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171B1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171B1
KR100715171B1 KR1020050070511A KR20050070511A KR100715171B1 KR 100715171 B1 KR100715171 B1 KR 100715171B1 KR 1020050070511 A KR1020050070511 A KR 1020050070511A KR 20050070511 A KR20050070511 A KR 20050070511A KR 100715171 B1 KR100715171 B1 KR 10071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pipe
engine
body fram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022A (ko
Inventor
마사히코 다케나카
히로히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0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 B62K19/06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전륜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와, 상기 프론트 포크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을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메인 파이프의 아래쪽 공간을 보다 크게 하여 엔진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에 적절한 휨을 갖게 하여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한다.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는, 로어 파이프(19)로부터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동시에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속 설치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하여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SCOOTER TYPE MOTORCYCLE}
도 1은 제1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핸들 록 장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6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흡기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파워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12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프론트 포크
16 : 조향 핸들
17 : 헤드 파이프
18 : 다운 파이프
19 : 로어 파이프
20 : 메인 파이프
20a : 전반 경사부
20b : 후반 경사부
20c : 만곡부
23 : 시트 레일
32 : 엔진 행거
133 : 승차용 시트
135 :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
BF : 전방부 뱅크
BR : 후방부 뱅크
EB, EB, EC : 엔진
F : 차체 프레임
WF : 전륜
본 발명은 전륜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와, 상기 프론트 포크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을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160081호에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160081호에 개시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가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의 아래쪽에서 전후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수평 프레임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아래쪽에서 대부분을 배치하는 엔진을 지지하는 엔진 행거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아래쪽에 보다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엔진 형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에 휨을 갖게 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파이프의 아래쪽 공간을 보다 크게 하여 엔진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에 적절한 휨을 갖게 하여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륜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와, 상기 프론트 포크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을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의 앞쪽에서 상기 헤드 파이프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와, 이들 다운 파이프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헤드 파이프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와, 이들 로어 파이프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양 다운 파이프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파이프는 상기 로어 파이프로부터 뒤로 상승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다운 파이프의 후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전반 경사부와,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하여 상기 전반 경사부의 후단 및 상기 후반 경사부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가 일체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다운 파이프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메인 파이프의 전반 경사부에 엔진 을 지지하는 엔진 행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승차용 시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뒤로 상승하여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의 전단이 상기 양 메인 파이프에서의 후반 경사부의 전방부에 각각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서로 V자형을 이루는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를 갖는 V형의 상기 엔진이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 사이에서 상기 엔진 행거에 지지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고, 후방부 뱅크가 상기 양 메인 파이프의 만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가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직각사변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각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엔진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핸들 록 장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 6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 를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5) 및 상기 프론트 포크(1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1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7)와, 상기 헤드 파이프(17)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18…)와, 이들 다운 파이프(18…)의 아래쪽에서 상기 헤드 파이프(17)에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양 다운 파이프(18…)보다도 급경사로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19…)와, 이들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양 다운 파이프(18…)의 후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를 구비한다. 상기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는 이들 로어 파이프(19…)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이 접합된다.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로어 파이프(19…) 및 상기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접합부 근방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이 메인 파이프(20…)의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의 연결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좌우로 쌍을 이루는 다운 파이프(18…) 및 로어 파이프(19…)의 중간부 사이에는 보강용 연결판(21…)이 설치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예를 들면 상기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서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하여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연달아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도 4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대략 직각사변형의 각통으로 이루어진다. 더구나, 상기 전반 경사부 (20a)의 중간부에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용접에 의해 연달아 설치된다.
