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05B1 -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05B1
KR100714105B1 KR1020000015064A KR20000015064A KR100714105B1 KR 100714105 B1 KR100714105 B1 KR 100714105B1 KR 1020000015064 A KR1020000015064 A KR 1020000015064A KR 20000015064 A KR20000015064 A KR 20000015064A KR 100714105 B1 KR100714105 B1 KR 10071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wiring board
printed wiring
coil
ai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949A (ko
Inventor
시마누키마사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being a singl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96Variable component, e.g. variable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9Leaded Integrated Circuit [IC] package, e.g. dual-in-line [D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4Related to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 H05K2203/1476Same or similar kind of process performed in phases, e.g. coarse patterning followed by fine patte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발진 주파수의 분산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한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 해서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air-core coil)을 설치하고, 이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발진 주파수를 조종하도록 한 것이다.
발진 회로, 튜너, 패턴 코일, 프린트 배선판

Description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oscillation circuit and tuner}
도 1은 디지털 위성 튜너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a, 2b, 및 2c는 본 발명의 발진 회로의 실시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2a, 2b, 2c의 회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회로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접속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
10 : 국부 발진기 15 : 집적 회로
23 : 패턴 코일 24 : 공심 코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디지털 위성 튜너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발진 회로,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튜너의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장치는 디지털 위성 안테나, 디지털 위성 콘버터, 및 디지털 위성 튜너 등으로 구성되며, 방송 위성으로부터의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디지털 위성 안테나로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위성 안테나로 수신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디지털 위성 콘버터에서 저주파수, 예를 들면 950 MHz 내지 2,150 MHz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증폭시켜, 상기 디지털 위성 콘버터로부터의 고주파 수신 신호를 디지털 위성 튜너로 공급한다.
상기 디지털 위성 튜너는, 고주파 수신 신호 중에서 희망하는 트랜스폰더를 선택하고, 아날로그의 베이스밴드 신호(I,Q)를 복조하며, 이 I,Q 신호를 AD 변환하고, QPSK 복조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복조해서, 이 복조한 디지털 신호를 8비트 병렬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지털 위성 튜너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에 있어서, 1은 디지털 위성 콘버터로부터 예를 들면 950 MHz 내지 2,150 MHz의 고주파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고주파 수신 신호 입력 단자를 나타내며, 상기 고주파 수신 신호 입력 단자로부터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서 예를 들면 479.5 MHz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제거하는 하이패스 필터(1a), 고주파 증폭 회로(1b), 예를 들면 이미지 주파 신호와 인접 트랜스폰더 신호 등을 제거한 950 MHz 내지 2,150 MHz의 신호로부터 희망하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전압제어형의 가변 밴드패스 필터(2), 자동이득제어회로(3) 및 고주파 증폭회로(4)의 직렬 회로를 통해 주파수 변환용의 혼합 회로(5)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또한, 6은 국부 발진기(10)를 구성하는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를 도시하며, 상기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의 출력 측에서 얻어지는 발진 신호를 PLL 회로(페이즈 록 루프 회로)를 구성하는 위상 비교 회로(7)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또한, 8은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CPU)를 도시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8)에 있어서는, 희망하는 채널에 대응한 주파수의 선국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제어장치(8)로부터 희망하는 채널에 대응한 주파수의 선국 신호를 상기 위상 비교 회로(7)의 다른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상기 위상 비교 회로(7)에 있어서는, 상기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로부터의 발진 신호와 상기 중앙 제어 장치(8)로부터의 희망하는 채널에 대응한 주파수의 선국 신호를 비교하고, 그 오차 신호를 출력 측에서 얻고, 상기 위상 비교 회로(7)의 출력 측에서 얻어지는 오차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9)를 통해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패스 필터(9)의 출력 측에서 얻어지는 선국 신호에 대응한 제어 전압을, 제어 전압에 대응하는 용량값이 변화하는 배리캡(varicap) 등을 갖는 가변 밴드패스 필터(2)의 제어 단자에 공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밴드패스 필터(2)에서 희망하는 신호 이외에, 예를 들면 이미지 주파 신호와 인접 트랜스폰더 신호를 양호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에 있어서는, 상기 로우패스 필터(9)의 출력 측에서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대응해서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에 있어서, 6a는 증폭 회로부, 6b는 공진 회로부이다.
