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31Y1 -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 Google Patents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31Y1
KR200457931Y1 KR2020070017833U KR20070017833U KR200457931Y1 KR 200457931 Y1 KR200457931 Y1 KR 200457931Y1 KR 2020070017833 U KR2020070017833 U KR 2020070017833U KR 20070017833 U KR20070017833 U KR 20070017833U KR 200457931 Y1 KR200457931 Y1 KR 200457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
voice coil
coil motor
circuit board
contac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351U (ko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3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이스코일 모터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의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단자핀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삽입홈이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단자핀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점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충진되는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구성됨으로써, 납땜 공정 없이 보이스코일 모터의 단자핀을 회로기판에 접점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를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

Description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Contact structure of terminal pin for voice coil motor}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모바일용 카메라 제품군은 복합화, 다기능화, 소형화됨에 따라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또한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CCD,CMOS)가 제품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셈블리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광학계에서 대상 물체의 배율을 변화시키는 줌(Zoom)기능과 정해진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한 오토포커싱(AF:Auto Focusing)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기존의 방식은 줌과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스텝 모터, 피에조(piezo), 보이스코일 모터(VCM : Voice Coil Motor) 등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한다.
이하, 종래의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이스코일 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입사 받을 수 있도록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보이스코일 모터(120)와, 보이스코일 모터(120)의 구동을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130)과,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미지를 결상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회로기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핀(130)은 보이스코일 모터(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회로기판(140)에는 상기 단자핀(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31)이 구비되어 상기 단자핀(130)이 관통홀(131)에 관통된 상태에서 납땜을 하여 보이스코일 모터(120)와 회로기판(140)이 전기적으로 접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자핀과 회로기판이 납땜 공정을 통해 접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바, 보이스코일 모터의 하단 협소한 공간에서 납땜 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납이 흘러내리게 되는 등 납땜 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납땜의 공정에서 불량품 발생 가능성이 크게 되며, 이와 같은 납땜 부위의 불량은 제품의 외관 또는 조립성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이스코일 모터의 단자핀과 회로기판이 별도의 납땜 공정 없이 접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 접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보이스코일 모터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의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단자핀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삽입홈이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단자핀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점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충진되는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에 의하면, 납땜 공정 없이 보이스코일 모터의 단자핀을 회로기판에 접점 시킬 수 있기 때 문에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전도성 에폭시가 충진되기 때문에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도성 에폭시수지가 충진된 삽입홈 내에 단자핀을 삽입하는 것으로만 단자핀의 접점 및 고정이 유지되기 때문에 장비를 사용하여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는, 보이스코일 모터(10)의 단자핀(11)이 종래와 같이 납땜 방식으로 회로기판(20)에 접점 고정되지 아니하고, 전도성 접착제(30)에 의해 접점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접점구조가 가능해지도록, 보이스코일 모터(10)에는 상기 보이스코일 모터(10)와 지속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로 하측으로 단자핀(11)이 돌출되고, 상기 단자핀(11)과 대응되는 위치의 회로기판(20) 상면에는 상기 단자핀(11)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21)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21)에 전도성 접착제(30)를 충진한 상태에서 단자핀(11)을 삽입시킨 후 전도성 접착제(30)를 경화시킴으로써,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11)이 회로기판(20)에 접점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1)은 전도성 접착제(30)의 도포시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핀(1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핀(11)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21)의 끝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제(30)의 충진시 단자핀(11)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30)는 기존 전자기기나 전자부품의 접속에 이용되고 있는 납땜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납이나 수은 등 해로운 물질을 전기기기나 전자부품에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대체방법으로 전도성 접착제(30)가 이용되고 있으며, 전도성 접착제(30) 가운데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 전도성 에폭시이다. 이러한 전도성 에폭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에 전도성 접착제(30)를 충진한 상태에서 보이스 코 일 모터(10)와 회로기판(20)이 결합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의 단자핀(11)은 하단 일부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면서 전도성 접착제(30)인 에폭시에 접촉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터(10)의 단자핀(11)이 회로기판(20)에 접점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보이스코일 모터(10)와 회로기판(20)을 조립시키기만 하면 단자핀(11)과 회로기판(20)이 상호 접속되면서 자동으로 접속 고정되는바, 보이스코일 모터(10)의 단자핀(11)을 회로기판(20)에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으므로 기존에 비해 조립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자동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상승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해볼 수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이스코일 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코일 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이스코일 모터 11 - 단자핀
20 - 회로기판 21 - 삽입홈
30 - 전도성 접착제

Claims (4)

  1. 보이스코일 모터(1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단자핀(11);
    상기 단자핀(11)의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단자핀(11)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삽입홈(21)이 구비된 회로기판(20);
    상기 단자핀(11)과 회로기판(20)이 전기적으로 접점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21)에 충진되는 전도성 접착제(30)를 포함하는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단자핀(11)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인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11)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21)의 끝단은 서로 이격되는 것인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접착제(30)는 전도성 에폭시인 것인 보이스코일 모터의 단자핀 접점구조.
KR2020070017833U 2007-11-05 2007-11-05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KR200457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833U KR200457931Y1 (ko) 2007-11-05 2007-11-05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833U KR200457931Y1 (ko) 2007-11-05 2007-11-05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51U KR20090004351U (ko) 2009-05-11
KR200457931Y1 true KR200457931Y1 (ko) 2012-01-12

Family

ID=4129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833U KR200457931Y1 (ko) 2007-11-05 2007-11-05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011B1 (ko) * 2012-12-13 2020-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180A (ja) 2005-03-24 2006-10-05 Vasstek Internatl Corp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装置
JP2007129900A (ja) 2006-03-02 2007-05-24 Magtronics Technology Inc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と磁気弾性力による位置決め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180A (ja) 2005-03-24 2006-10-05 Vasstek Internatl Corp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装置
JP2007129900A (ja) 2006-03-02 2007-05-24 Magtronics Technology Inc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と磁気弾性力による位置決め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51U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945B2 (en) Glass cap molding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mera module
KR101237627B1 (ko) 카메라 모듈
KR10119025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5527691B (zh) 透镜移动装置
US8356950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US20090166511A1 (en) Image sensor module having electric compon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203471B2 (en) Lens driving module
KR100678986B1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전자기기, 및전자기기의 제조방법
KR20090066579A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카메라 모듈
CN111580236B (zh) 马达镜头组件及相应的摄像模组
KR2007010401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929645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機
KR20170082275A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4761956B2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US20120044591A1 (en) Camera module
KR2014001953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전자장치
JP2005210628A (ja) 撮像装置用半導体搭載用基板と撮像装置
KR101037685B1 (ko)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57931Y1 (ko) 보이스코일 모터 단자핀 접점구조
KR20070119810A (ko)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67752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053364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07182A (ko) 카메라 모듈
KR100867504B1 (ko) 카메라 모듈
KR101280986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