상기 후반 경사부(20b)의 전방부에는 연결판(22)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시트 레일(23)의 전단이 상기 연결판(22)에 연결되며,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3…)의 후방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더구나,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판(22)의 전단측의 일부가 만곡부(20c)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연결판(22) 및 시트 레일(23)을 효율적으로 메인 파이프(20)에서의 후반 경사부(20b)의 전방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레일(23…)의 후방부에는 전단을 후반 경사부(20b)의 후단에 접합시켜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리어 파이프(24…)의 후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좌우로 쌍을 이루는 시트 레일(23…) 및 리어 파이프(24…)의 중간부 사이에는 보강용 연결판(25…)이 설치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F)에는 4사이클인 엔진(EA)과, 상기 엔진(EA)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A)이 후륜(WR)를 구동하도록 탑재된다. 상기 엔진(EA)은, 예를 들면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크랭크 케이스(28)와 상하로 연장되는 연장되는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29)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와, 실린더 헤드(30)의 꼭대기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차체 프레임(F)에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는 제1 엔진 행거(32…)가 설치되 어 있고, 상기 엔진(EA)에서의 실린더 블록(29)의 앞쪽에서 크랭크 케이스(20)의 상부가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된다. 또한,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하단에는 제2 엔진 행거(33…)가 한 쌍의 볼트(43…)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크랭크 케이스(28)의 전방측 하부가 제2 엔진 행거(33…)에 볼트(44)로 체결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 엔진(EA)을 양 메인 파이프(20…)에 지지할 수 있고, 더구나, 제1 엔진 행거(32…)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볼트(26…)의 체결에 의해서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되며, 상기 엔진(EA)의 크랭크 케이스(28)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볼트(27)의 체결에 의해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또한 강성을 보다 높게 하여 크랭크 케이스(28)를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크랭크 케이스(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34)는 한 쌍의 크랭크 웨브(34a, 34a)와, 이들 크랭크 웨브(34a, 34a) 사이를 연결하는 크랭크 핀(34b)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2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피스톤(35…)은 상기 양 크랭크 웨브(34a, 34a) 사이의 크랭크 핀(34b)에 커넥팅 로드(36…)를 통해 연결된다.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르는 좌측에서, 크랭크 샤프트(34)의 일단부는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크랭크 샤프트(34)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로터(37)와, 상기 로터(37) 내에 수용되는 스테이이터(38)로 AC 발전기(39)가 구성되며, 상기 AC 발전기(39)는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40)로 덮이고, 상기 스테이이터(38)는 좌측 커버(4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30)에 설치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구동하는 밸브 구동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드(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샤프트(41)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28) 및 AC 발전기(39) 사이의 크랭크 샤프트(34) 사이에는 시간 조정 전동 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샤프트(34)의 회전 동력은 상기 시간 조정 전동 장치(42)에 의해서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샤프트(41)에 전달된다.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르는 우측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8)에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주체(45)가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스 주체(45)의 우측에 체결되는 우측 커버(46)와, 상기 케이스 주체(45)의 후방부 우측에 체결되는 기어 케이스(47)와, 상기 케이스 주체(45)로 변속기 케이스(48)가 구성되고, 케이스 주체(45) 및 우측 커버(46) 사이에는 변속실(49)이 형성되며, 케이스 주체(45) 및 기어 케이스(47) 사이에는 기어실(50)이 형성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변속실(49)에는 크랭크 샤프트(34)의 회전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M)가 수납된다. 상기 무단 변속기(M)는 변속실(49) 내에 면하는 크랭크 샤프트(34)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풀리(51)와, 크랭크 샤프트(34)와 평행한 축선을 갖고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54)의 변속실(49) 내에 면하는 부분에 장착되는 드리븐 풀리(52)와, 드라이브 풀리(51) 및 드리븐 풀리(52)에 권 취되는 무단 형상의 벨트(53)를 구비한다.
드라이브 풀리(51)는 도시하지 않는 전동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34)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통(56)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벨트(53)의 권취 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드리븐 풀리(52)는 드라이브 풀리(51)에서의 벨트(53)의 권취 반경의 변화에 따라서 권취 반경을 드라이브 풀리(51)와는 반대측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 드리븐 풀리(52) 및 전동축(54) 사이에 원심 클러치(55)가 개재된다.
상기 전동축(54)의 타단측은 기어실(50)에 면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전동축(54)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출력축(57)이 케이스 주체(45) 및 기어 케이스(47)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기어실(50)에는 상기 전동축(54)의 회전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출력축(57)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열(58)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출력축(57)의 일단부는 기어 케이스(47)의 후방부를 관통하여 기어 케이스(47)의 후방부 좌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후륜(WR)의 차축(59)은 스윙 아암(60)의 후방부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스윙 아암(60)의 전단에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일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주체(45) 및 기어 케이스(47)의 후방부 사이를 서로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지지 아암부(60a, 60b)가 설치된다. 그렇게 하여, 일방의 지지 아암부(60a)는 상기 출력축(5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아암부(60b)는 상기 출력축(57)과 동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 주체(45)의 후방부에 설치된 지지축(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스윙 아암(60)의 전단부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에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상기 출력축(57)의 일단은 상기 스윙 아암(60)이 구비하는 일방의 지지 아암부(60a)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57)의 상기 지지 아암부(60a)로부터의 돌출부에 구동 스프로켓(62)이 고정된다. 한편,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르는 좌측에서 후륜(WR)의 차축(59)에는 종동 스프로켓(63)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 스프로켓(62) 및 종동 스프로켓(63)에 무단 형상의 체인(64)이 권취된다. 게다가, 상기 지지 아암부(60a)의 전단 외면측에는 구동 스프로켓(62)을 덮는 스프로켓 커버(65)가 부착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도 1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측 하부에는 한 쌍의 메인 스탠드축(67…)이 동축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메인 스탠드축(67…)에서 메인 스탠드(68)가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에서의 만곡부(20c…) 사이에는 크로스 파이프(71)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스 파이프(71)와 상기 스윙 아암(60)의 전방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도 2를 주목하면, 실린더 헤드(30)의 전방측 측면에는 스로틀 보디(74)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서의 양 다운 파이프(18…)를 걸치도록 연료 탱크(90A)가 배치되어 있고, 스로틀 보디(74)의 상류단에는 엔진(EA)의 앞쪽 또한 상기 연료 탱크(90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A)가 접속되며, 스 로틀 보디(74)에는 연료 분사 밸브(77)가 부착된다.
