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61B1 -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61B1
KR100719761B1 KR1020060028964A KR20060028964A KR100719761B1 KR 100719761 B1 KR100719761 B1 KR 100719761B1 KR 1020060028964 A KR1020060028964 A KR 1020060028964A KR 20060028964 A KR20060028964 A KR 20060028964A KR 100719761 B1 KR100719761 B1 KR 10071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lk
goa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김학철
이광옥
김기호
고강일
고수연
김진국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에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화장료 배합시 보존 안정화가 쉽다.
아토피 피부, 산양유, 양하,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atopic skin}
도1은 염증을 유발시킨 후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IL-α의 방출량을 알아보기 위해 배양한 사람 세포로 만들어진 3차원 인공 피부의 사진이다.
도2는 피부 도포시 홍반완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폐쇄첩보실험결과(24시간 후)이다. 사진 내부의 숫자 1 내지 4는 각각 1은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2는 비교 처방예, 3은 처방예1 및 4는 처방예 1-1을 도포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면역은 생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그 기능은 언제나 생체에 유익한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과도한 면역 응답반응인 알러지 질환은 생체에 다양한 손상을 야기시킨다.
알러지란 말은 그리스어인 "allon argon"에서 유래되었는데 '정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반응하려 하는' 이란 의미이며 1910 년 뷔르케란 소아과 의사가 책에 쓴 제목으로 사용된 용어로 사람의 변화된 반응능력 (changed action)을 의미하는 것이다. 알러지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실제로 크게 해롭지 않은 것인데도 과잉면역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우리 몸에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외부 침입자가 해롭지 않은 것인데 해로운 것으로 착각하여 과잉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러지는 Coombs and Gell에 의한 분류법에서 기본적으로 Ⅰ~Ⅳ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도 Ⅰ형 알러지는 “즉시형” 알러지라고 말하고 아토피성 질환 등을 일으킨다. 또, Ⅳ형 알러지는 “지연형” 알러지라고 말한다. 이 중 알러지 Ⅰ형은 과도한 면역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IgE 항체에 의한 히스타민 매개반응이 대표적이며 크게 천식 (ashtrma), 알러지성 비염 (rhinitis),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과민증 (anaphylactic shocks) 나뉘는데, 4가지 질환 중 피부에 관련된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다.
아토피성 피부는 쉽게 가려움으로 인하여 긁으면 습진성 병변이 발생하고, 피부 보습력이 저하되어 거친 피부가 된다. 또한,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피부질환이 쉽게 생기게 된다.
“아토피(Atopy)”란 용어는 1923년 Coca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a(no)+top(place)+y(ness)로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이란 의미로 음식물이나 흡입물(inhalants)에 알러지를 쉽게 일으키는 유전적 성향이 있는 체질을 지칭 한다. 말 그대로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뒤엉켜 발병하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한다.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아토피는 아토피 소인을 가지고 있는 개인에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점막 등에 나타나는 일련의 알레르기 증상을 말하며 이러한 아토피 소인(알레르기 체질)은 유전되어 가족력으로 나타난다. 아토피 소인에 의한 알러지 질환으로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단독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역학 (Epidemiology)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소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발생빈도는 0.25% - 20%로 남자 : 여자 = 3 : 2 의 비로 발생한다. 근래에 발생빈도가 증가 추세인데, 이는 대기오염, 주거환경 변화로 인한 항원에 대한 노출의 증가, 모유수유 감소, 소아기 감염질환의 감소 등이 증가의 원인으로 보인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생후 2∼6개월이며, 특히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85%가 만 다섯 살 안에 나타난다. 보통 어릴 때 잠시 앓는 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환자의 50%는 두 돌 이내에 없어지나 25%는 청소년기까지 가며, 나머지 25%는 성인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80-90% 가 염증세포의 활성화 및 혈청 IgE가 증가하는데 피부염의 심한 정도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항원이 인체에 침투되면 항원과 IgE가 결합하여 비만세포를 흥분시켜 세포내의 히스타민 등의 염증매개 물질들을 분비하게 되는데 , 이러한 화학 물질들에 의해 피부염이 발생하여 붉은 반점과 부종 그리고 소양증 등을 일으 킨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나타나는 면역학적 이상인 IgE의 과잉생산과 세포매개성 면역 이상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증상에 따라 약물요법인 스테로이드 외용제, 항히스타민제, 항알러지제, 또는 한방약 등의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이중,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사용은 단기간에 염증 및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가장 널리 보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세포의 증식능 억제, 세포 기능의 변조, 면역기능 억제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또한 항염제로 쓰이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외용제 외에,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을 비롯한 염증의 화학전달 물질들이 방출되지 않도록 복용되는 다른 제제들도 전술한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치료 및 완화효과도 명확치 않다.
