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016B1 -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016B1
KR100860016B1 KR1020070088576A KR20070088576A KR100860016B1 KR 100860016 B1 KR100860016 B1 KR 100860016B1 KR 1020070088576 A KR1020070088576 A KR 1020070088576A KR 20070088576 A KR20070088576 A KR 20070088576A KR 100860016 B1 KR100860016 B1 KR 10086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shaft
engine
pulley
woo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기계
Priority to KR102007008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02C18/38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으로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 중 어느 하나만 구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톱밥제조기 혹은 목재 칩 제조기의 수명이 연장됨과 동시에 동력 손실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설치에 대한 제약이 따르지 않는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엔진의 출력축과 목재 칩 제조기 사이에 클러치를 마련하여 엔진의 동력으로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원동축부, 스플라인축부, 종동축부로 구성하여 상기 원동축부 및 종동축부에 톱밥제조기의 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원동풀리와 목재 칩 제조기의 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종동풀리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원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전면에는 맞물림 암클러치판을 각 고정하며, 상기 출력축의 스플라인축부에는, 양 측면에 맞물림 수클러치판이 고정되는 동력전달축관과 돌출봉을 가진 이동체로 이루어지는 클러치를 스플라인축부를 안내면으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엔진의 제2출력축과 트랜스미션의 입력축을 다렬연결풀리에 연결하는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88576
파쇄기, 엔진, 톱밥제조기, 목재 칩 제조기, 클러치,

Description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self-propelling crusher powertrain for both sawdust and wood a chip making}
본 발명은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를 동시에 탑재한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나의 엔진으로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를 구동할 때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또 엔진과 차체의 트랜스미션(변속기) 간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도 따르지 않은 자주형 파쇄기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이 방향전환, 이동, 정지 등이 운전자의 조작에 이루어지는 자주형 차체(트랜스미션이 장착되어 4륜 구동되는 차체) 상에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를 탑재한 파쇄기는 톱밥 및 목재 칩을 하나의 기계에서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대부분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는 하나의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그런데 현재까지 제시되어온 파쇄기는 엔진, 톱밥제조기, 목재 칩 제조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즉, 엔진의 출력축과 톱밥제조기 또는 목재 칩 제조기의 구동축을 연결하여 톱밥제조기 또는 목재 칩 제조기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그 후 톱밥제조기 또는 목재 칩 제조기의 종동축을 톱밥제조기 또는 목재 칩 제조기의 구동축과 연결하여(엔진⇒톱밥제조기⇒목재 칩 제조기 또는 엔진⇒목재 칩 제조기⇒ 톱밥제조기) 엔진의 동력이 톱밥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에 순차적으로 전달 되도록 하였고, 그 동력전달의 단속은 각 동력 연결부에 장착된 맞물림 클러치로 하였다.
이와 함께 엔진의 출력축을 트랜스미션과의 입력축도 직렬로 연결하여 차제가 엔진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파쇄기는 엔진, 톱밥제조기, 목재 칩 제조기를 주지한 바와 같이 그 동력 전달을 직렬로 하기 때문에 톱밥 또는 칩을 제조할 때 경우 엔진과 직접 연결된 제조기는 무조건 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가사 동력전달을 엔진⇒톱밥제조기⇒목재 칩 제조기로 하여 목재 칩을 제조할 경우 톱밥제조기가 계속 구동되어야하고, 또 동력전달을 엔진⇒목재 칩 제조기⇒톱밥제조기로 하여 톱밥을 제조할 경우 목재 칩 제조기가 계속 구동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톱밥제조기 또는 목재 칩 제조기의 공회전을 초래하기 때문에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동력의 손실로 인해 해당 작업의 