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03Y1 - 트랙터용 작업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03Y1
KR0140803Y1 KR2019970002393U KR19970002393U KR0140803Y1 KR 0140803 Y1 KR0140803 Y1 KR 0140803Y1 KR 2019970002393 U KR2019970002393 U KR 2019970002393U KR 19970002393 U KR19970002393 U KR 19970002393U KR 0140803 Y1 KR0140803 Y1 KR 0140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shaft
bevel gear
spreader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78U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19970002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803Y1/ko
Publication of KR970015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9/00Methods for working soil
    • A01B79/02Methods for working soil combined with other agricultural processing, e.g. fertilising,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베이터에 부가설치된 비료살포기에의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트랙터용 작업기는 유압모터에 의해 비료살포기의 회전살포구가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을 하기 때문에 정적인 운전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요동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기 쉬운 것이었으며, 로터베이터와함께 비료살포기를 사용할 때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의 피티오축에서, 비료살포기는 트랙터의 유압펌프로부터 동력원을 얻으므로 그 작업기의 연결작업 및 운전조작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연결작업 및 운전조작이 불편함은 물론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 경운축(102)으로 동력전달을 위하여 설치된 기어박스(105)를 포함한 로터베이터(100)가 근본으로되는 트랙터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에는 일측단에 피티오축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플라인(107)이 형성되고 그 타단엔 제1 베벨기어(108)를 형성시킨 피티오 연결축(106)과, 이 피티오 연결축(106)과는 평면상 수직이고 경운축(102)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티오 연결축(106)의 제1 베벨기어(108)에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109)를 형성시킨 로터리 구동축(104)과, 상기 살포기(200)의 살포축(203)과 연결되도록 로터리 구동축(104)에 대하여 정면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의 제2 베벨기어(109)의 이맞물림되는 제3 베벨기어(111)를 하단에 형성시킨 살포기 구동축(110)과, 상기 축들의 베벨기어들을 수용하고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케이스(1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 경운축(10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어박스(105,105a)를 포함한 로터베이터(100)와, 이 로터베이터(100)에 로터리본체(101)의 상부에 호퍼(201)가 설치되고 이 호퍼(201)의 하부에 다수의 살포판(204)을 갖는 살포축(203)이 회전가능케 설치된 살포기(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105a)에 살포축(203)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로터리 구동축(104)와 이맞물림되어 연동되도록 살포기 구동축(110)이 연장인출되고 이 살포기 구동축(110)과 살포축(203)에 각각 취부된 풀리(116,206)들 사이에 동력전달부재(205)가 연결되며 이 동력전달부재(20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풀리(207)가 접속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작업기
본 고안은 로터베이터에 비료살포기나 배토기 등을 부설하여 다기능화한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베이터의 기어박스에서 또 하나의 살포기 구동축을 마련하고 이 살포기 구동축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비료살포기를 마련하여 로터리작업 및/또는 비료살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하여 동력을 필요로하는 작업기는 피티오축(Power Take Off Shaft)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시키며, 이와같이 동력을 필요로하는 대표적인 작업기는 로터베이터가 있다.
이러한 로터베이터에 복합기능을 갖도록 배토기라든가 써레 혹은 비료살포기 등을 설치한 작업기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로터베이터에 부가설치되어진 작업기에도 동력원을 필요로하는 경우 대부분이 트랙터 자체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토출유압을 이용하거나 트랙터의 피티오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트랙터용 작업기중에서 토출유압을 이용한 로터베이터는 국내 실용공고 90-8931호에 개재되어져 있다.
