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240B1 -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240B1
KR100718240B1 KR1020070013468A KR20070013468A KR100718240B1 KR 100718240 B1 KR100718240 B1 KR 100718240B1 KR 1020070013468 A KR1020070013468 A KR 1020070013468A KR 20070013468 A KR20070013468 A KR 20070013468A KR 100718240 B1 KR100718240 B1 KR 10071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source
exposure
lens
co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진
김유겸
김민식
Original Assignee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240B1/ko
Priority to PCT/KR2008/000776 priority patent/WO20080970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54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ED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등에서 노광(exposure)을 위하여 장착되는 광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수명을 늘리고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는 LED를 채용한 노광용 광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은 다수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장방형 피씨비(PCB), 상기 피씨비가 하부에 고정된 박스형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부에 구비된 렌즈로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 및 상기 엘이디바를 특정 각도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사기, 광원, 노광, 엘이디, 엘이디바, 피씨비, 렌즈, 고정부재, 각도, 케이스

Description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EXPOSURE LED LAMP FOR COPIER}
도 1은 복사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복사기 구성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을 구성하는 엘이디바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을 구성하는 렌즈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을 구성하는 엘이디바에서 렌즈를 제외한 구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렌즈의 렌즈렛 조건에 따른 엘이디바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장치 개략도,
도 6은 렌즈의 렌즈렛 종류에 대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 및 [표 2]와 관련된 렌즈렛 타입에 따른 각 엘이디바 휘도 시물레이션 및 최대 휘도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광원 B: 엘이디바(LED bar)
10: 엘이디 20: 피씨비(PCB)
21:방열공 30: 케이스
31: 결합편 33: 지지용 브리지
35,35b: 결합홈 37: 대응단턱부
40: 렌즈 41a,41b: 결합돌기
43: 단턱부 45: 렌즈렛(lenslet)
F: 고정부재 M: 장착부재
S: 셀폭렌즈(Selfoc lens) 51: 요입부
53: 통공 55: 고정볼트
본 발명은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등에서 노광(exposure)을 위하여 장착되는 광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수명을 늘리고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한 노광용 광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의 과정은 대전단계(charging), 노광단계(exposure), 현상단 계(development), 전사단계(transfer), 정착단계(fusing), 청소단계(cleaning)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대전단계는 드럼 표면에 마이너스 고전압을 인가하여 그 주변 공기를 이온화하여 드럼표면을 마이너스 전하로 대전시키는 단계이고,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노광단계는 원고의 이미지를 순간 점등력이 우수한 램프를 점등하여 이미지를 미러에 반사시키고 렌즈를 통과하여 드럼 표면에 달라붙게 하는 단계, 즉 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원고상 이미지의 화상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판독(reading)하는 단계이며,
상기 현상단계에서는 토너에 플러스 전하를 대전시키고 드럼의 마이너스 전하와 근접을 시키면 플러스 전하인 토너가 마이너스 전하인 드럼 표면에 달라붙게 되어 허상을 실상으로 변환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전사단계에서는 드럼면에 형성된 플러스 전하 즉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해 종이를 강한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하여 토너가 종이상에 맺히게 하고,
상기 정착단계에서는 종이 위에 묻은 토너상을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종이 위에 완전히 융착시키고,
상기 청소단계에서는 전사 및 정착 후 드럼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 토너를 이레이즈 렘프에서 발산하는 빛을 드럼에 조사하여 중화 및 제거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러한 복사과정을 표1로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고, 일본국 후지 제록스사의 일반적인 복사기를 기초로 하여 복사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 1을 병행 참조하면 이해가 보다 용이할 것이다.
