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051Y1 -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051Y1
KR200358051Y1 KR20-2004-0014395U KR20040014395U KR200358051Y1 KR 200358051 Y1 KR200358051 Y1 KR 200358051Y1 KR 20040014395 U KR20040014395 U KR 20040014395U KR 200358051 Y1 KR200358051 Y1 KR 20035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shaft
fertilizer
drive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경
이채식
박석호
최덕규
김학진
김충길
곽태용
한희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4-0014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4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adjustable shutters or sl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용이앙기의 주행속도가 변하여도 시비량이 항상 균일하도록 이앙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동력으로 시비장치를 작동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는 이앙장치의 이앙암이 연결된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에 연계되여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시비장치의 구동축을 작동하도록, 출력축으로부터 원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 및 체인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종동회전축과, 이 종동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여 회동되는 회전원판과 시비장치의 구동축에 일단이 결합된 작동바에 양단이 회전대우결합되여 종동회전축의 회전운동은 상하직선왕복으로 변화하여 작동바를 작동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PTO of fertilizer applicator for rice transplanter}
본 고안은 승용이앙기의 주행속도가 변하여도 시비량이 항상균일하도록 이앙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동력으로 동시에 시비장치를 작동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승용이앙기는 엔진 및 구동바퀴가 구비된 모체의 후방으로 클러치 및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엔진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이앙장치가 설치되었고, 상기 이앙장치의 앞 부분에는 경운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경운장치의 앞부분 상측에는 별도의 전동모터로 작동되는 시비장치가 설치되었다.
또한,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승용이앙기의 바퀴가 구동되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용이앙기는 주행속도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이앙장치와 경운장치가 작동되었다.
그러나 상기 시비장치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속도로 작동되므로써, 승용이앙기의 주행속도가 변하면 상대적으로 단위면적당 시비량이 변하되여 균일한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이앙장치의 구동축이 연결된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으로부터 시비장치의 동력을 취출하여승용이앙기의 주행속도가 변하여도 시비량이 항상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이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에 이앙암이 연결된 이앙장치가 기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앙장치의 앞쪽 상측부에 시비장치가 설치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시비장치의 시비로울러의 구동축에 후단이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트랜스미션이 출력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작동바와,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과 수평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회동되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일단이 상기 출력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축설되며 상기 트랜스미션의 하우징에 소정길이의 지지바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고정설치되는 종동축하우징과, 상기 종동축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는 허브축이 후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회전원판과, 상기 종동축으로 출력축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원판의 전면의 편심부에 하단이 회전대우결합되고 그 상단이 상기 작동바의 선단에 회전대우결합되여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출력축의 외주연부에 고정설치되는 원동스프라킷과 상기 허브축의 외주연부에 고정설치되는 종동스프라킷 및 상기 원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부에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중간로드와, 상기 중간로드의 양단부와 나합되도록 일단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하단캡으로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개략적인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설치된 시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설치된 시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개략적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용이앙기 40 : 트랜스미션 42 : 트랜스미션 하우징
41 : 출력축 50 : 이앙장치 51 : 이앙암
70 : 시비장치 74 : 구동축 75 : 작동바
90 : 종동축 100 : 종동축 하우징 110 : 회전원판
111 : 허브축 120 : 원동스프라킷 120-1 : 종동스프라킷
130 : 체인 140 : 링크부재 141 : 중간로드
142 : 상단캡 142' : 하단캡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1, 2, 3,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개략적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설치된 시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설치된 시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개략적 상태도이다.
도 1,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용이앙기(10)는 기체(20)의 양측에 앞뒤로 바퀴(30)가 설치되어있고, 이 기체(20)의 앞쪽에는 엔진(E) 및 그 후측으로 상기 엔진(E)과 돌력연결된 클러치(C)와 트랜스미션(40)이 장착되어있다.
또한, 상기 기체(20)의 후단 상측부에 다수의 시비장치(70)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있고, 그 후방 하측으로 경운장치(60)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경운장치(60)의 후방으로 이앙장치(50)와 제초제 살포장치(80)가 차례로 설치되어있다.
상기 이앙장치(50)는 이앙암(51)이 공지된 유니버설조인방식(U)으로 트랜스미션(40)의 출력축(41)에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이앙장치(50)는 엔진(E)의 동력을 상기 트랜스미션(40)으로 전달받아 작동된다.
한편, 도 2,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시비장치(70)는 공지된 구조로 호퍼통체(71)의 하부에 배출관(72)을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호퍼통체(71)의 내부 하측에는 톱니형 시비로울러(73)가 구동축(74)에 축설되어있다
또한, 다수의 시비장치(70)에 구비되는 각각의 롤러(73)는 하나의 구동축(74)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74)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축으로 각각의 호퍼통체(71)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있으며, 그 단면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통체(71)의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74)의 노출부위에는 소정길이의 작동바(75)가 수직방향으로 그 일단이 축고정되어있다.
