행속도 연동형 파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48A (ko) * 2002-06-28 2004-01-07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KR200358051Y1 (ko) 2004-05-24 2004-08-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KR101290720B1 (ko) 2013-01-25 2013-07-29 지금강 주식회사 트랙터 주행속도 연동형 파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72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감속기케이원 수동식 조절기를 갖는 농기계 감속장치
KR20220090204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세안농기계 트랙터용 파종기
CN113079754A (zh) * 2021-03-02 2021-07-09 谢秀华 一种高山草原地区生态恢复用紫花针茅种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5425C2 (ru) Сеялк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еялки с управлением отдельными дозаторами
JP6546363B2 (ja) 苗植付機及びその苗植付機を用いた苗植付方法
JP6545240B2 (ja) 苗植付機及びその苗植付機を用いた苗植付方法
KR101446182B1 (ko)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KR102247415B1 (ko) 수전 작업기
KR20140083161A (ko) 양파 정식기
CN104170565B (zh) 气动播种机
CN201957423U (zh) 玉米精量播种机
CN105165197A (zh) 一种芋头播种机
CN107750533B (zh) 薏苡精量穴播机
EP3763185A1 (en) Agricultural implement and method for precision-controlling fertilizer metering units
CN104025780B (zh) 一种大棚蚕豆播种机
JP2015073498A (ja) 種子等の供給装置
KR101734786B1 (ko) 육묘상자용 세척장치
CN104285561B (zh) 小区试验播种机
CN201270652Y (zh) 一种小麦双线播种机
CN104303649B (zh) 一种玉米点播点水机
KR101846928B1 (ko) 마늘 파종기
KR20010020775A (ko) 모내기기계 장착식 직파장치
RU2395189C1 (ru) Сошник для внесения удобрений
KR101034992B1 (ko) 파종기 겸용 비료주입기
CN203735032U (zh) 行距、秧距可调式花生播种机
JP2002315407A (ja) 直播機
CN207321865U (zh) 一种插秧机
CN201846591U (zh) 一种蚕豆二级点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