[ 표 1 : 복사 프로세스의 요약 ]
Figure 112007012060875-pat00001
종래 복사기 등은 노광용 광원으로 대부분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cent Lamp)를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냉음극 형광램프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하여 각 분야에서 광원으로써 퇴락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비하여 초절전성, 장시간 연속 사용 가능, 내충격성,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가능, 안정적인 직류 점등 방식으로 고반복 및 펄스동작이 가능, 적은 눈의 피로감, 열적발광이 아니므로 화재위험이 없고 점등 및 소등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폐기물 발생이 적고 수은 및 나트륨 같은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이어서
최근 각광받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는 할로겐램프나 제논램프와 같은 기존 아날로그형 광원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의 디지털 광원으로서 그 활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또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심지어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대체할 정도의 고휘도 엘이디가 개발 실용화되었고, 발색면에서도 적색, 청색, 황색 등에서부터 가시광선에 가까운 백색 엘이디까지 생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특허등록 제0465190호(2004.12.28) 『이레이즈 램프』에서 LED 광원을 채용하여 복사 프로세스에서 청소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램프 기술을 제시한 바 있으며,
그 외 일본국 산요社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053742호(1992.08.12) 『선상광원』에서는 바타입(bar type) 광원에 엘이디를 채용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 엘이디 채용 광원, 특히 노광용 광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원고 판독성에 문제가 없도록 점등력과 휘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케이스,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實裝, mounting)된 피씨비(PCB), 그리고 투명 렌즈로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와, 상기 엘이디바를 복사기에 장착하면서 특정 각도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고정부재(F)로 이루어진 노광용 엘이디 광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수하게 고휘도를 갖는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단가 상승 문제가 없으면서도,
특수 고휘도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엘이디바 전체에 걸쳐 고르지 못한 휘도를 나타내게 되어 원고 판독(reading)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결국 원고 판독성능과 관련하여 충분한 광집중도와 고른 광확산(光擴散)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광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특정 각도로 두 엘이디바를 배열 구성한 광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은 엘이디바를 이루는 케이스와 렌즈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고, 렌즈에 렌즈렛을 도입하여 광확산효율 향상을 도모하며, 엘이디바와 고정부재의 정위치 배열이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도입하는 등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엘이디 광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은
다수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장방형 피씨비(PCB),
상기 피씨비가 하부에 고정된 박스형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부에 구비된 렌즈로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 및
상기 엘이디바를 특정 각도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은 고가의 고위도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광편중현상 및 불균일한 광확산 현상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하고, 통상의 휘도를 갖는 엘이디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원고 판독성능에 있어 충분하고 적절한 광집중도와 고른 광확산(光擴散)효율을 보장하여 비용 대비 효율성면에서 유리하도록
상기 엘이디바는 상기 고정부재에 2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엘이디바와 고정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30~5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L, 도 4 참조)은
크게 다수의 엘이디(LED)(10)와, 상기 엘이디가 실장(實裝, mounting)되어 구동(즉,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는 피씨비(PCB)(20), 렌즈(40), 그리고 상기 피씨비와 렌즈를 고정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엘이디의 적절한 거리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스(30)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B, 도 2a 내지 도 3b 참조),
마지막으로 상기 엘이디바(B)가 특정 각도로 복사기에 배열되도록 하는 고정부재(F)로 이루어진다.
상기 엘이디(10)는 특히 가시광선에 가까운 고휘도의 백색광을 발하는 화이트 엘이디(white LED)(예: Lumens社의 제품명 LMT5630A-W)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피씨비(20)는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엘이디(10) 주변에 방열공(21)이 형성(2개)되어 있어 엘이디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40)는 상기 엘이디(10)의 빛을 고르게 분포시키면서 동시에 집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형이어서 볼록렌즈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렌즈(40)의 하면에는 반복된 돌기형 렌즈렛(lenslet)(45, 도 3a 참조)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마치 LC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서 공지된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와 같은 역할(주되게는 일종의 프리즘시트 역할)을 하여 빛을 효율적이고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동시에 집광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30)는 상기 피씨비와 상기 렌즈를 고정하고, 적절한 렌즈와 엘이디의 거리를 보장하면서 일정 정도 리플렉터(reflector) 기능을 하여 광원(즉, 엘이디(10))에서 발생되는 빛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렌즈(40)의 렌즈렛(45)과 관련하여 렌즈렛 단면 형상이 삼각형일 경우,
복사기에서의 원고와 광원(L)의 거리를 고려하여 렌즈의 렌즈렛 조건에 따른 엘이디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 5의 장치 개략도와 같이
Lumens社의 제품명 LMT5630A-W(엘이디 size: 5.6x3.0mm, power dissipation: 150mW, luminous intensity: 120mcd/20mA, viewing angle: 120도 이상)인 엘이디 3개
(엘이디 수와 이로 인한 엘이디바 길이만 다를 뿐 실제 복사기에 적용될 엘 이디바의 렌즈형태(볼록렌즈), 케이스의 폭 등은 동일)
를 케이스 내부에 배열하여 구성한 실험용 엘이디바를 준비하고,
원고 위치에 해당하는 거리(4.5mm)에 측정기를 위치시키고 각 엘이디바의 휘도를 측정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엘이디바 렌즈의 삼각형 렌즈렛이 각각 [불연속 타입]인 것과 [연속 타입]인 것으로 나누고,
다음 표2와 같이 각 렌즈렛의 꼭지점 각도('A'), 피치(pitch)('P'), 깊이('D')가 서로 다른 각 타입의 엘이디바에 따라 휘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표2에서 프리즘(prism)(렌즈렛의 주(主)역할이 프리즘 역할인 것을 고려한 지칭) 조건란의 순서는 각도-피치-깊이 순임),
또 각 엘이디바 타입의 휘도 시물레이션과 최대 휘도(cd/㎡)값을 도 7a 및 도 7b에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 표 2 : 렌의 렌즈렛 타입에 따른 각 엘이디바의 분류와 해당 최대 휘도값 ]
Figure 112007012060875-pat00002
상기 표2와 도 7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최대 휘도가 높으면서도 최대 휘도치가 엘이디바의 렌즈 전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타입 1] 및 [타입 2] 의 렌즈가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타입1] 유리).
