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06B1 -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06B1
KR100718706B1 KR1020060069531A KR20060069531A KR100718706B1 KR 100718706 B1 KR100718706 B1 KR 100718706B1 KR 1020060069531 A KR1020060069531 A KR 1020060069531A KR 20060069531 A KR20060069531 A KR 20060069531A KR 100718706 B1 KR100718706 B1 KR 10071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ranch
driven gear
timing be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주)대영프로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프로파일 filed Critical (주)대영프로파일
Priority to KR102006006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형 디스플레이나 LCD 또는 포토 마스크용 글라스와 같이 취급 시 주의가 요구되는 운반물을 상하로 이송할 때, 상기 운반물의 변(邊)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이 지지되는 다수의 승강수단을 하나의 동력원으로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는 하나의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회전력이 다수의 분력(分力)으로 분기되는 동력분기수단과, 상기 동력분기수단에서 분기된 각각의 분력에 의해 동시에 승강 구동되는 다수의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LCD, 경량패널, 리프트, 업-다운 시스템, 동력분기식, 다점지지

Description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Lifter for carrying LC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타이밍벨트 연결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모터 11… 구동기어
20… 제1회전축 21… 제1종동기어
22… 제2종동기어 30… 제2회전축
31… 제3종동기어 40… 승강수단
41… 수직프레임 42… 타이밍풀리
43… 타이밍벨트 50… 지지구
51… 고정편 52… 지지편
53… 간격조절자
본 발명은 수직운반장치(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CD나 평판형 디스플레이 또는 포토 마스크용 글라스와 같이 취급 시 주의가 요구되는 운반물을 임의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업-다운할 때, 상기 운반물의 변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이 얹혀지는 다수의 승강수단을 하나의 동력원으로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한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와 같은 평판형 물품의 수직이송에 이용되는 종래 수직운반장치는 평판형 물품의 변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업-다운 유닛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업-다운 유닛으로 볼 스크루장치나 LM가이드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볼 스크루장치나 LM가이드는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하나만 작동되기 때문에 다수의 볼 스크루장치와 LM가이드가 요구되는 종래 수직운반장치는 다수의 동력원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각각의 볼 스크루장치나 LM가이드를 일시에 구동하는 것이 어렵고, 동력전달계통이 매우 복잡해진다. 또한, 다수의 동력원을 배치하는데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므로, 장치의 대형화와 중량화가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설치된 장소를 이리저리 옮길 수 있는 소형 수직운반장치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력전달계통이 종래의 것보다 단순하고, 전체적으로 장치가 소형화/경량화됨으로써 설치장소의 이전이 용이하며, 하나의 동력원으로 여러 대의 장치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물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물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설계변경이 쉽게 이루어지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는 하나의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이 다수의 분력으로 분기되는 동력분기수단과,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각각의 분력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다수의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단부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타이밍풀리와, 상기 타이밍풀리에 둘러 감긴 타이밍벨트와, 운반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밍벨트의 한쪽에 체결된 지지구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2)
또한, 상기 지지구는 타이밍벨트의 한쪽 끝 부분에 고정된 고정편과, 타이밍벨트의 다른 쪽 끝 부분에 고정된 지지편과, 상기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 간 결합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에 걸쳐 관통설치된 간격조절자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3)
또한, 상기 동력분기수단은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이 2개의 분력으로 분기되는 제1분기부와, 상기 제1분기부로부터 공급된 분력이 2개의 더 작은 분력으로 재차 분기되어 양 방향으로 출력되는 제2분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4)
또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5)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모터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이 90°방향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는 통상 구조의 감속기를 상기 구동축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상기 구동기어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분기수단의 제1분기부는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1종동기어가 축 결합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양측 끝 부분에 축 결합한 제2종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동력분기수단의 제2분기부는 제1분기부의 제2종동기어에 맞물리는 제3종동기어와 상기 제3종동기어가 중간에 축 결합하고 상기 승강수단의 타이밍풀리가 양측 끝 부분에 축 결합한 제2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6)
또한, 상기 지지구의 최저하강위치와 최대상승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밍풀리의 회전방향을 자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접촉식/비접촉식의 스위치/센서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분력에 의해 각각의 승강수단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의 간격조절자를 죄거나 풀어 줌으로써 상기 지지구에 얹혀져 수직이송되는 운반물의 수평잡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기부의 제1회전축 상에 다수의 종동기어를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고 이들 각각의 종동기어마다 상술한 구성의 제2분기부를 추가로 연결설치할 경우, 더 넓은 면적의 운반물을 여러 군데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여건에 따른 설계의 변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평면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측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의 타이밍벨트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도 잘 나타나 있듯이, 본 실시예의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는 운반물 지지에 총 4개의 승강수단(40)이 이용되고 있으며, 평면배치 형상도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 승강수단은 수직프레임(41)의 상·하단에 설치된 타이밍풀리(42)의 바깥쪽으로 타이밍벨트(43)가 둘러져 있는데 특히 타이밍벨트의 한쪽에는 운반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50)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는 수평프레임이 각기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을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50)는 타이밍벨트의 한쪽 끝 부분에 고정된 고정편(51)과 다른 쪽 끝 부분에 고정된 지지편(52)이 볼트 모양의 간격조절자(53)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간격조절자(53)를 죄거나 풀면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 사이의 간극이 좁혀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간격조절자를 죄거나 푸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 간 결합특성이 변하게 되며, 간격조절자의 수직높이를 개별적으로 조금씩 조정하여 운반물을 정확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모터(10)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출력방향이 90°방향전환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장착된 베벨기어 형태의 구동기어(11)로 구성된 동력발생수단이 사용되었는데, 상기 구동기어(11)에는 제1회전축(20)의 제1종동기어(21)가 맞물려 있어 구동기어가 회전할 때 제1회전축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제1회전축(20)의 양 끝부분에 장착된 제2종동기어(22)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2종동기어에는 제2회전축(30)의 제3종동기어(31)가 맞물려 있어 제2회전축의 양 단부에 설치된 타이밍풀리(42)가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타이밍벨트의 한쪽에 장착된 지지구(50)가 최대상승높이와 최저하강높이 사이를 왕복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운반물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는 하나의 동력원(모터)에서 분기된 분력이 각각의 승강수단에 공급되어 타이밍풀리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승강수단의 구동시기를 맞추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또한, 회전축과 종동기어만으로 구성된 매우 단순한 구조의 동력분기수단을 통해 모터의 회전력이 승강수단까지 전달되므로 장치의 소형화/경량화가 달성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벨트의 한쪽에 장착된 지지구의 간격조절자를 죄거나 푸는 간단 한 조작에 의해 운반물의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운반물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수직운반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이 다수의 분력(分力)으로 분기되는 동력분기수단과;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각각의 분력에 의해 동시에 승강 구동되는 다수의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상·하단부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타이밍풀리와, 상기 타이밍풀리에 둘러 감긴 타이밍벨트와, 운반물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밍벨트의 한쪽에 체결된 지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타이밍벨트의 한쪽 끝 부분에 고정된 고정편과, 타이밍벨트의 다른 쪽 끝 부분에 고정된 지지편과, 상기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 사이의 결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에 걸쳐 관통설치된 간격조절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기수단은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이 2개의 분력으로 분기되는 제1분기부 및 상기 제1분기부로부터 공급된 각각의 분력이 2개의 분력으로 재차 분기되어 양 방향으로 출력되는 제2분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기수단의 제1분기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1종동기어가 축 결합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양측 끝 부분에 축 결합한 제2종동기어; 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분기수단의 제2분기부는
    상기 제1분기부의 제2종동기어에 맞물리는 제3종동기어와 상기 제3종동기어가 중간에 축 결합하고 상기 승강수단의 타이밍풀리가 양측 끝 부분에 축 결합한 제2회전축;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KR1020060069531A 2006-07-25 2006-07-25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KR10071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31A KR100718706B1 (ko) 2006-07-25 2006-07-25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31A KR100718706B1 (ko) 2006-07-25 2006-07-25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37U Division KR200429513Y1 (ko) 2006-08-09 2006-08-09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706B1 true KR100718706B1 (ko) 2007-05-16

