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110B1 -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 Google Patents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110B1
KR100718110B1 KR1020050094935A KR20050094935A KR100718110B1 KR 100718110 B1 KR100718110 B1 KR 100718110B1 KR 1020050094935 A KR1020050094935 A KR 1020050094935A KR 20050094935 A KR20050094935 A KR 20050094935A KR 100718110 B1 KR100718110 B1 KR 10071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electroly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solid aci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725A (ko
Inventor
정명섭
김도윤
이진규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110B1/ko
Priority to CNA2006101423545A priority patent/CN1948354A/zh
Priority to JP2006276904A priority patent/JP5032087B2/ja
Priority to US11/546,005 priority patent/US20070092778A1/en
Publication of KR2007003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6Wholly aromatic polyamines
    • C08G73/0266Polyanilin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6Polyester-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J5/224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97Preventing means for fuel cross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올리고머 고체산 및 (ii)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i) 말단에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갖는 올리고머 고체산 거대분자 및 (ii)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이온 전도에 필요한 최소한으로 보유하여 스웰링을 억제하고 상기 덴드리머 고체산을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이온전도도를 보완한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이온전도성 말단기의 수를 최소화하여 스웰링을 억제한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함으로써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최소화하고, 표면에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갖고 부피가 커서 잘 유출되지 않는 올리고머 고체산 거대분자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이온전도도를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무가습 조건에서도 우수한 이온 전도도를 지속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Oligomer solid acid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화학식 19의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핵자기공명(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화학식 20의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핵자기공명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화학식 22의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핵자기공명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화학식 23의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적외선 분광 분석(FT-IR)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온전도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올리고머 고체산, 및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최소화하면서 이온전도도를 극대화시키고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지속적으로 보일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전기화학장치이다. 연료전지의 에너지 전환 공정은 대단히 효율적이고도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다양한 종류의 연료전지가 시도되었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및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전지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이 가운데서 PEMFC는 소규모 거치형(stationary) 발전장비 뿐만 아니라 수송 시스템에도 가장 유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PEMFC가 갖는 저온 작동, 고출력밀도, 신속한 시동, 및 출력요구의 변화에 대한 기민한 응답과 같은 장점에 기인한다.
PEMFC의 핵심부는 막전극 접합체(MEA)이다. MEA는 통상 고분자 전해질막과 그 양면에 부착되어 각각 캐소드 및 애노드 역할을 하는 2개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산화제와 환원제의 직접 접촉을 막는 격리막의 역할 및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양성자 전도체의 역할도 담당한다. 따라서,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막은 (1)높은 프로톤 전도도, (2)높은 전기절연성, (3)낮은 반응물 투과성, (4)연료전지 운전조건에서 우수한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 및 (5)저렴한 가격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다양한 고분자 전해질막이 개발되었으며, 나피온(Nafion) 막과 같은 고불화 폴리술폰산 막은 우수한 내구성과 성능으로 현재 표준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나피온 막은 잘 작동하기 위해 충분히 가습해 주어야 하고, 수분의 손실을 막기 위해 80℃ 이하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산소(O2)에 의해 주쇄의 탄소-탄소 결합이 공격받아 연료전지의 작동 조건에서 안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DMFC의 경우, 메탄올 수용액이 연료로서 애노드에 공급되는데, 미반응 메탄올 수용액 중 일부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침투하게 된다. 고분자 전해질막에 침투한 메탄올 수용액은 전해질막에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일으키면서 확산되어 캐소드 촉매층까지 전달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메탄올 크로스오버(methanol crossover)'라고 하는데, 수소이온과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이 진행되어야 할 캐소드에서 메탄올의 직접산화를 일으키므로, 캐소드의 전위를 떨어뜨리게 되고, 그 결과 전지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메탄올뿐만 아니라 다른 극성 유기 연료를 포함하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에 공통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극성 유기 액체 연료의 크로스오버를 차단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무기물을 이용한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해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전도성 물질로서 부피가 큰 올리고머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는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이온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고 고분자 전해질막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 올리고머 고체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올리고머 고체산을 포함하여 가습하지 않아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보이고 메탄올 크로스오버가 매우 적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네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a) 10 내지 70의 중합도를 갖는 주쇄와;
(b)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에 결합되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측쇄를 갖는 올리고머 고체산.