에어 클리너(6A)는 클리너 케이스(148) 내에 클리너 엘리먼트(149)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148)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의 제1 케이스 부재(150)와, 앞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의 제2 케이스 부재(151)가 클리너 케이스(78) 내를 앞쪽의 미정화실(未淨化室;152) 및 뒤쪽의 정화실(153)로 구획하는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148)를 양 케이스 부재(150, 151)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 부재(150)에는, 미정화실(152)로 통하는 외기 도입관(154)이 에어 클리너(76B)의 앞쪽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또한 제2 케이스 부재(151)를 통해 스로틀 보디(74)의 상류단에 하류단을 접속시킨 흡기관(155)이 정화실(153)에 수납된다.
에어 클리너(76A)에서의 제1 케이스 부재(150)의 전방부 아래쪽으로는 수냉식인 엔진(EA)에서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상기 엔진(EA)보다도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 라디에이터(91)의 하부에는 차체 프레임(F)이 구비하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측을 향해 돌출하는 부착 아암부(168…)가 설치되고, 이 부착 아암부(168…)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에 설치된 브래킷(169…)에 마운트 고무(170…)를 통해 지지된다. 또한 라디에이터(91)의 상부에는, 그 위쪽의 로어 파이프(19…)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 아암부(171…)가 설치되고, 로어 파이프(19…)에 설치된 브래킷(172…)에 상기 부착 아암부(171…)가 도시하지 않는 마운트 고무를 통해 지지된다. 즉,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 레임(F)의 로어 파이프(19…) 및 엔진 행거 브래킷(19a…)에 지지된다.
상기 에어 클리너(76A)에서의 클리너 케이스(148)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150)의 하부에는, 앞쪽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91)측으로 유도하는 도풍판(15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도풍판(156)은 클리너 케이스(148)의 전단 하부로부터 라디에이터(91)측을 향하여 뒤로 하강하며 경사되어 연장된다.
엔진(EA)에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후방부 측면에는 배기관(95)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95)의 하류단은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97)에 접속된다.
도 5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에는, 조향 핸들(16)의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 가능한 록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록 기구(101)는 록 기구(101)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의해서 절환 작동한다.
록 기구(101)는 상기 조향 핸들(16) 및 프론트 포크(15)에 연결되도록 하여 헤드 파이프(17)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향축(103)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춤할 수 있는 록 핀(104)을 가지고 헤드 파이프(17)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헤드 파이프(17)의 전면에 고착된 지지 프레임(105)에, 상기 록 핀(104)이 조향 축(103)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된다.
중공 원통형인 상기 조향축(103)의 측벽에는 걸어맞춤 구멍(106)이 설치되어 있고, 조향축(103)이 소정의 회동 위치일 때에 상기 걸어맞춤 구멍(106)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삽입 관통 구멍(107)이 헤드 파이프(17)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5)은 상기 헤드 파이프(17)에 전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지지판부(105a)를 가지고 있고, 이 지지판부(105a)를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록 핀(104)의 일단이 상기 걸어맞춤 구멍(106)으로의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107)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록 핀(104)의 타단에는 반경 방향 밖으로 튀어나오는 플랜지부(104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105)의 지지판부(105a) 및 플랜지부(104a)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108)에 의해, 록 핀(104)은 그 일단의 상기 걸어맞춤 구멍(106)으로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측으로 스프링 가압된다.
또한, 상기 록 핀(104)의 타단에는 지지 프레임(105)에 핀(109)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110)이 맞닿아 있고, 이 캠(110)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록 핀(104)의 축방향 위치는 그 일단이 걸어맞춤 구멍(106)으로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삽입 관통 구멍(107) 내에 있는 위치에 정해진다.
그런데, 헤드 파이프(17)에는 그 앞쪽으로 경사져 위쪽으로 연장되는 스테이(111)가 고착되어 있고, 이 스테이(111)의 상단에는 조향 핸들(16)의 중앙부 앞쪽에 배치되는 미터(112)가 부착되며, 또한 헤드 램프(1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14)가 스테이(111)의 상부에 부착된다.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실린더 보디(115)는 상기 미터(112)의 근방에서 스테이(111)에 부착되어 있고, 정규의 키(116)를 삽입하여 회동 조작함에 따라서 회동하는 로터(117)가 실린더 보디(115) 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로터 (117)의 외면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핀(118, 119)이 돌출 설치된다.
록 기구(101) 및 키 실린더 자물쇠(102) 사이에는 중간부가 핀(120)에 의해서 상기 스테이(1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 부재(121)가 배치되어 있고, 이 링크 부재(121)의 일단부는 상기 로터(117)가 구비하는 한 쌍의 핀(118, 119)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긴 구멍(122)에는 상기 록 기구(101)의 캠(110)에 그 편심 위치에서 심어 고정되는 연결 핀(123)이 삽입 관통된다.