Family

ID=3827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31A KR100718706B1 (ko) 2006-07-25 2006-07-25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68B1 (ko) * 2008-06-18 2011-10-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글래스 패널의 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KR101132248B1 (ko) 2012-01-31 2012-03-30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리프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447A (ko) * 1995-12-30 1997-07-22 전성원 피가공체의 홀을 이용한 오토 클램프 운반장치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447A (ko) * 1995-12-30 1997-07-22 전성원 피가공체의 홀을 이용한 오토 클램프 운반장치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68B1 (ko) * 2008-06-18 2011-10-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글래스 패널의 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KR101132248B1 (ko) 2012-01-31 2012-03-30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231B2 (en) Vertical carrying apparatus
US20180111767A1 (en) Conveyance device, planar conveyance apparatus, and conveyance unit
US9670002B2 (en) Conveyor device
KR101865015B1 (ko)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JP2005350147A (ja) フリーフロー搬送システム
CN107381048A (zh) 换向输送设备和玻璃深加工生产线
KR20090011381A (ko) 기판이송장치
KR20020070780A (ko) 판형상체 반송장치
KR100718706B1 (ko)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KR101131772B1 (ko)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CN101677078B (zh) 基板定位装置
KR100854072B1 (ko) 기판 검사 장치
US20050115773A1 (en) Lift for substrate
KR200429513Y1 (ko) 동력분기식 수직운반장치
JP2012250809A (ja) 移載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
US7191874B2 (en) Carrying apparatus
KR20060025689A (ko) 대형 기판 반송 시스템 및 그의 반송 방법
US5735389A (en) Conveying system
CN102674153A (zh) 一种在无尘室中使用传送带的起重机装置
CN210824364U (zh) 一种电路板输送装置
GB2079235A (en) Article Transfer System
CN208699263U (zh) 一种带有定位装置的轨道输送装置
KR20210137262A (ko) 타워 리프트
CN207390306U (zh) 一种物料倍速链输送装置
CN201109626Y (zh) 皮带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