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105B1 -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105B1
KR100717105B1 KR1020050049146A KR20050049146A KR100717105B1 KR 100717105 B1 KR100717105 B1 KR 100717105B1 KR 1020050049146 A KR1020050049146 A KR 1020050049146A KR 20050049146 A KR20050049146 A KR 20050049146A KR 100717105 B1 KR100717105 B1 KR 10071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coil motor
magnetic
lens holder
mo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059A (ko
Inventor
유쿠앙 쳉
Original Assignee
바스텍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텍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스텍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를 개시하는데, 특히 소형 카메라의 자동 초점 또는 가변 초점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 렌즈 홀더 및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자석 및 요크들을 포함하는 자기부, 와인딩 코일(winding coil)을 포함하는 전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부는 상기 장치의 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렌즈 홀더와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전기부 및 상기 유도 스틸 축들은 비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운동 성능의 고반복성을 달성하도록 상기 자기부의 누설 자속과 상기 유도 스틸 축들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프리-로드력(pre-load force)이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 사이의 공차 갭에서 기인한 자유 운동을 제거하고, 상기 자석 및 요크들이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의 전체 치수를 최소화하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비원형의 자기 구조체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VOICE COIL MOTOR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자석을 채택한, 비원형의 직사각형 자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자석을 채택한, 비원형의 직사각형 자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자석을 채택한, 비원형의 직사각형 자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기 프리-로드를 가지며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는 유도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기 프리-로드를 가지며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는 유도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실린더형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기 프리-로드 정밀 유도기(magnetically pre-loaded precision guidance)를 구비한 소형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소형 카메라의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린더형 보이스 코일 모터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동심 요크(concentric yoke;51), 폐쇄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U자형 단면의 동심 요크(51)의 내면에 부착된 복수의 아크-타입(arc-type) 자석(52) 및 상기 자석(52)과 상기 요크(51) 사이의 갭(gap;54) 내에 배치된 코일(53)을 포함하는데, 상기 코일(53)을 통한 전류 흐름은 상기 갭(54) 내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을 하고, 이것은 추진력(thrust)을 발생시킨다. 상기 코일(53)과 상기 자석(52)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기 코일(53)과 상기 요크(5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몇몇 방법들이 상기 실린더형의 보이스 코일 모터 내에 있는 상기 코일(53)을 지지하고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정밀 실린더형 선형 베어링이 채택되는데, 여기에서 실린더 부싱부(bushing portion)가 상기 요크(51)와 단단히 결합되고, 상기 코일(53)은 스풀부(spool portion)와 단단히 결합되며, 다음으로 상기 정밀 실린더형 선형 베어링이 상기 코일(53)과 상기 요크(51) 사이에 설치된 회전 볼들(balls)을 가지기 때문에, 비접촉 정밀도, 그리고 상기 코일(53)과 상기 요크(51) 사이의 평행한 미끄럼 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코일(53)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을 이동하는 경우, 두개의 탄성 플레이트릿들(elastic platelets)이 상기 코일(53)에 단단히 결합되고, 만약 탄성 플레이트릿들 모두가 정확히 동일한 탄성률을 가진다면, 비접촉 정밀도 및 상기 코일(53)과 상기 요크(51) 사이의 평행한 미끄럼 운동을 이론적으로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셋째, 비정밀도 분야에서, 상기 코일(53)은 미끄럼 실린더와 결합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코일(53)과 상기 요크(51) 사이의 비접촉 미끄럼 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측 둘레(rim)가 상기 요크(51)의 외측 둘레와 미끄러지듯이 접촉하고, 마찰력 및 운동의 평행도(parallelism)는 상기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의 공차에 기인한 갭(gap)에 좌우된다.
