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72B1 -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772B1
KR101131772B1 KR1020110065939A KR20110065939A KR101131772B1 KR 101131772 B1 KR101131772 B1 KR 101131772B1 KR 1020110065939 A KR1020110065939 A KR 1020110065939A KR 20110065939 A KR20110065939 A KR 20110065939A KR 101131772 B1 KR101131772 B1 KR 10113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acking box
packaging box
alignme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위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30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317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위파 filed Critical (주)위파
Priority to KR102011006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개 또는 20개 등의 단위별로 묶음 되어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단위포장박스(이하, '포장박스'로 칭함)를 로봇 팔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위치이동시 이송수단으로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이동수단이 적정한 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포장박스를 일시 다층으로 적재하되, 적재시 포장박스의 일부분이 꺾임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는 포장박스를 적재하는 스태커 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인입하는 인입수단과, 상기 인입수단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으로 정렬된 포장박스(B)를 상측으로 리프트하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수단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수단으로 유입된 포장박스(B)를 정렬수단으로 위치를 정렬한 후 리프트수단으로 상측으로 리프트하여 지지수단으로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B)를 다층으로 적재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STACKER FOR PACKING BOX}
본 발명은 10개 또는 20개 등의 단위별로 묶음 되어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단위포장박스(이하, '포장박스'로 칭함)를 로봇 팔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위치이동시 이송수단으로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이동수단이 적정한 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포장박스를 일시 다층으로 적재하되, 적재시 포장박스의 일부분이 꺾임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확대 적용되고 있는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물류는 로봇 팔과 같은 이동수단으로 또 다른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 또는 팰릿(pallet)과 같은 적재수단에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의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물류의 이송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의 경우에는 이송수단에 비하여 작업속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의 작업속도에 따라 물류작업의 속도가 정해진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서 공급되는 물류의 이송속도에 비하여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으로 이동되는 물류의 이동속도가 늦음으로써 보통 하나의 이송수단에 다수개의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다수개의 로봇 팔이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물류를 임시적재시켜 적재된 물류를 하나의 로봇 팔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스태커 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태커 장치의 경우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물류를 하측으로 하강시키고, 하강된 물류 위에 이송되는 다른 물류를 적층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태커 장치를 포장박스에 적용하는 경우 포장박스의 특성상 단부분이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절개되어 있어 종종 접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55844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8169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물류인 포장박스의 단부분이 접히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는 물류인 포장박스를 2층(단) 또는 3층(단) 등과 같은 복수층(단)으로 적재(층)시키고, 적재된 포장박스를 로봇 팔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적재시 선(先)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상측으로 리프트하고, 후(後)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리프트하여 선(先) 공급되는 포장박스의 하측으로 후(後) 공급되는 포장박스가 위치하도록 포장박스를 적재시키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는, 포장박스를 적재하는 스태커 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인입하는 인입수단과, 상기 인입수단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으로 정렬된 포장박스(B)를 상측으로 리프트하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수단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수단으로 유입된 포장박스(B)를 정렬수단으로 위치를 정렬한 후 리프트수단으로 상측으로 리프트하여 지지수단으로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B)를 다층으로 적재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수단은, 베이스에 이격되게 설치된 제1, 2 리프트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리프트장치는 베이스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이격되게 설치된 안내휠과, 상기 구동휠과 안내휠에 설치되는 리프트용 체인과, 상치 리프트용 체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는, 포장박스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리프트하여 선(先)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후(後) 공급되는 포장박스가 상측으로 이동시켜 포장박스를 적재(층)시킴으로써 포장박스의 외측부분이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先) 공급되어 지지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포장박스를 후(後) 공급되어 리프트수단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가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적재(층)의 높이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음으로 적재되는 층에 대한 변경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구성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인입수단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정렬수단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리프트수단에 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리프트수단이 이격거리조절장치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리프트수단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정렬수단과 리프트수단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지지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의 지지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가 포장박스를 2단으로 적재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는 포장박스(B)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과,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는 포장박스(B)의 공급속도에 맞추어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과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사이에 설치된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포장박스(B)의 공급속도는 2.5초당 1 묶음의 포장박스(B)가 공급되고,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은 1회 이동시간이 보통 4.5초가 걸리는 경우,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를 이용하여 2단으로 적층시킨 후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이 2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B)를 이동시키게 되면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는 포장박스(B)의 공급속도에 맞추어 이동수단(30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포장박스(B)는 보통 낱개의 포장박스가 10개 또는 20개 등과 같이 1 묶음되어 공급된다.