이 경우, 위상 비교 회로(7), 로우패스 필터(9) 및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로 PLL 회로 구성의 국부 발진기(10)를 구성한다.
상기 국부 발진기(10)의 국부 발진 신호를 주파 변환용의 혼합 회로(5)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하고, 상기 혼합 회로(5)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중간 주파 증폭 회로(11), 중간 주파 신호를 통과하는 탄성표면파 필터(12) 및 증폭 회로(13)의 직렬 회로를 통해서 중간 주파 출력 단자(14)에 공급한다. 상기 중간 주파 출력 단자(14)로부터의 중간 주파 신호에 의해 아날로그의 베이스밴드 신호(I,Q)가 복조되며, 이 I,Q 신호를 AD 변환시켜 QPSK 복조한다.
또한, 상기 도 1의 종래 예에 있어서는, 혼합 회로(5),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의 증폭 회로(6a) 및 중간 주파 증폭 회로(11)를 집적 회로(15)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1의 종래 예에 있어서는, 상측 헤테로다인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혼합 회로(5)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고주파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A, 예컨대 950 MHz 내지 2,150 MHz로 하고, 중간 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C, 예컨대 479.5 MHz로 하면, 국부 발진기(10)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 B는
B = A + C
로 된다.
상기 국부 발진기(10)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 B는 예를 들면,
1,429.5 MHz 내지 2,629,5 MHz
로 매우 높고 또한 매우 광대역으로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위성 튜너의 국부 발진기(10)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매우 높고 또한 매우 광대역이기 때문에, 발진 회로 소자의 특성의 분산, 공진 회로의 특성의 분산에 의해, 상기 국부 발진기(10)의 발진 회로의 주파수가 분산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발진 주파수의 분산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발진 회로 및 튜너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로는,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한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植立)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발진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공심 코일(air-core coil)을 설치하므로, 상기 공심 코일의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유도 인덕턴스의 결합 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공진 회로의 Q를 낮게 하여 발진 주파수를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심 코일을 0.5 턴 이상 1 턴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공심 코일의 지름을 패턴 코일의 지름보다 크게 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상 기 공심 코일을 심어서 세울 때에 다리 부분과 코일부와의 경계 부분이 위치 결정되어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튜너는 혼합 회로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고주파 수신 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 회로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의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 측에서 중간 주파 신호를 얻도록 한 튜너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하고,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국부 발진 회로의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하고,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유도 인덕턴스의 결합 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고, 국부 발진 회로의 주파수를 공진 회로의 Q를 낮게 해서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발진 회로 및 튜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튜너의 국부 발진기(10)를 구성하는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를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상기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프린트 배선판(20) 상에 본 실시예에 의한 전압가변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를 구성하는 부품을 실장한 예를 도시하며, 상기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15는 디지털 위성 튜너를 구성하는 집적 회로이며, 상기 집적 회로(15)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변환용의 혼합 회로(5),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의 증폭 회로(6a) 및 중간 주파 증폭 회로(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21a 및 21b는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의 공진 회로부(6b)를 구성하는 콘덴서, 22a 및 22b는 공급되는 전압값에 대응해서 용량이 변화하는 배리캡이며, 23은 상기 프린트 배선판(20) 상에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패턴 코일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20) 상의 패턴 코일(23)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20)에 형성된 한 쪽 및 다른 쪽의 구멍에 일단 및 타단을 삽입하고 상기 프린트 배선판(20) 상에 심어서 세워 예를 들면 90°로 되는 것과 같이,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조절용의 대략 원형의 공심 코일(24)을 설치한다.
이 경우, 패턴 코일(23)의 인덕턴스값 Lp를 공심 코일(24)이 프린트 배선판(2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될 때 조금 크게 되도록 설계한다.
