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667B1 -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667B1
KR100713667B1 KR1020000047198A KR20000047198A KR100713667B1 KR 100713667 B1 KR100713667 B1 KR 100713667B1 KR 1020000047198 A KR1020000047198 A KR 1020000047198A KR 20000047198 A KR20000047198 A KR 20000047198A KR 100713667 B1 KR100713667 B1 KR 10071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ayer
information
recorded
recording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318A (ko
Inventor
사코요이치로
오가와히로시
이노쿠치타츠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992Circuits for stereophonic or quadraphonic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11B7/24041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with different recording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11B2020/10601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surround sound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Abstract

기록매체는 적어도 제 1정보가 기록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된 제 2기록층을 갖는다. 기록매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기록층들중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는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된다. 식별신호는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정보를 각각 재생하는 제 1재생모드와, 또는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제 2재생모드를 나타낸다. 재생매체에 대한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는 기록매체를 재생하기 위해서도 설치된다.
혼합기, 피트 패턴, 광 디스크, 제 1기록층, 중간층

Description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의 보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광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광 디스크 상에 제공된 제 1과 제2 기록층들 상에 광빔이 조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신호들이 입력된 스피커들의 대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기록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신호들이 입력된 스피커들의 대표적인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다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신호들이 입력 된 스피커들의 대표적인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또 다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다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의 보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a, 14b는 도 13에 도시된 재생장치에 의해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스위칭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5는 기록장치에 의해 제 1과 제 2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광 디스크의 제 1과 제 2 기록층들 위에 제 1과 제 2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기판 3. 피트 패턴
4. 제 1기록층 5. 중간층
6. 제 2기록층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및 광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것은 매체가 최소한 제 1과 제 2 기록층들을 가지는 기록매체,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및 광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와 같은 가변 정보를 위한 기록매체로서는, 광빔을 이용하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록가능한 정보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기록층들이 제공되어 있는 광 디스크가 고안되었었다.
다수의 기록층들을 가지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에서는, 정보가 각 기록층위에 기록되므로 각각의 기록층들 위에 기록된 정보는 한 개의 기록층으로부터 다른 기록층으로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즉, 이러한 광 디스크에서는, 각 기록층위에 기록된 정보는 다른 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 후에 한 개의 기록층위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함으로써 재생된다.
달리 표현하면, 광 디스크의 기록층위에 제공된 다수의 영역들중 한 영역은 다른 영역을 재생시킨 후에 재생된다.
기록 용량이 다수의 기록층들을 제공함으로써 증가하는 다층의 광 디스크에서는, 각 기록층들에 기록된 정보가 다른 것과 관련없이 재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는 정보가 각 기록층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단순하게 재생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광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정보를 기록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를 기록하는 제 2기록층을 최소한 가지는 기록매체가 제공되어 있다. 재생모드를 지시하는 식별신호는 제 1과 제 2기록층들중 최소한 한 층위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정보를 기록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를 기록하는 제 2기록층을 최소한 가지는 기록매체가 제공되어 있다. 재생모드를 지시하는 식별신호는 재생시에 제 1 또는 제 2기록층에 기록되며 재생시에 먼저 판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기록매체는 최소한 제 1정보가 기록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되는 제 2기록층을 포함한다. 최소한 제 1과 제 2기록층들중 한 층에서는, 제 1기록층내에 기록된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내에 기록된 제 2정보가 연산되어 재생되는지를 최소한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된다. 재생장치는 판독장치, 재생처리장치와 제어기를 포함한다. 판독장치는 기록매체로부터 제 1 또는 제 2정보를 판독한다. 재생처리장 치는 판독장치로부터 나온 출력신호에 신호처리를 실행한다. 제어기는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재생처리장치를 스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기록매체는 최소한 제 1정보가 기록된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된 제 2기록층을 포함한다. 최소한 제 1과 제 2기록층들중 한 층에서는, 제 1기록층내에 기록된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내에 기록된 제 2정보가 연산되어 재생되는지를 최소한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된다. 재생방법은 기록매체로부터 제 1 또는 제 2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재생처리수단의 재생처리동작을 스위치한다. 상기 재생처리수단에는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 제 1정보가 기록된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된 제 2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제 1과 제 2정보는 제 1과 제 2정보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대물렌즈의 관찰내에서 이동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도록 기록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양호한 실시예들이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리 또는 광 전송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과 같은 합성 수지으로 형성된 기판(2)을 포함한다. 기판(2)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위에는, 기록된 제 1정보가 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세밀한 정점(crest)과 오목부(recesses)의 패턴을 가지는 피트(pit) 패턴(3)이 제공된다. 만약 기판(2)이 합성 수지으로 형성된다면, 피트 패턴(3)은 기판(2)을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을 할 때에 기판(2)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만약 기판(2)이 유리로 형성된다면, 그 기판은 2P(광 중합반응 방법)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2P방법에서는, UV 광경화 수지과 같은 광경화 수지이 유리 기판과 디스크 댐퍼 사이에 주입되며, 광경화 수지은 예를 들면,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나오는 UV선에 의해 경화되어 유리 기판상에 요철패턴을 가지는 층을 만들어 내게 된다.