제조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한편 위 파쇄기는 엔진의 출력축과 트랜스미션의 입력축을 직렬로 연결하므로 위 출력축과 입력축은 항상 평행 되게 위치하여야하고, 그로 인하여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설치 위치 설정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파쇄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함에 그 해결과제를 두고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톱밥 제조기 및 목재 칩 제조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조기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선택적인 구동의 변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톱밥제조기, 목재 칩 제조기, 트랜스미션의 동력전달계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엔진의 출력을 선택된 제조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톱밥 또는 목재 칩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파쇄기(P)를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양쪽의 바퀴에 차이를 두고 동력을 나누어주는 차동장치(12), 상기 차동장치(12)에 동력을 인가하는 트랜스미션(11)이 구성되는 차체(10) 상에 배출콘베어가 연결되는 톱밥제조기(20), 목재 칩 제조기(30), 엔진(40)이 탑재되는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P)에서 차동장치(12), 톱밥제조기(20), 목재 칩 제조기(30)를 하나의 엔진(40)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엔진(40)의 출력축(41)과 목재 칩 제조기(30) 사이에 클러치(80)를 마련하여 엔진(40)의 동력으로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엔진(40)의 출력축(41)을 원동축부(411), 스플라인축부(412), 종동축부(413)로 구성하여 상기 원동축부(411) 및 종동축부(413)에 톱밥제조기(20)의 구동풀리(21)와 벨트(B)로 연결되는 원동풀리(60)와 목재 칩 제조기(30)의 구동풀리(31)와 벨트(B1)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0)를 베어링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면서 종동축부(413)를 차체(10)의 고정판(102)과 보울트 결합되는 측판(101)의 베어링하우징(101a)으로 지지하고, 상기 원동풀리(60)와 종동풀리(70)의 전면에는 외면에 십자형 조절판(62)(72)이 부착되는 맞물림 암클러치판(61)(71)을 각 고정하며, 상기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 중앙에는, 양 측면에 맞물림 수클러치판(811)(812)이 고정되고 중심의 스플라인축공(813)은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에 접속되는 동력전달축관(81), 상기 동력전달축관(81)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베어링으로 동력전달축관(81)에 결합되고 상하면에는 돌출봉(821)을 가진 이동체(80)로 이루어지는 클러치(80)를 장착하고, 상기 이동체(80)의 상하 돌출봉(821)에는 배면에 이동작동축(91)이 부착된 'ㄷ'자형 이동작동판(90) 상하 수평편(901)의 절개공(902)을 끼워 이동작동판(90)이 이동체(80) 후방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작동축(91) 상단은 차체(10) 고정용 측판(101)에 보울트 고정되는 지지판(911)의 관통공(911a)에 회전가능케 고정함과 동시에 이동작동축(91) 하단에는 선단부가 차체(10) 고정용 이동안내판(100)의 이동안내홈(100a)을 관통하는 이동작동봉(92) 끝단을 이동작동축(91)과 직각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엔진(40)의 출력축(41) 상대방향에 돌출되는 제2출력축(42)에 피동풀리(421)를 고정하여 상기 피동풀리(421)를 차체(10) 고정용 설치판(50)에 회전가능케 장착되면서 차체(10)의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11)에 고정된 입력풀리(112)와 벨트(B3)로 연결되는 다렬연결풀리(51)에 벨트(B2)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이동안내판(100)의 이동안내홈(100a) 하측에는 통상과 같이 이동작동봉(92)의 이동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홈(100b)이 수개 형성되고, 또 이동작동봉(92) 끝단은 코일스프링(200)이 탄설되어 있어 고정홈(100b)에 도입한 이동작동봉(92)은 코일스프링(200)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홈(100b)에서 자연적, 임의적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설명하였지만 위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엔진(40)의 출력축(41)과 목재 칩 제조기(30) 사이에 클러치(80)를 마련한 후 클러치(80)를 작동함으로써 엔진(40)의 동력으로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엔진(40)으로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중 어느 하나만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톱밥제조기(20) 또는 목재 칩 제조기(30)를 구동시킬 때 톱밥제조기(20) 또는 목재 칩 제조기(30) 중 어느 하나는 계속 구동되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공회전으로 인한 톱밥제조기(20) 혹은 목재 칩 제조기(30)의 수명이 단축되는 