특히, 아기의 경우 피부는 물론이고 땀샘 등의 주요 부속 기관들도 아직 미성숙한 상태라 쉽게 수분을 잃어 건조해지고 저항력이 떨어져 이로 인해 손상 받기 쉬운 상태가 되므로, 아기의 피부는 성인과 그 겉모습은 같지만 기능상으로 볼 때 미흡하며, 만 3세가 되고 나서야 어른피부의 두께 정도가 되므로 아기에게 있어 피 부보호는 기본 요건이며 중요한 일이다. 또한, 부드러운 아기피부는 얇고, 연약하여 외부의 자극과 세균감염에 민감하고 침투력이 성인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피부 위에 남아 있는 땀이나 세균 등이 다시 피부 속으로 침투되어 이로 인해 피부가 짓무르게 되고 다른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아기 피부는 연약하고 섬세할 뿐 아니라 민감하기 때문에 조그마한 외부 자극에도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피부면역을 강화시켜 주면서 자극이 없는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BAYER KOREA(바이엘 코리아), BAYER HEALTHCARE 참조>
이렇듯 아기 피부는 건조한 피부가 되기 쉽고 이 건조한 피부는 면역기능을 약화시켜 아토피 피부염뿐만 아니라 여러 피부 질환으로 발전할 수도 있어 약하고 민감한 피부일수록 이에 대한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에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화장료 배합시 보존 안정화가 쉬운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선행발명의 예를 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4-7013313호에는 케피어·그레인이라고 하는 종균에, 젖산과 효모 등 적어도 5∼6 종류의 기능이 병합되어 있는 과립상의 균에 의해 포유동물유, 두유 및 탈지분유 등을 발효시켜 얻어진 유(乳) 발효산물 및 제약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030790호에는 동물의 젖을 주성분으로 하여 배양기에서 유산균을 접종하여 유산발효를 행하여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유청을 채취하고, 그 유청을 감압하에 약 30-50℃로 가열하고, 유청을 약 10-20% 증발시켜 유청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및 다이아세틸성분이 0.5ppm이하로 될 때까지 그 일부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보습제의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발명은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그 구성이 다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52617호는 양하에서 분리정제한 라브다-12-엔-15,16-디알 화합물 및 이의 분리 정제방법에 관하여 개시하였으나, 이 성분은 항균활성 및 항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되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는 무관하다.