트랙터본체나 로터리본체의 어느곳에나 임의로 부설시킨 상태에서 트랙터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토출유압에 의해 유압모터를 동작시키면 이 유압모터의 모터축이 회전되게 되고, 이 모터축에 의해 연동되는 크랭크와 링크를 통해 회전살포구가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왕복회전되면서 호퍼내의 비료를 살포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터베이터는 유압모터에 의해 비료살포기의 회전살포구가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을 하기 때문에 정적인 운전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요동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기 쉬운 것이었으며, 특히 로터베이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의 피티오축에서, 비료살포기는 트랙터의 유압펌프로부터 동력원을 얻기 때문에 그 작업기의 연결작업 및 운전조작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여야 했고 이로 인하여 연결작업 및 운전조작이 불편함은 물론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트랙터의 피티오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한 로터베이터는 로터리본체 하부의 경운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설치되는 피티오 연결축과 로터리 구동축이 한쌍의 베벨기어를 갖는 기어박스에 의해 평면상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피티오 연결축이나 로터리 구동축을 수평으로 연장 인출되어져 있으며, 상기 로터리본체의 후단상부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호퍼가 지지부재로 지지되고 이 호퍼의 하단에 살포판을 갖는 살포축이 기어박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비료살포기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베이터는 로터리본체의 기어박스 주위에 살포축과 평행한 살포기 구동축이 인출되어진 또하나의 기어박스를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비료살포기의 살포축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로터리본체의 기어박스내에서 로터리 구동축과 맞물려 연동되는 살포기 구동축을 비료살포기의 살포축과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마련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로터리본체의 경운축과 살포기의 살포축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기의 연결작업 및 운전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은 기어박스의 살포기 구동축에 비료살포기의 살포축을 직접적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고 살포기 구동축과 이격시켜 체인이나 벨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브이형 벨트와 풀리를 사용할 때 살포기 구동축과 살포축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풀리를 조절함에 따라 무한궤도형의 동력전달부재가 긴장 혹은 이완되어 살포축의 풀리직경을 가변시키므로 살포축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로터리본체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을 갖는 경운축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 경운축으로 동력전달을 위하여 설치된 기어박스를 포함한 로터베이터가 근본으로되는 트랙터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일측단에 피티오축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그 타단엔 제1 베벨기어를 형성시킨 피티오 연결축과, 이 피티오 연결축과는 평면상 수직이고 경운축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티오 연결축의 제1 베벨기어에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를 형성시킨 로터리 구동축과, 상기 살포기의 살포축과 연결되도록 로터리 구동축에 대하여 정면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 구동축의 제2 베벨기어에 이맞물림되는 제3 베벨기어를 하단에 형성시킨 살포기 구동축과, 상기 축들의 베벨기어들을 수용하고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에서 기어박스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박스 부분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살포축의 회전수 가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터베이터 101 : 로터리본체
102 : 경운축 103 : 경운날
104 : 로터리 구동축 105,105a : 기어박스
106 : 피티오 연결축 107 : 스플라인
108 : 제1 베벨기어 109 : 제2 베벨기어
110 : 살포기 구동축 111 : 제3 베벨기어
112 : 케이스 113 : 제4 베벨기어
114 : 클러치 115 : 작동레버
116,206 : 풀리 200 : 살포기
201 : 호퍼 202 : 지지부재
203 : 살포축 204 : 살포판
205 : 동력전달부재 206a,206b : 원판형 풀리
207 : 장력조절풀리 208 : 스프링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므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에서 경운축의 축직각방향으로 잘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는 크게 로터리작업을 위한 로터베이터(100)와, 비료살포작업을 위한 살포기(200)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로터베이터(100)는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로터리본체(101)의 상단에는 상기 경운축(10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리 구동축(104)이 기어박스(105)를 가로질러 경운축(10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과 경운축(102)의 일측단에는 로터리 구동축(104)으로부터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동력전달부재(도시되지 않았음)로 연결되어져 있다.
살포기(200)는 로터리본체(101) 위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호퍼(201)가 지지부재(202)로 지지되어져 있고 이 호퍼(201)의 하부에 다수의 살포판(204)을 갖는 살포축(203)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 살포축(203)은 상기 기어박스(105)의 살포기 구동축(11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살포기 구동축(110)과 살포축(203)에는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재(205)로 연결되어져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에서 기어박스(105)만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기어박스(105)에는 일측단에 트랙터의 피티오축(도시되지 않았음)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플라인(107)이 형성되고 그 타단엔 제1 베벨기어(108)를 형성시킨 피티오 연결축(106)과, 이 피티오 연결축(106)과는 평면상 수직이고 경운축(102)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티오 연결축(106)의 제1 베벨기어(108)에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109)를 형성시킨 로터리 구동축(104)과, 상기 살포기(200)의 살포축(203)과 연결되도록 로터리 구동축(104)에 대하여 정면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의 제2 베벨기어(109)의 이맞물림되는 제3 베벨기어(111)를 하단에 형성시킨 살포기 구동축(110)과, 상기 축들의 베벨기어(108,109,111)들을 수용하고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케이스(112)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는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로터리본체(101)를 연결하고 기어박스(105)의 피티오 연결축(106)을 트랙터의 피티오축과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트랙터의 피티오축이 회전됨에 따라 기어박스(105)의 피티오 연결축(106)이 회전되면서 이 피티오 연결축(106)의 제1 베벨기어(108)와 이맞물림된 로터리 구동축(104)의 제2 베벨기어(109)가 회전되므로 로터리 구동축(104)을 회전시킨다.