점과 엔진(40)의 동력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며, 또 엔진(40)의 제2출력축(42)과 트랜스미션(11)을 다렬연결풀리(51)를 이용하여 병렬 연결하기 때문에 위 제2출력축(42)과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11)을 평행하게 하지않더라도 제2출력축(42)과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11)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엔진(40) 및 트랜스미션(11)의 설치에 대한 제약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것은 다음과 같은데, 그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엔진(40)의 출력축(41)과 목재 칩 제조기(30) 사이에 클러치(80)를 마련함으로써 엔진(40)의 동력으로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차체(10)의 바퀴에도 엔진(40)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데, 그 구체적 실시는,
톱밥제조기(20)를 구동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6의 (가)에서와 같이 엔진(40)의 출력축(41)에 형성되는 스플라인축부(412) 중앙에 위치한 클러치(80)를 이동작동봉(92)에 의거하여 동력전달축관(81) 일 측면의 수클러치판(811)을 첨부도면 도 6의 (나)와 같이 출력축(41)의 원동축부(411)에 결합된 원동풀리(60) 전면의 암클러치판(61)에 접속시킨 다음 엔진(40)을 가동하면 원동풀리(60)에 엔진(40)의 동력이 인가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그 원동풀리의 회전력이 원동풀리(60)와 벨트(B)로 연결된 톱밥제조기(20)의 구동풀리(21)에 전달됨으로써 톱밥제조기(20)가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목재 칩 제조기(30)를 구동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6의 (가)에서와 같이 엔진(40)의 출력축(41)에 형성되는 스플라인축부(412) 중앙에 위치한 클러치(80)를 이동작동봉(92)에 의거하여 동력전달축관(81) 타 측면의 수클러치판(812)을 첨부도면 도 6의 (다)와 같이 출력축(41)의 종동축부(413)에 결합된 종동풀리(70) 전면의 암클러치판(71)에 접속시킨 다음 엔진(40)을 가동하면 종동풀리(70)에 엔진(40)의 동력이 인가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그 종동풀리의 회전력이 종동풀리(70)와 벨트(B1)로 연결된 목재 칩 제조기(30)의 구동풀리(31)에 전달됨으로써 목재 칩 제조기(30)가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엔진(40)의 동력이 클러치(80)를 통해 톱밥제조기(20) 또는 목재 칩 제조기(30)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은, 원동풀리(60) 및 종동풀리(70)는 출력축(41)의 원동축부(411)와 종동축부(413)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엔진(40)의 출력축(41)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작용, 또 상기 클러치(80)의 동력전달축관(81)이 중심의 스플라인축공(813)과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의 결합 에 의해 출력축(41)과 동시 회전하는 작용. 또 상기 클러치(80)의 동력전달축관(81) 양 측면에 부착되는 수클러치판(811)(812)이 원동풀리(60) 및 종동풀리(70) 전면의 암클러치판(61)(71)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작용의 유기적인 관계 즉, 출력축(41)과 동시회전하는 클러치(80)의 수클러치판(811)(812)이 출력축(41)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원동풀리(60) 및 종동풀리(70) 각 전면의 암클러치판(61)(71)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엔진(40)의 동력이 클러치(80)를 통해 톱밥제조기(20) 또는 목재 칩 제조기(30)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동풀리(60) 및 종동풀리(70)의 암클러치판(61)(71)에 십자형 조절판(62)(72)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클러치(80)를 작동하여 수클러치판(811)(812)을 위 암클러치판(61)(71)에 접속 시킬 때 조절판(62)(72)의 십자부분을 잡고 암클러치판(61)(71)을 조절하면 암,수클러치판의 접속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클러치(80)의 수클러치판(811)(812)을 원동풀리(60) 또는 종동풀리(70)의 각 암클러치판(61)(71)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이동작동봉(92)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작동봉(9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이동작동봉(92)의 끝단과 연결되는 이동작동축(91)이 차체(10)에 고정되는 지지판(911) 의 지지에 의해 제자리에서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작동축(91)이 제자리 회전하면 이동작동축(91)이 배면에 부착고정된 이동작동판(90)의 수평편(901) 각도가 변경되면서 수평편(901)의 절개공(902)에 끼워진 클러치(80)의 이동체(80)가 상하면에 형성되는 돌출봉(821)이 수평편(901)의 변 경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80)의 동력전달축관(81) 양 측면의 수클러치판(811)(812)이 원동풀리(60) 또는 종동풀리(70)의 각 