또한 유럽 특허출원 EP 1 319 407호는 유지방 소구체(globule)를 포함하는 피부 장애 및 피부 상처의 국소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산양유가 아닌 양젖(sheep milk)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유지방 소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며 이를 여드름, 화상, 과잉 피지의 치료 등에 사용하고 있는바, 산양유 외에도 양하 추출물을 포함하며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구성이 다르다. 또한, 미국 특허출원 US 10/996410호는 양젖, 물, 최소한 하나의 식물유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산양유 및 양하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과는 그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제1형 알러지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발적, 피부 건조, 홍반 등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양(goat)이란 염소라고도 불리고, 젖을 이용하는 유용종, 고기를 이용하는 육용종 그리고 겸용종이 있다. 흑염소는 육용종이며, 젖을 주로 사용하는 유산양은 유용종이다. 산양유란 염소에서 짜낸 젖으로, 성분은 수분 88.0 %, 단백질 3.1 %, 지방 3.6 %, 젖당 4.5 %, 회분 0.8 %이다. 열량은 100 g당 62 kcal이며, 우유보다 단백질·지방·회분이 많고 단백질 중에서는 알부민의 비율이 높다. 산양유의 지방입자(脂肪粒子)는 작아서 연한 커드(curd)를 이루어 소화율이 높으며, 카로틴이 우유보다 적으므로 빛깔은 희게 보인다. 우유류의 단백질원인 카제인 마이셀(Casein Micelle)은 알파S-1 카제인, 베타카제인, 감마카제인의 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산양유에는 일반 우유와 달리 베타 카제인이 주 구성요소이다. 사람의 인체 내로 산양유나 우유가 들어갈 때 단백질의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여러 아미노산의 연결고리에 효소(Protease)가 침투하여 분해해야만 원활한 소화가 이루어지는데, 이 때 크기가 큰 우유의 카제인 마이셀은 분해되기 힘든 반면, 산양유의 카제인 마이셀은 크기가 작아 효소가 침투하여 분해 작용을 하기 용이하여 소화가 잘 이루어진다. 또한 산양유에는 우유와 달리 알파S-1카제인이 거의 없어 부드럽게 소화된다. 우유를 원료로 한 일반 조제분유와 달리 산양유로 만든 산양분유는 모유와 성분이 비슷해 특히 알레르기 질환이 있거나 소화율이 낮은 아기들의 대용식으로도 좋다. 산양유에 함유되어 있는 철분과 아연은 흡수가 잘 되고 생체 이용률이 높아 성장 발달을 도와 줄뿐 아니라 항산화 성분 셀레늄이 우유보다 27% 많이 함유돼 있다. 모유는 갓난아이에게 완전식품이기 때문에 단백질의 영양학적 가치 평가는 모유 단백질의 조성과 비교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산양유는 모유와 가장 가까운 식품으로 사람의 인체에 가장 적합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일본에서는 각 가정에서 음용(飮用)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중해 연안에서는 산양유는 양(陽) 의 기운이 강한 대표적인 식품으로 양기를 돋우고 신(腎)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의 기운이 약한 노약자, 환자들에게 권장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그래서 예로부터 산양유를 “가난한 자의 젖”이라 불렀으며 인도의 간디는 오랜 단식 후 몸의 회복을 위해 항상 산양유를 마셨다고 한다.
양하(Zingiber mioga ) 는 생강과 식물로 아시아 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다. 뿌 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비늘 조각 모양의 잎으로 덮여있다. 잎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서로 감싸면서 줄기 모양으로 자라 높이가 40∼100cm에 달한다. 꽃은 8∼10월에 황색으로 피고 지름이 5cm이며 꽃줄기에 긴 타원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뿌리줄기 끝에서 비늘 조각 모양의 잎에 싸여 나오고 길이가 5∼7cm에 달한다. 포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화관은 3개로 갈라진다. 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 중 가운데 것이 가장 크며, 수술은 1개이다. 꽃이 피기 전의 꽃줄기를 식용하고, 봄에는 잎이 피기 전의 줄기를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와 종자를 약재로 쓰는데, 뿌리줄기는 여성의 생리불순과 백대하를 치료하고 진해·거담 효과가 있으며 종기와 안구 충혈에도 사용한다. 종자는 복통이 심할 때 설탕과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산양유 및 양하 추출물의 유효성분 외에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자체가 식품에서 유래한 것으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화장품 재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양하를 추출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살균된 산양유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양하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된 양하를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이나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20배를 가한다. 이를 냉각 콘덴서가 장착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양하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양하 추출물은 전체 추출액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0.01 내지 10.0 (w/v)%의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w/v)%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양유는 산양 목장에서 얻어진 산양유를 통상적인 우유의 저온살균법을 사용하여 살균한 후 냉각시킨다. 