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58B1 -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58B1
KR100718358B1 KR1020067004056A KR20067004056A KR100718358B1 KR 100718358 B1 KR100718358 B1 KR 100718358B1 KR 1020067004056 A KR1020067004056 A KR 1020067004056A KR 20067004056 A KR20067004056 A KR 20067004056A KR 100718358 B1 KR100718358 B1 KR 10071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dielectric layer
ofet
lay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479A (ko
Inventor
마르쿠스 하리크
안드레아스 월터
하겐 클라우크
귄터 슈미드
우테 제스치스창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6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1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only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L61/14Modified phenol-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2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leading to a crosslinking, either explicitly or inherent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2Non-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e.g. Gilch-type or Wessling-Zimmerman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반도체, 특히 유전체 층을 구비하고 있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적 회로는 a) 하나 이상의 가교결합성 베이스(base) 중합체 100부, b)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 10 내지 20부, c)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활성 양성자를 발생시키는, 하기 용매 d) 중에 용해된 하나 이상의 열 산 촉매 1 내지 10부, 및 d) 하나 이상의 용매로 이루어진 중합체 배합물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층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제조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특히 저온에서의 OFET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집적 회로, 및 청구 범위 제 8 항에서 청구한 바와 같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를 기본으로 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경제 전자 공학의 대규모적 적용 분야에서 유망한 기술을 형성한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층이 유기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특히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간주된다.
OFET를 사용하는 복합 회로를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용도가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기술을 기본으로 한 RF-ID(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의 도입은, 장애가 생길 수 있고 직접적으로 스캐너에 시각적으로 접촉시켜야만 사용될 수 있는 바코드에 대한 효과적인 대체물로서 간주된다.
특히,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서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는 가요성 기판 상의 회로는 본원의 대상이 된다.
대부분의 적합한 경제적 기판(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의 열 변형 때문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130 내지 150℃의 온도 상한이 존재한다. 특정 전제 조건, 예컨대 기판의 열적 예비처리 하에, 상기 온도 상한은 200℃로 증가될 수 있지만, 이러한 한정으로 기판의 변형이 감소되더라도 방지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부품의 경우, 중요한 공정 단계는 OFET의 유전체 층, 특히 게이트(gate) 유전체 층의 증착이다. OFET에서의 유전체의 품질은 열적, 화학적,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에 대한 매우 높은 필요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반도체 기술에서의 광범위한 유용성을 기본으로 할 때, 이산화 규소(SiO2)가 현재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OFET에서의 게이트 유전체이다. 따라서, 도핑된 규소 웨이퍼(wafer)가 게이트 전극으로서 작용하고, 그 위에 성장한 열적 SiO2가 게이트 유전체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SiO2는 약 8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제조된다. 또한, 다양한 기판 상에 SiO2를 증착시키기 위한 다른 공정(예, CVD)은 400℃ 초과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펜스테이트(PennState) 대학의 한 그룹이 80℃의 공정 온도에서 높은 품질의 SiO2를 증착시킬 수 있는 공정(이온 빔 스퍼터링(ion beam sputtering))을 개발하였다. 이는 문헌[C.D. Sheraw, J.A. Nichols, D.J. Gundlach, J.R. Huang, C.C. Kuo, H. Klauk, T.N. Jackson, M.G. Kane, J. Campi, F.P. Cuomo and B.K. Greening, Techn. Dig. -lot. Electron Devices Meet., 619 (2000), and C.D. Sheraw, L. Zhou, J.R. Huang, D.J. Gundlach, T.N. Jackson, M.G. Kane, I.G. Hili, M.S. Hammond, J. Campi, B.K. Greening, J. Francl and J. West, Appl. Phys. Lett. 80, 1088(2002)]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대량으로 제조되는 제품에 있어서 높은 공정 비용 및 낮은 생산량은 불리하다. 또한, 무기 질화물, 예컨대 SiNx', TaNx가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산화물의 제조와 유사하게, 무기 질화물의 증착은 고온 또는 높은 공정 비용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이는 문헌[B.K. Crone, A. Dodabalapur, R. Sarpeshkar, R.W. Filas, Y.Y. Lin, Z. Bao, J.H. O'Neill, W. Li and H.E. Katz, J. Appl. Phys. 89, 5125(200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혼성 용액(스핀 온 글래스(spin on glass))이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용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열적 전환에 의해 "유리-같은" 층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유기 실록세인이 기재되어 있다. SiO2로의 전환은 고온(약 400℃)에서 실시되거나 또는 오직 부분적으로만 일어나서 트랜지스터의 품질을 저하시킨다(이러한 점은 문헌[Z. Bao, V. Kuck, J.A. Rogers and M.A. Paczkowski, Adv. Funct. Mater., 12, 526(2002)]을 참고로 한다).