그러나, 소형 카메라의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도록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적용하는 것은 아래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a) 상기 렌즈는 이동편(movable piece)이고, 자동 초점 또는 가변 초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것은, 포지셔닝(positioning)의 고반복성과 더불어, 운동축과 광학축 사이의 런아웃(runout)에 대한 높은 기준을 또한 요구한다. 만약 전술한 제1 방법이 채택된다면, 운동 반복성과 마찰을 완성함에 있어 뛰어나지만, 상기 정밀 선형 베어링은 고가(高價)이고 소형화하는데 있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소형 카메라를 대량 생산하는 전례를 볼 때, 그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만약 전술한 제2 방법이 채택된다면, 상기 소형 카메라의 화질은 탄성 플레이트릿들의 탄성률에서의 차이 또는 복수의 아크-타입 자석들의 자화에서의 차이에 기인한 런아웃(runout)으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게다가, 휴대용 소형 카메라에 적용함에 있어, 렌즈의 중량은 운동 런아웃을 또한 야기시킬 것이다. 따라서, 제2 방법을 채택하는 것은 대량 생산에 있어 낮은 생산력을 야기시킬 것이다. 더욱이, 중량 유도(gravity-induced) 런아웃이 미래의 고화소 소형 카메라의 화질을 명백히 떨어뜨릴 것이다. 만약 전술한 제3 방법이 채택된다면, 상기 운동축의 런아웃은 운동(運動) 부재와 비운동(非運動) 부재 사이의 정밀 조립 공차의 제한을 통해 제어된다. 그러나, 사출 성형의 정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제어하기가 힘든데, 이것은 대량 생산에 있어 불안전한 품질을 야키시킬 것이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임의로 조립되고,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 사이의 마찰 및 운동 런아웃의 각도는 변할 수 있다. 너무 엄격한 공차는 너무 높은 마찰을 유도하는데, 상기 마찰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발생된 힘이 너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동하기 어렵게 한다. 너무 느슨한 공차는 너무 큰 자유 운동각(free-play angle)을 야기시키는데, 이것은 화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소형 카메라의 렌즈 모듈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대량 생산이 실시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 및 런아웃 각도가 상기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 사이의 조립 공차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중량에 상관 없는, 저비용의 유도 기구를 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휴대용 소형 카메라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휴대용 장치의 치수 한계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오늘날 시장의 경향이다; 그러나,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의 대칭 구조로 인해, 치수의 소형화는 얇은 자석의 제조 능력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크기의 소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구조체(magnetic structure) 설계의 관점에서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방법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상기 소형 카메라의 렌즈 모듈의 구동에 적용함에 있어 나타나는 결점 및 단점들을 극복하도록, 자기 프리-로드를 가지며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는 유도 기구(guidance mechanism)를 구비한 저비용의 소형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그 자체로부터의 자기장 누설이 상기 유도 스틸 축 상에 프리-로드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상기 렌즈 모듈이 저마찰, 고반복성을 가지고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고 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마찰, 그리고 상기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의 접촉면들 사이의 갭이 제거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비원형이고 직사각형의 자기 구조체를 가지는데, 이것은 상기 자기 구조체의 주어진 길이와 폭 하에서 최대력을 발생시키도록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자기부(magnetic part), 전기부(electric part),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guidance steel shafts), 렌즈 홀더( lens holder) 및 베이스(base)를 포함하는데,
상기 자기부는 복수의 비환상(non-annular) 자석들과 복수의 비환상면 요크들을 구비하는데, 비환상면 요크들과 중심 환상 벽 사이의 내부 환상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비환상면 요크들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운동 축을 따라 바닥 요크의 중심 환상 벽의 외측 둘레 주위에서 적층되고, 또한 상기 자기부는, 그것이 비원형이고 직사각형의 자기 구조체를 가지며 상기 내부 환상 갭이 압박력을 발생시킬 주 여기(勵起) 자기장(primary excitation magnetic field)을 가지며, 상기 자기 구조체의 외부가 프리-로드를 발생시킬 누설 자기장을 가진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고, 내부 환상 캡 내부에 배치되고, 전류가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경우 추진력(thrust)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 여기 자기장과 상호 작용을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장치의 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자기부와 단단히 결합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와 복수의 원형 홀들을 고정시키도록 나사산이 있는 홀을 가지거나 또는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과 미끄러질 수 있게 접촉하기 위하여 복수의 유도면들을 형성하도록 주변에 인접한 개방 아크면들을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원형 홀의 내측 둘레 또는 개방 아크 유도면들의 곁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부와의 간격을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누설 자기장은 