광 디스크(1)위해 이용되는 기판(2)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을 사출성형하여 얻어진다. 기판(2)의 메인 표면(main surface)들중 한 표면상에는, 피트 패턴(3)형태로 정보가 기록된다. 직경 12cm의 일반적인 광 디스크인 컴팩트 디스크의 기판과 같이, 기판(2)은 약 1.2mm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기판(2)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상에는, 피트 패턴(3)을 띠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트 패턴(3)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1기록층(4)이 제공되어 있다. 제 1기록층(4)은 기판(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의 일정 양을 전송하며, 상기 일정양을 반사하며, Si3O4 또는 SiO2와 같은 실리콘 물질에 의해 100nm - 500nm의 두께로 형성된다. 제 1기록층(4)은 Si3O4 또는 SiO2 막을 계층화시킴으로써 다층구조로 형성된다. Si3O4 또는 SiO2 막은 제 1기록층(4)을 형성하며, 진공 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제 1기록층(4)위에는, 예를 들면, UV광경화 수지의 중간층(5)을 통해 제 2기록층(6)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층(5)은 제 1 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을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층들(4,6)은 이러한 층들(4,6)상에 광빔을 조사하고 컨버징(converging) 하는 대물렌즈의 초점 깊이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중간층(5)은 약 30μm의 두께를 가진다. 만약 중간층(5)이 너무 얇다면, 제 1기록층(4)으로부터 반사되는 광빔은 제 2기록층(6)으로부터 반사되는 광빔과는 완전히 분리될 수 없으므로, 두 개의 반사된 빔들을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만약 중간층(5)이 너무 두껍다면, 예를 들면, 구면 수차(spherical aberration)가 발생된다. 중간층(5)의 두께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중간층(5)은 UV 광경화 수지을 스핀 코팅(spin coa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UV 광 경화수지은 예를 들면, 각 코팅 동작이 5-10μm이 되도록 몇몇 코팅 동작에 의해 코팅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중간층(5)은 투명 시트(22)를 본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중간층(5)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에는, 제 2정보가 되는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미세한 정점들로된 패턴인 피트 패턴(7)이 형성된다. 이러한 피트 패턴(7)은 유리 기판상에 피트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2P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즉, UV 광경화 수지은 스핀 코팅 방법에 의해 제 1기록층(4)에 적용되며, 피트 패턴(7)에 대응하는 정점들과 오목부들을 가지는 스탬퍼(stamper)는 최종 어셈블리에 적용되며, UV광은 수지을 경화하기 위해 이 상태에서 최종 어셈블리 상에 조사된다. 스탬퍼는 중간층(5)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위에 피트 패턴(7)을 형성하기 위해 박리된다.
제 2기록층(6)은 중간층(5)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위에 형성된 피트 패턴(7)을 따라 형성되어 피트 패턴(7)위에 위치하게 된다. 제 2기록층(6)위에 있는 제 1기록층(4)을 통해 기판(2)상에 위치한 광픽업으로 높은 효율로 조사시키기 위해, 제 2기록층(6)은 진공 증착 또는 스퍼터링과 같은 기술에 의해 알루미늄(Al), 금(Au) 또는 은(Ag)과 같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된다. 제 2기록층(6)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UV 광경화수지의 보호층(8)이 제 2기록층(6)위에 제공된다. 이러한 보호층(8)은 스핀 코팅 방법에 의해 제 2기록층(6)위에 UV 광경화수지을 코팅시키고 경화를 위해 최종 어셈블리상에 UV광들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다.
광 디스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핑 영역(12)이 제공된 중앙 구멍(11)을 가지고 있다. 중앙 구멍(11)내에 디스크 테이블의 중앙에 중앙 부분을 형성하고, 디스크 테이블상에 클램핑 영역(12)을 설정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램핑 부재(clamping member)에 의해 광 디스크를 클램핑함으로써 이러한 광 디스크(1)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상에 제공된 디스크 회전 구동장치의 디스크 테이블상에 로드되어, 디스크 테이블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 광 디스크는 디스크 테이블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다.
광 디스크(1)는 내부 주변 영역내에서 디스크 회전 구동장치에 의해 클램프 영역(12)이 제공되므로, 제 1과 제 2기록층(4,6)들은 클램프 영역(12)의 외부 주변 밖으로 방사 방향으로 제공된다.
한편, 광 디스크(1)의 제 1과 제 2기록층들(4, 6)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는 기판(2)측으로부터 나오는 광빔을 조사하고, 제 1과 제 2기록층들(4, 6)로부터 반사된 복귀 광빔을 도시되지 않은 기판(2)상에 제공된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재생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 1기록층(4)은 광빔의 중앙 부분이 제 2기록층(6)을 향해 전송되도록 하는 반투명 막으로 형성되며, 제 2기록층(6)은 제 1기록층(4)을 통해 전송된 광빔을 반사시킴으로써 제 2기록층(6)위에 높은 효율로 광빔이 조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제 2기록층(6)의 반사율은 제 1기록층(4)의 반사율보다 더 높도록 선택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은 11%의 반사율을 가지며, 제 2기록층(6)은 99%의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 만약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으로 형성된 기판(2)의 광빔 확산흡수율이 5%라면, 광빔(L1)은 기판(2)상에 조사되며, 광빔의 10%는 제 1기록층(4)에 의해 복귀 광빔(L2)으로 반사된다. 이 때에 광빔의 85%는 제 1기록층(4)을 통해 전송되어 제 2기록층(6)위에 조사된다. 중간층(5)의 광빔 확산흡수율이 거의 0이므로, 광빔의 메인 부분은 제 2기록층(6)위에 조사된다. 제 2기록층(6)위에 입사되는 광빔(L3)은 99%의 반사율을 가지는 제 2기록층(6)에 의해 반사되어 복귀 광빔(L3)이 된다. 상기 복귀 광빔은 확산흡수율 5%를 가지는 기판(2)과 반사율 11%를 가지는 제 1기록층(4)을 통해 전송되어 광 디스크(1)의 외부로 출력된다. 제 2기록층(6)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L4)의 복귀율은 기판(2)에 제일 먼저 입사되는 광빔(L1)의 양의 약 71%이다.
광 디스크(1)의 다른 보기로서는, 만약 제 1기록층(4)의 반사율이 20%이고, 제 2기록층(6)의 반사율이 99%라면, 제 2기록층(6)으로부터 기판(2)으로 최초로 입사하는 광빔(L1)의 18%는 복귀 광빔(L2)으로 반사되며, 제 2기록층(6)으로부터 기판(2)으로 최초로 입사하는 광빔(L1)의 57%는 복귀 광빔으로 반사된다.
제 1기록층(4)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광전송율을 증가시켜 제 2기록층(6)의 반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2기록층(6)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충분한 양의 복귀 광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제 2기록층(6)의 정보 기록영역(14)상에 기록된 제 2정보는 높은 반사율이 요구되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충분히 재생될 수 있다. 즉, 제 2기록층(6)은 보통 이용되는 컴팩트 디스크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각 독립적인 음악 작품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제 1과 제 2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독립적인 음악 번호와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일반적인 CD와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는 제 2기록층(6)위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되며, 광고 또는 판촉을 목적으로하는 새로운 음악에 관한 정보는 제 1기록층(4)상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는, 서로 관련된 제 1과 제 2정보가 기록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과 제 2정보가 함께 예를 들면, 다중 채널 오디오 정보가능 서라운드 재생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단일한 목록정보를 구성한다.
