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211A -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211A
KR20010009211A KR1019990027484A KR19990027484A KR20010009211A KR 20010009211 A KR20010009211 A KR 20010009211A KR 1019990027484 A KR1019990027484 A KR 1019990027484A KR 19990027484 A KR19990027484 A KR 19990027484A KR 20010009211 A KR20010009211 A KR 2001000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hotosensitive drum
light
lam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974B1 (ko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974B1/ko
Priority to US09/612,308 priority patent/US6324373B1/en
Publication of KR2001000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with means for preconditioning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사램프를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단에 설치하여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에 직접 주사되도록 함으로써, 전사효율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전사램프를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감광드럼의 주사방향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렌즈를 전전사램프에 발광부위에 대면되도록 설치하며; 렌즈로부터 확산 및 집적화된 광이 감광드럼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렌즈와 감광드럼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의 표면에 직접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와 전사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PRE TRANSFER SYSTEM I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전사램프(PTL: Pre Transfer Lamp)를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단에 설치하여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에 직접 주사되도록 함으로써, 전사효율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의 방법에 제시된다.
첫 번째 방법은 전전사램프를 화상형성장치의 여유공간내에 설치하고, 반사미러를 이용하여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되는 광을 감광드럼에 도달하도록 반사시키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전전사램프를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의 발광부를 감광드럼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전전사램프와 감광드럼 사이에는 전전사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안내하도록 그 내부가 통공된 안내부재를 설치하여 전전사램프로부터 방사된 광이 안내부재를 통하여 감광드럼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및 복합기 등과 같이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픽업롤러(101), 대전롤러(102), 감광드럼(OPC: Organic Photoconductive)(103), 전사롤러(104), 현상롤러(105), 공급롤러(106), 정착기(107) 및 노광장치(108)로 이루어진다. 즉,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102)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03)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장치(108)에서 발생된 광이 대전된 감광드럼(103)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고압의 공급전압을 인가받은 공급롤러(106)와, 공급롤러(106)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받은 현상롤러(105)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공급롤러(106)로부터 현상롤러(105)에 음전하가 이동한다. 이렇게 현상롤러(105)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10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104)는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가 형성한 가시상을 이송되는 인쇄용지(109)에 전사시킨다. 인쇄용지(109)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107)내에 구성된 가열롤러(110)와 압착롤러(111)의 고열 및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109)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공급전압과 현상전압 및 전사전압과 대전전압은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각각 공급롤러(106)와 현상롤러(105) 및 전사롤러(104)와 대전롤러(102)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정착기(107)내의 가열롤러(110)는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05)와 전사롤러(104) 사이에는 전전사램프(112)가 설치되어,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전전사램프(112)에서 발생하는 650㎚의 파장을 갖는 광을 주사하여 감광드럼(103)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를 다운시킴으로써, 감광드럼(103)에 대한 토너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전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종래의 전전사램프(112)는 화상형성장치내의 용지이송경로 하단에 설치되며, 전사작업 이전에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에 광을 방사하여 토너의 전위를 그라운드레벨에 근접한 값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토너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전사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때, 전전사램프(112)내의 발광소자(113)로부터 방사된 광은 볼록렌즈(114)에 의해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점의 형태로 포커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인쇄용지의 하단부에서 토너의 전위를 그라운드레벨에 근접한 값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전전사램프를 구동할 때, 전전사램프로부터 방사된 광이 초기에 설정된 감광드럼에 대한 초점(f)위치에 주사되기 이전에 별도의 매체(즉, 용지)를 거치게 되므로, 매체에 의한 굴절 또는 확산현상이 발생하여 광도가 저하되거나 매체에 의한 광의 산란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광의 강도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매체를 투과하여야 하므로, 광의 강도가 더욱 감소하여 전전사효율이 극히 저조하다.