[화학식 1]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1
(여기서, E1 내지 En-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의 유 기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6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6에서 각 Ei+1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i)-세대인 Ei와 결합하는 (i+1)-세대 Ei+1의 수는 Ei에 존재하는 가능한 결합의 수와 동일하고,
n은 분지단위의 세대(generation)를 나타내며 2 내지 4의 정수이고,
En은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어느 하나임)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측쇄의 말단에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상기 올리고머 고체산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네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10 내지 70의 중합도를 갖는 주쇄와;
(b)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에 결합되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측쇄를 갖는 올리고머 고체산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7
(여기서, E1, Ei 및 En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은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분포시킬 경우 스웰링(swelling)에 따른 유출이 거의 없고, 말단에 부착된 -OH, -COOH, -SO3H, -OPO(OH)2와 같은 산성 작용기가 높은 이온전도도를 부여하기 때문에 고분자 전해질막에 이온전도도를 부여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의 주쇄는 중합도가 10 내지 70일 수 있고,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쇄의 중합도가 10에 미달하면 측쇄까지 포함한 전체 분자량이 10,000에 미달할 가능성이 높게 되는데, 이 경우 분자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아 올리고머 고체산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또, 주쇄의 중합도가 70을 초과하면 측쇄까지 포함한 전체 분자량이 40,000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게 되는데, 이 경우 물성조절이 어렵고 고분자막 내에서 매트릭스와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고체산의 입자 크기(domain size)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믹에스테르(polyamic ester), 또는 폴리아닐린의 반복단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7 내지 화학식 9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7]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8
[화학식 8]
Figure 112005057135987-pat00009
[화학식 9]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0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에 결합되는 측쇄는 하기 화학식 10 내지 화학식 15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0]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1
[화학식 11]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2
[화학식 12]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3
[화학식 13]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4
[화학식 14]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5
[화학식 15]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6
(화학식 10 내지 화학식 15에서 R은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어느 하나임)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4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분자량이 10,000보다 작으면 분자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아 고분자 전해질막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고, 분자량이 40,000보다 크면 물성조절이 어렵고 매트릭스와의 상분리에 의해서 형성된 고체산의 입자 크기(domain size)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 중 대표적인 것의 제조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 중 대표적인 것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일 뿐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측쇄를 이루는 단위체를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7
측쇄를 이루는 단위체는 상기 반응식 1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여러 세대를 갖는 단위체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런 후,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상기 단위체를 주쇄를 이루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8
(여기서 p는 주쇄를 이루는 상기 화합물의 분자량이 2,000 내지 8,000이 되도록 결정되는 정수임)
말단에 작용기를 -COOH, -OH, 또는 -OPO(OH)2를 갖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지 구조 합성시에 -COOH, -OH, 또는 -OPO(OH)2의 작용기가 알킬기로 보호된 구조 즉, -COOR, -OR, 또는 -OPO(OR)2 구조를 갖는 벤질 핼라이드 화합물에서 출발하여 저분자량의 폴리머를 제조한 후 알킬기를 탈리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5의 1가의 알킬기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측쇄의 말단에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상기 올리고머 고체산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술폰,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매트릭스 곳곳에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이 균일하게 분포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이온전도도를 갖게 된다. 즉, 고분자 매트릭스 측쇄의 말단에 부착된 산성 작용기와 올리고머 고체산 표면에 존재하는 산성 작용기가 함께 작용하여 높은 이온전도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고분자 전해질막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에, 예를 들면, 술폰기와 같은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다량 부착하는 것이 스웰링의 원인이 되었던 것과는 달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이온전도에 필요한 최소양만을 부착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스웰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하기 화학식 16의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112005057135987-pat00019
(여기서, M은 하기 화학식 17의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17]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0
(상기 화학식 17에서 Y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Z는 2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임)
N은 하기 화학식 18의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18]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1
(상기 화학식 18에서 Y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Z'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j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정수이고, R1은 -OH, -SO3H, -COOH, -OPO(OH)2 중의 하나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0 내지 5000이고,
m : n의 비율은 2 : 8 내지 8 : 2이고, 바람직하게는 4 : 6 내지 6 : 4임)
상기 m : n의 비율이 2 : 8 내지 8 : 2를 벗어나서 m이 2 이하이면 물에 의한 스웰링 및 메탄올 크로스오버 특성이 증가하고, m이 8 이상이면 수소이온 전도도가 너무 낮아 고체산의 첨가에 의해서도 적정 수준의 프로톤 전도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화학식 16의 고분자 수지의 반복단위인 M 및 N은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하기 화학식 24 및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4]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2