다중 채널 오디오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 들면, 음향 공간의 전방에 배열된 전방 스피커들(11, 12)의 좌우에 입력되는 좌우측 전방 채널 데이터와, 좌우측 전방 스피커들(13, 14)에 입력되는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로 구성된다.
좌우 전방채널 정보는 제 2기록층(6)위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되며, 좌우 후방 채널 정보는 제 1기록층(4)위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제 2기록층(6)내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된 좌우 전방 채널정보(Lf, Rf)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 채널 정보의 각각에 대해 16비트 정보로 양자화된다. 제 1기록층(4)위에 제 1정보로 기록된 좌우 후방 채널정보(LB, R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좌우 채널 정보에 대해 16비트 정보로 양자화 되어있다.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정보와 관련된 제 1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1기록층(A1, A2,...)근처의 제 2기록층(6)의 (B1, B2,...)에 기록된다. 특히, 제 2정보는 이 제 2정보와 관련된 기록된 제 1정보를 운반하는 제 1기록층(4)의 위치들(A1, A2,...)로부터 떨어진 거리(D)내에 기록된다. 이 거리(D1)는 도 6에서 화살표(X)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형성된 기록 트랙에 사실상 수직을 이루고 있는 방향내에서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의 제 1또는 제 2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메카니즘을 가진 광픽업의 대물렌즈(18)를 이동시킴으로써 억세스될 수 있는 거리이다. 이 거리(D1)는 광디스크(1)의 반경을 따라 위치한 기록 트랙에 대해 수직인 방향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픽업 피드(pickup feed) 메카니즘에 의해 광픽업을 피드시키는 스레드 피드(sled feed)를 수행하지 않고 대물렌즈(18)의 관찰내에서 광픽업을 이동시킴으로써 억세스될 수 있는 거리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 거리(D1)는 약 200μm이며,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 1과 제 2정보는 각각의 기록층들위에 기록되므로 제 1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선두 끝과 제 2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선두 끝은 서로 200μm범위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만약 표준 CD 기록 포맷에 따라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서 기록이 실행되고, 제 1과 제 2정보의 기록 위치들의 거리(D1)는 100μm라면, 제 1과 제 2정보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서 중앙을 향하거나 또는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60 개의 기록 트랙들내에 기록된다.
한 개의 단일한 판독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관련된 제 1과 제 2정보는 또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만약 광 디스크(1)상에 기록된 오디오 정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향 공간의 전방에 배치된 좌우 전방 스피커들(21,22)에 입력되는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Lf, Rf), 후방에 배치된 후방 스피커(23)에 입력되는 후방 채널 데이터(B)와 사용자 머리 위에 배치된 상부 스피커(24)에 입력되는 상부 채널 데이터(H)로 구성된다면, 전방 채널 데이터(Lf, Rf)는 제 2기록층(6)내에서 제 2정보로 기록된다. 반면에, 후방 채널 데이터(B)와 상부 채널 데이터(H)는 제 2기록층(6)상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만약 다중 채널 데이터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서 분할되어 기록되고,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만이 재생된다면, 좌우 전방 스피커들(21,22)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재생이 실현된다. 한편, 만약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합성되어 재생된다면, 다중 채널 스테레오 재생은 좌우 전방 스피커들(21,22), 후방 스피커(23)와 상부 스피커(24)에 의해 실현된다.
게다가, 만약 광 디스크(1)상에 기록된 오디오 정보가 다중 채널 데이터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향 공간의 전방에 배치된 좌우 전방 스피커들(31,32)에 입력되는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Lf, Rf), 후방에 배치된 좌우 후방 스피커들(33, 34)에 입력되는 후방 채널 데이터(LB, RB)와 사용자 머리위에 배치된 상부 스피커(24)에 입력되는 상부 채널 데이터(H)로 구성된다면, 전방 채널 데이터(Lf, Rf)는 제 2기록층(6)내에서 제 2정보로 기록된다. 반면에, 후방 채널 데이터(LB, RB)와 상부 채널 데이터(H)는 제 1기록층(4)상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제 1기록층(4)상에 좌우 채널들의 16비트 양자화 데이터로서 기록되는 제 2정보의 상부 12비트들은 후방 채널 데이터(LB, RB)로서 이용되며, 하부 4비트들은 상부 채널 데이터(H)로 이용될 것이다.
게다가, 16비트 전방 채널 데이터(Lf, Rf)는 제 2기록층(6)상에 제 2 정보로서 기록되며, 좌우 16비트 채널 데이터로 구성된 제 1정보는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되므로 상부 10비트들, 중간의 5비트들과 하부 1비트는 후방 채널 데이터(LB, RB)로서 중간 주파수 범위의 오디오 신호 데이터와 하부 주파수 범위의 오디오 신호 데이터로서 각각 이용된다.
게다가, 16 또는 32비트들로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홀수 및 짝수의 샘플들은 각각 제 1과 제 2정보로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1과 제 2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제 1과 제 2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물렌즈(18)의 관찰범위에서 이동함으로써 억세스되는 범위내에서 기록한다.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 또는 3 개 이상의 기록층들 상의 목록정보의 단위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관련된 다수의 정보를 분리하여 기록함으로써, 광 디스크(1)마다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고 가변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사실 뿐만아니라,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되는 많은 종류의 정보가 있다.
만약, 제 2정보가 양자화된 데이터의 상부 비트 일 때에, 제 1정보가 양자화된 데이터의 하부 비트들이고, 제 2정보가 오디오 정보이고, 제 1정보는 오디오 정보와 관련된 가사 또는 화상 데이터와 같은 문자 데이터이고, 제 2정보는 화상 데 이터라면, 제 1정보는 이러한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제목 또는 요약서로 기록될 것이다.
제 1기록층(4)위에는, 가사와 반주 음악들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으로부터 분리된 반주 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반면에, 제 2기록층(6)위에는, 전체가 반주 음악과 가사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으로 구성된 오디오 정보가 제 2정보로서 기록된다.
오디오 정보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위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기록될 수 있으므로, 가사와 반주 음악으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으로부터 분리된 반주 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제 1기록층(4)에 기록되며, 가사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제 2정보로서 제 2기록층(6)에 기록된다.