또한, 유기 중합체, 예컨대 폴리-4-비닐페놀(PVP), 폴리-4-비닐페놀-코-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이미드(PI)는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비교적 단순한 이들의 가공성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은 예를 들 어 스핀 코팅 또는 프린팅을 위해 용액으로부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뛰어난 유전체 성질은 이미 증명되어 있다(문헌[H. Klauk, M. Halik, U. Zschieschang, G. Schmid, W. Radlik and W. Weber, vol. 92, no. 10으로 인쇄되기로 예정되어 있는 J. Appl. Phys.(2002년 11월)]을 참고).
또한, IC의 적용, 이들의 구조화를 위해 요구되는 유전체 층의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 및 중합체의 가교결합에 의해 달성된 연이은 소스-드레인(source-drain) 층의 구조화를 입증하는 것이 가능하다(문헌[M. Halik, H. Klauk, U. Zschieschang, T. Kriem, G. Schmid and W. Radlik, Appl. Phys. Lett., 81, 289(2002)]을 참고).
그러나, 가교결합은 200℃의 온도에서 실시되고, 이는 넓은 면적을 갖는 가요성 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및 저온에서 가능한 OFET의 유전체 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집적 회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는 하기 a) 내지 d)로 이루어진 중합체 배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a) 하나 이상의 가교결합성 베이스(base) 중합체 100부,
(b)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 10 내지 20부,
(c)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활성 양성자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 산 촉 매 1 내지 10부, 및
(d) 하나 이상의 용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는 뛰어난 유전체 성질을 갖는 유기 층을 지닌 OFET이다. 사용된 특정 중합체 배합물로 인해, 집적 회로는 저온(150℃ 이하)에서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 배합물은 다른 전자 부품과 함께 기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이스 중합체가 페놀-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폴리-4-비닐페놀, 폴리-4-비닐페놀-코-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4-비닐페놀-코-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은 다이- 또는 트라이벤질 알콜 화합물, 특히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이다.
하나 이상의 가교결합 성분이 하기 구조 중 하나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Figure 112006014271005-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O-, -S-, -SO2-, -S2-, -(CH2)x-(이때, x는 1 내지 10), 및 부가적으로
Figure 112006014271005-pct00002
이다.
유리하게는, 사용된 열 산 촉매는, 150℃ 보다 낮은 온도에서 양성자를 벤질 알콜의 하이드록실 기로 전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설폰산, 특히 4-톨루엔설폰산이다.
유리한 용매는 알콜, 특히 n-뷰탄올,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틸 아세테이트(PGMEA), 다이옥세인, N-메틸피롤리돈(NMP), γ-뷰티로락톤, 자일렌 또는 혼합물이다.
우수한 가공성을 위해, 베이스 중합체, 가교결합 성분 및 산 발생제의 비율이 5 내지 20질량%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집적 회로, 특히 유전 체 층을 갖는 OFET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a) 청구 범위 제 1 항에서 기재된 중합체 배합물이 기판, 특히 예비구조화된 게이트 전극을 갖는 기판에 적용된 후, b) 게이트 유전체 층의 형성을 위해 가교결합 반응이 100 내지 150℃에서 수행된다.
그 후, OFET의 제조에 있어서, OFE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화가 유리하게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중합체 배합물은 스핀 코팅, 프린팅 또는 분무에 의해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가교결합 반응은 비활성 기체 대기, 특히 N2 대기하에 실시된다.