[화학식 25]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3
(상기 화학식 25에서 j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정수이고, R1은 -OH, -SO3H, -COOH, -OPO(OH)2 중의 하나임)
상기 화학식 16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반응식 3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4
이하에서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는 연료 전지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전해질막은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단독으로 전해질막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이온전도성을 띠는 다른 막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는 연료 전지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전해질막은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단독으로 전해질막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이온전도성을 띠는 다른 막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제조는, 각종 문헌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벤질브로마이드 0.38 몰과 3,5-디히드록시벤질알콜 0.18몰을 K2CO3 0.36 몰 및 18-크라운-6 0.036몰과 함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 기 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톤을 증류시켜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여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시켜 제거하였다. 결과물을 에테르/헥산으로 재결정하여 정제하고 하기 화학식 19의 화합물을 백색 결정성 고체로 37 g 수득하였다(수득율 : 67%). 하기 화학식 19의 화합물의 구조를 핵자기공명(NMR)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9]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5
상기 화학식 19의 화합물 20 g(0.065몰)을 0 ℃에서 벤젠 50 ml에 용해시키고 PBr3 6.4 g(0.0238몰)을 벤젠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용액에 적가하고 15분간 교반하였다. 그런 후 실온으로 승온시킨 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기 혼합물을 얼음조에 넣고 벤젠을 증류시켜 제거하였다. 그런 후, 수용성 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결과물을 톨루엔/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정제하고 하기 화학식 20의 화합물을 백색 결정성 고체로 19 g 수득하였다(수득율 : 79%). 하기 화학식 20의 화합물의 구조를 핵자기공명(NMR)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0]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6
상기와 같이 합성한 화학식 20의 화합물 8.4g과 상용으로 입수가능한 폴리히드록시스티렌(PHSt: 하기 화학식 21의 화합물, Mw = 3000, 일본 Nippon Soda사 제품) 2.42 g을 K2CO3 2.8 g 및 18-크라운-6 1.1 g과 함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0 mL에 용해시키고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런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톤을 증류시켜 제거하고, 톨루엔/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여 분리하였다. 분리한 톨루엔층을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톨루엔을 증류시켜 50 mL로 농축하였다. 결과물을 에탄올에 침전시켜 하기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백색 결정성 고체로 8.2 g 수득하였다(수득률 : 76%). 하기 화학식 22의 화합물의 구조를 핵자기공명(NMR)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1]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7
[화학식 22]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8
상기와 같이 제조한 화학식 22의 화합물(올리고머 고체산 전구체) 5 g을 황산 15 m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발연황산(SO3 60%) 5 mL를 첨가하고 80 ℃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테르에서 침전을 형성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한 후 물에 용해시켜 투석 멤브레인에 넣고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하기 화학식 23의 화합물 구조를 적외선 분광분석(FT-IR)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3]
Figure 112005057135987-pat00029
<실시예 2>
반응식 3에 표시된 방법으로 제조되고, m : n의 비율이 5 : 5인 화학식 16의 고분자 매트릭스 100 중량부와 화학식 23의 올리고머 고체산 6.7 중량부를 N-메틸피롤리돈(NMP)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110 ℃에서 캐스팅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화학식 23의 올리고머 고체산을 1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막과 고체산을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막에 대하여 각각 이온전도도와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이온전도도 (S/cm) 메탄올 크로스오버 (cm2/초)
고분자막 2.60 × 10-6 2.73 × 10-9
실시예 2 1.48 × 10-4 (1일 경과 후) 5.51 × 10-8
실시예 3 6.68 × 10-4 (1일 경과 후) 4.63 × 10-8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리고머 고체산을 첨가함으로써 메탄올 크로스오버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이온전도도는 메탄올 크로스오버가 증가한 비율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체산을 이용하면 메탄올 크로스오버 측면에서 크게 희생되지 않으면서 이온전도도의 현저한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이온전도성 말단기의 수를 최소화하여 스웰링을 억제한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함으로써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최소화하고, 표면에 이온전도성 말단기를 갖고 부피가 커서 잘 유출되지 않는 올리고머 고체산 거대분자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이온전도도를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무가습 조건에서도 우수한 이온 전도도를 지속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측쇄의 말단에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a)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믹에스테르(polyamic ester), 또는 폴리아닐린의 반복단위가 10 내지 70의 중합도로 중합된 주쇄와;
    (b) 상기 주쇄의 반복단위에 결합되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측쇄를 갖는 올리고머 고체산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식 1]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2
    (여기서, E1 내지 En-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의 유기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3
    [화학식 3]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4
    [화학식 4]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5
    [화학식 5]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6
    [화학식 6]
    Figure 112006097807911-pat00057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6에서 각 Ei+1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i)-세대인 Ei와 결합하는 (i+1)-세대 Ei+1의 수는 Ei에 존재하는 가능한 결합의 수와 동일하고,
    n은 분지단위의 세대(generation)를 나타내며 2 내지 4의 정수이고,
    En은 -SO3H, -COOH, -OH, 또는 -OPO(OH)2 중의 어느 하나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술폰,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의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하기 화학식 16의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식 16]
    Figure 112006097807911-pat00045
