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335B1 -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335B1
KR100716335B1 KR1020040078919A KR20040078919A KR100716335B1 KR 100716335 B1 KR100716335 B1 KR 100716335B1 KR 1020040078919 A KR1020040078919 A KR 1020040078919A KR 20040078919 A KR20040078919 A KR 20040078919A KR 100716335 B1 KR100716335 B1 KR 10071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nductive
conductive layer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814A (ko
Inventor
가토가즈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4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 기기는 제 1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1 케이싱과, 제 2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2 케이싱과,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coupling part)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제 1 전도성 층은 연결부를 거쳐서 제 2 전도성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휴대 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 부품의 사시도,
도 5는 휴대 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휴대 기기의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7은 연결부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연결부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휴대 기기 12 : 제 1 케이싱
13 : 제 2 케이싱 14 : 연결부
37 : 회로 기판 42 : 회전축
43 : 베어링 66 : 전기 전도성 부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로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2개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되고 디스플레이될 정보의 많은 다양화에 따라 칼라의 수가 증가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기기(휴대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조작성 및 휴대성 양자가 우수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가 표준으로 되었다.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2개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 케이싱은 연결부를 거쳐서 서로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의 각각에 구비되는 회로의 접지 전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접지선을 포함한 가요성 케이블을 거쳐서 각 도체내의 회로 기판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양 회로의 접지 전위가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하나의 기술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3852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 휴대 전화기는 소형화되고 있고, 복잡한 형태의 휴대 전화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기능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과 같은 다양한 탑재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케이싱내에 구비된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배선의 개수가 증가되고 있지만, 연결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곤란하며, 그에 따라 배선의 각각을 연결부내로 통과시키기 어렵다. 배선이 간극이 없이 연결부내로 통과된다면, 다음에 2개의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되는 경우에, 꼬임 또는 비틀림과 같은 부하가 배선상에 걸리게 된다. 이것이 심각하면 배선이 파단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각각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케이싱중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 재배향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박형 및 경량의 요구조건에 부합할 수 있는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제 1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1 케이싱과, 제 2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coupling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은 상기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제 2 전도성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1 케이싱과, 제 2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에서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coupling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은 상기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제 2 전도성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또한 상기 전도성 층이 접지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 있는 전도성 부품과, 상기 전도성 부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된 전기 전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부품은 상기 전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따르면, 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인해서 케이싱이 서로 전기적으로 전도되기 때문에, 케이싱의 각각내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연결부를 거쳐서 케이싱중 하나로 흐르게 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각 케이싱내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처리하는 구조를 각 케이싱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형 및 경량의 요구조건에 부합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와, 조작 키와,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는 상기 제 2 케이싱에 대향하는 제 1 케이싱의 면과 반대측에 있는 제 1 케이싱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키 및 마이크는 상기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이 적층될 때 제 1 케이싱에 대향하는 제 2 케이싱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유지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휴대 기기는 상기 제 1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 있는 전도성 부품과, 상기 전도성 부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된 전기 전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은 상기 전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1 전도성 층을 구비한 회로 기판이 브래킷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휴대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의 휴대 전화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휴대 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휴대 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1)는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을 포함한다.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은, 제 1 케이싱(12)에 대향하는 제 2 케이싱(13)의 면에 직교하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그들 단부중 하나 근방의 연결부(14)에 연결되어 있다. 휴대 기기(11)는 2개의 형태, 즉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이 적층되어 있는 폐쇄 상태와,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이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어서 연장된 상태(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를 가진 소위 회전 형태를 갖고 있다.
제 1 케이싱(12)은 전화기의 조작 메뉴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5)와, 스피커(1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 및 스피커(17)는 제 2 케이싱(13)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 면상에 제공된다. 측면 키(16)는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제 2 케이싱(13)은 다이얼 입력이나 메뉴 조작에 사용하는 숫자판 또는 커서 키와,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들은 제 1 케이싱(12)에 대향하는 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측면 키(18)는 측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전지, CPU, 메모리 및 무선부 등과 같은 휴대 전화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다.
도 6은 휴대 기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1)는 CPU(21)를 포함한다. 이러한 CPU(21)는 디스플레이 장치(15)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숫자판, 커서 키 및 측면 키(16, 18)와 같은 조작부(23)와, ROM 또는 RAM과 같은 메모리(24)와, 무선부(25)에 연결되어 있다. CPU(21)는 디스플레이부(22), 조작부(23), 메모리(24) 및 무선부(25)에 의해 통신을 실시한다.
대기 동안에, 휴대 기기(11)는 제 1 케이싱(12)이 제 2 케이싱(13)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폐쇄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기기(11)에 탑재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 케이싱(12, 13)의 측면상에 제공된 측면 키(16, 18)를 작동시킴으로써 선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전화를 하기 위해서 다이얼 입력, 문자 입력 등을 행할 필요가 있을 때, 측면 키(16, 18)를 이용하여 입력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제 1 케이싱(12)을 연결부(14)에서 180° 회전시켜서 숫자판 및 커서 키가 노출된 개방 상태(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하고, 숫자판 또는 커서 키를 조작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실행한다.