여러 종류의 음악 악기에 의해 공연되는 오케스트라와 같은 음악 작품에서는, 피아노에 의해 연주되는 오케스트라의 부분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제 1정보로서 제 1기록층(4)에 기록되며, 전체 오케스트라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정보는 제 2정보로서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기록층(4)위에 형성된 제 2기록층(6)은 제 1기록층(4)보다 디스크(1)의 내부 주변에 더욱 가까이 있는 클램핑 영역(12) 부근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제 1기록층(4)과 마주보지 않는 제 2기록층(6)의 내부 주변측 영역에는 리드 인(lead-in) 영역(15)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드 인 영역은, 광 디스크(1)가 광 디스크 재생장치위에 로드될 때에,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의 정보기록영역(13, 14)위에 이미 기록된 제 1과 제 2 정보의 재생 이전에 판독된 제어 데이터의 최소한 한 부분을 기록하고 있다.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된 제어 데이터에는,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한 부분이며, 제 2기록층에 대한 광빔 포커싱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와, 제 1 기록층(4)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한 부분이며, 제 1기록층(4)에 대한 광빔 트래킹 위치를 제어하는 데이터가 있다.
리드 인 영역(15)에서는, 제 2기록층(6)의 정보 기록영역(14)위에 기록된 제 2정보의 내용을 기록한 기록 정보가 또한 기록된다.
리드 인 영역(15)에서는, 또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만약 각각의 독립된 음악 작품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위에 제 1과 제 2정보로서 기록된다면, 제 1과 제 2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재생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들은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로서 기록된다.
만약 기록 정보의 단위를 구성하는 서로 관련된 제 1과 제 2정보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다면, 제 1과 제 2정보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재생 장치의 재생 단위를 제어하는 식별 신호들이 기록된다. 정보 기록 영역들(13, 14)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와 같이,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된 식별 신호들과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도 역시 정점과 오목부로 된 미세한 패턴을 구성된 피트 패턴(7)에 의해 기록된다.
리드 인 영역(15)은 광 디스크(1)의 제 2기록층(6)에만 제공되므로, 광 디스 크(1)가 광 디스크 재생장치상에 로드될 때에, 제 1기록층(4) 또는 제 2기록층(6)위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는 기록층(6)위에 제공된 리드 인 영역(15)위에 기록된 식별 신호를 포함하며, 기록 정보와 같은 제어 데이터를 판독한 후에 재생된다.
한편, 리드 인 영역(15)은 광 디스크(1)가 광 디스크 재생장치상에 로드될 때에, 광 디스크 재생장치위에 제공된 광픽업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빔에 의해 주사될 수 있는 영역내에 제공된다.
제 1기록층(4)보다 디스크의 내부쪽으로 좀 더 방사형태로 연장되도록 하는 제 2기록층(6)이 제공되고, 리드 인 영역(15)이 이러한 방사형태로 내부쪽으로 연장된 부분내에 제공되므로, 제 1기록층(4)은 리드 인 영역(15)의 외부쪽으로 방사형태로 제공된다. 제 2기록층(6)의 리드 인 영역(15)이 제공되어 있는 광 디스크(1)의 부분에는 광빔이 조사되는 기판(2)으로부터 시작되어 제 2기록층(6)에 이르는 광빔 반사층이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2기록층(6)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2기록층(6)에 입사하는 광빔은 제 1기록층(4)에 의해 감쇄없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드 인 영역(15)상에 기록된 제어 데이터는 높은 정확도로 판독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 정보와 같이, 제 2기록층(6)내에 제공된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되며, 식별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제 1기록층(4)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 1기록층(4)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 성분이 제 2기록층(6)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에 대한 잡음 성분으로 중첩되는 위험성이 없게 된다. 그리하여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리드 인 영역(15)에서는, 제 2기록층(6)의 반사율과 관련된 데이터가 제 1과 제 2기록층(4,6)의 정보 기록 영역들(13, 14)내에 이미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재생 이전에 판독되는 제어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리드 인 영역(15)내에 제 1기록층(4)의 반사율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정보가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된 제 2정보를 판독할 때에 증폭회로의 이득을 미리 스위칭함으로써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 이 때는 제 1기록층(4)의 반사율이 제 2기록층(6)의 반사율보다 더 낮다.
제 2기록층(6)이 제공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함으로써, 광 디스크 재생장치내에 광 디스크를 로드할 때에, 광 디스크가 다층 광 디스크(1)라는 것이 식별될 수 있다. 만약 광 디스크를 광 디스크 재생장치상에 로드할 때에, 그 디스크가 제 1기록층(4)이 제공된 광 디스크라는 것이 인식된다면, 재생장치가 제 1과 제 2기록층(4,6)이 제공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선택하여 제 1과 제 2기록층(4,6)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광 디스크에서는, 입사광빔에 대한 복귀 광빔의 비율로 표현되는 제 2기록층(6)의 반사율은 제 1기록층(4)보다 더 높다. 그러나, 복귀 광빔은 제 2기록층(6)의 복귀 광빔보다 빛의 양이 더 많다. 예를 들면, 만약 제 1기록층(4)의 반사율이 60%이고, 제 2기록층(6)의 반사율은 99%이며, 기판(2)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성분은 6%이며, 중간 층(5)에 의한 광빔의 흡수가 없다면, 제 1기록층으 로부터 나오는 광빔의 약 54%는 복귀 광빔이 되며, 반면에 제 2기록층(6)으로부터 나오는 광빔의 약 15%가 복귀 광빔이 된다.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이 상술한 반사율을 가지고 형성된다면, 제 2기록층(6)내에 제공된 리드 인 영역(15)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제 1기록층(4)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된 제어 데이터는 높은 반사율과 낮은 광전송율을 가지는 제 1기록층(4)으로부터 나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높은 반사율로 판독될 수 있다.