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이 회전되게되면 이 로터리 구동축(104)과 연결되어진 로터리본체(101) 하부의 경운축(102)이 연동되는 상태에서 트랙터를 진행시키므로 경운축(102)의 경운날(103)들이 로터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기어박스(105)의 로터리 구동축(104)이 회전됨과 동시에 제2 베벨기어(109)에 이맞물림되어져 있는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가 회전되므로 살포기 구동축(110) 또한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 살포기 구동축(110)과 연결되어진 살포기(200)의 살포축(203)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호퍼(201) 하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가 살포판(204)에 의해 후방으로 분산살포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105)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어박스(105a)는 피티오 연결축(106)에 제1 베벨기어(108)와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109)가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와 이맞물림되는 제4 베벨기어(113)가 제2 베벨기어(109)로부터 이격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작용 효과 또한 동일하여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105a)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기어박스(105b)의 로터리 구동축(104a)에 제2 베벨기어(109)와 이격되어 공회전되도록 제4 베벨기어(113)가 설치되고 살포기 구동축(110)으로의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114)가 작동레버(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로터리 구동축(104a)의 제4 베벨기어(113)는 단순히 공회전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로터리 구동축(104a)과 함께 회전되면서 작동레버(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와 선택적으로 이맞물림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기어박스(105b)는 작동레버(115)를 조작하여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에 이맞물림되어진 로터리 구동축(104a)의 제4 베벨기어(113)가 클러치(1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므로 로터리 구동축(104a)에 의한 로터리본체(101)의 경운축(102)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고, 로터리 구동축(104a)과 살포기 구동축(110)을 동시에 구동시켜 로터리본체(101)의 경운축(102)과 함께 살포기(200)의 살포축(203)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살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살포기 구동축(110) 및 살포축(203)의 풀리(116,206)들 사이에는 브이형(V-Type) 벨트로된 무한궤도형의 동력전달부재(205)가 연결되고 이 동력전달부재(205)의 장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살포축(203)의 풀리직경을 조절하여 살포축(203)의 회전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장력조절풀리(207)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상기 살포축(203)의 풀리(206)는 살포축(203)과 함께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만 이동가능케 스플라인(203a)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으며, 2개의 원판형 풀리(206a,206b)로 분리되고 이 원판형 풀리(206a,206b)가 서로 밀착되도록 그 일측에 스프링(208)이 탄성력있게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205)는 브이형 벨트와 풀리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쌍의 기어 또는 체인과 스프로켓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 상기 기어박스(105,105a)의 살포기 구동축(110)과 살포기(200)의 살포축(203)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살포기 구동축(110)에 살포기(200)의 살포축(203) 하단을 직접적으로 연결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살포기는 트랙터의 피티오축이 일정하게 회전되는 상태에서 장력조절풀리(207)를 살포기 구동축(110)과 살포축(203)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되도록 조절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05)의 장력이 긴장 혹은 이완되므로 살포축(203)의 풀리직경을 가변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살포축(203)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장력조절풀리(207)에 의해 동력전달부재(205)를 긴장시키면 살포축(203)의 풀리(206)를 이루는 원판형 풀리(206a,206b)들이 상대적으로 벌어짐에 따라 풀리직경이 줄어 들으므로 살포축(203)의 회전수는 줄어들게 되고, 이와반대로 장력조절풀리(207)에 의해 동력전달부재(205)를 이완시키면 살포축(203)의 풀리(206)를 이루는 원판형 풀리(206a,206b)들이 상대적으로 오무라들음에 따라 풀리직경이 커지므로 살포축(203)의 회전수는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기어박스(105,105a)의 로터리 구동축(104,104a)으로부터 살포기 구동축(110)까지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조작이 간편하고 그 관리또한 용이하게 되며, 상기 기어박스(105,105a)의 로터리 구동축(104,104a)에 클러치(114)를 설치한 경우 작업목적에 따라 로터리작업만을 수행하거나 로터리작업과 함께 비료살포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어박스(105,105a)의 살포기 구동축(110)으로부터 살포기(200)의 살포축(203)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205)가 브이형 벨트인 경우에는 살포축(203)의 풀리(206)를 2개의 원판형 풀리(206a,206b)로 분할하여 풀리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살포축(203)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는, 로터리본체의 기어박스내에 