그렇게 하여, 키 실린더 자물쇠(102)를 키(116)로 조작하면, 로터(117)의 회동에 의해서 한 쌍의 핀(118, 118)이 둘레 방향으로 변위함에 따라서 링크 부재(121)가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및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사이에서 요동하고, 록 기구(101)에서는 상기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따라서 캠(110)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및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이에 따라 록 핀(104)이 조향축(103)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위치 및 조향축(103)에 걸어맞추는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로터(117)에 상기 로터(117)의 회동에 따라서 요동하도록 하여 링크 부재(1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록 기구(101)는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따라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에 연결되게 된다.
도 1을 주목하면, 연료 탱크(90A), 에어 클리너(76A) 및 파워 유닛(PA)과 차체 프레임(F)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체 커버(125)로 덮이는 것이고, 이 차체 커버(125)는 헤드 파이프(17)의 전방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헤드 램프(113)가 부착되는 프론트 커버(126)와, 헤드 파이프(17) 및 연료 탱크(90A)를 후방측으로부터 덮어 프론트 커버(126)에 이어지는 센터 커버(127)와, 상기 프론트 커버(12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어 탑승자의 레그부 앞쪽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128…)와, 탑승자의 발밑을 지지하기 위해 레그 실드(128…)에 이어지는 좌우 한 쌍의 발 받침부(129…)(도 3 참조)와, 이들 발 받침부(129…) 사이에서 위쪽으로 융기하여 센터 커버(127)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플로어 터널부(130)와, 상기 양 발 받침부(129…)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각각 수직 하강되는 스커트부(131…)(도 3 참조)와,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을 덮어 발 받침부(129…) 및 플로어 터널부(130)에 접합되는 리어 커버(132)를 구비한다.
리어 커버(132) 상에는 조향 핸들(16)을 조향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를 착석시키는 동시에 차량 운전자의 뒤쪽에 동승자를 태울 수 있도록 한 템덤형의 승차용 시트(13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이 승차용 시트(133)는 연료 탱크(90A)보다도 뒤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차체 커버(125) 중 연료 탱크(90)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센터 커버(127)와, 상기 센터 커버(127)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플로어 터널부(130)와, 상기 승차용 시트(133)가 설치되는 리어 커버(132)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인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이 전방측의 연료 탱크(90A) 및 에어 클리너(76A)와, 후방측의 승차용 시트(1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라디에이터(91) 및 차체 프레임(F)에서의 양 다운 파이프(18…) 및 양 로어 파이프(19…)도 상기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보다도 앞쪽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상기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상기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서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도록 하여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상기 수납 박스(140)는 상기 시트 레일(23…) 및 리어 파이프(24…)로 지지된다.
그런데, 수납 박스(140)는 차체 프레임(F)의 크로스 파이프(71) 및 스윙 아암(60)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쿠션(72)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납 박스(140)에서의 저벽(140a)에는 상기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저벽(140a)의 하면보다 위쪽 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된다. 더구나, 상기 수납 오목부(142)는 도 7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박스(140)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와 같은 수납 오목부(142)의 배치에 의해 바이저(144)를 개방하여 위쪽으로 올린 상태에 있는 제트형의 헬멧(143)을 수납 박스(140)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차체 프레임(F)에서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와, 상기 헤드 파이프(17)에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 핸들(16)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133)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이 차체 커버(125)에서 형성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F)은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의 앞쪽에서 헤드 파이프(17)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18…)와, 이들 다운 파이프(1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헤드 파이프(17)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19…)와, 이들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양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를 구비하고, 메인 파이프(20)는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서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동시에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하여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이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차체 프레임(F)의 구조에 따르면, 메인 파이프(20)가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부터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고, 다시 위쪽으로 만곡한 후에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잡아 엔진(EA)의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의 중간의 만곡부(20c)를 적절하게 휘게 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엔진(EA)을 지지하는 제1 엔진 행거(32…)가 설치되기 때문에,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승차용 시트(133)를 지지하도록 하여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3…)의 전단이 양 메인 파이프(20…)에서의 후반 경사부(20b…)의 전방부에 각각 접합됨으로써, 메인 파이프(20…) 및 시트 레일(23…)이 이루는 각 도를 적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시트 레일(23…)의 메인 파이프(20…)로의 접합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밸런스좋게 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메인 파이프(20…)가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직각사변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각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높게, 또한 좌우 방향으로는 휨을 갖게 하여 보다 쾌적한 조종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후륜(WR)을 후방부에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60)의 전방부는 변속기 케이스(48)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F) 및 스윙 아암(60)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쿠션(72)의 위쪽 그리고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는 것이지만, 수납 박스(140)의 저벽(140a)의 하면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중심 축선이 상기 저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 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되기 때문에, 리어 쿠션(72)과의 간섭을 피하여 수납 박스(140)의 저벽(140)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수납 박스(14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엔진(EA)의 앞쪽에는 라디에이터(91)가 배치되고, 그 라디에이터(91)의 위쪽에 에어 클리너(76)가 배치되어 있으며, 에어 클리너(76)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앞쪽으로부터의 주행풍을 유도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91)측으로 연장되는 도광판(156)이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라디에이터(91)측으로 주행풍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라디에이터(91)를 냉각할 수 있다.