상기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포장박스(B)의 공급속도와,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으로 이동되는 포장박스(B)의 작업(이동)속도에 따라 1 묶음된 포장박스(B)를 2층(단), 3층(단) 등의 복수층(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의 구성은 크게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인입하는 인입수단(10)과, 상기 인입수단(10)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수단(20)과, 상기 정렬수단(20)으로 정렬된 포장박스(B)를 상측으로 리프트하는 리프트수단(30)과, 상기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0)으로부터 포장박스(B)를 공급받아 내측으로 이송(유입)시키는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인입수단(10)과, 상기 인입수단(10)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수단(20)과, 상기 정렬수단(20)으로 정렬되는 포장박스(B)의 양측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상측으로 리프트하도록 이루어진 리프트수단(30)과, 상기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과, 상기 지지수단(40)에 올려있는 포장박스(B)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수단(10)은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이송수단(200)으로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도록 이송하는 수단이다.
도 2와 도 3은 이러한 상기 인입수단(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입수단(10)은 인입용 구동모터(11)와, 상기 인입용 구동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다수개의 안내롤러(13)로 안내되는 컨베이어 밸트(14)와, 상기 컨베이어 밸트(14)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15)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안내롤러(13)는 인입수단용 수직프레임(16, 17)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수단용 수직프레임(16)은 후설되는 리프트수단(3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프트수단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고(도 5참조), 상기 인입수단용 수직프레임(17)은 베이스(1)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입수단(10)으로 이송되는 포장박스(B)는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도록 이동되며, 이동되는 포장박스(B)는 일측면에 형성된 위치설정용 가이드 부재(2)와 접촉함으로써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 부재(2)는 포장박스(B)의 종류(크기)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위치조절은 후설되는 리프트수단(3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프트수단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정렬수단(20)은 인입수단(10)으로 유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포장박스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좌우))를 정렬하여 리프트수단(30)으로 안정되게 리프트되도록 하며, 적층되는 포장박스(B)가 안정되게 적층되어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도 4는 이러한 정렬수단(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렬수단(20)은 도 4와 같이 정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진 정렬용 구동모터(21)와,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21)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과 이격되게 설치된 종동휠(23)과, 상기 구동휠(22)과 종동휠(23)에 설치된 밸트(24)와, 가이드대(25)와, 상기 밸트(24)에 설치되어 가이드대(25)를 따라 포장박스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정렬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휠(23)은 밸트(2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트(24)는 한쌍의 정렬대(26)로 정렬되는 포장박스(B)의 중심이 가상의 중심선(Y)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휠(22)과 종동휠(23) 사이에 미끄럼(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설정된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타이밍 밸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정렬수단(20)은 인입수단(10)으로 포장박스(B)가 유입되면 정렬용 구동모터(21)가 구동하여 도 4와 같이 한쌍의 정렬대(26)가 좁혀져 가상의 중심선(Y)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포장박스(B)를 정렬하고, 정렬 후 각각의 정렬용 구동모터(21)가 역회전하여 다음에 유입되는 포장박스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한쌍의 정렬대(26)가 넓혀진다.
상기 리프트수단(30)은 인입수단(10)으로 내측으로 유입되고, 정렬수단(20)으로 좌우(포장박스의 이송방향의 직교방향) 정렬된 포장박스(B)의 양 하부(측)면을 리프드바로 지지하여 상측으로 리프트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이러한 리프트수단(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리프트수단(30)은 베이스(1)에 이격되게 설치된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리프트장치(30a, 30b)는 베이스(1)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쌍의 수직프레임(31, 31')과, 리프트용 구동모터(32)와,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31, 31')에 설치된 구동휠(33)과, 상기 구동휠(33)에 이격되게 설치된 안내휠(34)과, 상기 구동휠(33)과 안내휠(34)에 설치되는 리프트용 체인(35)과, 상치 리프트용 체인(3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용 휠(36)과, 상기 리프트용 체인(35)에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바(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리프트수단(30)은 각각의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의 리프트바(37)가 정렬수단(20)으로 정렬되어 있는 포장박스(B)의 양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여 상측으로 리프트한다(도 8참조).
상기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의 이격된 거리를 포장박스(B)의 종류(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리프트수단(30)에는 이격거리조절장치(60)가 설치된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제1 리프트장치(30a)는 베이스(1)에 설치되어 있는 LM가이드대(3)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 리프트장치(30a)의 수직프레임(31, 31')이 LM가이드대(3)에 설치되어 이격거리조절장치(60)에 의하여 포장박스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2 리프트장치(30b)는 베이스(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이격거리조절장치(60)는 이격거리조절용 구동모터(61)와, 상기 이격거리조절용 구동모터(61)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축(62)과, 상기 스크류축(62)의 회전시 회전방향에 따라 도 6의 도면상 제1 리프트장치(30a)의 수직프레임(31, 31')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스크류축(62)과 수직프레임(31, 31')을 연결하는 브라켓(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40)은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이동수단(3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리프트된 포장박스(B)를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전(前) 리프트된 포장박스(B)의 하부면을 지지수단(40)은 지지하고, 다시 후(後)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가 전(前) 리프트된 포장박스(B)의 하측으로 리프트 됨으로써 도 11과 같이 포장박스가 적층이 된다.