상술한 광 디스크(1)에서는, 제 2기록층(6)내에 제공된 리드 인 영역(15)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제공되지 않으면서, 리드 인 영역(15)의 외부쪽으로 방사형태로만 제공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단지 제 1기록층(4)만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평한 기판(2)의 메인 표면들중 한 표면위에 미러(mirror)표면(41)으로 제공된다. 이 미러 표면(41)은 제어 데이터를 위한 피트 패턴이 제공되지 않는다. 제어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리드 인 영역(15)에 대응하며 제 2기록층(6)내에 있는 영역내에 기록하지 않음으로써, 제 1기록층(1)으로부터 나오는 판독된 신호들은 정확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제 2기록층(6)내에 제공된 리드 인 영역(15)의 판독 신호들 상에 중첩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에서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 기록하고 있는 리드 인 영역(15)이 제 2기록층(6)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정보 판독이 리드 인 영역(15)이 제공된 제 2기록층(6)으로부터 시작되므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오디오 정보와 같은 정보의 판독된 시작 위치를 쉽게 제 어할 수 있다. 제 1기록층(4)에 기록된 제 1정보를 판독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 제 1기록층(4)의 반사율 또는 제 1기록층(4)이 제공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함으로써, 디스크 재생장치상의 재생 증폭기 또는 서버 루프의 이득은 디스크의 형태, 자세히 말하자면, 광 디스크에 제 2기록층(6)이 제공되어있는지 또는 없는지에 따라 쉽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원하는 정보가 쉽게 재생될 수 있다.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정보에 대한 재생 모드를 명시하고 있는 식별 정보를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함으로써,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에 대한 쉽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재생전에 합성되거나 또는 서로 독자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식별 신호는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재생이 광 디스크(1)상에서 로드될 때에 데이터 판독이 발생하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중 한 층에 기록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식별 정보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의 모든 층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50)가 설명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재생장치(5)는 광픽업(51)과 광 디스크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대물렌즈(18)를 가지는 신호판독부(52), 제 1기록층(4)으로부터 판독된 제 1정보를 재생하는 제 1 재생장치(53)와,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2정보를 재생하는 제 2재생장치(54)를 포함한다. 재생장치(50)는 또한 제 1과 제 2재생장치(53, 54)로부터 재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버퍼 메모리(55)와, 버퍼 메모리(55)에 대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 1과/또는 제 2정보의 판독 기록을 관리하는 버퍼관리장치(56)와 부가 또는 삭제와 같은 데이터 처리의 실행 후에, 버퍼 메모리(55)에 저장된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구성하는 데이터 혼합기(57)를 포함한다. 재생장치(50)는 또한 광픽업(51)을 광 디스크(51)의 목표 기록 트랙으로 전송하기 위해 서보 회로(58)를 포함한다. 이 서보 회로(58)에는 또한 광픽업(41)에 의해 방사되고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서 포커싱(focusing)을 위해 대물렌즈(18)에 의해 수렴(converge)되는 광빔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59)와, 서보 회로(58)의 제어하에서 예를 들면 CLV로 광 디스크(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60)가 제공되어 있다. 재생장치(50)에는 또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에 대한 재생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된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병렬 재생과 혼합 재생사이에서 선택하여 버퍼 관리 장치(56)를 제어하는 병렬 또는 혼합 판독 식별장치(61)가 제공되어 있다. 병렬 재생에서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병렬 형태로 순차적으로 판독되며, 즉,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된 제 1정보를 재생시킨 후에,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가 판독된다. 또는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를 재생시킨 후에,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된 제 1정보가 판독된다. 혼합재생에서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데이터 혼합기(57)에서 혼합되고 연산되어 혼합된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재생장치(50)에는 광 디스크상에 기록된 식별신호 또는 이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응답하여,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선택적으로 재생되는 것과,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가 연산되어 재생되는 것과 또는 일반적인 CD와 같은 광 디스크가 재생되는 것을 식별하는 연산처리장치(CPU : 62)가 제공되어 있다. 판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CPU(62)는 서보회로(58), 스위칭 장치(59), 신호판독부(52)와 버퍼관리장치(56)를 제어한다.
본 재생장치(50)에서는, 광픽업(51)에 의해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또는 제 2정보가 신호판독부(52)로 라우트된다. 광픽업(51)은 대물렌즈(18)의 광축을 따라 대물렌즈(18)를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 위치의 움직임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광빔을 포커스하도록(focus) 지원해주며, 결국에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을 주사할 수 있게 된다.
광픽업(51)과 함께 정보를 판독하는 신호판독부(52)는 복조 또는 에러 정정과 같은 프리 세트(pre-set) 신호 처리를 광픽업(51)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적용시킨다. 즉, 최종적인 제 1과 제 2정보를 버퍼 메모리(55)에 라우트시키기 위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적용시킨다.
버퍼 메모리(55)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에 대한 재생 메모리이며, 그의 데이터 입력과 판독이 버퍼 관리 장치(56)에 의해 제어된다.
도 13에 도시된 재생장치(50)의 동작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광 디스크가 재생장치(50)상에 로드되고 회전을 시작할 때에, 광픽업(51)은 도시되지 않은 픽업 피드 장치에 의해 광 디스크(1)의 내부 주변측으로 이동되어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만약 로드된 광 디스크(1)가 각각의 독립된 제 1과 제 2정보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라면, 그리고, 병렬로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는 제 1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러한 식별 신호는 광픽업(51)과 신호판독부(52)에 의해 판독되며,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로 라우트된다. 만약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가 병렬로 제 1과 제 2정보의 재생을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판독한다면,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는 버퍼 관리장치(56)를 제어하여, 신호판독부(52)에 의해 검출되고, 재생을 위해 제 1과 제 2재생장치(53, 54)에 의해 프리 세트 방식으로 처리되었으며, 프리 세트 타이밍에서 제 1기록층(4) 또는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 또는 제 2정보를 버퍼 메모리(55)내에 입력하며, 버퍼 메모리(55)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며, 제 1 또는 제 2재생장치(53, 54)로 판독된 정보를 출력하며, 제 1과 제 2재생장치(53, 54)내에 공급된 복조회로내에서 출력된 정보를 복조하여 제 1과 제 2재생장치(53, 54)내에 제공된 복조회로내에서 복조된 정보를 정정하며, 제 1출력단자(63) 또는 제 2출력단자(64)에서 최종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 1출력단자(63) 또는 제 2출력단자(64)에 의해 출력된 제 1 또는 제 2정보는 에러 보간장치, LPF와 D/A 변환기를 통해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재생장치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만약 재생장치(50)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이용자에 의해 동작된다면, 그리고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에 기록된 제 1정보를 재생시키는 명령이 입력된다면, CPU(62)는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결정한다. 만약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결정된다면, 광픽업(51)의 대물렌즈(18)의 포커싱 위치가 서보 회로(58)와 스위칭 장치(59)에 의해 제어되므로 스핀들 모터(60)에 의해 회전이 되는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위에 광빔을 포커스하게 되어, 제 1기록층(4)을 주사하게 된다. 만약 광픽업(51)의 대물렌즈(18)에 의해 포커스된 빔 스폿(spot)이 제 1기록층(4)에 의해 제어된다면, 제 1기록층(4)에서만 반사되어 돌아오는 복귀 광빔이 신호판독부(52)로 라우트 되어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만을 검출하게 된다.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되고 신호 판독장치(42)에 의해 검출된 제 1정보는 제 1재생장치(53)에 의해 프리 세트(pre-set) 방식의 재생을 위해 처리된다. 그러므로, 버퍼 관리 장치(56)에 의한 제어하에서 버퍼 메모리(55)내에 프리 세트 타이밍 방식으로 제 1정보가 입력된다. 그 후에, 제 1정보는 제 1재생장치(53)내에 제공된 복조회로에 의해 복조되며 제 1출력단자(62)에 출력되기 위해 에러 정정회로에 의해 에러정정이 된다.