더구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이 연료 탱크(90A), 에어 클리너(76A) 및 라디에이터(91)보다도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연료 탱크(90A) 및 에어 클리너(76A)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라디에이터(91)의 뒤쪽에 부피가 있는 부재를 배치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도풍판(156)의 도풍 효과를 더욱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조향 핸들(16)의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 가능한 록 기구(101)와, 상기 록 기구(101)에 절환 조작력을 작용시키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지만,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로터(117)에 상기 로터(117)의 회동에 따라서 요동하도록 하여 링크 부재(1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록 기구(101)는 상기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따라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키 실린더 자물쇠(102)로부터의 조작력이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의해서 록 기구(101)측에 전달되게 되고, 키 실린더 자물쇠(102) 및 록 기구(101) 사이의 조작력 전달 구조를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더구나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가 조향 핸들(16)의 앞쪽에서 계기(112)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에 의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9는 스 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0은 흡기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파워 유닛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11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2는 도 10의 12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3은 도 8의 13-13선 단면도이며, 상기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도시할 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차체 프레임(F)에는 4사이클인 엔진(EB)과, 상기 엔진(EB)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B)이 후륜(WR)을 구동하도록 탑재된다.
도 10∼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엔진(EB)은, 예를 들면 수냉식 2기통의 V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크랭크 케이스(28)와, 약간 앞으로 상승하며 앞쪽으로 경사진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전방부 뱅크(BF)와, 상기 전방부 뱅크(BF)와 V형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뱅크(BR)를 가지고, 각 뱅크(BF, BR)는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29F, 29R)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F, 29R)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F, 30R)와, 실린더 헤드(30F, 30R)의 꼭대기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F, 31R)를 각각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F)에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된 제1 엔진 행거(32…)에는, 엔진(EB)에서의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BF, BR) 사이에서 크랭크 케이스(28)의 상부가 지지되 고, 후방부 뱅크(BR)는 양 메인 파이프(20…)의 만곡부(20c…)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 접합된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2 엔진 행거(33…)에는 전방부 뱅크(BF)의 아래쪽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8)의 하부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 엔진(EB)을 양 메인 파이프(20…)에 지지할 수 있고, 더구나 제1 엔진 행거(32…)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볼트(26…)의 체결에 의해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EB)의 크랭크 케이스(28)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볼트(27)의 체결에 의해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또한 강성을 보다 높게 하여 크랭크 케이스(28)를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상기 양 뱅크(BF, BR)의 피스톤(35…)은 크랭크 케이스(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34)가 구비하는 양 크랭크 웨브(34a, 34b) 사이의 크랭크 핀(34b)에 커넥팅 로드(36…)를 통해 공통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 뱅크(BF, BR)의 실린더 헤드(30F, 30R)에 각각 설치되는 흡입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구동하는 밸브 구동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양 실린더 헤드(30F, 30R)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샤프트(41…)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28) 및 AC 발전기(39) 사이의 크랭크 샤프트(34) 사이에는 시간 조정 전동 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샤프트(34)의 회전 동력은 상기 시간 조정 전동 장치(42)에 의해서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샤프 트(41…)에 전달된다.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양 메인 파이프(20…)에서의 만곡부(20c…) 사이에 가설되는 크로스 파이프(71)와, 스윙 아암(60)의 전방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도 9를 주목하면, 엔진(EB)의 흡기계(73)는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BF, BR) 사이에서 이들의 뱅크(BF, BR)의 실린더 헤드(30F, 30R)의 일측면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보디(74F, 74R)와, 양 스로틀 보디(74F, 74R)의 상류단에 각각 접속되는 흡기관(75F, 75R)과, 이들 흡기관(75F, 75R)이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전방부 뱅크(BF)의 위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를 구비하고, 각 스로틀 보디(74F, 74R)에는 연료 분사 밸브(77F, 77R)가 부착된다.
에어 클리너(76)는 클리너 케이스(78) 내에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78)는 위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의 제1 케이스 부재(80)와, 클리너 케이스(78) 내를 위쪽의 미정화실(83) 및 아래쪽의 정화실(84)로 구획하는 구획벽(81a)을 일체로 갖는 제2 케이스 부재(81)와, 아래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의 제3 케이스 부재(82)가 제2 케이스 부재(81)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80, 82)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우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구획벽(81a)에 설치된 유통 구멍(85)에 위쪽, 즉 미정화실(83)측으로부터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흡기관(75F, 75R)은 정화실(84)에 돌입하도록 하여 클리너 케이스(78)에 접속되고, 미정화실(83)로 통하는 흡기공(86)이 클리너 케이스(78)에서의 제3 케이스 부재(82)의 측부에 설치된다.
에어 클리너(76)의 클리너 케이스(78)는 그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 에어 클리너(76)의 위쪽에서 양 다운 파이프(18…)를 걸치도록 배치되는 연료 탱크(90)가 차체 프레임(F)의 전방부, 즉 양 다운 파이프(18…)에 탑재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장벽, 즉 제3 케이스 부재(82)의 천장벽(82a)은 연료 탱크(90)의 저벽(90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81)의 구획벽(81a)도 전후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엔진(EB)에서의 전방부 뱅크(BF)의 앞쪽 그리고 상기 에어 클리너(76)의 아래쪽에는 수냉식인 엔진(EB)에서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파이프(19…)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이 라디에이터(91), 상기 연료 탱크(90B) 및 상기 에어 클리너(76B)는 차체 커버(125)로 형성되는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보다도 앞쪽에 배치된다.
