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892B1 - 자동체결공구 - Google Patents

자동체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892B1
KR101199892B1 KR1020120068085A KR20120068085A KR101199892B1 KR 101199892 B1 KR101199892 B1 KR 101199892B1 KR 1020120068085 A KR1020120068085 A KR 1020120068085A KR 20120068085 A KR20120068085 A KR 20120068085A KR 101199892 B1 KR101199892 B1 KR 101199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using
driven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성
Original Assignee
(주)대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상이엔지 filed Critical (주)대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6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너트를 수용하는 제1 소켓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에 연결되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켓이 상기 종동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하는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볼트에 토크가 작용하여 너트와 함께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수단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부의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할 수 있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체결공구만으로 유동하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체결공구{AUTO JOINT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너트를 수용하는 제1 소켓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에 연결되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켓이 상기 종동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하는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볼트에 토크가 작용하여 너트와 함께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수단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부의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할 수 있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체결공구만으로 유동하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볼트 헤드를 고정시킨 후,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데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너트의 체결 시, 볼트가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볼트의 헤드를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자동차의 차축이나, 조향장치 등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볼트(B)의 경우 볼트의 헤드가 반구 또는 원형 등으로 이루어져 장치에 함몰되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볼트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경우 너트의 체결 초기에는 상기 볼트가 고정되지 않더라도 너트는 볼트를 따라 어느 정도까지 체결이 가능하나,
상기 볼트가 일정한 토크를 받는 시점, 즉 상기 너트가 볼트에 거의 체결된 상태에서는 볼트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볼트가 너트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볼트가 장치에서 겉도는 현상이 발생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하는 바와 같은 자동체결공구를 도입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하는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볼트에 토크가 작용하여 너트와 함께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수단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부의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할 수 있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체결공구만으로 유동하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의 제1 소켓에 의하여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제2 소켓의 후진동작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제2 소켓의 동작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너트를 수용하는 제1 소켓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에 연결되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켓이 상기 종동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부의 제2 소켓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부의 맞닿도록 구비되는 키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소켓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상기 제2 소켓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단부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구동부 일측에 배열되는 종동샤프트와, 상기 종동샤프트 양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종동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소켓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체결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는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하는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볼트에 토크가 작용하여 너트와 함께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수단이 볼트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부의 제2 소켓의 회전을 저지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할 수 있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체결공구만으로 유동하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의 제1 소켓에 의하여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 제2 소켓의 후진동작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제2 소켓의 동작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의 종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는 구동부(20);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2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3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너트(N)를 수용하는 제1 소켓(41)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41)을 연결되어 볼트(B)가 고정되는 제2 소켓(43)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켓(41)은 상기 종동부(30)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40); 및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소켓(4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10)은
상부 및 하부하우징(11)(1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11)(13) 사이에 배열되는 중간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각 하우징(1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핀홀(14)이 구비되고, 상기 각 핀홀(14)을 통하여 고정핀(15)이 관통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각 하우징(10)의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핀(15)은 외부에서 뽑아 낼 수 있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또는 제1 상부하우징(11A))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부품의 교체나, 고장 수리 시에 각 하우징(10)의 분해 조립이 용이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하우징(10)에는 구동부(20), 종동부(30) 및 체결부(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데,