폐자기 루프를 형성하고 프리-로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유도 스틸 축들을 자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간격을 가로지를 것이고, 그리고 이러한 프리-로드의 결과적인 모멘트는 상기 원형 홀 또는 개방 아크 유도 면들이 어떠한 자유 운동을 하지 않는 미끄럼 운동이 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스틸 축들과 정밀하고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부와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은 상기 장치의 비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후술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기 구조체는 2개의 비환상 자석(111,112), 2개의 비환상면 요크(121,122), 그리고 중심 환상 벽을 구비한 바닥 요크(13)를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운동 축을 따라 적층된다. 상기 비원형의 자기 구조체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2개의 폐자기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폐자기 루프 중 하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주 자기력선(primary magnetic line;15)인데, 상기 주 자기력선(15)은 비환상 자석(111 또는 1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나아가, 상기 비환상면 요크(121 또는 122)를 통해, 내부 환상 캡(14)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 요크(13)의 중심 환상 벽에 도달하고, 그 후 상기 바닥 요크(13)에 의해 상기 비환상 자석(111 또는 112)의 하부 표면까지 원위치로 유도된다. 상기 폐자기 루프의 나머지 하나는 프리-로드를 발생시키는 누설 자기력선(16)인데, 상기 누설 자기력선(16)은 상기 비환상 자석(111 또는 1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나아가, 상기 비환상면 요크(121 또는 122) 및 상기 바닥 요크(13)와 상기 비환상면 요크(121 또는 122) 사이의 외부 공기를 통해, 상기 바닥 요크(13)의 외측 둘레에 도달하고, 그 후 상기 바닥 요크(13)에 의해 상기 비환상 자석(111 또는 112)의 하부 표면까지 원위치로 유도된다. 종래의 원형 대칭 자기 구조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자기 구조체는, 직사각형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이 중공 원(hollow circle)의 특정 직경의 공간 제한 및 전체 구조의 특정 길이와 폭 하에서 상기 자석들을 설치하는데 완전히 이용될 수 있고, 2개의 비환상면 요크들(121,122)이 자속을 집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구조체는 주어진 출력에 대해 최소 치수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자석의 제조 문제로부터 기인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개념으로부터 확장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부는 4개의 비환상 자석(211,212,213 및 214), 4개의 비환상면 요크(221,222,223 및 224) 및 중심 환상 벽을 구비한 바닥 요크(23)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기부는 내부 환상 갭(14)에 배치되고, 베이스에 고정된다. 전류가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경우, 그것은 추진력(pushing force)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자기력선과 상호 작용을 할 것이다.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의 정적 코일(static-coil) 설계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케이블(cable)을 움직이지 않고, 이와 같이 상기 장치의 서비스 수명의 신뢰도는 향상될 것이다.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자기 프리-로드를 가지며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는 유도 기구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상기 자기부(32)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의 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렌즈 홀더(31)와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코일(33) 및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의 비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각각 베이스(35)에 고정된다. 이러한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은 상기 렌즈 홀더(31)의 2개의 개방 아크 유도면(311,312)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자기부(32)의 외측 둘레로부터 떨어져 간격(36)을 각각 유지한다. 상기 자기부(32)는 누설 자기력선(37)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누설 자기력선은 폐자기 루프를 형성하도록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을 통해 나아가고, 2개의 자기 프리-로드(381,382)는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과 맞서는 운동 부재의 표면 상에 나타날 것이다. 2개의 자기 프리-로드(381,382)의 합성 모멘트는 상기 렌즈 홀더(31)의 개방 아크 유도면들(open-arc guiding faces;311,312)을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의 표면들과 단단히 부착되도록 유도할 것이다.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의 직경 또는 중심과 2개의 개방 아크 유도면들(311,312) 사이의 공차로 인한 갭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갭이 작아지면 질수록 힘이 커지게 되고 이와 같이 나머지 아크 개방 유도면이 상기 운동 부재와 선형으로만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운동 부재는 작은 갭을 가지는 개방 아크 유도면에 밀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독창적인 유도 기구 설계는 상기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 사이의 상대적 운동이 어떠한 자유 운동도 가지지 않는 미끄럼 운동이 되게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위치 반복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유도 기구는 이러한 2개의 유도 스틸 축(341,342)의 평행도 요건을 또한 감소시키고, 상기 유도 기구의 마찰이 자기 프리-로드에만 관련되게 하고 조립 공차와는 