살균된 산양유를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첨가시 문제로 될 수 있는 산양유 특유의 취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염 등을 제거한다. 그 후 마이크로 플루다이저 등을 이용하여 더욱 피부에 흡수되기 좋게 균질화하여 양하 추출물과 일정비율로 섞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의 혼합물은 화장료 처방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의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제1형 알러지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발적, 피부 건조, 홍반 등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 배합시 보존 안정화가 쉽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1. 양하 추출물 제조방법
완전 건조시킨 양하 500g 을 증류수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물은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0.45㎛ 의 필터로 여과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20.2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1-2~1-7
하기 표1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용매 조성에 따른 양하 추출물 및 그 수율
추출용매 고형분(%) 수득량(g)
실시예 1-1 증류수 1.98 480
실시예 1-2 에틸알코올 2.0 473
실시예 1-3 30% 함수 에틸알코올 2.4 498
실시예 1-4 부틸렌글리콜 2.6 495
실시예 1-5 30% 함수 부틸렌글리콜 2.5 479
실시예 1-6 프로필렌글리콜 2.12 472
실시예 1-7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2.1 474
실시예 2 산양유 제조 방법
강원도 대관령에서 얻어진 산양유 50L를 65℃에서 30분간 살균하여 4℃로 냉각시킨 후, 여기에 80-100 mesh(알드리치사) 크기의 활성탄 50g을 넣어 1시간동안 교반하여 준다. 활성탄과 잘 섞인 산양유를 10,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0.8㎛, 0.4㎛, 0.2㎛ 및 0.1㎛ 입자 크기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산양유를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사용하여 1,000bar의 압력으로 3회 반복하여 균질화시켜 45.2L의 균질화된 산양유를 얻었다.
예비 실험예 1.
여러 용매로 추출한 양하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완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피를 배양하여 자극을 유발시킨 후 각 부위별 추출물의 IL-1α의 방출양을 알아보았다. 이 중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낸 추출용매의 양하 추출물을 산양유와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IL-1α(interleukin-1α)는 전염증 작용인자 (pre-inflammatory mediator)로 작용하는 세포간 신호물질 (cytokine)로 상처 (wound)의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의 잠재적인 유도체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과 염증성 반응 조절인자로서 백혈구 운동을 촉진시키는 leukotriene B4, 5-, 12-, 15 HETE 같은 arachidonic acid lipoxygenase metabolites 생산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ypeⅠ collagen matrix (Bioland, Korea)와 5배로 농축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USA), 그리고 2.2% NaHCO3와 200mM HEPES, 0.05N NaOH로 제조된 완충용액을 7:2:1로 섞어 만든 human fibroblasts cell line(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at. No. CRL-2076) 을 density 1×105 cells/ml로 혼합하여 직경 10mm의 insert에 각 각 200㎕의 피브로블라스트(fibroblasts)가 혼합된 콜라겐 용액을 넣어 진피를 제조한다. 진피 제조 후 10% FBS를 함유하는 DMEM를 2일마다 교체하여 7일간 배양한다. 배양된 진피 위에 10 ㎕의 피부자극물질 (SLS : sodium lauryl sulfate)을 투여하고 4 시간 뒤 각각의 추출물을 10 ㎕ 적용한 후 37 ℃, 5% CO2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다. IL-1α는 배지 표본을 취하여 Human IL-1α assay kit (Endogen Inc. Boston, MA, USA)을 이용하였으며 ELISA-reader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진피에서의 항염증 효과
예비 실시예 추출 용매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최종농도(㎍/ml) IL-1α 방출량(pg/ml)
SLS(염증유발물질) 0.07% 89.7
예비 실시예 1 증류수 100 66.5
예비 실시예 2 에틸알코올 100 73.9
예비 실시예 3 30% 함수 에틸알코올 100 69.3
예비 실시예 4 프로필렌글리콜 100 69.6
예비 실시예 5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100 63.9
예비 실시예 6 부틸렌글리콜 100 67.3
예비 실시예 7 30% 함수 부틸렌글리콜 100 59.8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제조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표3과 같은 혼합비로 섞은 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 비율
실시예 추출물의 혼합비율(%)
산양유 양하 추출물
실시예 1 0 100
실시예 2 10 90
실시예 3 20 80
실시예 4 30 70
실시예 5 40 60
실시예 6 50 50
실시예 7 60 40
실시예 8 70 30
실시예 9 80 20
실시예 10 90 10
실시예 11 100 0
실험 예 1 . 마우스 귀부종에 대한 항염증 실험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5에 나타내었다.