첨부된 도 2의 기준으로 하우징(10)의 좌측에는 구동부(20)와 체결부(40)를 위해 상부 및 하부하우징(11)(13)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우측에는 종동부(30)를 위해 상부, 중간 및 하부하우징(12)(13)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동력원을 전달받고, 종동부(3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하부하우징(13), 즉 상기 제1 하부하우징(13A)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부하우징(13A) 외측으로 노출되어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장착되는 결합부(2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1)에 장착된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21)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23)가 회전하여 동력을 종동부(30)로 전달하게 되고,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전동공구나, 또는 수동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작업의 신속성과 작업능률의 향상 측면에서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3) 상부에는 상기 제2 하부하우징(13B)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지지베어링(SB)이 배열되고,
또한 상기 지지베어링(SB) 상부, 즉 상기 제2 하부하우징(13B)의 수용공간 상부에는 제2 하부하우징(13B)의 수용공간 상면에 맞닿도록 마찰저감부재(SB′)(또는 또 다른 지지베어링(SB))이 구비되어 장치의 작업방향에 따라 구동기어(23)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구동기어(23)와 하우징(10) 간의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체결부(4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 일측, 즉 우측에 배열되는 종동샤프트(31)와, 상기 종동샤프트(31) 양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종동기어(33)(35)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샤프트(31)는 상기 중간하우징(12)의 수용공간에 관통 수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종동기어(33)(35)는 각각 상기 제1 하부하우징(13A)과, 제1 상부하우징(11A)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기어는 제1 종동기어(33)로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3)와 맞물리게 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기어는 제2 종동기어(35)로 체결부(40)의 체결기어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구동부(20)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이 상기 각 종동기어를 통하여 체결기어로 전달되어 체결부(4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종동샤프트(31)에는 상기 각 종동기어가 양단에 관통 삽입된 후, 종동샤프트(31)와 각 종동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앤드플레이트(37)가 결합 고정되어 종동샤프트(31)와 각 종동기어를 일체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종동기어(33)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35)에는 하부로 돌출된 제2 지지부(35a)가 구비되는데,
상기 각 지지부(33a)(35a)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하부하우징(13B)과, 상기 제2 상부하우징(11B)의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있는 지지베어링(SB)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샤프트(31)에는 상기 각 지지베어링(SB)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로 단턱부(31a)가 연결되어 상기 각 지지베어링(SB)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종동샤프트(31)에 결합되는 각 종동기어(33)(35)와, 종동샤프트(31)가 작업방향에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종동샤프트(31), 각 종동기어(33)(35)와, 하우징(10)간의 마찰이나, 이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40)는
상기 구동부(2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부(30)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볼트(B)와 너트(N)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너트(N)를 수용하는 제1 소켓(41)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41)을 연결되어 볼트(B)가 고정되는 제2 소켓(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제1 소켓(41)은 중공(41a)을 갖고, 상기 중공(41a) 상부에는 너트(N)가 장착되도록 각진 형태의 너트수용부(41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4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상부하우징(11A)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체결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종동부(30)의 제2 종동기어(35)와 맞물리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40)의 체결기어 하부에는 상기 제2 상부하우징(11B)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지지베어링(SB)이 배열되고,
또한 상기 지지베어링(SB) 하부, 즉 상기 제2 상부하우징(11B)의 수용공간 하부에는 제2 하부하우징(13B)의 수용공간 하면에 맞닿도록 마찰저감부재(SB′)(또는 또 다른 지지베어링(SB))가 구비되어 장치의 작업방향에 따라 체결기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체결기어와 하우징(10) 간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소켓(43)은 상기 제1 소켓(41)의 중공(41a)에 관통 삽입되되,
상기 제1 소켓(41)의 너트수용부(41b) 하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제2 소켓(43)이 상기 제1 소켓(41)의 중공(41a)에 삽입된 후, 상기 제2 소켓(43)의 상단이 상기 너트수용부(41b)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소켓(41)은 상기 체결기어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부(20)와 상기 종동부(30)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면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너트수용부(41b)에 장착된 너트(N)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B)에 체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 볼트가 장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볼트 헤드를 고정시킨 후,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데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너트의 체결 시, 볼트가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볼트의 헤드를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자동차의 차축이나, 조향장치 등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볼트(B)의 경우 볼트의 헤드가 반구 또는 원형 등으로 이루어져 장치에 함몰되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볼트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경우 너트의 체결 초기에는 상기 볼트가 고정되지 않더라도 너트는 볼트를 따라 어느 정도까지 체결이 가능하나,
상기 볼트가 일정한 토크를 받는 시점, 즉 상기 너트가 볼트에 거의 체결된 상태에서는 볼트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볼트가 너트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볼트가 장치에서 겉도는 현상이 발생하여 너트를 볼트에 완전히 체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40)에서
우선 상기 제2 소켓(43)의 관통공(43a) 상부에 볼트(B)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수용부(43b)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볼트수용부(43b)와 볼트(B)의 고정은 상기 볼트(B)의 단부에 각진 형태의 고정부(F)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수용부(43b)는 상기 고정부(F)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F)가 상기 볼트수용부(43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와 종동부(30)에 의하여 상기 체결기어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소켓(41)이 회전하여 너트수용부(41b)에 장착된 너트(N)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B)에 체결하게 된다.
특히 상기 너트(N)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제1 소켓(41)의 중공(41a)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소켓(43)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소켓(4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수단(50)이 구비된다.