    (여기서, M은 하기 화학식 17의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17]
    Figure 112006097807911-pat00046
    (상기 화학식 17에서 Y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Z는 2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임)
    N은 하기 화학식 18의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18]
    Figure 112006097807911-pat00047
    (상기 화학식 18에서 Y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Z'는 4가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유기기이고, j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정수이고, R1은 -OH, -SO3H, -COOH, -OPO(OH)2 중의 하나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0 내지 5000이고,
    m : n의 비율은 2 : 8 내지 8 : 2임)
  9.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
  10.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과 확산층을 포함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KR1020050094935A 2005-10-10 2005-10-10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071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35A KR100718110B1 (ko) 2005-10-10 2005-10-10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CNA2006101423545A CN1948354A (zh) 2005-10-10 2006-10-10 低聚物固体酸和包含它的聚合物电解质膜
JP2006276904A JP5032087B2 (ja) 2005-10-10 2006-10-10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US11/546,005 US20070092778A1 (en) 2005-10-10 2006-10-10 Oligomer solid acid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35A KR100718110B1 (ko) 2005-10-10 2005-10-10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25A KR20070039725A (ko) 2007-04-13
KR100718110B1 true KR100718110B1 (ko) 2007-05-14

Family

ID=3798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935A KR100718110B1 (ko) 2005-10-10 2005-10-10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92778A1 (ko)
JP (1) JP5032087B2 (ko)
KR (1) KR100718110B1 (ko)
CN (1) CN1948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7614A1 (de) * 2008-04-16 2009-10-22 Basf Se Einsatz hyperverzweigter polymere in brennstoffzellenanwendungen
JP2009269960A (ja) * 2008-05-01 2009-11-19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塩構造を有する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467700B (zh) * 2018-10-31 2021-05-04 江苏亚宝绝缘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严格等摩尔单体结合补偿加料的树脂合成方法及聚酰胺酸树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9066A1 (en) * 2001-02-05 2002-08-07 Rolic AG Photoactive polymer
US20030129467A1 (en) * 2001-12-20 2003-07-10 Hitachi, Ltd. Fuel cell, polyelectrolyte and ion-exchange resin used for same
KR2005004007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말단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고분자전해질과 연료 전지
KR20050082050A (ko) * 2004-02-17 2005-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측쇄 말단에 술폰산기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및 이를채용한 고분자 전해질과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251A (ja) * 2000-09-12 2002-03-27 Nippon Shokubai Co Ltd プロトン導電性高分子組成物
US6977122B2 (en) * 2001-03-27 2005-12-20 The University Of Chicago Proton conducting membrane for fuel cells
JP4029931B2 (ja) * 2002-11-08 2008-01-09 有限会社山口ティー・エル・オー アルコキシスルホン化芳香族ポリイミドを含有する電解質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9066A1 (en) * 2001-02-05 2002-08-07 Rolic AG Photoactive polymer
US20030129467A1 (en) * 2001-12-20 2003-07-10 Hitachi, Ltd. Fuel cell, polyelectrolyte and ion-exchange resin used for same
KR2005004007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말단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고분자전해질과 연료 전지
KR20050082050A (ko) * 2004-02-17 2005-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측쇄 말단에 술폰산기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및 이를채용한 고분자 전해질과 연료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2778A1 (en) 2007-04-26
KR20070039725A (ko) 2007-04-13
JP2007106999A (ja) 2007-04-26
JP5032087B2 (ja) 2012-09-26
CN1948354A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551B1 (ko) 이온전도성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193164B1 (ko) 술폰산기 함유 유기 고분자 실록산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Fu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sulfon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KR100707163B1 (ko) 고체산,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US7879971B2 (en) Multiblock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from the multiblock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7964676B2 (en) Crosslinkable sulfonated copolymer and fuel cell including polymeric composition of the same
CN102640338A (zh) 高分子电解质膜、膜-电极接合体及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US8124294B2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inorganic nanoparticle bonded with proton-conducting group and solid aci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KR100718109B1 (ko) 덴드리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US10428016B2 (en) Compound comprising aromatic ring, and poly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KR20090088646A (ko) 양이온 전도성 폴리술폰계 가교 고분자막, 막-전극 접합체및 연료전지
US20070196712A1 (en) Multiblock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from the multiblock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KR100718110B1 (ko) 올리고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US7115333B2 (en) High temperature composite proton exchange membranes
US20060141317A1 (en) Proton conductor,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lyte
US7862922B2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KR102546869B1 (ko)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JP2008545854A (ja) イオン伝導性コポリマーと非イオン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ポリマーブレンド
KR20200009846A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KR20070084885A (ko) 산-염기 혼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