또한, 인쇄용지의 다양성(두께, 저항값, 결무늬 등)에 의해 투과율과 집광도가 영향을 받으므로, 각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광량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의 인쇄용지에 대한 종류를 구별하여야 하며, 구별된 결과에 따라 광량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여야 하므로, 부가적인 센서들과 고성능의 중앙처리장치가 요구된다. 이것은,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전전사램프가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하단에 위치하므로, 광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전사램프를 감광드럼에 인접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전전사램프내의 발광소자에서 방사되는 광의 주사폭이 적기 때문에 다수의 발광소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전사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용지를 투과한 후 감광드럼 표면에 도달하게 되므로, 충분한 광량을 감광드럼에 제공하기 위하여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를 볼록렌즈형태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에 도달하는 면적은 극히 작아진다. 이러한 포커싱방식은 광의 도달면적이 극히 협소함으로 인해 전전사램프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의 개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의 표면에 직접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와 전사효율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반사미러를 통하여 반사된 후 감광드럼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전전사램프의 설치가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광 안내부재를 통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안내되므로, 전전사램프의 설치가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전사램프와 감광드럼의 이격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함으로써, 소수의 발광소자만으로 전전사램프를 구성하더라도 높은 전전사효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세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301: 전전사램프 202, 302: 감광드럼
203, 303: 전사롤러 204, 304: 발광소자
205: 렌즈 206: 반사미러
305: 광 안내부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전사램프를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감광드럼의 주사방향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렌즈를 전전사램프에 발광부위에 대면되도록 설치하며; 렌즈로부터 확산 및 집적화된 광이 감광드럼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렌즈와 감광드럼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한 점에 있다.
여기서, 전전사램프는 용지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는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평행광으로 굴절되도록 입사되는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입사된 광이 출력되는 면은 주사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은 집적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원형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부재는 반사미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전사램프를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감광드럼 표면에 안내하며, 감광드럼의 표면으로 안내되는 광이 주사방향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광 안내부재를 전전사램프와 감광드럼 사이에 배치한 점에 있다.
여기서, 전전사램프는 용지와 평행하도록 설치하되, 전전사램프의 발광면이 감광드럼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안내부재는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의 방사각을 수용하도록 입사부는 소정의 확산각을 갖는 확산부위를 포함하고; 광의 출사부는 주사방향으로 광이 확산됨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원형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안내부재는 내부가 통공된 플라스틱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요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전전사램프(201)를 감광드럼(202) 및 전사롤러(203)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고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전전사램프(201)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의 각 발광부가 용지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전전사램프(2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에서 방사된 광을 감광드럼(202)에 대한 주사방향으로 확산시킴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렌즈(205)와, 렌즈(205)에 의해 확산 및 직접화된 광을 감광드럼(202)의 표면으로 유도하는 반사미러(206)로 구성된다.
이때, 렌즈(2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와 대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반대편은 원형으로 가공되며, 주사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에서 방사된 광이 렌즈(205)의 평면에 도달하면 평행광으로 굴절되고, 이 평행광이 렌즈(205)의 원형부분을 투과할 때 집광된다. 다시 말해서,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형이고, 주사방향으로 장형인 렌즈(205)의 형상에 의해 렌즈(205)를 투과한 광은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되고, 주사방향으로 확산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렌즈(20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 사이의 이격간격과 렌즈(205)의 굴절률 및 렌즈(205)와 감광드럼(202) 사이의 이격간격을 적정히 조정하면, 렌즈(205)를 투과한 광이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되고 주사방향으로 확산된 라인형태가 되어 감광드럼(202)에 포커싱된다.
더욱이, 렌즈(205)를 투과한 광이 별도의 매체를 재차 투과하지 않고 직접 감광드럼(202)의 표면에 도달함으로써, 전전사작업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사방향으로 광을 집광할 필요가 없어 적은 수의 발광소자(204)를 구성하더라도 양호한 전전사효율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발광소자(204)에서 방사되는 광의 확산범위는 대략 80。이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와 렌즈(205) 사이의 이격간격을 적정히 조정하면, 발광소자(204)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전전사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기종에 따라 약간이 차이는 있지만, 종래의 화상형성장치가 전전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략 18개의 발광소자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대략 3개의 발광소자(204)만으로도 충분한 전전사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04)에서 방사된 광이 반사미러(205)에 의해 소정의 반사각으로 굴절된 후 감광드럼(202)에 포커싱되므로, 반사미러(205)의 각도를 적정히 조정하게 되면 전전사램프(201)의 설치각도가 제한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전사램프(201)의 설치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상세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전전사램프(301)를 감광드럼(302) 및 전사롤러(303)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고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용지와 평행하게 설치하되, 전전사램프(301)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의 각 발광부가 용지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전전사램프(3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에서 방사된 광을 감광드럼(302)에 대한 주사방향으로 확산시킴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고 또한 광을 감광드럼(302)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광 안내부재(305)로 구성된다.