이러한 지지수단(40)은 리프트수단(30)의 제1리프트장치(30a)와 제2리프트장치(30b)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안내휠(34)의 하측부분에 설치되어 리프트바(37)로 하측면이 지지되어 리프트되다가 상측에 설치된 안내휠(34) 부분에서 떨어지는 포장박스(B)를 지지하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이러한 지지수단(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40)은 리프트수단(30)인 제1리프트장치(30a)와 제2리프트장치(30b)의 각각의 수직프레임(31, 31')에 고정설치된 크로스바(45)와, 상기 크로스바(45)에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44)과, 상기 각각의 브라켓(44)의 관통홀에 설치된 탄성지지핀(43)과, 상기 탄성지지핀(43)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2)와, 상기 브라켓(44)에 힌지축(4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탄성부재(42)와 탄성지지핀(43)으로 탄성지지되고, 포장박스(B)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회전지지대(41)로 구성된다.
도 9와 도 11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4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와 도 10과 같이 포장박스(B)가 리프트수단(30)의 리프트바(37)로 하측면이 지지되어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에 의하여 지지수단(40)의 회전지지대(41)는 힌지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포장박스(B)가 지지수단(40)을 통과하게 되면 회전지지대(41)는 탄성부재(42)에 의하여 원상복귀된 후 리프트바(37)의 지지로부터 벗어나 떨어지는 포장박스(B)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리프트수단(30)의 리프트바(37)로 상측으로 리프된 후 지지수단(40)의 회전지지대(4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포장박스(B)를 잡아주는 수단이다.
도 5는 이러한 고정수단(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50)은 리프트수단(30)인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의 수직프레임(31, 31') 상측에 설치되어 지지수단(40)에 올려져 있는 포장박스(B)를 고정한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된 2'는 가이드 부재이다.
또한, 작동을 위하여 다수개의 작동센서, 감지센서 등이 설치되며 이들 각종센서의 신호를 받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이송수단(200)으로 포장박스(B)가 이송되고,
도 2와 같이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되는 포장박스(B)는 리프트수단(30)인 제2 리프트장치(30b)의 수직프레임(31, 31')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되는 포장박스(B)는 도 3과 같이 인입수단(10)에 의하여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 사이로 인입된다.
도 4와 도 8과 같이 인입수단(10)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는 정렬수단(20)에 의하여 정렬된다.
상기 정렬수단(20)에 의하여 정렬된 포장박스(B)는 리프트수단(30)에 의하여 상측으로 리프트된다.
즉, 도 5와 도 8과 같이 정렬된 포장박스(B)는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의 리프트용 체인(35)에 설치된 리프트바(37)에 의하여 하측면이 지지되어 상측으로 리프트된다.
상기 리프트바(37)에 의하여 하측면이 지지되어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는 도 11과 같이 안내휠(34) 부근에서 리프트바(37)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포장박스(B)는 지지수단(40)에 의하여 떨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지지수단(40)에 지지되어 있는 포장박스(B)는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아래에 위치하는 후(後)에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 지지수단(40)에 의하여 떨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이와 같이 2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는 도 1과 같이 이동수단(300)에 의하여 이동된다.
10 : 인입수단 20 : 정렬수단
30 : 리프트수단 40 : 지지수단
50 : 고정수단 60 : 이격거리조절장치
100 :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200 : 이송수단
300 : 이동수단

Claims (6)

  1. 포장박스를 적재하는 스태커 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포장박스(B)를 인입하는 인입수단(10)과;
    상기 인입수단(10)으로 인입된 포장박스(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수단(20)과;
    상기 정렬수단(20)으로 정렬된 포장박스(B)를 상측으로 리프트하는 베이스(1)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 2 리프트장치(30a, 30b)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리프트장치(30a, 30b)는 베이스(1)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쌍의 수직프레임(31, 31')과, 리프트용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휠(33)과, 상기 구동휠(33)에 이격되게 설치된 안내휠(34)과, 상기 구동휠(33)과 안내휠(34)에 설치되는 리프트용 체인(35)과, 상치 리프트용 체인(35)에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바(37)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30)과;
    상기 리프트수단(30)으로 리프트되는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수단(10)으로 유입된 포장박스(B)를 정렬수단(20)으로 위치를 정렬한 후 리프트수단(30)의 리프트바(37)로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측으로 리프트하고, 리프트된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수단(40)으로 지지함으로써 로봇 팔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으로 이송가능하게 포장박스(B)를 다층으로 적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10)은, 인입용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다수개의 안내롤러(13)로 안내되는 컨베이어 밸트(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20)은 정렬용 구동모터(21)와,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21)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 이격되게 설치된 종동휠(23)과, 상기 구동휠(22)과 종동휠(23)에 설치된 밸트(24)와, 상기 밸트(24)에 설치되는 한쌍의 정렬대(26)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30)에는 이격거리조절장치(60)가 설치되되,