이때, 상기 작동바(75)의 타단은 트랜스미션(40)의 출력축(41)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시비장치(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의 동력취출장치를 통하여 상기 이앙장치(50)와같이 상기 트랜스미션(40)의 출력축(41)으로부터 동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작동된다.
상기 동력취출장치는 상기 트랜스미션(40)의 출력축(41)과 수평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회동되는 종동축(90) 및 상기 종동축(90)의 일단이 상기 출력축(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상태로 되게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축설되며 상기 트랜스미션(40)의 하우징에 소정길이의 지지바(102)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고정설치되는 종동축하우징(90)과, 상기 종동축(9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허브축(111)이 후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회전원판(110)과, 상기 종동축(90)으로 출력축(4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원판(110)의 전면의 편심부와 작동바(75)에 양단이 회전대우결합되여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축(90)은 단면이 원형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회전장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축하우징(90)에는 상기 종동축(90)이 축설되여 회전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축공(101)이 형성되어있고, 또한, 상기 종동축(90)은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축공(101)에 축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허브축(111)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종동축(90)의 일단이 삽입/축설되도록 축공이 형성되어있으며, 그 외주연부에서 내주연부로 관통하는 나사공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상기 종동축(90)에 축결합 고정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출력축(41)에 고정설치되여 출력축(41)과 같이 회전되는 원동스프라킷(120)과, 상기 허브축(111)에 고정설치되여 허브축(111)과 같이 회전되는 종동스프라킷(120-1)과, 상기 종동스프라킷(120-1)과 원동스프라킷(120)을 연결하는 체인(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원동/종동스프라킷(120-1)은 원동/종동풀리로 그리고 상기 체인(130)은 동력벨트로 교체하여 형성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140)는 양단부에 일정길이 나사산(141-1)이 형성된 중간로드(141)와, 상기 중간로드(141)의 양단부와 나합되도록 일단에 나사홈(142-1)이 형성되고 타단에 체결공(142-2)이 형성된 상/하단캡(142,142')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75)의 일단에는 구동축(74)과 평행하게 축공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회전원판(110)은 전면의 편심부에는 하단캡(142')의 체결공(142-2)에 일단이 삽통되는 볼트(B)의 선단 나사산부가 체결되도록 나사홈(112)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140)는 중간로드(141)의 양단에 각각 상단캡(142)과 하단캡(142')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상단캡(142)과 하단캡(142')은 각각의 축공에 관통되는 볼트(B) 및 상기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를 매개로 작동바(75)의 일단과 회전원판(110)의 전면 편심부에 결합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상단캡(142)과 하단캡(142')은 각각의 볼트(B)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한 상태, 즉 회전대우결합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40)는 중간로드(141)의 양단 나사부(141-1)에 나합된 상/하단캡(142,142')을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각각 시계,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주므로써,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게된다.
참고로, 상기한 회전대우결합은 주지관용된 결합구조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는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E)을 가동하면 클러치(C) 및 트랜스미션(40)과 통상적인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구동바퀴(30)를 작동하여 승용이앙기(10)가 주행작동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미션(40)으로 전달된 동력은 출력축(41)을 통하여 시비장치(70)와 이앙장치(50)로 전달되게 되는 바, 이 경우 상기 이앙장치(50)는 상기 출력축(41)과 통상적인 유니버설조인트로 결합된 이앙암을 통하여 회전동력을 그대로 전달받아 작동되며, 동시에 상기 시비장치(70)도 상기 이앙장치(50)와 같이 출력축(41)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지만, 상기 시비장치(70)에 전달되는 동력을 출력축(41)의 회전동력이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 것이다.
즉, 출력축(41)의 회전동력은 1차로 원동스프라킷(120)에 체인(130)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킷(120-1)으로 전달되여, 종동축하우징(90)에 축설된 종동축(90) 및 상기 종동축(90)의 선단에 축결합된 허브축(111)을 포함한 회전원판(110)이 출력축(41)과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110)의 전면 편심부와 작동바(75)에 양단이 회전대우결합된 링크부재(14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상기 회전원판(110)의 회전운동은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링크부재(140)의 하단은 회전원판(1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며, 그 상단과 작동바(75)는 편심부의 회전궤적인 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행정사이를 상하로 직선왕복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75)의 타단이 축고정된 구동축(74)은 상기 링크부재(140)의 상단과 결합된 일단의 상하직선이동되는 행정거리에 비례하여, 그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원호각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회전되는 한편, 동시에 상기 구동축(74)에 축설된 톱니형 시비로울러(73)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회전되면서 호퍼통체(71)의 비료가 배출관(7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같이 트랜스미션(40)의 출력축(41)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시비장치(70)는, 승용이앙기(10)의 주행속도에 따라 비료의 배출속도가 정비례된다.