또한, 이 경우, 공심 코일(24)의 지름을 패턴 코일(23)의 지름보다 크게 한다. 이 공심 코일(24)의 지름을 패턴 코일(23)의 지름보다도 크게 하고, 또한 0.5 턴 이상 1 턴 미만으로 한 경우, 상기 공심 코일(24)의 일단 및 타단을 프린트 배선판(20)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구멍에 삽입해서 설치한 때에는, 상기 공심 코일의 일단 및 타단의 다리 부분과 코일부와의 경계가, 상기 프린트 배선판(20)의 구멍에 삽입할 때 위치 결정된다.
상기 도 2a, 2b,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배치의 회로예를 도 3에 도시한다. 상기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30a 및 30b는 각각 전압제어형 가변 주파수 발진 회로(6)의 집적 회로(15) 내의 증폭 회로부(6a)를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내고, 이 외에 트랜지스터(30a 및 30b) 각각의 콜렉터를 접지하고, 상기 트랜지스터(30a 및 30b)의 에미터를 각각 정전류 회로(32a 및 32b)를 통해 각각 접지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30a 및 30a)의 에미터를 콘덴서(33)를 통해 접속한다.
상기 트랜지스터(30a)의 베이스 및 에미터간에 콘덴서(31a)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30b)의 베이스 및 에미터간에 콘덴서(31b)를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30a)의 베이스를 공진 회로부(6b)의 콘덴서(21a) 및 배리캡(22a)의 직렬 회로를 통해서 패턴 코일(23)의 일단에 접속하고, 또한 트랜지스터(30b)의 베이스를 공진 회로부(6b)의 콘덴서(21b) 및 배리캡(22b)의 직렬회로를 통해 패턴 코일(23)의 타단에 접속한다.
상기 패턴 코일(23)에 병렬로 공심 코일(24)을 접속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21a) 및 배리캡(22a)의 접속점을 저항기(25a)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콘덴서(21b) 및 배리캡(22b)의 접속점을 저항기(25b)를 통해 접지하고, 또한 배리캡(22b) 및 패턴 코일(23)의 접속점과 저항기(26)를 통해 로우패스 필터(9)로 부터의 오차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신호 입력 단자(27)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자(27) 및 저항기(26)의 접속점을 교류 신호를 통과하는 콘덴서(28)를 통해서 접지한다.
상기 도 3에 도시하는 회로는, 차동형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30a 및 30b)는 역상으로 발진하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판(20) 상의 패턴 코일(23) 및 공심 코일(24)의 중점이 접지점(그라운드)과 동전위로 된다. 또한 귀환 회로에 해당하는 콘덴서(33)도 접지점(그라운드)에 대해 동전위로 된다.
상기 도 3의 트랜지스터(30a 및 30b)를 각각 Q1으로 하고, 콘덴서(31a 및 31b)의 용량값을 각각 C1으로 하고, 콘덴서(33)의 용량값을 C2로 하고, 콘덴서(21a 및 21b)의 용량값을 각각 C4로 하고, 배리캡(22a 및 22b)의 각각의 용량값을 D1으로 하고, 패턴 코일(23)의 인덕턴스값을 Lp로 하고, 공심 코일(24)의 인덕턴스값을 La로 하고, 유도 인덕턴스의 인덕턴스값을 M으로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 회로로 되는 콜피츠(colpitts)형의 발진 회로로 된다.
이 경우, 패턴 코일(23), 콘덴서(21a 및 21b), 콘덴서(31a 및 31b), 콘덴서(33)는 고정의 정수이지만, 실제로는 부품 고유의 분산, 패턴폭의 분산에 의해 각각 그 값이 변화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분산에 의한 변화분을 상기 조절용의 공심 코일(24)의 프린트 배선판(2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보정한다. 즉, 도 4의 등가회로에서는, 공심 코일(24)의 인덕턴스값 La는 패턴 코일(23)의 인덕턴스값 Lp에 대해서 차동접속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관계를 도 4의 등가회로에서는 인덕턴스 M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유도 인덕턴스 M은 공심 코일(24) 및 패턴 코일(23) 각각의 인덕턴스값 La 및 Lp를 상호 상쇄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공진 회로부(6b)의 인덕턴스값 L은
Figure 112000005784615-pat00001
으로 된다.