만약 재생장치(50)내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이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광 디스크(1)의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2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모드가 선택된다면, 제 1기록층(4)을 재생하는 모드가 선택될 때의 처리와 비슷 한 처리가 수행된다. 즉,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2정보가 판독되고 제 2기록층(6)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만약 재생장치(50)내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이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재생모드가 선택된다면,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2정보가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의 재생과 연속해서 연속적으로 재생된다. 만약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2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모드가 선택된다면,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는 제 2정보와 연속해서 처리된다.
서로 관련된 제 1과 제 2정보는 각각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다. 그리고 제 1과 제 2정보의 재생과 연산을 수행하는 제 2재생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리드 인 영역(15)내에 기록되어 있는 광 디스크(1)가 재생장치(50)상에 로드된다. 만약 지금 선택 버튼이 상술한 바와같이 재생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이용자에 의해 동작된다면, 제 2재생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광픽업(51)과 신호판독부(52)에 의해 판독되어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로 전송된다. 제 2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공급될 때에,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는 버퍼관리장치(56)를 제어한다. 제 2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공급될 때에, 버퍼관리장치(56)는 버퍼 메모리(55)를 제어하여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프리 세트 타이밍에서 버퍼 메모리(55)에 입력하며 그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이 때에, 병렬 또는 혼합 판독식별장치(61)는 제어신호를 출 력하여 데이터 혼합기(57)가 버퍼 메모리(55)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가산과 감산에 의해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만약 재생장치(50)내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이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제 1과 제 2정보를 연산하고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선택하게 된다면, 재생은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만약 제 1과 제 2정보를 연산하고 재생하는 재생모드가 선택된다면,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CPU(62)가 광 디스크(1)의 제 1과 제 2기록층(4, 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연산하고 재생하는 다중 재생(multiplex reproduction)을 결정하게 된다. 만약 다중 재생이 결정된다면, 광픽업(51)은 서보 회로(58)와 스위칭 장치(59)에 의해 제어되므로 재생 광빔은 광픽업(1)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사이에서 스위치될 때에 포커스될 것이다. 제 1기록층(4) 또는 제 2기록층(6)에 대한 광빔 포커싱 위치 또는 포커싱 위치의 스위칭 타이밍은 다음과 같다. 즉,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를 재생하고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를 그 다음에 재생할 때에,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의 재생은 시간 축에서 제 1기록층(4)의 제 1정보의 재생 마지막 위치로부터 뒤에 있는 시간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제 1기록층(4)이 다시 재생되는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의 다음에 있는 시간 위치까지 계속된다.
즉, 위치 P11에서 P12까지 제 1기록층(4)을 재생한 후에, 제 2기록층(6)이 재생된다면, 재생은 위치(P21)에서 시작된다. 상기 위치(P21)는 도 14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P12)로 임시적으로 돌아간다. 제 1 기록층(4)의 위치(P12)로부터의 재생은 제 2기록층(6)의 재생 마지막 위치(P22)보다 더 뒤에 있는 위치(P13)로 진행된다. 재생이 제 2기록층(6)으로 진행될 때에, 재생은 제 2기록층(6)의 재생 마지막 위치(P22)로 돌아가며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P13)보다 더 뒤에 있는 위치(P23)까지 계속된다.
도 14a에 도시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는 신호판독부(52)로 라우트되므로 재생신호 처리는 상술한 타이밍에 따라 수행된다. 제 1기록층(4)또는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신호들을 출력할 때에, 신호판독부(52)는 CPU(62)로 각각의 기록층들(4, 6)을 나타내기 위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상에 미리 기록된 식별신호를 출력하여 버퍼 관리 장치(56)를 통해 버퍼 메모리(55)에 대한 데이터 입력과 판독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버퍼 메모리(55)에 대한 데이터 입력은 도 14a에 도시된 재생 타이밍 또는 신호판독부(52)내의 판독 타이밍과 비슷하다. 한편, 버퍼 메모리(55)에 대한 데이터 판독은 다음과 같다. 버퍼 메모리(55)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은 버퍼 메모리(55)내에 있는 데이터의 이미 설정된 양이 저장된 후에 시작된다. 이론적으로는, 광 디스크(1)가 버퍼 메모리(55)내에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2 배 속도와 같은 속도로 고속 판독을 수행하는 규정된 표준 속도의 두 배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버퍼 메모리(55)내에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상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의 이미 규정된 양을 입력한 후에,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상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는 판독되어 제 1또는 제 2재생장치(53, 54)로 출력된 다. 출력된 정보는 제 1과 제 2재생장치(53, 54)내에 제공된 복조회로에 의해 복조되며 에러정정회로에 의해 정정되어 데이터 혼합기(57)로 공급된다. 데이터 혼합기(57)로 입력된 제 1과 제 2정보는 예를 들면, 가산연산에 의해 처리되어 제 3출력단자(64)에서 재생신호들로 출력된다.
한편, 만약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이 규정된 표준 속도로 판독된다면,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의 재생 타이밍의 스위칭 시간이 제외되더라도, 두배 속도 즉 표준 속도의 두 배가 되는 속도에서 광 디스크(1)로부터 정보가 판독될 필요가 있으므로. 스핀들 모터(60)는 표준 회전속도의 4재와 같은 속도에서 실제로 회전할 필요가 있게 된다.