    상기 제1 리프트장치(30a)는 베이스(1)에 설치되어 있는 LM가이드대(3)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 리프트장치(30a)의 수직프레임(31, 31')이 LM가이드대(3)에 설치되어 이격거리조절장치(60)에 의하여 포장박스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2 리프트장치(30b)는 베이스(1)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격거리조절장치(60)는 이격거리조절용 구동모터(61)와, 상기 이격거리조절용 구동모터(61)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축(62)과, 상기 스크류축(62)과 수직프레임(31, 31')을 연결하는 브라켓(6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0)은 힌지축(4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탄성부재(42)로 탄성지지되어, 포장박스(B)의 하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대(4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6. 삭제
KR1020110065939A 2011-07-04 2011-07-04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KR10113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39A KR101131772B1 (ko) 2011-07-04 2011-07-04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39A KR101131772B1 (ko) 2011-07-04 2011-07-04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772B1 true KR101131772B1 (ko) 2012-04-05

Family

ID=4614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939A KR101131772B1 (ko) 2011-07-04 2011-07-04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7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370A (zh) * 2013-12-23 2014-04-02 大连佳林设备制造有限公司 机电一体化连续提升机
KR101708860B1 (ko) * 2015-11-23 2017-03-15 우성오토콘(주) 이송 시스템 및 그 이송 방법
KR101772294B1 (ko) * 2015-12-18 2017-08-29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배송박스 적재 자동화 장치
KR101965141B1 (ko) 2018-05-17 2019-04-04 (주)위파 2개의 간추림용 로봇을 구비하는 적재시스템
KR20190077674A (ko) * 2017-12-26 2019-07-04 (주)연우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CN110282441A (zh) * 2019-07-19 2019-09-27 陕西红旗民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箱自动码垛移送装置及其移送方法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40Y1 (ko) * 2000-06-12 2000-12-15 이상길 포장 박스 적재 장치
JP2003246450A (ja) * 2002-02-26 2003-09-02 Kubota Corp 育苗箱積重ね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40Y1 (ko) * 2000-06-12 2000-12-15 이상길 포장 박스 적재 장치
JP2003246450A (ja) * 2002-02-26 2003-09-02 Kubota Corp 育苗箱積重ね機構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370A (zh) * 2013-12-23 2014-04-02 大连佳林设备制造有限公司 机电一体化连续提升机
CN103693370B (zh) * 2013-12-23 2016-08-17 大连佳林设备制造有限公司 机电一体化连续提升机
KR101708860B1 (ko) * 2015-11-23 2017-03-15 우성오토콘(주) 이송 시스템 및 그 이송 방법
KR101772294B1 (ko) * 2015-12-18 2017-08-29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배송박스 적재 자동화 장치
KR20190077674A (ko) * 2017-12-26 2019-07-04 (주)연우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KR102016118B1 (ko) * 2017-12-26 2019-08-29 (주)연우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KR101965141B1 (ko) 2018-05-17 2019-04-04 (주)위파 2개의 간추림용 로봇을 구비하는 적재시스템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102195581B1 (ko) 2019-02-22 2020-12-2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N110282441A (zh) * 2019-07-19 2019-09-27 陕西红旗民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箱自动码垛移送装置及其移送方法
CN110282441B (zh) * 2019-07-19 2024-01-26 陕西红旗民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箱自动码垛移送装置及其移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772B1 (ko)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JP2016052947A (ja) 物品搬送設備
TWI722208B (zh) 搬送系統
KR101437642B1 (ko) 트레이 피더
JP6696477B2 (ja) 搬送装置
JP2015222739A (ja) 搬送装置
KR20120106618A (ko) 물품 반송 설비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83714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256694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331895B2 (ja) 物品搬送設備
KR20140061242A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JPWO2007029401A1 (ja) ワーク搬入出システム及び搬送装置
WO2021254018A1 (zh) 自动播种墙
CN113291830A (zh) 一种码垛流水线
TWI403450B (zh) Substrate handling system
KR20160143383A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KR101082323B1 (ko) 포장박스용 로드 포머
KR20170020024A (ko) 상자 적재 장치 및 상자 적재 방법
KR101273607B1 (ko) 트레이 이송시스템
JP2019156502A (ja) パレタイズ装置
KR102535629B1 (ko) 이송 설비, 이송 방법
JP2004168483A (ja) 搬送システム
JP2017030884A (ja) パレット分離設備
TWI410364B (zh) 設有昇降機構之軌道行走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341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1023

Effective date: 2019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