※ 억제율(%) = (A―B) / A ×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비처리 귀의두께)
B : 시료도포군 귀의두께(시료처리귀의 두께-비처리귀의 두께)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 억제율
시료 시료 처리 량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Indomethacin 1.0㎍/ml 에탄올 284 421 45.6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9 551 -
실시예 1 100㎕ 에탄올 284 505 12.4
실시예 2 100㎕ 에탄올 294 511 13.8
실시예 3 100㎕ 에탄올 295 503 17.4
실시예 4 100㎕ 에탄올 295 498 19.6
실시예 5 100㎕ 에탄올 263 466 19.5
실시예 6 100㎕ 에탄올 279 495 14.3
실시예 7 100㎕ 에탄올 288 499 16.4
실시예 8 100㎕ 에탄올 284 487 19.3
실시예 9 100㎕ 에탄올 283 472 25.0
실시예 10 100㎕ 에탄올 296 497 20.2
실시예 11 100㎕ 에탄올 279 477 21.4
실험예 2.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성된 formazan 유도체는 용해제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CD4+ T cell)을 MTT(3-[4,5-dimethylthiazole-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RPMI1640(GIBCO, USA) 배지에서 10% FBS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면역세포 생육활성 측정은 24well plate에 세포농도를 4x104 cells/ml로 하여 배양 24시간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적용한다. 48시간 배양 후 각각의 well에 있는 배지를 버리고 MTT 용액을 well당 1000㎕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00㎕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를 총 8일에 걸쳐 측정하여 세포의 생육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CD4+ T cell)을 사용하여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9를 적용한 경우 가장 좋은 생육활성을 보여 면역활성을 높여줌을 알 수 있다.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면역세포 생육 활성 평가 결과
실시예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최종농도(㎍/ml) 생육활성(%)
B 세포 T 세포
실시예 1 200 100 102
실시예 2 200 103 101
실시예 3 200 101 106
실시예 4 200 104 107
실시예 5 200 105 109
실시예 6 200 107 106
실시예 7 200 105 111
실시예 8 200 112 109
실시예 9 200 117 120
실시예 10 200 113 110
실시예 11 200 110 107
실험예 3. 항알러지 실험 (β- hexosaminidase 방출량 측정)
β-hexosaminidase는 mast cell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로 mast cell이 면역반응에 의해 활성화되면 histamine과 함께 방출된다. 그러므로, mast cell의 탈과립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Planta Med. 64, 577-578 (1998)>
RBL-2H3 cell을 10% FBS과 글루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EMEM로 배양한다. 24well plate에 세포를 well당 5x105 개로 분주한다. 이 때 사용 배지는 EMEM 에 0.5㎍/㎖의 mouse monoclonal IgE 함유된 것을 사용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세포를 well 당 siraganian buffer I 500㎕를 사용하여 헹구어 내고, siraganian buffer II 160㎕ 첨가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0분 동안 배양한다. 산양유와 양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0분 동안 배양하고 10분간 antigen(1㎍/㎖, DNP-BSA)을 처리한다. 10분간 ice bath 에 처리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분리한다. 상층액에 substrate(1mM ρ-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20㎕ 처리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한 후 0.1M Na2CO3/NaHCO3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억제율(%) =(B-C-D)/(A-C-D)
-A(control) : test material 첨가하지 않은 것 (allergen IgE 반응 측정)
-B(treated) : test material 첨가 (allergen IgE 반응 측정)
-C(blank) : test material 과 substrate 만 ELISA plate에 첨가
-D(spontaneous) : antigen, IgE , test material 첨가하지 않은 것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항알러지 평가 결과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최종농도(㎍/ml) β- hexosaminidase 방출 저해율(%)
실시예 1. 200 21.3
실시예 2. 200 23.6
실시예 3. 200 27.9
실시예 4. 200 32.8
실시예 5. 200 25.6
실시예 6. 200 29.9
실시예 7. 200 30.4
실시예 8. 200 35.8
실시예 9. 200 45.8
실시예 10. 200 39.4
실시예 11. 200 35.9
실험예 4. 알러지 평가( LLNA assay )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에 대한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3일 동안 하루 한번씩 시료를 마우스 귀에 25㎕씩 도포하여 4일째 임파절을 떼어내어 임파구를 분리후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 - 48시간 배양한후 증폭정도를 방사선 동위원소 [3H]-메칠티미딘(methyl thymidine)의 삽입량으로 측정한다. 국부임파절평가 (LLNA:local lymph node assay)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정도로 나타내며 한 가지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자극지수(S.I:stimulation index)가 3이상이고 농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였다.