중합체 배합물의 적용 및 중합체 필름의 제조 후에, 특히 100℃에서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후, OFET의 제조를 위해, 소스-드레인 층을 게이트 유전체 층으로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종적으로, 특히 반도체 펜타센을 포함하는 OFET의 형성을 위한 활성 층을 소스-드레인 층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동태 층이 유리하게는 활성 층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수의 실시양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가교결합제로서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 및 PVP를 포함하는 중합체 게이트 유전체의 가교결합 반응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친전자적으로 가교결합된 게이트 유전체를 포함하는 OFET의 출력 특성 군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친전자적으로 가교결합된 게이트 유전체를 포함하는 OFET의 전송 특성 군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상의 자취를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게이트 전극
3 게이트 유전체 층
4a 드레인 층
4b 소스 층
5 활성 층
6 부동태 층
OFET는 개개의 층의 연결에 의한 집적 회로를 생성시키기 위해 모두 구조화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전자 부품이다.
도 1은 바닥 접촉 구조에서의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 유전체 층(3)에 의해 덮여지는 게이트 전극(2)은 기판(1)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실시양태에서 이미 기판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2)을 지닌 기판(1)은 그 위에 게이트 유전체 층(3)이 적용되는 개시 물질을 형성한다. 드레인 층(4a) 및 소스 층(4b)은 모두 활성 반도체 층(5)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유전체 층(3) 상에 배치되어 있다. 부동태 층(6)은 활성 층(5) 상에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유전체 층(3)의 증착 및 가공은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있어 결정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및 이의 제조로 게이트 유전체 층, 특히 낮은 공정 온도와 함께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및 전기적 성질을 갖는 유기 IC를 지닌 OFET의 구비 문제를 해결한다.
OFET는 기본적으로 4가지 성분, 즉, 베이스 중합체, 가교결합 성분, 열 산 발생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중합체 배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유전체 층을 가진다. 실시예에 의해 본원에서 언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실시양태는 하기 a) 내지 d)의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배합물을 가진다:
a) 가교결합성 베이스 중합체로서 PVP,
b)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으로서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
c) 산 촉매로서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활성 양성자를 발생시키는 4-톨루엔-설폰산, 및
d) 용매로서 예컨대, 알콜, PGMEA.
이러한 중합체 배합물은 상응하여 제조된 기판(1)에 적용된다(게이트 구조(2)는 이미 기판(1) 상에 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배합물은 프린팅, 스핀 코팅 또는 분무 코팅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알맞은 온도(약 100℃)에서 후속 건조함으로써, 중합체 배합물은 기판 상에 고정되고, 연이어 열 가교결합 단계에서 최종 구조로 전환된다.
도 2는 150℃의 온도에서 물을 제거하면서 어떻게 PVP가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과 가교결합되는지를 계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르게는, 하기 도시된 화합물은 또한 친전자성 가교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14271005-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O-, -S-, -SO2-, -S2-, -(CH2)x-(이때, x는 1 내지 10), 및 부가적으로
Figure 112006014271005-pct00004
이되, 이때 R2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아릴이다.
이 경우, 필요한 성질을 지닌 게이트 유전체 층(3)의 제조를 위한 결정적인 단계는, 기판에 대해서는 중요하지 않는 온도에서 상기 가교결합 반응 및 이의 개시이다. 이는 20℃ 내지 최대 150℃의 온도이다.
상기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요구되는 가교결합 온도를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할리크(Halik) 등에 의한 2002년 문헌을 참고)과 비교하여 50℃ 초과로 감소시킨다.
베이스 중합체는 게이트 유전체 층(3)의 기본 성질을 결정한다. 적합한 베이스 중합체는 기본적으로 모든 페놀-함유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4-비닐페놀, 폴리-4-비닐페놀-코-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4-비닐페놀-코-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중합체 배합물에서 가교결합 성분 및 이들의 농도를 선택함으로써, 중합체 층의 기계적 성질 및 내화학성이 결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열 산 촉매를 선택함으로써, 가교결합 반응의 개시를 위한 온도는 조절될 수 있다.
용매의 선택으로 배합물의 필름 형성 성질을 결정한다.