더구나, 상기 에어 클리너(76B)에서의 클리너 케이스(78)의 하부, 즉 제1 케이스 부재(80)에는 앞쪽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91)측에 유도하는 도풍판(9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도풍판(92)은 클리너 케이스(78)의 전단 하부에 서 라디에이터(91)측을 향하여 뒤로 하강하며 경사되어 연장된다.
에어 클리너(76)의 클리너 케이스(78)에서의 제2 케이스 부재(82)의 후방부에는, 도 9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너 케이스(78) 내에 수납되는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하기 위한 엘리먼트 교환 창(136)이 상기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측에 면하여 설치되고, 상기 엘리먼트 교환 창(136)은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37)로 폐쇄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장벽(82a)은 연료 탱크(90B)의 저벽(90B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클리너 엘리먼트(79)도 상기 엘리먼트 교환 창(136)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천장벽(82a)에 대향한 거의 수평인 자세에서 클리너 케이스(78)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엘리먼트 교환 창(136)에 대응하여 플로어 터널부(130)에는 덮개 부재(137)의 개폐 조작 및 클리너 엘리먼트(79)의 삽입 및 이탈을 가능하게 한 개구부(138)가 설치된다.
엔진(EB)의 배기계(93)는 전방부 뱅크(BF)에서의 실린더 헤드(30F)의 하부 측면에 상류단이 접속되어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뒤쪽으로 연장하는 배기관(94)과, 후방부 뱅크(BR)에서의 실린더 헤드(30R)의 후방부 측면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배기관(95)과, 이들 배기관(94, 95)의 하류단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집합 배기관(96)과,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집합 배기관(96)에 접속되는 배기 머플러(97)를 구비한다.
전방부 뱅크(BF)의 배기관(94)은 실린더 헤드(30F)에서 아래쪽으로 대략 C자 형상으로 만곡하고, 상기 파워 유닛(P)의 아래쪽을 통하여 뒤쪽으로 연장되며 파워 유닛(P)의 뒤쪽에서 후륜(WR)의 우측을 향하여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파워 유닛(P)의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속기 케이스(48)의 저벽(48a)의 외면에는 상기 배기관(94)의 적어도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설치된다.
게다가, 상기 수용 오목부(98)는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34)에서의 드라이브 풀리(51)측의 크랭크 웨브(34a)와 드라이브 풀리(5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비교적 대직경인 드라이브 풀리(51)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변속기 케이스(48)에서의 저벽(48a)의 외면에 수용 오목부(98)를 무리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뱅크(BR)의 배기관(95)은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뒤쪽에서, 상기 전방부 뱅크(BF)의 상기 배기관(94)과 병렬하도록 하고, 크랭크 케이스(28)의 좌측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를 빠져나가도록 만곡하여 형성된다. 즉, 후방부 뱅크(BR)의 배기관(95)은 실린더 헤드(30R)에서 크랭크 케이스(28) 및 변속기 케이스(48)의 좌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를 빠져나가 상기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뒤쪽에서 전방부 뱅크(BF)의 상기 배기관(94)과 병렬하도록 형성된다.
집합 배기관(96)은 파워 유닛(P)의 뒤쪽에서 병렬 배치되는 양 배기관(94, 95)의 하류단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이 집합 배기관(96)의 하류단에 배기 머플러(97)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에는 조향 핸들(16)의 록 상 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 가능한 록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록 기구(10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록 기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따른 링크 부재(121)의 요동 동작에 따라 조향 핸들(16)의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한다.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상기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으로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140)에서의 저벽(140a)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저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 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된다.
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잡고, 엔진(EB)의 형상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의 중간의 만곡부(20c)를 적절하게 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B)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B)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쿠션(72)과의 간섭을 피하여 수납 박스(140)의 저벽(140a)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박스(14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엔진(EB)의 앞쪽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91)측으로 연장되는 도풍판(92)이 에어 클리너(76B)에서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라디에이터(91)측으로 주행풍을 효과적 으로 유도하여 라디에이터(91)를 냉각할 수 있다.
더구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이 연료 탱크(90B), 에어 클리너(76B) 및 라디에이터(91)보다도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연료 탱크(90B) 및 에어 클리너(76B)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라디에이터(91)의 뒤쪽에 부피가 있는 부재를 배치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도풍판(92)의 도풍 효과를 더욱 끌어낼 수 있다.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 및 록 기구(101) 사이의 조작력 전달 구조를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더구나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된 V형의 엔진(EB)의 전방부 뱅크(BF)는 앞으로 경사진 실린더 축선의 실린더 블록(29F) 및 실린더 헤드(30F)를 갖는 것으로, 그 엔진(EB)의 크랭크 케이스(28)의 우측에 엔진(EB)과 함께 파워 유닛(PB)을 구성하는 무단 변속기(M)를 수용하는 변속기 케이스(48)가 결합되고, 앞으로 경사진 실린더 축선의 실린더 헤드(30F)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배기관(94)이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뒤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것이지만, 변속기 케이스(48)에서의 저벽(48a)의 하면에는 배기관(94)의 적어도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관(94)을 파워 유닛(PB)에 의해 근접시키도록 하여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최저 지상고를 확보하여 엔진(E)을 보다 저위치에 배치하여 저상식(低床式) 차량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 다.