이러한 휴대 기기(11)는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이 각각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싱(12)은 디스플레이측 리어 케이스(31) 및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32)가 조합된 구조를 갖고 있고, 제 2 케이싱(13)은 조작측 리어 케이스(33) 및 조작측 프론트 케이스(34)가 조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다음에,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제 1 케이싱(12)은 디스플레이부(22)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5)를 지지하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홀더(36)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케이싱(13)은 회로 기판(37)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싱(12)과 제 2 케이싱(13) 사이에는, 제 1 케이싱(12)과 제 2 케이싱(13)을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14)는 제 1 케이싱(12) 측에 설치된 회전축(42)과, 제 2 케이싱(13) 측에 설치된 베어링(43)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42) 및 베어링(43)은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3)은 그 중심에 활주 구멍(44)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주에 플랜지(45)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45)는 제 2 케이싱(13)의 조작측 프론트 케이스(34)에 나사(46, 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통 판 스프링(48)은 도통 상태로 베어링(43)의 플랜지(45)에 고정되어 있다. 도통 판 스프링(48)은 회로 기판(37)의 접지 패턴(전도성 층)과 도통 접촉되어 있다.
회전축(42)은 그 하단에 활주 핀(5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주에 플랜지(52)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52)는 제 1 케이싱(12)의 디스플레이측 리어 케이스(31)에 나사(53, 54)에 의해 도통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2)의 하단의 활주 핀(51)은 베어링(43)의 활주 구멍(44)내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와셔(55)를 거쳐서 단면을 밀봉하는 밀봉부(56)에 의해, 베어링(43) 및 회전축(42)은 서로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도통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42)은 요동 기구부(61)(rocking mechanism)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요동 기구부(61)는, 제 1 케이싱(12)을 연결부(14)에서 회전축(X)에 직교하는 축(Y)을 중심으로 해서 소정 각도로 요동시킨다. 따라서, 양 측에 설치된 권취 스프링(62)에 의해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케이싱(12)을 제 2 케이싱(13)을 향 해 가압한다.
금속 재료로 형성된 커버 판(63)은 도통 상태로 회전축(42)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판(63)상에는 브래킷(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브래킷(64)은 홀더(36)와, 제 1 케이싱(12)에 설치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상의 접지 패턴의 각각에 도통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금속 도금을 실시한 장식 부재(전도성 부품)(19)는 제 1 케이싱(12)의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32)상의 플라스틱재의 표면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장식 부재(19)의 일부분은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32)의 외부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장식 부재(19)와 연결부(14)의 커버 판(63)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 부재(66)가 협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부재(66)의 스폰지 또는 직물의 외주가 알루미늄박과 같은 도전성 시트로 감싸져 있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부재는 탄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32)를 디스플레이측 리어 케이스(31)에 부착시킨 경우에, 연결부(14)와 도전되어 있는 커버 판(63)과 장식 부재(19) 사이에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66)를 협지한 상태로 접촉이 이뤄지므로, 장식 부재(19) 및 연결부(14)가 도전되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휴대 기기(11)에 있어서, 장식 부재(19),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 및 제 1 케이싱(12)의 홀더(36)는,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4)를 거쳐서 제 2 케이싱(13)의 회로 기판(37)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전도된다.
즉, 이러한 휴대 기기(11)에 따르면, 제 1 케이싱(12)과 제 2 케이싱(13)의 면에 직교하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을 연결하는 연결부(14)에 의해서, 제 1 케이싱(12)에 구비된 장식 부재(19),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접지 패턴 및 홀더(36)와, 제 2 케이싱(13)에 구비된 회로 기판(37)의 접지 패턴이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의 각각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연결부(14)를 거쳐서 제 2 케이싱(13)에 설치된 회로 기판(37)의 접지 패턴과 같은 접지 도체로 배향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11)에 내장된 다양한 제어 부품, 전자 부품 및 전기 부품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 1 케이싱(12)내에 구비된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을 제 2 케이싱(13)내에 구비된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에 연결하는 배선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결부(14)내로 삽입되는 배선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14)를 통해 통과되는 배선 사이의 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싱(12) 및 제 2 케이싱(13)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될 때 배선의 꼬임이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료를 가진 전기 전도성 부재(66)를 제 1 케이싱(12)의 장식 부재(19)와 연결부(14)와 전기적으로 전도된 커버 판(63)에 의해 협지시킴으로써, 장식 부재(19) 및 연결부(14)가 전기적으로 전도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싱(12)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측 프론트 케이스(32)를 단순히 부착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성 부재(66)에 의해 제 1 케이싱(12)을 연결부(14)와 전기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접지선 등을 접속해서 제 1 케이싱(12)과 연결부(14)를 전기적으로 전도시키는 특 별한 구조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술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추가, 생략, 대체 및 다른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따르면, 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인해서 케이싱이 서로 전기적으로 전도되기 때문에, 케이싱의 각각내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연결부를 거쳐서 케이싱중 하나로 흐르게 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각 케이싱내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처리하는 구조를 각 케이싱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형 및 경량의 요구조건에 부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조작 키,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한 휴대 기기(portable device)에 있어서,
    제 1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1 케이싱과,
    제 2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coupling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베어링 및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및 상기 회전축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은 상기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제 2 전도성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 및 상기 제 2 전도성 층은 접지 도체(ground conductor)인