관계없게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대량 생산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발명이 소형 카메라의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는데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코일(41), 제1 유도 스틸 축(421) 및 제2 유도 스틸 축(442)를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상기 장치의 비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베이스(43)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렌즈 홀더(45)와 단단히 결합되는 자기부(44)를 포함하는데, 상기 자기부는 상기 장치의 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렌즈 홀더 상에 또한 장착되는 렌즈 모듈(46)과 협동한다; 상기 자기부(44)는 제1 비환상 자석(441), 제2 비환상 자석(442), 제1 비환상면 요크(443) 및 제2 비환상면 요크(444)를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상기 자기 구조체의 전체 치수를 줄이기 위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비원형 자기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심 환상 벽을 구비한 바닥 요크(445)의 외측 둘레 주위에 적층된다. 상기 코일(41)은 전술한 자기부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내부 환상 갭 내에 정확히 배치되고, 전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코일(41)을 통해 흐르게 된다. 상기 렌즈 홀더(45)는 2개의 대칭 코너(corner)에 각각 배치된 제1 개방 아크 유도면(451)과 제2 개방 아크 유도면(452)를 가지는데, 여기에서 상기 자기부(44)의 누설 자기력선에 의해 발생된 프리-로드는 상기 개방 아크 유도면들(451,452)이 전술한 유도 스틸 축들(421,422)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력이 상기 운동 부재를 상기 비운동 부재와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경우, 어떠한 자유 운동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요약해서,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는 아래의 독창적인 접근법들을 통해 소형화, 대량 생산 및 자유 운동이 없는 미끄럼 운동의 목적들을 달성한다.
(a) 주어진 생산력에 대해 최소 치수를 가진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설계를 달성하고, 상기 장치의 소형화 과정동안 너무 얇은 자석의 제조 문제에서 기인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원형의 직사각형 자기 구조체를 이용한다.
(b) 상기 운동 부재와 비운동 부재 사이의 갭을 제거하고, 상기 렌즈 모듈의 자유 운동이 없는 미끄럼 운동을 달성하도록, 자기력선에 의해 상기 자기부 그 자체로부터 상기 유도 스틸 축을 통해 발생된 상기 자기 프리-로드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등가의 변경 및 변형예가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쉽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그러나, 그러한 등가의 변경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5)

  1.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로서,
    프리-로드(pre-load)를 발생시키는 누설 자기장 및 추진력(thrust)을 발생시키는 주 자기장(main magnetic field)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식 자기부(movable magnetic part);
    전류가 흐르는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식 전기부(static electric part);
    상기 장치의 운동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이동식 자기부에 결합된 렌즈 홀더(lens holder);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렌즈 홀더의 미끄럼 운동을 위해 유도축으로서 사용되는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guidance steel shafts); 및
    상기 장치의 비운동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식 전기부 및 상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베이스(base);
    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자기부는,
    중심 환상 벽(central annular wall)이 있는 바닥 요크(bottom yoke);
    복수의 비환상 자석; 및
    복수의 비환상면 요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환상면 요크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의 운동 축을 따라 상기 복수의 비환상 자석 위에 적층되고 또한 상기 바닥 요크의 상기 중심 환상 벽의 외측 둘레(outer rim) 주위에서 상기 바닥 요크 위에 형성되어, 상기 비환상면 요크의 내측 둘레(inner rim)와 상기 중심 환상 벽(central annular wall)의 외측 둘레 사이에 내부 환상 갭(inner annular gap)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식 자기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비원형 자기 구조체를 가지는 특징이 있고, 또한 상기 내부 환상 갭 내측에 상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주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로드를 발생시키는 상기 이동식 자기부의 외측 둘레에 누설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인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전기부는 상기 이동식 자기부의 상기 내부 환상 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 자기장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인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이 있는 홀을 가지고,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 둘레는 상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과 미끄러질 수 있게 접촉하는 복수의 원형 또는 개방 아크 유도면들(open-arc guiding faces)을 가지는 것인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은, 상기 복수의 원형 또는 개방 아크 유도면 곁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이동식 자기부의 외측 둘레에 대해 간격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자기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누설 자기장이, 상기 간격을 가로질러 상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과 연결하여 폐자기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프리-로드를 생성하고, 그 프리-로드에 의한 토크(torque)가 상기 복수의 원형 또는 개방 아크 유도면들을 각각 상기 복수의 유도 스틸 축들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접촉시켜 자유 운동이 없는 미끄럼 운동을 달성하는 것인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KR1020050049146A 2005-03-24 2005-06-09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KR10071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4109129 2005-03-24