이 경우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턴 코일(23)에 공심 코일(24)을 병렬접속하고 있으므로, 공진 회로의 코일의 저항값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패턴 코일(23) 및 공진 회로의 Q를 저하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심 코일(24)의 지름을 패턴 코일(23)의 지름보다 크게 하였기 때문에 공심 코일(24)의 패턴 배선판(20)에 대한 각도의 변화에 대해, 인덕턴스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발진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다.
다음, 공심 코일(24)의 프린트 배선판(20)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킬 때 패턴 코일(23)의 인덕턴스값 Lp가 변화하는 원리에 대해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a에 있어서, 상측의 반원(0.5 턴)의 것이 패턴 코일(23)이며, 병렬접속된 하측의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것이 공심 코일(24)이다.
이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좌에서 우로 흐를 때,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자속은 좌회전으로 발생한다. 이 경우 공심 코일(24)의 패턴 코일(23)에 대한 각도를 90°보다 작게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심 코일(24)에 발생하는 자속은 패턴 코일(23)에 발생하는 자속과는 반대 방향으로 되, 상기 패턴 코일(23)이 발생하는 자속을 상쇄되도록 작용 결합계수 K가 증가한다.
상기 공심 코일(24)을 패턴 코일(23)에 대해 수직으로 하면, 공심 코일(24)의 자속은 패턴 코일(23)의 자속에 대해 직교하게 되며, 결합 계수 K는 "0"에 근접한다. 여기서 유도 인덕턴스 M과 결합 계수 K와의 관계는
Figure 112000005784615-pat00002
이다.
본 예에 의하면, 프린트 배선판(20) 상의 패턴 코일(23)에 병렬접속함과 동시에 프린트 배선판(20)에 심어서 세워 공심 코일(24)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공심 코일(24)의 프린트 배선판(20)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유도 인덕턴스 M의 결합 계수 K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발진 주파수를 공진 회로의 Q를 저하시킴이 없이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용의 공심 코일(24)을 0.5 턴 이상 1 턴 미만으로 하고, 또한 공심 코일(24)의 지름을 패턴 코일(23)의 지름보다도 크게 하고 있으므로, 공심 코일(24)의 프린트 배선판(20)에 설치할 때의 다리 부분의 폭이 상기 공심 코일(24)의 지름 보다 짧게 되므로, 상기 다리 부분과 코일부와의 경계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진 주파수를 완만하게 조절이능하기 때문에, 상기 공진 회로의 코일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처리를 하지 않아도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예를 디지털 위성 튜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절용의 공심 코일(24)에서, 유도 인덕턴스 M의 결합계수 K 즉,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완만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가변 밴드패스 필터(동조회로)나 트랩 회로 등의 트래킹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방해 제거 특성이 양호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제한됨이 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다른 종류의 구성이 채용해서 얻어짐은 물론이다.