다음으로 다시 도 2a 내지 도 4를 살펴 보면, 상기 엘이디바(B)의 상기 케이스(30) 하부에는 상기 피씨비(20)에 실장된 엘이디(10)와 엘이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용 브리지(33, 도 3b 참조)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제품 내충격성 향상과 변형 방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렌즈(40)의 테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 특히 도 2b 및 도 3a에서와 같이 중앙 양측 및 양단(兩端)에 각각 총 4개의 결합돌기(41b)(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돌기(41b)(41a)를 위한 결합홈(35b)(35a)이 형성되어 있어 각각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돌기와 결합홈의 형성위치는 필요에 따라 뒤바뀔 수 있다(즉, 상기 케이스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에 결합홈 형성).
나아가 상기 렌즈(40)의 중앙 결합돌기(41b)는 도 2a의 중앙 원 내(內) 확대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어 렌즈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40)의 테두리에는 단턱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단턱부와 맞물리는 대응 단턱부(37)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서 상기 렌즈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렌즈가 정해진 위치보다 더 하부로 내려앉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노광용 엘이디 광원의 엘이디바(B)는 기존 복사기의 냉음극 램프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어서,
기존 냉음극 램프가 장착되는 위치에 배열되어야 하며 그 외 다른 부품의 장착 위치나 구조를 변형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이 바로 고정부재(F)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F)는 단면 형상이 '∧' 형태이고,
셀폭렌즈(Selfoc lens)를 비롯한 다른 부품이나 전원 및 제어신호 도입을 위한 각종 케이블 및 각 케이블 사이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 등이 장착되며, 복사기에서 원고와 접촉하는 플래튼 글래스(platen glass) 하부에 광원을 배열하기 위한 장착부재(M) 양단에 2개 배열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셀폭렌즈는 그린(GRIN)렌즈(Gradient-Index(GRIN) Rod Lens의 약어)의 일종으로, 미소 광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광학 소자의 하나이고
광원과의 결합, 평행광선의 형성, 집광 등에 사용되고, 주로 이온 교환법으로 만들어지며,
원주에서 중심방향을 향해 가면서 굴절율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막대(rod) 형태의 광학유리로 굴절율을 높이기 위하여 채용되며, 일본국 엔에스지社에서 약 20여 년 전 상품명 'Selfoc'으로 출시한 이후 거의 관련 업계에서는 일반화된 명칭으 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엘이디바(B)와 고정부재(F)의 결합방식은
상기 케이스(30)의 양단(兩端)에 구비된 결합편(31)을 상기 고정부재(F) 상부에 위치시키고,
고정볼트(55)를 이용하여 부착하는데, 상기 케이스의 결합편(31)과 상기 고정부재(F)에는 각각 상기 볼트(5)를 위한 결합공(31b)과 통공(5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엘이디바와 상기 고정부재의 정위치 배열이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30)의 각 결합편 하면에는 정위치 배열돌기(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F)에는 상기 정위치 배열돌기와 결합되는 요입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열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가 상기 케이스의 결합편에 배열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사항 중 하나는 상기 엘이디바(B) 2개가 상기 고정부재(F)에 장착되어 있으며, 각 엘이디바와 고정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는 30~50도(도면과 실제 장착 각도는 약 40도)라는 점인데, 이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으로 고가의 고위도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단가 상승과 광편중 현상으로 인한 불균일한 광확산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하고,
통상의 휘도를 갖는 엘이디를 채용하여도 원고 판독성능에 있어 충분하고 적절한 광집중도와 고른 광확산(光擴散)효율을 보장하여 비용 대비 효율성면에서 유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은 케이스,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實裝, mounting)된 피씨비(PCB), 그리고 투명 렌즈로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와 상기 엘이디바를 복사기에 장착하면서 특정 각도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고정부재(F)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특수하게 고휘도를 갖는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단가 상승 문제가 없으면서도, 특수 고휘도 엘이디를 채용할 경우 엘이디바 전체에 걸쳐 고르지 못한 휘도를 나타내게 되어 원고 판독(reading)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특정 각도로 두 엘이디바를 배열 구성한 광원을 제공하여 결국 원고 판독성능과 관련하여 충분한 광집중도와 고른 광확산(光擴散)효율을 보장할 수 있고, 그 외 엘이디바를 이루는 케이스와 렌즈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고, 렌즈에 렌즈렛을 도입하여 광확산효율 향상을 도모하며, 엘이디바와 고정부재의 정위치 배열이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도입하는 등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복사기의 각 복사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세스와, 이때의 노광용 광원의 역할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노광용 엘이디 광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광원은 복사기, 복합기, 스캐너, 기타 복사 프로세스를 채용한 각종 인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장방형 피씨비(PCB),
    상기 피씨비가 하부에 고정된 박스형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부에 구비된 렌즈로 이루어진 엘이디바(LED bar); 및