이때, 광 안내부재(3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로부터 방사된 광이 광 안내부재(305) 내부를 통하여 감광드럼(302)에 안내되도록 그 내부가 통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발광소자(304)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발광소자(304)에서 80°의 각도로 확산되는 광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광경로가 주사방향으로 확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감광드럼(302)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광을 주사방향으로 확산시킴과 동시에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도록 감광드럼(302)의 주사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형의 렌즈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에서 방사된 광이 광 안내부재(305)에 입사되면, 입사광은 광 안내부재(305)의 광경로에 의해 주사방향으로 확산된 후 감광드럼(302)측으로 안내된다. 광 안내부재(305)에 의해 안내된 광은 광 안내부재(305)의 렌즈형태에 의해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되어 감광드럼(302)상에 라인형태로 주사된다.
더욱이, 광 안내부재(305)를 투과한 광이 별도의 매체를 재차 투과하지 않고 직접 감광드럼(302)의 표면에 도달함으로써, 전전사작업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사방향으로 광을 집광할 필요가 없어 적은 수의 발광소자(304)를 구성하더라도 양호한 전전사효율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발광소자(304)에서 방사되는 광의 확산범위는 대략 80。이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안내부재(305)의 길이를 적정히 조정하면, 발광소자(304)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전전사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기종에 따라 약간이 차이는 있지만, 종래의 화상형성장치가 전전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략 18개의 발광소자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대략 2∼3개의 발광소자(304)만으로도 충분한 전전사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04)에서 방사된 광이 광 안내부재(305)에 의해 감광드럼(302)으로 안내되므로, 광 안내부재(302)의 경로를 변형시키게 되면 전전사램프(301)의 설치각도가 제한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전사램프(301)의 설치가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의 표면에 직접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와 전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반사미러를 통하여 반사된 후 감광드럼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전전사램프의 설치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전전사램프를 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광 안내부재를 통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안내되므로, 전전사램프의 설치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전전사램프와 감광드럼의 이격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함으로써, 소수의 발광소자만으로 전전사램프를 구성하더라도 높은 전전사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8)

  1.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전사램프를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상기 감광드럼의 주사방향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상기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렌즈를 상기 전전사램프에 발광부위에 대면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확산 및 집적화된 광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상기 렌즈와 상기 감광드럼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전사램프는,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평행광으로 굴절되도록 입사되는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고, 상기 입사된 광이 출력되는 면은 주사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상기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은 집적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원형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부재는,
    반사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5.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전사램프를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을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안내하며,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으로 안내되는 광이 주사방향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상기 주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하는 광 안내부재를 상기 전전사램프와 상기 감광드럼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전사램프는,
    상기 용지와 평행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전전사램프의 발광면이 상기 감광드럼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재는,
    상기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의 방사각을 수용하도록 입사부는 소정의 확산각을 갖는 확산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출사부는 주사방향으로 상기 광이 확산됨과 동시에 상기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적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원형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재는,
    내부가 통공된 플라스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KR1019990027484A 1999-07-08 1999-07-08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KR10029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484A KR100299974B1 (ko) 1999-07-08 1999-07-08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US09/612,308 US6324373B1 (en) 1999-07-08 2000-07-07 Pre-transfer system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484A KR100299974B1 (ko) 1999-07-08 1999-07-08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211A true KR20010009211A (ko) 2001-02-05
KR100299974B1 KR100299974B1 (ko) 2001-11-01

Family

ID=1960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484A KR100299974B1 (ko) 1999-07-08 1999-07-08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24373B1 (ko)
KR (1) KR100299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949B2 (en) * 2002-02-06 2003-09-23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apparatus for photosensitive media using dichroic prism in illumination path
KR100416269B1 (ko) * 2002-04-24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장치
KR100428628B1 (ko) * 2002-07-02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3156402A (ja) * 2012-01-30 2013-08-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6071298A (ja) * 2014-10-01 2016-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787A (ja) * 1990-10-04 1992-05-18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4373B1 (en) 2001-11-27
KR100299974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8559B2 (en) Optical dischar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US8947750B2 (en) Imaging device ar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20050711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프로세스 카트리지
US8538294B2 (en) Charge-removing device
JP2011095540A (ja) 定着装置
US864907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9091983B2 (en) Recording material detecting apparatus and an image-forming apparatus
JP2007005860A (ja) 光照射ユニット、画像読取機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35529B2 (en) Catoptric array with spatial filter
EP1022599A3 (en) Optical scanner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mploying the same
JP201002196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99974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JP3993190B2 (ja)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008973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16269B1 (ko) 화상 형성장치
JP5372420B2 (ja) 画像形成装置
JP5879293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US6728010B1 (en) Color image read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60580B2 (ja)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16645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643413B2 (ja) 記録材判別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825032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6652295B2 (ja) 測色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95362A (ja) 画像読取・書込装置
JPS635970A (ja) 光書込み装置の光出力補正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