Claims (8)

  1.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한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air-core coil)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발진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지름을 상기 패턴 코일의 지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일단 및 타단을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구멍에 삽입해서 설치할 때,
    상기 공심 코일의 일단 및 타단의 다리 부분과 상기 패턴 코일과의 경계가,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구멍에 삽입할 때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4.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한 발진 회로에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 상에 심어서 세워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발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5. 혼합 회로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고주파 수신 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 회로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의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 측에서 중심 주파 신호를 얻도록 한 튜너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하고,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지름을 상기 패턴 코일의 지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일단 및 타단을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구멍에 삽입해서 설치할 때,
    상기 공심 코일의 일단 및 타단의 다리 부분과 상기 패턴 코일과의 경계가,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구멍에 삽입할 때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
  8. 혼합 회로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고주파 수신 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 회로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의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 측에서 중심 주파수 신호를 얻도록 한 튜너에서,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공진 회로에 프린트 배선판 상의 패턴 코일을 사용하고, 상기 패턴 코일에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심어서 세워 0.5 턴 이상 1 턴 미만의 공심 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공심 코일의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해서 상기 국부 발진 회로의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KR1020000015064A 1999-03-26 2000-03-24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KR100714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84312 1999-03-26
JP11084312A JP2000278042A (ja) 1999-03-26 1999-03-26 発振回路及びチュ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949A KR20000076949A (ko) 2000-12-26
KR100714105B1 true KR100714105B1 (ko) 2007-05-07

Family

ID=1382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064A KR100714105B1 (ko) 1999-03-26 2000-03-24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07440B1 (ko)
EP (1) EP1039627A2 (ko)
JP (1) JP2000278042A (ko)
KR (1) KR100714105B1 (ko)
CN (1) CN1158751C (ko)
MY (1) MY116076A (ko)
TW (1) TW4577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7343B4 (de) * 2000-09-25 2004-04-15 Siemens Ag Resonatoranordnung
DE10104269A1 (de) * 2001-01-31 2002-08-0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gleichen eines an einer Leiterplatte anzubringenden Oszillators
US7245897B2 (en) * 2003-03-10 2007-07-17 Intel Corporation Using an electroacoustic resonator
DE602004010266T2 (de) * 2003-07-11 2008-11-06 Nxp B.V. Induktives system
JP4539755B2 (ja) 2008-04-11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39754B2 (ja) * 2008-04-11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582185B2 (ja) 2008-04-22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TWI502802B (zh) * 2011-03-25 2015-10-01 Murata Manufacturing Co Electronic Parts
JP6517966B2 (ja) * 2018-02-22 2019-05-22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発振回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71A (ja) * 1992-03-16 1994-04-12 Alpha Corp シリンダ錠
US6101371A (en) * 1998-09-12 2000-08-08 Lucent Technologies, Inc. Article comprising an i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97B2 (ja) * 1994-07-28 2001-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ランス型発振器とそれを用いた高周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71A (ja) * 1992-03-16 1994-04-12 Alpha Corp シリンダ錠
US6101371A (en) * 1998-09-12 2000-08-08 Lucent Technologies, Inc. Article comprising an induc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제6,101,37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9627A2 (en) 2000-09-27
JP2000278042A (ja) 2000-10-06
TW457761B (en) 2001-10-01
MY116076A (en) 2003-10-31
CN1268806A (zh) 2000-10-04
KR20000076949A (ko) 2000-12-26
US6307440B1 (en) 2001-10-23
CN1158751C (zh)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105B1 (ko)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튜너, 및 국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 조절 방법
JPH10505728A (ja) 高調波出力を有する可同調発振器
US6097258A (en) Oscillator having a resonator coupled to an amplifier by a series resistance
US4897624A (en) Unitary capacitance trimmer
US20080129428A1 (en) Variable tuning circuit using variable capacitance diode and television tuner
US20020130735A1 (en) Input trap circuit and image trap circuit
US5523720A (en) FM signal demodulator phase locked loop
MXPA97002782A (en) Entry circuit for a televis tuner
JP3132297B2 (ja) バランス型発振器とそれを用いた高周波装置
US6172578B1 (en) Oscillation circuit suitable for upper heterodyne receiver
KR200322195Y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튜너의 자동이득제어회로
US20060223481A1 (en) Integrated circuit layout for a television tuner
JP3319170B2 (ja) バランス型発振器の同調回路とそれを用いたbsチューナ
JP3447243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352566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とこれを用いた電子回路
JPS6349921Y2 (ko)
KR930004655Y1 (ko) 수신 장치
KR950010239Y1 (ko) 발진단과 혼합단의 매칭회로
KR960002188Y1 (ko) 튜너의 발진회로
JP2003101344A (ja) 周波数シフト型高周波電圧制御型発振回路
JPH066633Y2 (ja) 電子同調チューナ
KR19990030597U (ko) 튜너의 국부발진회로
JPH0662341A (ja) 衛星放送受信用復調回路
JPH07297740A (ja) 電子チューナ
JPH09326635A (ja) 局部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