※-cpm(counter per minute):[3H]-메칠티미딘(methyl thymidine)이 세포내로 삽입되는 양
-S.I(stimulation index) :시료의 평균 cpm을 대조군의 평균 cpm으로 나눈 값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물의 자극지수(S.I)가 3 이하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최종농도(㎍/ml) 평균 cpm 증폭정도(S.I)
에탄올(60%) 100 2261 ± 121
실시예 1 100 3215 ± 125 1.86
실시예 2 100 3233 ± 265 1.62
실시예 3 100 3187 ±288 1.54
실시예 4 100 2993 ±231 1.98
실시예 5 100 4533 ± 215 1.45
실시예 6 100 4238 ± 241 1.27
실시예 7 100 4548 ± 331 2.01
실시예 8 100 4522 ± 135 1.70
실시예 9 100 4002 ± 195 1.74
실시예 10 100 4566 ± 301 1.59
실시예 11 100 4577 ± 302 1.32
처방예 1.
실시예 9의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처방예 1 처방예 1-1 비교처방예 1
1 산양유와 양하 추출혼합물 (실시예 5) 5.0 10.0 -
2 밀납 1.0 1.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5 유동 파라핀 10.0 10.0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0.1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7 - - 10
<제조방법>
처방예 1, 1-1: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열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열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7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실시예 9의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산양유와 양하 추출혼합물 (실시예 5) 5.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2, 13, 14,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15를 투입하여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3.
실시예 9의 산양유와 양하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워시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 (실시예 5) 5.0
2 티.이.에이.-코코일 글루타메이트 30.0
3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썩시네이트글리세린 10.0
4 글리세린 10.0
5 코카마이드 디.이.에이. 2.0
6 피.이.지.-120 메칠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 1.0
7 메칠글루세스-20 0.5
8 피.이.지.-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스테아레이트 0.5
9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0.05
10 방부제 미량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3,4,5,6,7,8,9,10을 순차적으로 제조부에 투입하고 60 내지 65℃로 가열한 후 15분간 교반 한다. 교반이 끝나면 12의 일부를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후 다시 12의 일부를 천천히 투입하고, 30분간 교반 후에 35℃까지 냉각하고 1,11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실시예 9의 산양유와 양하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샴푸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 (실시예 5) 5.0
2 티.이.에이.-코코일 글루타메이트 35.0
3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10.0
4 글리세린 5.0
5 코카마이드 디.이.에이 3.0
6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썩시네이트 2.0
7 라우레스-2 1.5
8 피.이.지.-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스테아레이트 1.5
9 리놀아미노프로필 피.지-디모늄 클로라이드 인산 1.5
10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1.0
11 올리브오일 피.이.지.-7 에스테르 1.0
12 피.이.지.-120 메칠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 1.0
13 메칠글루세스-20 1.0
14 피.이.지-12 디메치콘 0.7
15 폴리쿼터늄-7 0.5
16 폴리쿼터늄-10 0.1
17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0.1
18 방부제 적량
19 향료 적량
20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3,4,5,6,7,8,9,10,11,12,13,14,17,18을 순차적으로 제조부에 투입하고 60 내지 65℃로 가열한 후 30분간 교반한다. 별도 용해부에서 15,16,20의 일부를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후 제조부에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한다. 다시 20의 일부를 천천히 투입하고 30분간 교반 후에 35℃까지 냉각하고, 1,19를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적용예 1. 3차원 생인공피부에서의 항염증( IL -1α 방출량 측정)
IL-1α(interleukin-1α)는 전염증 작용인자 (pre-inflammatory mediator)로 작용하는 세포간 신호물질 (cytokine)로 상처 (wound)의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의 잠재적인 유도체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과 염증성 반응 조절인자로서 백혈구 운동을 촉진시키는 leukotriene B4, 5-, 12-, 15 HETE 같은 arachidonic acid lipoxygenase metabolites 생산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차원 인공피부를 배양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IL-1α의 방출량을 알아보았다.