TW094109129A TWI303915B (en) 2005-03-24 2005-03-24 Voice coil mo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59A KR20060103059A (ko) 2006-09-28
KR100717105B1 true KR100717105B1 (ko) 2007-05-11

Family

ID=3703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146A KR100717105B1 (ko) 2005-03-24 2005-06-09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0068B2 (ko)
JP (2) JP2006271180A (ko)
KR (1) KR100717105B1 (ko)
TW (1) TWI3039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2334A (zh) * 2013-11-06 2014-01-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适宜于动子360度旋转的有限转角音圈电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417B2 (ja) * 2004-11-01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ボイスコイル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撮像装置
JP4551863B2 (ja) 2005-10-21 2010-09-29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7295388B2 (en) * 2005-11-23 2007-11-13 E-Pin International Co., Ltd. Lens module
US20070236577A1 (en) * 2006-03-30 2007-10-11 Chau-Yaun K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age stabilization
TWM304689U (en) * 2006-06-09 2007-01-11 Tricore Corp Focusing actuator using voice coil motor
JP5066734B2 (ja) * 2006-06-30 2012-11-07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US7477462B2 (en) * 2006-07-12 2009-01-13 E-Pin International Tech Co., Ltd. Auto-focus lens module
US7576455B2 (en) * 2006-08-14 2009-08-18 Tricore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ocusing actuator of a voice coil motor
KR101181117B1 (ko) 2006-11-23 2012-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US7936526B2 (en) 2006-12-13 2011-05-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TWM325524U (en) * 2007-03-20 2008-01-11 Tricore Corp Improvement of driving and positing assignment for focusing actuator
TWI347062B (en) 2007-05-15 2011-08-11 Ind Tech Res Inst Voice coil motor and pre-compression generation device
US8232688B2 (en) * 2007-06-05 2012-07-31 Tricore Corporation Voice coil motor type focusing actuator
TWI341437B (en) * 2007-08-13 2011-05-01 Ind Tech Res Inst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device
US7725014B2 (en) * 2007-08-29 2010-05-25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ctuator for linear motion and tilting motion
KR200457931Y1 (ko) 2007-11-05 2012-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JP5071680B2 (ja) * 2008-07-07 2012-11-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I426683B (zh) 2009-03-17 2014-02-11 Vasstek Int Corp A voice coil motor with a flat coil
TWI421613B (zh) * 2010-05-14 2014-01-01 Ability Entpr Co Ltd 行動通訊裝置之自動對焦裝置
KR101097550B1 (ko) 2010-05-31 2011-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5574292B2 (ja) * 2010-07-07 2014-08-20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US8189280B2 (en) * 2010-07-16 2012-05-29 Nokia Corporation Voice coil motor with pulse-width modulation driver
US8320756B2 (en) 2010-08-10 2012-11-27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Single actuator configuration for a camera module
TWI400593B (zh) * 2010-08-31 2013-07-01 Vasstek Int Corp Voice coil motor
TWI400861B (zh) * 2010-09-02 2013-07-01 Vasstek Int Corp Can move the moving sound of the voice coil motor
TW201223084A (en) * 2010-11-16 2012-06-01 Hon Hai Prec Ind Co Ltd Voice coil motor
JP2012113236A (ja) * 2010-11-26 2012-06-14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TWI413345B (zh) * 2011-02-24 2013-10-21 Tdk Taiwan Corp 電磁驅動裝置
KR101808858B1 (ko) * 2011-04-07 2018-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TW201308838A (zh) * 2011-08-03 2013-02-16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