오직 가교결합제의 비율만이 상이한 두 개의 중합체 배합물이 실시예로서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배합물 1은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PGMEA)에서 10% 강도의 용액이다. 베이스 중합체 100부, 가교결합제 10부 및 산 발생제 2.5부가 존재한다.
베이스 중합체로서 PVP 2g(분자량: 약 20,000) 및 가교결합제로서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 200mg의 혼합물을 진탕 장치에서 용매로서 PGMEA 20.5g 중에 용해시켰다(약 3시간).
그 후에, 산 발생제로서 4-톨루엔 설폰산 50mg을 첨가하고 전체 용액을 추가의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사용하기 전에, 중합체 용액을 0.2㎛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배합물 2는 PGMEA에서 10% 강도의 용액이다. 베이스 중합체 100부, 가교결 합제 20부 및 산 발생제 2.5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가교결합제의 비율이 배합물 1의 두 배만큼 크다.
베이스 중합체로서 PVP 2g(분자량: 약 20,000) 및 가교결합제로서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 400mg의 혼합물을 진탕 장치에서 용매로서 PGMEA 20.5g 중에 용해시켰다(약 3시간). 그 후에, 산 발생제로서 4-톨루엔-설폰산 50mg을 첨가하고 전체 용액을 추가의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사용하기 전에, 중합체 용액을 0.2㎛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필름 제조:
22초 동안 4000rpm에서 스핀 코터(coater)에 의해, 2ml의 배합물 1을 제조된 기판(Ti 게이트 구조를 갖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적용시켰다. 그 후에, 고열판에서 2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켰다. 가교결합 반응을 400mbar N2 대기하에 오븐에서 150℃의 온도에서 실시하였다. 배합물 2에 대한 필름 제조를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게이트 유전체 층의 구조화:
포토레지스트를 가교결합된 중합체 층(게이트 유전체 층(3))(S 1813; 3000rpm; 30초)에 적용시키고, 100℃에서 2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후, 후속의 연결 구멍(contact hole)은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및 현상으로 한정시켰다. 연결 구멍의 개방은 산소 플라즈마에 의해 실시하였다(100W에서 45초 동안 2회).
그 후, 소스-드레인 층(4)을 표준 방법(기상 증착, 포토리쏘그래피 구조화 및 I2/KI 용액을 사용한 습식 화학적 에칭에 의해 열적으로 30nm Au를 적용함)에 의해 증착 및 구조화하였다.
게이트 유전체 층(2)의 층 두께는 배합물 1에 있어서 210nm이다. 층의 조면화는 50㎛ 상에서 0.5nm이다.
게이트 유전체 층의 층 두께는 배합물 2에 있어서 230nm이다. 층의 조면화는 50㎛ 상에서 0.6nm이다.
트랜지스터 또는 회로는 열적으로 기상 증착에 의해 활성 성분(5)(이 경우 펜타센)을 적용시켜 완성시켰다. 부동태 층(6)을 제외하고, 도 1에 따른 OFET의 구조를 이렇게 제조하였다.