로터리 구동축과 맞물려 연동되도록 설치된 살포기 구동축으로 인하여 로터리의 경운축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살포기의 살포축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기의 관리 및 운전조작이 간편하게 되며, 또 상기 기어박스의 살포기 구동축에 직/간접적으로 비료살포기를 설치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브이형 벨트와 풀리를 사용할 때 살포기 구동축과 살포축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풀리를 조절함에 따라 무한궤도형의 동력전달부재가 긴장 혹은 이완되어 살포축의 풀리직경을 가변되므로 살포축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 경운축(102)으로 동력전달을 위하여 설치된 기어박스(105)를 포함한 로터베이터(100)가 근본으로되는 트랙터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에는 일측단에 피티오축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플라인(107)이 형성되고 그 타단엔 제1 베벨기어(108)를 형성시킨 피티오 연결축(106)과, 이 피티오 연결축(106)과는 평면상 수직이고 경운축(102)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티오 연결축(106)의 제1 베벨기어(108)에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109)를 형성시킨 로터리 구동축(104)과, 상기 살포기(200)의 살포축(203)과 연결되도록 로터리 구동축(104)에 대하여 정면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의 제2 베벨기어(109)의 이맞물림되는 제3 베벨기어(111)를 하단에 형성시킨 살포기 구동축(110)과, 상기 축들의 베벨기어들을 수용하고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케이스(1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티오 연결축(106)에는 제1 베벨기어(108)와 이맞물림되는 제2 베벨기어(109)가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와 이맞물림되는 제4 베벨기어(113)가 제2 베벨기어(109)로부터 이격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의 로터리 구동축(104)에는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와 이맞물림된 상태에서 공회전되도록 제4 베벨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과 함께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에 의해 결합되어진 클러치(114)가 작동레버(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4 베벨기어(113)와 연결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구동축(104)의 제4 베벨기어(113)는 로터리 구동축(104)과함께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에 의해 결합되고 작동레버(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살포기 구동축(110)의 제3 베벨기어(111)와 이맞물림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5.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 경운축(10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어박스(105,105a)를 포함한 로터베이터(100)와, 이 로터베이터(100)에 로터리본체(101)의 상부에 호퍼(201)가 설치되고 이 호퍼(201)의 하부에 다수의 살포판(204)을 갖는 살포축(203)이 회전가능케 설치된 살포기(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105a)에 살포축(203)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로터리 구동축(104)와 이맞물림되어 연동되도록 살포기 구동축(110)이 연장인출되고 이 살포기 구동축(110)과 살포축(203)에 각각 취부된 풀리(116,206)들 사이에 동력전달부재(205)가 연결되며 이 동력전달부재(20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풀리(207)가 접속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축(203)의 풀리(206)는 동력전달부재(205)의 장력에 따라 살포축(203)의 풀리직경을 가변시켜 살포축(203)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원판형 풀리(206a,206b)로 분리되고 이 원판형 풀리(206a,206b)가 서로 밀착되도록 그 일측에 스프링(208)이 탄성력있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5 또는 105a)의 살포기 구동축(110)에 살포기(200)의 살포축(203)이 직접적으로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KR2019970002393U 1997-02-18 1997-02-18 트랙터용 작업기 KR0140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93U KR0140803Y1 (ko) 1997-02-18 1997-02-18 트랙터용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93U KR0140803Y1 (ko) 1997-02-18 1997-02-18 트랙터용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78U KR970015778U (ko) 1997-05-23
KR0140803Y1 true KR0140803Y1 (ko) 1999-03-20

Family

ID=1949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393U KR0140803Y1 (ko) 1997-02-18 1997-02-18 트랙터용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8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19B1 (ko) * 2010-01-20 2012-01-17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로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78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657B2 (en) Spreading device
US7175012B2 (en) Transmission for a walk-behind lawn mower
US5387052A (en) Drive mechanism for a vibratory compactor
CA2867059C (en) Mowing device
JPH08312740A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それが用いられた携帯式作業機
KR0140803Y1 (ko) 트랙터용 작업기
KR100305185B1 (ko) 복토기
KR20010020712A (ko) 회전식 초목벌채장치
EP0891695B1 (en) A mowing machine
KR200282467Y1 (ko) 자동 퇴비 살포기
US5269734A (en) Gear reducing device
KR200380366Y1 (ko)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퇴비 살포기
KR100724108B1 (ko) 관리기 부착형 제초기
KR100860016B1 (ko)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CN104145581B (zh) 肥料散布机
JP2931947B2 (ja) 管理機
KR200358051Y1 (ko) 승용이앙기의 시비로울러 구동 동력취출장치
JP2000177410A (ja) 作業用車両
JP2019010056A (ja) 田植機の苗植付装置
JPH09271227A (ja) 苗植付機構
KR850003261Y1 (ko) 제초기
JP6824853B2 (ja) 散布装置
JP3922856B2 (ja) 刈取用作業機
JP2003094978A (ja) 農作業機における油圧ポンプの取付け構造
RU2050096C1 (ru) Мотокоси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