처방예 1,1-1과 비교처방예 1 의 로션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TypeⅠ collagen matrix (Bioland, Korea)와 5배로 농축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USA), 그리고 2.2% NaHCO3와 200mM HEPES, 0.05N NaOH로 제조된 완충용액을 7:2:1로 섞어 만든 human fibroblasts cell line(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at. No. CRL-2076) 을 density 1×105 cells/ml로 혼합하여 직경 10mm의 insert에 각 각 200ul의 fibroblasts가 혼합된 collagen solution을 넣어 진피를 제조한다. 진피 제조 후 10% FBS를 함유하는 DMEM를 2일마다 교체하여 7일간 배양한다. 배양된 진피위에 normal keratinocyte를 3×105 cells/insert로 접종한다. DMEM (10% FBS)와 K-SFM (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 GIBCO, USA) (supplemented with EG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BPE(bovine pituitary extract)를 1:1로 섞은 배지를 넣고 7일간의 submerge culture 후 기액 계면에서 배양 (air-liquid interface culture)하기 위하여 insert안의 배지는 제거하고 insert 밖에만 submerge culture시 사용한 배지를 사용하여 14일 동안 air-liquid interface culture 하였다. 배양된 인공피부의 배양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새 배지를 조직 배양 용기밖에 1.5 ㎖을 넣는다. Insert 내에 10 ㎕의 피부자극물질 (SLS : sodium lauryl sulfate)을 투여하고 4 시간 뒤 각 농도의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10 ㎕ 적용한 후 37 ℃, 5% CO2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다. SLS 와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농도는 용액에 대한 독성 물질의 무게 퍼센트로 하였다. IL-1α는 배지 표본을 취하여 Human IL-1α assay kit (Endogen Inc. Boston, MA, USA)을 이용하였으며 ELISA-reader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8에 나타내었다.
3차원 생인공 피부에서의 항염증 효과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의 최종농도(㎍/ml) IL -1α 방출량( pg / ml )
SLS 0.07% 79.3
비교처방예 1 50 73.2
처방예 1 50 62
처방예 1-1 50 50.1
적용예 2. 피부1차 자극 후 홍반 완화 효과 ( 폐쇄첩포실험 )
처방예 1, 처방예 1-1 과 비교처방예 1의 영양로션에 피부자극제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ly Sulfate)이 0.5% 되도록 넣고 피부 도포시 홍반 완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과 다른 습진의 현병력 및 과거력이 없는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단된 3세 이상의 건강한 남, 여 소아 및 어린이 20명(연령분포:3-8세, 평균연령:5세, 남자 15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검자의 양측 전완부 내측 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에 홍반지수(erythema index: E-index)를 측정하고 large finn chamber(Epitest, Hyryla Finland)와 여과지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동안 첩포를 부착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홍반지수측정은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공간에서 피검자가 검사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30분 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행하였다. Dermaspectometer(Cortex Technology, Hadsund, Denmark)를 이용하여 측정 후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실내온도는 22℃, 습도는 43%였다.