    상기 엘이디바를 특정 각도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는 상기 고정부재에 2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엘이디바와 고정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30~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엘이디 주변에 방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단(兩端)에는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각 결합편 하면에는 정위치 배열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정위치 배열돌기와 결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렌즈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으로, 하면에는 반복된 돌기형 렌즈렛(lenslet)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렛은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렌즈의 테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돌기를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렌즈의 테두리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단턱부와 맞물리는 대응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엘이디는 고휘도 백색광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바에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피씨비에 실장된 엘이디와 엘이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용 브리지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KR1020070013468A 2007-02-09 2007-02-09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KR10071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68A KR100718240B1 (ko) 2007-02-09 2007-02-09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PCT/KR2008/000776 WO2008097056A1 (en) 2007-02-09 2008-02-11 Exposure led lamp for cop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68A KR100718240B1 (ko) 2007-02-09 2007-02-09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240B1 true KR100718240B1 (ko) 2007-05-15

Family

ID=3827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468A KR100718240B1 (ko) 2007-02-09 2007-02-09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8240B1 (ko)
WO (1) WO2008097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2442A (zh) * 2011-01-17 2011-05-25 创维液晶器件(深圳)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及其液晶模组、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67B1 (ko) 2005-06-03 2005-11-08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7653A (ko) * 2005-03-10 2006-09-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라인 헤드 모듈,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KR20060130980A (ko) * 2005-06-14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광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5272A (ja) * 1988-04-15 1989-10-2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260077A (ja) * 1991-02-14 1992-09-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284812B1 (ko) * 1998-06-09 2001-04-02 장상욱 음극선관전자총의그리드전극간격측정장치
JP3436524B2 (ja) * 2000-11-16 2003-08-11 ジャエ ナム キム Led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653A (ko) * 2005-03-10 2006-09-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라인 헤드 모듈,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KR100527367B1 (ko) 2005-06-03 2005-11-08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0980A (ko) * 2005-06-14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광주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7056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85965C (zh) 照明设备
JP4049267B2 (ja) コンパクトな照明システムと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CN101640748B (zh) 光学读取器、图像读取器和图像形成装置
TW514709B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JP2008066850A (ja) 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が備える受光素子アレイ基板の位置調整方法、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
US8169671B2 (en) Lighting unit,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90323191A1 (en) Lens array, LED print head, exposur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ading apparatus
CN104121502A (zh) 发光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US8757815B2 (en) Lamp unit
KR100718240B1 (ko) 복사기의 노광용 led광원
JP5015418B2 (ja) 原稿照明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158379A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6028A (ja) 露光ヘッド、画像形成装置
US7852522B2 (en) Original-document illumination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color-original-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618047A1 (en) Double-sided planar light apparatus
TW558518B (en) Optical write-in hea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aratus
JP2005027082A (ja) 原稿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原稿画像読取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H1064318A (ja) 面照明装置
JP2011135585A (ja) 原稿照明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4307A (ja) 導光板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06017951A (ja) 原稿照明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016458A (ja) 照明ユニット、並びに該照明ユニット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0174094A1 (en) Imaging system using a full frame illumination array
KR20010009211A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JPS59178444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