또한, 엔진(EB)의 후방부 뱅크(BR)가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30R)의 후방부 측면에 이어지는 배기관(95)이 메인 스탠드(68)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도록 하여 파워 유닛(PB)의 후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뒤쪽에서 전방부 뱅크(BF)의 실린더 헤드(30F)에 이어져 상기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배기관(94)과 병렬하도록 하여, 크랭크 케이스(28)의 좌측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를 빠져 나가도록 만곡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후방부 뱅크(BR)의 뒤쪽에 확보해야 할 배기관(95)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후방부 뱅크(BR)의 뒤쪽의 스페이스를 다른 용도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엔진(EB)의 최저부보다도 위쪽에 배기관(95)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최저 지상고를 확보하기 쉽고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V형의 엔진(EB)이 그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BF, BR) 사이에서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어 있고, 후방부 뱅크(BR)가 양 메인 파이프(20…)의 만곡부(20c)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 중 강성이 비교적 높은 부분에 V형의 엔진(EB)의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BF, BR)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여, V형의 엔진(EB)을 차체 프레임(F)에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는 엔진(EB)에 연결되는 흡기계(73)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 클리너(76)가 연료 탱크(9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에어 클리너(76) 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상기 클리너 케이스(78) 내에 수납되는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하기 위한 엘리먼트 교환 창(136)이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측에 면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76)의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할 때에, 엘리먼트 교환 창(136)을 연 상태에서 클리너 엘리먼트(79)를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측에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장벽(82a)이 연료 탱크(90)의 저벽(90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엘리먼트 교환 창(136)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천장벽(82a)에 대향한 거의 수평 자세로 클리너 케이스(78)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90) 및 에어 클리너(76)를 각각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에어 클리너(76)의 클리너 케이스(78)가 그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76)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15는 자동 이륜차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며,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도시할 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차체 프레임(F)에는 4사이클인 엔진(EC)과, 상기 엔진 (EC)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C)이 후륜(WR)을 구동하도록 탑재된다. 상기 엔진(EC)은, 예를 들면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크랭크 케이스(28)와, 앞으로 경사진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29')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와, 실린더 헤드(30')의 꼭대기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F)에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후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된 제1 엔진 행거(32…)에는 크랭크 케이스(28)의 상부가 지지된다. 또한,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 접합된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2 엔진 행거(33…)에는 크랭크 케이스(28)의 전방측 하부가 지지된다.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양 메인 파이프(20…)에서의 만곡부(20c…)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 파이프(71)와, 스윙 아암(60)의 전방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실린더 헤드(30')의 상부 측면에는 스로틀 보디(74)의 하류단이 접속되고, 스로틀 보디(74)의 상류단에는 차체 프레임(F)의 양 다운 파이프(18…)를 걸치도록 배치되는 연료 탱크(90C)의 아래쪽 또한 엔진(EC)의 위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B)가 접속되며, 스로틀 보디(74)에는 연료 분사 밸브(77)가 부착된다.
에어 클리너(76C)는 클리너 케이스(158) 내에 클리너 엘리먼트(159)가 수납 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158)는 위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의 제1 케이스 부재(160)와, 아래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으로 하여 제1 케이스 부재(160)에 위쪽으로부터 결합되는 제2 케이스 부재(161)와, 앞쪽으로 개방된 사발 형상으로 하여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160, 161)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59)를 끼우도록 하여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160, 161)에 결합되는 제3 케이스 부재(162)로 이루어지고, 클리너 케이스(158) 내는 클리너 엘리먼트(159)보다 뒤쪽의 미정화실(163)과 클리너 엘리먼트(159)보다 앞쪽의 정화실(164)로 구획된다.
제3 케이스 부재(162)의 상부에는 미정화실(163)로 통하는 외기 도입관(165)이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에 면하도록 하여 접속되고, 제2 케이스 부재(161)를 통해 스로틀 보디(74)의 상류단에 하류단을 접속시킨 흡기관(166)이 정화실(164)에 수납된다.
수냉식인 엔진(EC)에서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상기 엔진(EC)보다도 앞쪽에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파이프(19…)에 지지된다.