피부1차 홍반 완화 시험결과
시 료 BL DAY0 DAY1 DAY2 WEEK1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5% 8.9 16.9 14.1 13.3 11.1
비교 처방예 1 8.9 14.8 12.1 10.3 10.1
처방예 1 9.0 12.9 10.7 9.8 9.5
처방예 1-1 8.8 12.3 10.2 9.4 9.2
상기 조사결과와 같이 산양유와 양하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처방예 1과 처방예 1-1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처방예 1보다 피부 홍반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용예 3. 피부감작에 의한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 억제 효과
처방예 1,1-1과 비교처방예 1 의 로션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일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8-10주령의 C57BL/6 생쥐를 대상으로 복부를 제모한 후 FS-20 sun lamp를 이용하여 자외선 B 2.4KJ/㎡ 로 조사하여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이 대조군에 비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제모한 쥐 복부에 처방예 2, 2-1과 비교처방예 2의 로션을 UV 조사 후 도포하고 3일이 경과한 다음 UV 조사 영역에 3% trinitrochlorobenzene으로 감작시켰다. 6일 후 1%의 trinitrochlorobenzene을 생쥐의 귀에 도포하고 부종상태를 측정하여 면역증강효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 료 면역증강효과 (%)
비교 처방예 1 2.7
처방예 1 18.9
처방예 1-1 25.6
처방예 1,1-1과 비교처방예 1 의 로션을 제조하여 피부감작에 의한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을 실험한 결과 처방예 1, 1-1 적용한 경우, 1차 자극 후 2차 피부 감작에 따라 나타난 피부 자극 및 홍반, 부종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보아 면역증강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1)

  1.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하 추출물은 10-37℃에서 용매에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하 추출물은 용매를 가해 5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에 사용된 용매는 물, 무수 또는 함수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또는 영양에센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아전용 화장수(스킨로션), 로션, 크림, 자외선차단 로션 또는 자외선차단 크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아전용 목욕 세정제, 샴푸 또는 비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양하 추출물은 전체 추출액에 대한 고형분 함량으로 0.01 내지 10.0 %(w/v)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양하 추출물은 전체 추출액에 대한 고형분 함량으로 0.1 내지 5.0%(w/v)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하기 1) 내지 5)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건조된 양하를 준비하는 단계;
    2) 건조된 양하에 용매를 가하여 가열 또는 침적시켜 추출하는 단계;
    3) 2)의 양하 추출물을 농축, 건조시켜 건조 추출물을 얻는 단계;
    4) 산양유를 살균하는 단계;
    5) 4)의 산양유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6) 5)의 산양유를 균질화하는 단계; 및
    7) 3)의 양하 추출물과 6)의 산양유를 혼합하는 단계
KR1020060028964A 2006-03-30 2006-03-30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964A KR100719761B1 (ko) 2006-03-30 2006-03-30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964A KR100719761B1 (ko) 2006-03-30 2006-03-30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761B1 true KR100719761B1 (ko) 2007-05-17

Family

ID=3827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964A KR100719761B1 (ko) 2006-03-30 2006-03-30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687A1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유니베라 양하 꽃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71912B1 (ko) * 2015-05-20 2016-11-02 (주)에이씨티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내포하는 나노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9331A (ko) 2015-04-30 2016-11-09 (주)에이씨티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084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9524A (ko) * 2020-08-10 2022-02-17 문정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721A (en) 1980-01-16 1981-08-12 Sachiko Suzuki Drug extract acting on central nervou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721A (en) 1980-01-16 1981-08-12 Sachiko Suzuki Drug extract acting on central nervous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687A1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유니베라 양하 꽃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9331A (ko) 2015-04-30 2016-11-09 (주)에이씨티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4652B1 (ko) * 2015-04-30 2017-03-09 (주)에이씨티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1912B1 (ko) * 2015-05-20 2016-11-02 (주)에이씨티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내포하는 나노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084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0976B1 (ko) 2020-05-14 2022-03-31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9524A (ko) * 2020-08-10 2022-02-17 문정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7911B1 (ko) * 2020-08-10 2023-05-30 문정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071976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3088B1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H10120583A (ja) 抗アレルギー剤、ケミカルメディエーター遊離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性化粧料,医薬品並びに食品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969757B1 (ko)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187A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2346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CN112656716A (zh) 一种绿色健康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