우선 상기 제2 소켓(43)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단부에서 상부로 일정 영역까지 평면 형태의 접촉부(43c)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은 상기 중간하우징(12)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15)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43c)에 맞닿는 키플레이트(5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소켓(41)이 상기 구동부(20)와 종동부(3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소켓(43)은 키플레이트(51)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고,
이때 상기 제1 소켓(41)은 상기 제2 소켓(43)에서 공회전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방지수단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상기 접촉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접촉부에는 가이드돌기가, 상기 키플레이트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접촉부가 평면이 아닌 홈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되어 제2 소켓을 회전을 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에 의하여 볼트(B)와 너트(N)의 체결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5a의 도시는 상기 볼트(B) 하단에 너트(N)가 가체결된 상태로 상기 너트(N)를 제1 소켓(41)의 너트수용부(41b)에 삽입한 후,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제1 소켓(41)이 체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소켓(41)이 회전하게 되면 도 5b와 같이 상기 볼트(B)의 고정부(F)가 상기 제2 소켓(43)의 볼트수용부에 삽입되고,
이때 상기 제2 소켓(43)의 접촉부(43c)는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의 키플레이트(51)에 맞닿아 있어 상기 제2 소켓(43)은 회전이 저지된다.
이 경우 상기 너트(N)가 볼트(B)에 체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은 너트(N)가 체결된 만큼 전진을 하게 되고, 상기 제2 소켓(43)은 상대적으로 후진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소켓(43)의 후진을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지지수단(6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수단(60)은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소켓(43)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부(61)와, 상기 제2 소켓(43)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6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간부(61)는 상기 중간하우징(12)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3)의 상단은 상기 제2 소켓(43)의 관통공(43a)에 형성된 걸림부(43d)에 맞닿고, 하단은 상기 공간부(61) 바닥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소켓(43)이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2 소켓(43)의 하부는 상기 공간부(61)에 수용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63)는 압축되어 상기 제2 소켓(43)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2 소켓(43)이 급격하게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c의 도시와 같이 상기 너트(N)가 볼트(B)에 어느 정도 체결되면 상기 볼트(B)에 토크가 전달되어 상기 볼트(B)가 고정되지 않게 되면 볼트(B)는 너트(N)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겉돌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이 제2 소켓(43)을 고정시켜 회전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너트(N)를 볼트(B)에 완전히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수단(60)은 완전히 압축되어 상기 제2 소켓(43)을 탄성 지지하게 되어 볼트(B)와 너트(N)의 완전한 체결까지 안정적은 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공구는 장치의 사용 시, 자동체결공구를 구조물이나,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하부하우징(13), 즉 제1 하부하우징(13A)에 연결되는 가이드바(71)와, 상기 가이드바(71)를 감싸는 스프링(73)과, 상기 가이드바(71)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브래킷(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75)을 장치나 구조물에 고정시킨 후, 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전후진 동작 시, 상기 가이드바(71)를 따라 하우징(10)이 전후진 하고,
이때 상기 스프링(73)이 하우징(10)을 탄성 지지하여 동작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75)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75)이 절곡되어 상기 구동부(20)의 결합부(2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안내공(75a)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공(75a)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결합부(21)에 장착되는 경우 동력전달수단을 지지하여 안내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구동부, 종동부 및 체결부가 작업방향에 따라 각 기어나, 축이 하부방향으로 치우쳐 각 구성품간의 마찰이나, 마모,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단일구조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방향에 따라 각 구성품간의 마찰이나, 마모,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을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자동체결공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볼트 N : 너트
F : 고정부 SB : 지지베어링
SB′ : 마찰저감부재
10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1A : 제1 상부하우징 11B : 제2 상부하우징
12 : 중간하우징 13 : 하부하우징
13A : 제1 하부하우징 13B : 제2 하부하우징
14 : 핀홀 15 : 고정핀
20 : 구동부 21 : 결합부
23 : 구동기어
30 : 종동부 31 : 종동샤프트
31a : 단턱부 33 : 제1 종동기어
35 : 제2 종동기어 37 : 앤드플레이트
40 : 체결부 41 : 제1 소켓
41a : 중공 41b : 너트수용부
43 : 제2 소켓 43a : 관통공
43b : 볼트수용부 43c : 접촉부
50 : 회전방지수단 51 : 키플레이트
60 : 지지수단 61 : 공간부
63 : 탄성부재
70 : 고정수단 71 : 가이드바
73 : 스프링 75 : 고정브래킷
75a : 안내공

Claims (4)