광빔이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사이에서 스위치될 때에 광픽업(51)으로부터 반사되는 재생 광빔을 조사하는 스위칭 타이밍은 예를 들면, 도 14b에 도시된 타이밍이 된다. 즉, 제 1기록층(4)은 위치(P11)에서 (P12)까지 재생되며 재생이 제 2기록층(6)으로 진행할 때에, 재생은 위치(P21)에서 시작되며, 위치(P21)는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P12)로부터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위치이다.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P12)와 같은 타이밍의 위치(P22)까지 재생을 한 후에, 재생은 제 1기록층(4)의 위치(P12)로부터 시작된다. 제 1기록층(4)의 위치(P12)로부터의 재생은 제 2기록층(6)의 재생 마지막 위치(P22)의 일시적으로 다음에 오는 위치(P13)으로 진행한다. 재생이 제 2기록층(6)으로 진행할 때에, 재생은 제 2기 록층(6)의 재생 마지막 위치(P22)로 돌아가며 제 1기록층(4)의 재생 마지막 위치(P13)와 동일한 타이밍의 위치(P23)까지 계속된다.
도 14b에 도시된 재생 타이밍에서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로부터 판독된 신호들이 신호판독부(52)로 라우트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재생신호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약 서라운드를 제공하는 다중 채널 오디오 정보가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내에 기록되어 있으며, 음향 공간의 전방측상에 배열된 좌우 전방 스피커들(11, 12)에 입력된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가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되고, 좌우 스피커들(13, 14)에 입력된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가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다면, 제 1과 제 2정보는 데이터 혼합기(57)에 의해 함께 혼합되므로 4-채널 스테레오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 3출력단자(65)에 의해 출력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한편, 만약 광픽업(1)의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상에 기록되고 단일한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관련이 있는 제 1과 제 2정보가 픽업 피드 메카니즘을 통해 기록 트랙에 수직인 방향, 즉 광픽업(1)의 방사 방향내에서 광픽업(51)을 이동시키는 스레드 피드(sled feed)에 의해, 대물렌즈(18)의 관찰방향내에 있는 범위 즉, 트래킹 제어의 범위내에서 억세스할 수 있는 거리내에 기록된다면,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고, 연산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광픽업(51)의 트래킹 방향에서 이동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는 만약 다른 정보의 시작과 제 1 및 제 2 정보의 종료위치가 대물렌즈(18)의 관찰범위내에서 억세스할 수 있는 거리내에 기록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32비트들의 양자화 데이터의 상부 16비트가 광 디스크(1)의 제 2기록층(6)내에 제 2정보로 기록될 때에, 그리고 32비트들의 양자화 데이터의 하부 16비트가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될 때에, 상술한 바와같이 데이터 혼합기(57)에 의해 제 1과 제 2정보를 가산시키고 최종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재생모드가 선택된다면, 예를 들면, 재생장치(50)가 32비트 양자화 데이터에 의해 주파수 범위가 확대되어 있는 고품질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오디오 정보가 제 2정보로서 기록되고, 오디오 정보와 관련된 가사와 같은 문자 데이터가 제 1기록층(4)내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면, 오디오 정보와 화상 데이터는 재생되어 오디오 정보와 동시에 화상 재생을 실행한다.
게다가, 만약 가사와 반주 음악으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 작품으로부터 분리된 반주 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제 1기록층(4)에 기록되고, 그리고 가사와 반주 음악으로 구성된 완전한 전체 음악작품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기록층(6)내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될 때에, 제 2정보로부터 제 1정보를 제거하는 동작이 데이터 혼합기(57)에서 수행된다면, 가사 부분으로만 구성된 오디오 정보가 제 3출력단자(65)에서 재생 정보로서 출력된다.
만약 도 13에 도시된 재생장치(50)내에서, 로드된 광 디스크가 서로 관련된 제 1과 제 2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제 1과 제 2정보가 처리되고 재생되는 광 디스크(1)의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내에 광 디스크가 로드되어 있고, 제 1 및 제 2기록층들(4, 6)들 내에 기록된 제 1정보 또는 제 2정보만을 재생하는 재생모드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다면, CPU(62)는 단지 제 1기록층 또는 제 2기록층들(4, 6)로부터 제 1 또는 제 2정보의 재생을 결정한다. 반면에, 광픽업(51)은 서보 회로(58)와 스위칭 장치(59)에 의해 제어되므로 대물렌즈(18)에 의해 수렴된 광빔은 스핀들 모터(60)에 의해 회전하는 광픽업(51)의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상에 수렴되어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만을 주사하게 될 것이다. 즉, 대물렌즈(18)는 광축에 대해 병렬 방향내에서 이동되므로 대물렌즈(18)에 의한 포커싱 위치는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내에 위치하게 된다. 만약 광픽업(51)이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을 주사하기 위해 제어된다면, 단지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으로부터 반사된 복귀 광빔을 광픽업(51)의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상에 기록된 제 1정보 또는 제 2정보만을 판독하기 위해 신호판독부(52)에 공급된다.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상에 기록되고, 신호판독부(52)로부터 판독된 제 1또는 제 2정보로부터 도출된 출력신호는 버퍼 관리장치(56)의 관리제어에 근거하여 프리세트 타이밍에서 프리세트 방식으로 재생을 위해 처리되어 버퍼 메모리(55)내에 입력된다. 이 때 출력신호는 버퍼관리장치(56)로부터 판독되며 제 1또는 제 2재생장치(53, 54)에 의해 복조되고 에러정정이 되므로 제 1또는 제 2출력단자들(62 또는 63)로부터 재생출력으로 출력된다.
한편, 만약 본 발명에 따르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이, CD 재생장치에 의해 최소한 제 2기록층(6)을 재생시키는 반사율을 가지는 광 디스크(1) 를 설계함으로써 CD 포맷이 이루어진다면, 최소한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제 2정보는 CD를 재생시키는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1과 제 2기록층들(4, 6)을 가지는 광 디스크상에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제 1과 제 2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71)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기록장치(71)는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상에 기록된 제 1정보에 대응하는 제 1오디오 신호들이 입력되는 제 1입력단자(72)와, 광 디스크(1)의 제 2기록층(6)상에 기록된 제 2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오디오 신호들이 입력되는 제 2입력단자(172)를 포함한다.
제 1입력단자(72)와 제 2입력단자(172)에 입력되는 제 1과 제 2오디오 신호들은 서로 합성에 의해, 서라운드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구성하는 상호 관련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즉, 44.1kHz의 샘플링 주파수와 16비트들의 양자화로 처리되며, 전후방 4 개의 채널들의 상호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의 한 세트로 구성되는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와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는 시간 축상의 동일한 시간 위치에서 서로 관련된 데이터가 된다.