엔진(EC)에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하부 측면에는 뒤쪽으로 연장되는 배기관(94)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94)은 파워 유닛(PC)의 아래쪽을 뒤쪽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파워 유닛(PC)의 후방에서 후륜(WR)의 우측을 향해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파워 유닛(PC)의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속기 케이스(48)에서의 저벽(48a)의 하면에는 상기 배기관(94)의 적어도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설치되고, 배기관(94)의 하류단은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97)에 접속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에는 조향 핸들(16)의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 가능한 록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록 기구(10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록 기구(101)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따른 링크 부재(121)의 요동 동작에 따라서 조향 핸들(16)의 록 상태 및 언록 상태를 절환한다.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그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으로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140)에서의 저벽(140a)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저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 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된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잡고, 엔진(EC)의 형상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의 중간의 만곡부(20c)를 비교적 크게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C)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C)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쿠션(72)과의 간섭을 피하여 수납 박스(140)의 저벽(140)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박스(14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 및 록 기구(101) 사이의 조작력 전달 구조를 부품 갯수를 적게 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더구나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메인 파이프가 로어 파이프로부터 뒤로 상승하여 연장되고, 또한 위쪽으로 만곡된 후에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취하여 엔진의 형상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의 중간의 만곡부를 적절하게 휘게 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종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운 파이프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 메인 파이프에 엔진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에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메인 파이프 및 시트 레일이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시트 레일의 메인 파이프로의 접합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밸런스 좋게 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V형의 엔진의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 사이를 메인 파이프 중 강성이 비교적 높은 부분에 지지하도록 하여, V형의 엔진을 차체 프레임에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메인 파이프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높게, 또한 좌우 방향으로는 휨을 갖게 하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조종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5)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차체 프레임(F)의 전단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17)와, 상기 프론트 포크(15)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16)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133)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을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F)은 상기 발이 빠져나가는 공간(135)의 앞쪽에서 상기 헤드 파이프(17)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18)와, 이들 다운 파이프(1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헤드 파이프(17)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19)와, 이들 로어 파이프(19)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양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상기 로어 파이프(19)로부터 뒤로 상승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하여 상기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상기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메인 파이프 (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엔진(EA, EB, EC)을 지지하는 엔진 행거(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에서의 후반 경사부(20b)의 전방부에는, 승차용 시트(133)를 지지하도록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3)의 전단이 각각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4. 제2항에 있어서, 서로 V자형을 이루는 전방부 및 후방부 뱅크(BF, BR)를 갖는 V형의 상기 엔진(EB)이 전방부 뱅크 및 후방부 뱅크(BF, BR) 사이에서 상기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도록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고, 후방부 뱅크(BR)가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만곡부(20c)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직각사변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각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KR1020050070511A 2004-09-03 2005-08-02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KR100715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6554 2004-09-03
JP2004256554A JP4458991B2 (ja) 2004-09-03 2004-09-03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022A KR20060049022A (ko) 2006-05-18
KR100715171B1 true KR100715171B1 (ko) 2007-05-08

Family

ID=3613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511A KR100715171B1 (ko) 2004-09-03 2005-08-02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58991B2 (ko)
KR (1) KR100715171B1 (ko)
CN (1) CN100420603C (ko)
IT (1) ITTO20050596A1 (ko)
TW (1) TWI266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511A (ja) 2006-11-15 2008-06-26 Yamah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および車両
JP5189845B2 (ja) * 2007-02-01 2013-04-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CN109649556B (zh) * 2018-12-17 2023-09-22 重庆宗申创新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管式支撑结构的发动机悬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917A (ko) * 2002-05-10 2003-11-1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쿠터형 차량
KR20050036728A (ko) * 2003-10-15 2005-04-2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차량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624B2 (ja) * 1999-09-27 2007-01-24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743239B2 (ja) * 1999-12-20 2006-02-08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975078B2 (ja) * 2001-11-22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CN100404362C (zh) * 2003-02-17 2008-07-23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车辆用车架组件和具有该组件的车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917A (ko) * 2002-05-10 2003-11-1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쿠터형 차량
KR20050036728A (ko) * 2003-10-15 2005-04-2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차량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3218A (zh) 2006-03-08
CN100420603C (zh) 2008-09-24
TWI266720B (en) 2006-11-21
JP4458991B2 (ja) 2010-04-28
TW200610692A (en) 2006-04-01
JP2006069407A (ja) 2006-03-16
ITTO20050596A1 (it) 2006-03-04
KR20060049022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901B1 (ko) 저바닥식 차량의 엔진 탑재 구조
JP4986603B2 (ja) 自動二,三輪車
JP2001328583A (ja)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KR100455352B1 (ko) 스쿠터형 차량
JP3675894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KR100715171B1 (ko)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KR100697000B1 (ko) 자동 이륜차
KR100715174B1 (ko) 자동 이륜차
JP3743239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464783B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排気構造
JP4135717B2 (ja) 小型車両
KR100715175B1 (ko) 저상식 차량
KR100709956B1 (ko) 차량의 키 스위치 장치
EP2502816B1 (en) Frame structure of saddle-ride type vehicle
TWI277555B (en) Two-wheeled vehicle
EP2505470B1 (en) Frame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4530787B2 (ja) 自動二輪車
JP3390464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両構成部品の配設構造
JP3007060B2 (ja) 自動二輪車
JP3975076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759445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97507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975077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975079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0280960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系の配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