암클러치판(61)(71)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첨부도면 도 6 참조) 이때 이동작동판(90)이 클러치(80)의 이동체 후방에 위치되므로 이동작동봉(92)의 이동방향과 클러치(80)의 이동체(80) 이동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클러치(8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엔진(40)을 가동하여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때 엔진(40)의 제2출력축(42)도 동시회전하여 그 회전력이 제2출력축(42)에 고정된 피동풀리(421), 차체(10) 고정용 설치판(50)의 다렬연결풀리(51),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11)에 고정된 입력풀리(112)가 벨트(B3)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트랜스미션(11)과 연결된 차동장치(12)가 기동하여 차체(10)의 바퀴가 회전한다고 생각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트랜스미션(11)의 변속기어를 중립으로 해 놓으면 차체(10)의 바퀴 회전은 방지되고, 또 위 차체(10)의 바퀴를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체(10)를 엔진(40)의 동력으로 회전(이동)시키고자할 때에는 첨부도면 도 6의 (가)와 같이 클러치(80)를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 중앙에 위치시킨 다음 엔진(40)을 가동하면서 트랜스미션(11)의 기어를 넣으면 달성되고, 이때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기(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40)의 출력축(41)이 회전하더라도 클러치(80)의 양 측면 수클러치판(811)(912)이 원동풀리(60) 및 종동풀리(70)의 암클러치판(61)(71)에 접속되어있지 않는 상태이어서 톱밥제조기(20) 및 목재 칩 제조 기(30)에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엔진(40)의 출력축(41) 끝부(종동축부)가 차체(40)의 고정판(102)에 고정되는 측판(101)의 베어링하우징(101a)에 지지되고, 또 차체(40)의 고정판(102), 측판(101), 지지판(911)이 보울트 결합 되어있으므로 측판(101)의 분해가 가능하게되고, 이는 출력축(41)에 장착된 종동풀리(70), 클러치(80), 원동풀리(60)를 모두 분해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낳아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고장에 대한 대응력이 우수함은 물론 그 구성요소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퀴 구동 구성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러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측 단면 예시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클러치 평면 예시도
(나)와 (다)는 (가)의 작동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엔진의 동력이 트랜스미션에 전달되는 상태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파쇄기 10 : 차체
101 : 측판 101a : 베어링하우징
102 : 고정판 11 : 트랜스미션
111 : 입력축 112 : 입력풀리
12 : 차동장치 20 : 톱밥제조기
21 : 구동풀리 30 : 목재 칩 제조기
31 : 구동풀리 40 : 엔진
41 : 출력축 411 : 원동축부
412 : 스플라인축부 413 : 종동축부
42 : 제2출력축 421 : 피동풀리
43 : 라디에타 50 : 설치판
51 : 다렬연결풀리 60 : 원동풀리
61 : 암클러치판 62 :조절판
70 : 종동풀리 71 : 암클러치판
72 : 조절판 80 : 클러치
81 : 동력전달축관 811,812 : 수클러치판
813 : 스플라인축공 82 : 이동체
821 : 돌출봉 90 : 이동작동판
901 : 수평편 902 : 절개공
91 : 이동작동축 911 : 지지판
911a : 관통공 92 : 이동작동봉
100 : 이동안내판 100a : 이동안내홈
100b : 고정홈 200 : 코일스프링
B, B1, B2, B3 : 벨트

Claims (1)

  1. 양쪽의 바퀴에 차이를 두고 동력을 나누어주는 차동장치(12), 상기 차동장치(12)에 동력을 인가하는 트랜스미션(11)이 구성되는 차체(10) 상에 배출콘베어가 연결되는 톱밥제조기(20), 목재 칩 제조기(30), 엔진(40)이 탑재되는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P)에서 차동장치(12), 톱밥제조기(20), 목재 칩 제조기(30)를 하나의 엔진(40)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엔진(40)의 출력축(41)을 원동축부(411) 및 스플라인축부(412)와 종동축부(413)로 분할되게 구성하여 원동축부(411)에 톱밥제조기(20)의 구동풀리(21)와 벨트(B)로 연결되는 원동풀리(60)를 축설치하고, 종동축부(413)에 목재 칩 제조기(30)의 구동풀리(31)와 벨트(B1)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0)를 축설치하여 종동축부(413)의 단부를 차체(10)의 고정판(102)과 보울트 결합되는 측판(101)의 베어링하우징(101a)으로 지지하며, 상기 원동풀리(60)와 종동풀리(70)의 전면에 십자형 조절판(62)(72)이 부착되는 맞물림 암클러치판(61)(71)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 중앙에는, 양 측면에 맞물림 수클러치판(811)(812)이 고정되고 중심의 스플라인축공(813)은 출력축(41)의 스플라인축부(412)에 접속되는 동력전달축관(81), 상기 동력전달축관(81)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베어링으로 동력전달축관(81)에 결합되고 상하면에는 돌출봉(821)을 가진 이동체(80)로 이루어지는 클러치(80)를 장착하며;