본원에서는, OFET를 기본으로 한 집적 회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배합물 및 저온에서 게이트 유전체 층(3)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배합물의 용도에 대한 실시양태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게이트 유전체 층(3)은 뛰어난 열적, 화학적,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 외에도 이들의 제조를 위한 낮은 가공 온도를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친전자적으로 가교결합된 게이트 유전체를 포함하는 펜타센 OFET의 출력 특성 군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같은 구조에 있어서 OFET의 전송 특성(μ=0.5cm2/Vs, 온/오프 비율=104)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오실로스코프 도표의 자취를 재현하고 있다. 5-단계의 링 오실레이터(ring oscillator)의 특성이 도시되어 있고, 이때 링 오실레이터는 단계 마다 120마이크로초의 신호 랙(lag)으 로 작동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한 실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수많은 변형물 및 기본적으로 상이한 유형으로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5)

  1. a) 페놀 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하나 이상의 가교결합성 베이스(base) 중합체 100부,
    b) 다이- 또는 트라이벤질 알콜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 10 내지 20부,
    c)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활성 양성자를 발생시키는, 하기 용매 d) 중에 용해된 하나 이상의 설폰산 열 산 촉매 1 내지 10부, 및
    d) 하나 이상의 용매로 이루어진 중합체 배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유기 반도체, 특히 유전체 층을 갖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베이스 중합체가 폴리-4-비닐페놀, 폴리-4-비닐페놀-코-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4-비닐페놀-코-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열 산 촉매가 4-톨루엔설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이 4-하이드록시메틸벤질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가교결합 성분이 하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Figure 112007010937326-pct00013
    상기 식에서,
    R1은 -O-, -S-, -SO2-, -S2-, -(CH2)x-(이때, x는 1 내지 10), 및 부가적으로
    Figure 112007010937326-pct00014
    이되, 이때 R2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아릴이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용매가 알콜, 특히 n-뷰탄올,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PGMEA), 다이옥세인, N-메틸피롤리돈(NMP), γ-뷰티로락톤, 자일렌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 중합체, 가교결합 성분 및 산 촉매의 비율이 5 내지 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8. a) 제 1 항에 기재된 중합체 배합물이 기판(1), 특히 예비구조화된 게이트 전극(2)을 갖는 기판에 적용되고, b) 게이트 유전체 층(3)의 형성을 위해 가교결합 반응이 100 내지 150℃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반도체, 특히 유전체 층을 갖는 OFET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a) 및 b)를 실시한 후에, OFE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중합체 배합물이 스핀 코팅, 프린팅 또는 분무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 반응이 비활성 기체 대기, 특히 N2 대기하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중합체 배합물의 적용 후, 특히 100℃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소스-드레인(source-drain) 층(4a, 4b)이 게이트 유전체 층(3)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특히 펜타센을 포함하는 OFET의 형성을 위한 활성 층(5)이 소스-드레인 층(4a, 4b)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부동태 층(6)이 활성 층(5)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04056A 2003-08-29 2004-08-24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KR100718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0609.3 2003-08-29
DE10340609A DE10340609A1 (de) 2003-08-29 2003-08-29 Polymerformul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elektrikumsschic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479A KR20060069479A (ko) 2006-06-21
KR100718358B1 true KR100718358B1 (ko) 2007-05-14

Family

ID=3425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056A KR100718358B1 (ko) 2003-08-29 2004-08-24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02198A1 (ko)
EP (1) EP1658624A2 (ko)
JP (1) JP2007504642A (ko)
KR (1) KR100718358B1 (ko)
CN (1) CN1875432A (ko)
DE (1) DE10340609A1 (ko)
WO (1) WO20050238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55B1 (ko) * 2004-09-22 2006-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반응성 유기고분자 게이트 절연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WO2006052625A1 (en) * 2004-11-03 2006-05-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 of threshold voltage in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US20060231829A1 (en) * 2005-04-13 2006-10-19 Xerox Corporation TFT gate dielectric with crosslinked polymer
KR100794720B1 (ko) * 2006-08-28 2008-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TWI375119B (en) * 2008-10-02 2012-10-21 Ind Tech Res Inst Composition for forming photosensitive dielectric material and application thereof
US8623447B2 (en) 2010-12-01 2014-01-07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coating dielectric composition for fabricating thin-film transistors
CN107077920B (zh) * 2014-09-25 2019-05-03 巴斯夫欧洲公司 作为光可交联介电质的醚基聚合物
DE102021125407A1 (de) 2021-09-30 2023-03-30 Polymer Competence Center Leob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elektrikums für einen 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und Kondens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8305A (ja) * 1998-06-19 2002-06-25 ロンザ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ヨードプロピニル化合物とホルムアルデヒド供与体の安定化混合物