즉, 승용이앙기(10)의 주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면 시비장치(70)의 비료배출속도가 빨라지고, 반대로 승용이앙기(10)의 주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면 시비장치(70)의 비료배출속도가 느려진다.
물론, 이앙장치(50)의 이앙작동 또한 승용이앙기(10)의 주행속도와 정비례된다.
또한, 승용이앙기(10)의 주행과 시비장치(70)의 작동 및 이앙장치(50)의 작동은 클러치(C)의 레버를 조작하여 동시에 단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승용이앙기의 주행속도가 변하면 시비량도 정비례로 변하므로, 이앙작업시 단위면적당 항상 균일한 량으로 시비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또한, 동시에 시비장치와 이앙장치의 작동동력을 단속하여 개별적인 구동에 따른 불필요한 비료의 시비소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3)

  1. 엔진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이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에 이앙암이 연결된 이앙장치가 기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앙장치의 앞쪽 상측부에 시비장치가 설치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시비장치의 시비로울러의 구동축에 후단이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트랜스미션이 출력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작동바와,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과 수평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회동되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일단이 상기 출력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축설되며 상기 트랜스미션의 하우징에 소정길이의 지지바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고정설치되는 종동축하우징과,
    상기 종동축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는 허브축이 후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회전원판과,
    상기 종동축으로 출력축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원판의 전면의 편심부에 하단이 회전대우결합되고 그 상단이 상기 작동바의 선단에 회전대우결합되여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2. 청구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의 외주연부에 고정설치되는 원동스프라킷과,
    상기 허브축의 외주연부에 고정설치되는 종동스프라킷과,
    상기 원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3. 청구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부에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중간로드와,
    상기 중간로드의 양단부와 나합되도록 일단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하단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KR20-2004-0014395U 2004-05-24 2004-05-24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KR20035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95U KR200358051Y1 (ko) 2004-05-24 2004-05-24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95U KR200358051Y1 (ko) 2004-05-24 2004-05-24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051Y1 true KR200358051Y1 (ko) 2004-08-05

Family

ID=4943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95U KR200358051Y1 (ko) 2004-05-24 2004-05-24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0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92B1 (ko) * 2008-11-19 2011-12-13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앙기
KR101446182B1 (ko) 2014-07-09 2014-10-01 지금강 주식회사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CN112616343A (zh) * 2020-12-31 2021-04-09 无锡卡尔曼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株间除草环式施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92B1 (ko) * 2008-11-19 2011-12-13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앙기
KR101446182B1 (ko) 2014-07-09 2014-10-01 지금강 주식회사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CN112616343A (zh) * 2020-12-31 2021-04-09 无锡卡尔曼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株间除草环式施肥装置
CN112616343B (zh) * 2020-12-31 2023-10-13 无锡卡尔曼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株间除草环式施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9343C (zh) 作业车
CN107155484A (zh) 水稻侧深施肥机的可调肥量链驱动机构
US3773112A (en) Motor operated hand hoe
KR100305185B1 (ko) 복토기
KR200358051Y1 (ko)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RU2005106289A (ru) Передаточный механизм
KR200282467Y1 (ko) 자동 퇴비 살포기
SE2150190A1 (sv) Lantbruksredskap samt förfarande för matning av granulärt material till mark över vilken lantbruksredskapet färdas
KR101305016B1 (ko) 농업용 작업기계의 동력전달 클러치 장치
US2572115A (en) Adjustable power take-off for automotive vehicles
CN114982461B (zh) 一种农业机械化割草装置
CN214708800U (zh) 纵轴流谷物联合收割机集中传动系统及谷物联合收割机
SU9653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ручивани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при его забивании
CN218603880U (zh) 一种用于油菜播种的传动机构
KR900008931Y1 (ko) 농용 트랙터의 본체나 로타베이터에 부설되는 비료살포장치
RU68841U1 (ru) Мотокультиватор
KR101121872B1 (ko) 이앙기
KR930008145Y1 (ko) 보행형 시비이앙기의 동력전달장치
SU1678236A1 (ru)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машин
CN2577542Y (zh) 多功能播种机
KR0140803Y1 (ko) 트랙터용 작업기
JPS5854900Y2 (ja) 乗用農作業機のポンプ取付構造
RU48883U1 (ru)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вала отбора мощност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алогабаритного трактора
CN104904343B (zh) 履带自走式旋耕机
KR200363100Y1 (ko) 농업용 로타리 경운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