  1.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는 구동부(20);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2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3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너트(N)를 수용하는 제1 소켓(41)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소켓(41)에 연결되어 볼트(B)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소켓(43)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켓(41)이 상기 종동부(3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40); 및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소켓(4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40)의 제2 소켓(43)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43c)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부(43c)의 맞닿도록 구비되는 키플레이트(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20)는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 단부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3)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 일측에 배열되는 종동샤프트(31)와, 상기 종동샤프트(31)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종동기어(33)(35)와, 상기 종동샤프트(31)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동기어(33)(35)를 고정시키기 위한 앤드플레이트(37)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종동기어(33)는 상기 구동기어(23)에 맞물려 있고,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제1 소켓(4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35)에 연결되는 체결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샤프트(31)의 하단에 배열된 상기 제1 종동기어(33)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상기 종동샤프트(31)의 상단에 배열된 상기 제2 종동기어(35)에는 하부로 돌출된 제2 지지부(35a)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샤프트(31)에는 상하로 단턱부(31a)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지지부(33a)(35a)와 단턱부(31a)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각 지지부(33a)(35a)와 단턱부(31a)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는 지지베어링(SB)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는 고정수단(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는 가이드바(71)와, 상기 가이드바(71)를 감싸는 스프링(73)과, 상기 가이드바(71)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브래킷(75)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75)은 절곡되어 'ㄴ'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관통하는 안내공(75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소켓(43)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부(61)와,
    상기 제2 소켓(43)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6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63)를 포함하는 지지수단(6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공구.
  3. 삭제
  4. 삭제
KR1020120068085A 2012-06-25 2012-06-25 자동체결공구 KR101199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85A KR101199892B1 (ko) 2012-06-25 2012-06-25 자동체결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85A KR101199892B1 (ko) 2012-06-25 2012-06-25 자동체결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892B1 true KR101199892B1 (ko) 2012-11-12

Family

ID=4756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085A KR101199892B1 (ko) 2012-06-25 2012-06-25 자동체결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82B1 (ko) * 2014-04-15 2015-06-2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비젼을 기반으로 한 서스펜션 자동 체결 방법
KR101536518B1 (ko) * 2014-04-15 2015-07-1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홀드 앤 드라이브 동력전달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996U (ko) * 1976-07-05 1978-01-2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996U (ko) * 1976-07-05 1978-01-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82B1 (ko) * 2014-04-15 2015-06-2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비젼을 기반으로 한 서스펜션 자동 체결 방법
KR101536518B1 (ko) * 2014-04-15 2015-07-1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홀드 앤 드라이브 동력전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601B2 (en) Motor-driven machine tool
CN101622104B (zh) 手持式工具机
JP6415735B2 (ja) 動力伝達装置
BRPI0511218A (pt) elemento de transmissão de dupla embreagem para uma cadeia de tração hìbrida; veìculo automotivo de uma cadeia de tração do tipo hìbrida paralela e método de montagem do elemento de transmissão
US8870708B2 (en) Direct type driving module of differential gear for electric vehicle
ATE368542T1 (de) Winkelvorsatz für eine bohrmaschine
KR101199892B1 (ko) 자동체결공구
CN102712085A (zh) 具有行星齿轮传动装置的用手操作的电动工具
JP4784363B2 (ja) 変速機における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CN108687708B (zh) 冲击工具
US20140000923A1 (en) Portable Power Tool
US9908232B2 (en) Torsion output tool
KR101716453B1 (ko) 동력전달장치
CN104467254A (zh) 电驱动装置
EP2960019A1 (en) Hammer drill
CN206123649U (zh) 一种传动装置及机器人
KR20150124842A (ko) 매니퓰레이터
TW200802405A (en) Transmission mechanism of vibration platform
KR101066337B1 (ko) 회전력 전달장치
CN107771296A (zh) 带有摩擦配合的传动件的显微镜
CN110805665A (zh) 自动调节中心距的离合结构及减速器
CN109217560A (zh) 一种泵体用电机传动装置
US20120013058A1 (en) Gravity compensator of motor
CN218992307U (zh) 一种选换挡机构
CN215369153U (zh) 一种执手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