JP5880816B2 (ja) * 2011-09-28 2016-03-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I514722B (zh) * 2011-12-21 2015-12-21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
CN102590979B (zh) * 2012-01-17 2013-10-23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焦距调节装置和光学成像装置
TWI504109B (zh) * 2013-08-06 2015-10-11 Vasstek Int Corp Can move the moving sound of the voice coil motor
TWI546583B (zh) * 2015-01-14 2016-08-21 A voice coil motor that focuses on the side of the suction
KR102351098B1 (ko) * 2015-01-16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렌즈 모듈
US9612362B2 (en) 2015-01-27 2017-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in active optical zoom le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E112015006490T5 (de) * 2015-06-02 2018-01-18 Olympus Corporation Optische Einheit und Endoskop
USD908775S1 (en) * 2018-01-12 2021-01-26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CN110323921A (zh) * 2019-07-15 2019-10-11 宜兴市贵鑫磁电高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自动对焦音圈马达
CN110323920A (zh) * 2019-07-15 2019-10-11 宜兴市贵鑫磁电高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自动对焦音圈马达
CN114556179A (zh) * 2019-12-19 2022-05-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摄像机装置和电子设备
US11428894B2 (en) 2020-02-04 2022-08-30 Hand Held Products, Inc. Discrete variable focus assemblies and apparatuses
CN114488459A (zh) * 2020-11-13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音圈马达、摄像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850A (en) 1989-10-05 1992-07-21 Canon Kabushiki Kaisha Lens actuator
US6567352B1 (en) 1996-08-19 2003-05-20 Hitachi, Ltd.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370323Y1 (ko) * 2004-10-01 2004-12-10 김용필 카메라 자동초점조절용 액튜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7048A (en) * 1961-07-03 1964-11-17 Trans Sonics Inc Digital tank gaging system
JPH04119306A (ja) * 1990-09-10 1992-04-20 Sony Corp カメラ用レンズ鏡筒
US6134058A (en) * 1998-07-03 2000-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 lens driving device
JP3822434B2 (ja) * 2000-12-13 2006-09-20 株式会社リコー 対物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850A (en) 1989-10-05 1992-07-21 Canon Kabushiki Kaisha Lens actuator
US6567352B1 (en) 1996-08-19 2003-05-20 Hitachi, Ltd.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370323Y1 (ko) * 2004-10-01 2004-12-10 김용필 카메라 자동초점조절용 액튜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2334A (zh) * 2013-11-06 2014-01-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适宜于动子360度旋转的有限转角音圈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9051U (ja) 2008-01-31
TWI303915B (en) 2008-12-01
TW200525859A (en) 2005-08-01
JP2006271180A (ja) 2006-10-05
KR20060103059A (ko) 2006-09-28
US7400068B2 (en) 2008-07-15
US20060214520A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10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장치
US7679225B2 (en) Voice coil motors and pre-compression generation devices thereof
JP5110809B2 (ja) 電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US7633190B2 (en) Voice coil motors
KR10109755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US7394603B2 (en) Lens driving apparatus
JP2011039481A (ja) レンズ駆動装置
US10564515B2 (en) Blade driving device
US20160018625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7881602B2 (en) Driving device,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0160435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EP1905050A1 (en) Actuator assembly, method of driving an actuator assembly and apparatus for driving an actuator assembly
JP2010068635A (ja) アクチュエータ、該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撮像機器および電子機器
KR100866525B1 (ko) 카메라용 자동초점조절장치
JP2005352032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6091207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472433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568295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JP4573668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2106781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896991B1 (ko)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JP2015001715A (ja) 像振れ補正装置、光学機器、及び撮像装置
TWI437795B (zh) 音圈馬達
JP2023155194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3155195A (ja) 光学部材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