    휴대 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는 전도성 부품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탄성의 전도성 부재(elastic conductive member)가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은 상기 탄성의 전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
  4. 조작 키,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있어서,
    제 1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1 케이싱과,
    제 2 전도성 층을 가진 회로 기판을 내장한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에서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베어링 및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및 상기 회전축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은 상기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제 2 전도성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도성 층 및 상기 제 2 전도성 층은 접지 도체인
    휴대 기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는 전도성 부품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탄성의 전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은 상기 탄성의 전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는 상기 제 2 케이싱에 대향하는 제 1 케이싱의 면과 반대측에 있는 제 1 케이싱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키 및 마이크는 상기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이 적층될 때 제 1 케이싱에 대향하는 제 2 케이싱의 면에 배치되는
    휴대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유지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홀 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는 전도성 부품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탄성의 전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부품은 상기 탄성의 전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유지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1 전도성 층을 구비한 회로 기판이 브래킷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휴대 기기.
KR1020040078919A 2003-10-07 2004-10-05 휴대 기기 KR100716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8163 2003-10-07
JP2003348163A JP4319507B2 (ja) 2003-10-07 2003-10-07 携帯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478A Division KR20070013355A (ko) 2003-10-07 2007-01-11 휴대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814A KR20050033814A (ko) 2005-04-13
KR100716335B1 true KR100716335B1 (ko) 2007-05-11

Family

ID=34540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919A KR100716335B1 (ko) 2003-10-07 2004-10-05 휴대 기기
KR1020070003478A KR20070013355A (ko) 2003-10-07 2007-01-11 휴대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478A KR20070013355A (ko) 2003-10-07 2007-01-11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57005B2 (ko)
JP (1) JP4319507B2 (ko)
KR (2) KR100716335B1 (ko)
CN (1) CN10036944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62B1 (ko) * 2004-12-01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어셈블리
JP4571901B2 (ja) * 2005-10-14 2010-10-27 富士通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携帯端末機
CN101297494A (zh) * 2005-10-27 2008-10-29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电子装置
JP4563943B2 (ja) * 2006-01-30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563960B2 (ja) * 2006-04-27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458635A (zh) * 2012-05-29 2013-1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52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携帯無線通信装置
KR20020050182A (ko) * 2000-12-20 2002-06-26 나가토시 다쯔미 가요성 인쇄 회로를 구비한 힌지 커넥터에 의해힌지식으로 연결된 두 기저부재로 구성되는 폴더형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70987A1 (en) * 1995-05-09 2000-03-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nductors
EP0956688A1 (fr) * 1997-01-28 1999-11-17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Telephone mobile a couvercle articule et contacts tournants
US6252767B1 (en) * 1999-06-22 2001-06-26 Hewlett-Packard Company Low impedance hinge for notebook computer
WO2002003764A1 (fr) * 2000-06-30 2002-01-10 Sanyo Electric Co., Ltd. Carte de circuit imprime souple et terminal telephonique cellulaire pli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52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携帯無線通信装置
KR20020050182A (ko) * 2000-12-20 2002-06-26 나가토시 다쯔미 가요성 인쇄 회로를 구비한 힌지 커넥터에 의해힌지식으로 연결된 두 기저부재로 구성되는 폴더형 전자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50182
121385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6314A (zh) 2005-04-13
US20050118840A1 (en) 2005-06-02
KR20070013355A (ko) 2007-01-30
US7257005B2 (en) 2007-08-14
JP4319507B2 (ja) 2009-08-26
CN100369447C (zh) 2008-02-13
KR20050033814A (ko) 2005-04-13
JP2005116735A (ja)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75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JP5238654B2 (ja) 携帯端末
KR20050120852A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20080023554A (ko) 디스플레이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5565858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70013355A (ko) 휴대 기기
JP4324724B2 (ja) 2軸構造及び携帯端末装置
JP457871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6355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107194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515211B2 (ja) 電子機器
KR20050028078A (ko) 복수개의 폴더에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H06326425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保護構造
JP5601101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26425Y1 (ko)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로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
KR200366236Y1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폰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4214938A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4492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可撓性回路基板
JP2005217817A (ja) 携帯電話機
KR20040031166A (ko) 슬라이딩 회전 개폐형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9159419A (ja) 電子機器
KR20070028774A (ko) 휠 버튼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42169A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