    상기 이동체(80)의 상하 돌출봉(821)에는 배면에 이동작동축(91)이 부착된 'ㄷ'자형 이동작동판(90) 상하 수평편(901)의 절개공(902)을 끼워 이동작동판(90)이 이동체(80) 후방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작동축(91) 상단은 차체(10) 고정용 측판(101)에 보울트 고정되는 지지판(911)의 관통공(911a)에 회전가능케 고정함과 동시에 이동작동축(91) 하단에는 선단부가 차체(10) 고정용 이동안내판(100)의 이동안내홈(100a)을 관통하는 이동작동봉(92) 끝단을 이동작동축(91)과 직각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엔진(40)의 출력축(4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출력축(42)에 피동풀리(421)를 고정하여 상기 피동풀리(421)를 차체(10) 고정용 설치판(50)에 회전가능케 장착되면서 차체(10)의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11)에 고정된 입력풀리(112)와 벨트(B3)로 연결되는 다렬연결풀리(51)에 벨트(B2)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070088576A 2007-08-31 2007-08-31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86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76A KR100860016B1 (ko) 2007-08-31 2007-08-31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76A KR100860016B1 (ko) 2007-08-31 2007-08-31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016B1 true KR100860016B1 (ko) 2008-09-25

Family

ID=4002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576A KR100860016B1 (ko) 2007-08-31 2007-08-31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05B1 (ko) 2012-12-13 2013-02-28 (주)풍림이엔지 목재 파쇄기
KR101302129B1 (ko) * 2011-03-16 2013-08-30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및 목재 칩 제조용 파쇄기의 동력 출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274A (ja) * 1992-08-21 1994-06-21 Kawasaki Heavy Ind Ltd 破砕機の駆動装置
KR200222218Y1 (ko) 2000-11-13 2001-05-02 김병선 수목파쇄기를 겸하는 톱밥제조기
KR200301407Y1 (ko) 2002-10-17 2003-01-24 황금수 톱밥제조기 겸용 목재파쇄기
KR100567948B1 (ko) 2005-11-04 2006-04-05 황금수 톱밥 제조기 겸용 목재 파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274A (ja) * 1992-08-21 1994-06-21 Kawasaki Heavy Ind Ltd 破砕機の駆動装置
KR200222218Y1 (ko) 2000-11-13 2001-05-02 김병선 수목파쇄기를 겸하는 톱밥제조기
KR200301407Y1 (ko) 2002-10-17 2003-01-24 황금수 톱밥제조기 겸용 목재파쇄기
KR100567948B1 (ko) 2005-11-04 2006-04-05 황금수 톱밥 제조기 겸용 목재 파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29B1 (ko) * 2011-03-16 2013-08-30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및 목재 칩 제조용 파쇄기의 동력 출력장치
KR101237705B1 (ko) 2012-12-13 2013-02-28 (주)풍림이엔지 목재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017B2 (en) All wheel drive, walk behind mower
WO2006056325A3 (de) Stufenwechse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WO2008015549A3 (en) Power split dual input shaft transmission for vehicle
WO2008084790A1 (ja) コンバインおよびこれに搭載可能な脱穀装置
CN108625265B (zh) 具有在驱动马达和能旋转的工作装置之间的变速器的地面加工机
KR100860016B1 (ko)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US6346060B1 (en) Riding lawn mower and transmission for the same
WO2009081186A3 (en) Top drive apparatus
CN201830633U (zh) 离合器直驱式开沟培土机
CN101545529B (zh) 带齿形离合器的传动箱
KR200456120Y1 (ko)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WO2006042616A3 (de) Getriebestufe für einen fahrzeugsitz
CN201518600U (zh) 一种新型自走式草坪割草机自走机构
JP2007001444A5 (ko)
JP2009219436A (ja) 移植機
KR101199892B1 (ko) 자동체결공구
JP5061499B2 (ja) フロントモーア
CN201448428U (zh) 带齿形离合器的传动箱
KR20050083938A (ko) 전식기
CN1283486C (zh) 收割机
CN110701259B (zh) 输送槽轴正反转装置以及使用其的机器
KR101577117B1 (ko) 이앙기의 식부암
KR20090082598A (ko) 승용 이앙기의 유압펌프 취부구조
KR20130059610A (ko) 전동기 장착형 무단 변속기
EP1988309A3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endotermic-driven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