KR20030016981A (ko) * 2001-08-23 2003-03-03 (주)그라쎌 유기 고분자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유기 반도체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003A (en) * 1988-08-03 1998-02-10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Acid-curable binder systems containing 1,2-disulfones
DE3826363A1 (de) * 1988-08-03 1990-02-08 Merck Patent Gmbh Saeurehaertbare bindemittelsysteme mit 1,2-disulfonen
JP3873372B2 (ja) * 1997-05-26 2007-01-24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AU9451098A (en) * 1997-10-14 1999-05-03 Patterning Technologies Limited Method of forming an electronic device
DE10043204A1 (de) * 2000-09-01 2002-04-04 Siemens Ag Organischer Feld-Effekt-Transistor, Verfahren zur Strukturierung eines OFETs und integrierte Schaltung
DE10061297C2 (de) * 2000-12-08 2003-05-28 Siemens Ag Verfahren zur Sturkturierung eines OFETs
DE10105914C1 (de) * 2001-02-09 2002-10-10 Siemens Ag Organischer Feldeffekt-Transistor mit fotostrukturiertem Gate-Dielektrikum und ein Verfahren zu dessen Erzeugung
US7011932B2 (en) * 2001-05-01 2006-03-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 waveguide fabrication process
JP2002341525A (ja) * 2001-05-14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転写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表面の加工方法
DE10131669A1 (de) * 2001-06-29 2003-01-16 Infineon Technologies Ag Herstellung von organischen Halbleitern mit hoher Ladungsträgermobilität durch pi-konjugierte Vernetzungsgruppen
DE10143630A1 (de) * 2001-09-06 2003-03-27 Bayer Ag Strahlenhärtende Beschichtungsmittel
US20040242759A1 (en) * 2003-05-30 2004-12-02 Bhave Mandar R.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 containing polymers to improve adhesion towards photoresists
DE10329262B3 (de) * 2003-06-23 2004-12-1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Substrates und ein Halbleiterbauelement
DE10340608A1 (de) * 2003-08-29 2005-03-24 Infineon Technologies Ag Polymerformul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elektrikumsschicht
US20050062174A1 (en) * 2003-09-19 2005-03-2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ed organic electronic device
KR20050058062A (ko) * 2003-12-1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유기절연막
DE102004005247A1 (de) * 2004-01-28 2005-09-01 Infineon Technologies Ag Imprint-Lithographieverfahr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8305A (ja) * 1998-06-19 2002-06-25 ロンザ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ヨードプロピニル化合物とホルムアルデヒド供与体の安定化混合物
KR20030016981A (ko) * 2001-08-23 2003-03-03 (주)그라쎌 유기 고분자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유기 반도체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16981 *
145183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3876A2 (de) 2005-03-17
KR20060069479A (ko) 2006-06-21
DE10340609A1 (de) 2005-04-07
WO2005023876A3 (de) 2005-08-18
CN1875432A (zh) 2006-12-06
EP1658624A2 (de) 2006-05-24
JP2007504642A (ja) 2007-03-01
US20060202198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896B2 (e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US20050208779A1 (en) Imprint lithography process
KR101151159B1 (ko) 포스페이트계 자기조립단분자막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Bao et al. Silsesquioxane Resins as High‐Performance Solution Processible Dielectric Materials for Organic Transistor Applications
JP5657379B2 (ja) 電子装置の製造方法
US7189663B2 (en)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active dielectric layer comprising silsesquioxanes
JP2004518305A (ja) 光パターン化されたゲート誘電体を備えた有機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法および有機電子工学における使用
US20060202198A1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US7387872B2 (en) Solu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substrate, and semiconductor component
US20120153285A1 (en) Solution processable passivation layer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KR102239934B1 (ko) 유기 전자 디바이스에서 유전 구조물들의 표면 개질 방법
KR20100015779A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이미드, 및 화상 형성 하층막 도포액
JPWO2012033073A1 (ja) 有機半導体材料、有機半導体組成物、有機薄膜及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並びにその製造方法
TWI464182B (zh) 薄膜電晶體用閘極絕緣膜形成組成物
JP4360911B2 (ja) 有機電子デバイス用の絶縁体
CN110047997A (zh) Ofet用的可光图案化的栅极电介质
JP2004055649A (ja)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6195B1 (ko) 저온 경화형 고분자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적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DE10152939B4 (de) Polythiophene mit hohen Ladungsträgerbeweglichkeiten
JP4652704B2 (ja) 有機半導体素子
KR101446712B1 (ko) 고내열 폴리이미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절연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
KR20000033206A (ko) 기상 실리레이션 공정을 이용한 저유전성 박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