제 1 입력단자(72)에는 좌우 전압 채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이 입력되며, 제 2 입력단자(172)에는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와 대응하는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이 입력된다.
제 1입력단자(72)에 입력된 제 1 오디오 신호들은 제 1라인업(lineup : 74) 에 의해 증폭되며 진동(dither)발생회로(73)로부터 나오는 작은 무작위 잡음이 되는 진동을 부가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1가산기(75)에 공급된다. 제 1가산기(75)에서 진동이 가산되어 있는 제 1오디오 신호들은 단지 20kHz보다 높지 않은 밴드를 가지고 있는 신호들만이 선택되는 제 1저대역 필터(LPF)(76)를 통과하여 제 1샘플링 회로(77)로 라우트 된다.
이 때에 제 1샘플링 회로는 44.1 kHz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제 1 LPF(76)의 필터된 출력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한다. 이 샘플링 데이터는 제 1D/A 변환기(78)에 의해 16비트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이와같이, 제 2입력단자(172)에 입력된 제 2오디오 신호들은 제 2라인업(lineup : 174)에 의해 증폭되며 진동(dither)발생회로(73)로부터 나오는 진동을 합치는 제 2증폭기(175)에 공급된다. 제 2증폭기(175)에서 나오는 진동에 합쳐진 제 2오디오 신호들은 단지 20kHz보다 높지 않은 밴드를 가지고 있는 신호들만이 선택되는 제 2저대역 필터(LPF)(176)를 통과하여 제 2샘플링 회로(177)로 라우트 된다. 이 때에 제 2샘플링 회로는 44.1 kHz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제 2 LPF(176)의 필터된 출력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한다. 이 샘플링 데이터는 제 2 D/A 변환기(178)에 의해 16비트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제 1 A/D 변환기(78)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로 출력되는 제 1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제1 버퍼 메모리내에 일시적으로 입력되어, 그로부터 판독되고 제 1에러정정 인코딩 회로(8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신호는 CIRC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교차 인터리빙과 4차 리드 솔로몬 코드들에 의해 인코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 1에 러정정 인코딩 회로(80)에 의해 출력된 인코드된 데이터는 제 1변조회로(81)에 의해 EFM으로 변조되며 제 1기록 처리회로(82)에 의해 신호기록처리를 거치게 되므로. 기록장치의 광픽업의 제 1기록층(4)에 제 1정보로서 기록된다.
한편, 제 2A/D 변환기(178)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로 출력되는 제 2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제 2버퍼 메모리내에 일시적으로 입력되어, 그로부터 판독되고 제 2에러정정 인코딩 회로(18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신호는 CIRC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교차 인터리빙과 4차 리드 솔로몬 코드들에 의해 인코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 2에러정정 인코딩 회로(180)에 의해 출력된 인코드된 데이터는 제 2변조회로(181)에 의해 EFM으로 변조되며 제 2기록 처리회로(182)에 의해 신호기록처리를 거치게되므로, 기록장치의 광픽업의 제 2기록층(6)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된다. 제 2기록층(6)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드 인 영역(15)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2기록층(6)에서는, 상술한 제어 데이터와 제 2기록층(6)에 대한 목록정보에 추가하여, 제 1과 제 2정보의 재생을 나타내는 식별 신호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와 식별정보는 나중에 설명이 되겠지만, 디지털 신호 입력단자(184)로부터 공급되며, 제 2에러정정 인코딩 회로(180), 변조회로(181)와 기록처리회로(182)를 통해 제 2기록층(6)의 리드 인 영역(15)내에 있는 광픽업에 의해 기록된다. 제 1기록층(4)에 기록된 제 1디지털 데이터와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제 2디지털 데이터는 데이터가 시간축 상에서 서로 동시에 기록된다.
제 1오디오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와 제 2오디오 신호 들로부터 도출된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는 각각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에 기록된다.
기록장치(71)에서는, 제 1과 제 2디지털 신호 단자들(83, 184)이 제 1과 제 2에러정정 인코딩 회로들(80, 180)내에 제공되므로,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는 직접 제 1과 제 2에러정정 인코딩 회로들(80, 180)로 입력된다.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상호 관련된 다른 정보로서는, 가사와 반주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작품으로부터 분리된 반주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와 가사와 반주로 구성된 외동 정보의 결합이 있다.
기록장치(71)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에 제 1과 제 2정보를 기록하기 전 또는 기록한 후에 광 디스크(1)의 리드 인 영역(15)내에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기록한다.
광 디스크(1)는 상술한 바와같이, 서로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서, 도 15에 도시된 재생 장치(90)에 의해 재생된다.
이러한 재생장치(90)는 대물렌즈를 가지는 광픽업을 포함한다. 대물렌즈에 의해 수렴되는 재생을 위한 광빔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서 선택적으로 포커스되며,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반사된 복귀 광빔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재생장치(90)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 구동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CLV로 회전 하면서 구동하는 광 디스크의 제 1기록층(4)에 의해 반사되고 광픽업에 의해 검출되는 복귀광빔에 대응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재생신호 처리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제 1재생장치(91), 제 1변조회로(92)와 제 1에러정정회로(93)로 전송한다.
제 1재생장치(91)는 광픽업으로부터 나오는 검출 신호를 RF 처리하여 제 1변조회로(92)로 라우트되는 RF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 1변조회로는 예를 들면, RF 신호들을 EFM 복조하여 제 1에러정정 회로(93)로 복조된 신호를 라우트하게 된다.
제 1기록층(4)으로부터 판독된 신호와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의 제 2기록층(6)에 의해 반사되고 광픽업에 의해 검출되는 복귀광빔에 대응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 2재생장치(191), 제 2변조회로(192)와 제 2에러정정회로(193)로 전송한다. 제 2재생장치(191)는 광픽업으로부터 나오는 검출 신호를 RF 처리하여 제 2변조회로(192)로 라우트되는 RF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 2변조회로는 예를 들면, RF 신호들을 EFM 복조하여 제 2에러정정 회로(193)로 복조된 신호를 라우트하게 된다.
한편, 재생장치(9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생보드 선택버튼이 제공된다. 이 재생모드 선택버튼은 광 디스크(1)의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내에 각각 기록된 제 1과 제 2정보를 선택한다.
제 1과 제 2에러정정 회로들(93, 193)의 출력은 선택된 재생모드에 따라 발생된다. 만약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동작되어 광 디스크(1)상에 미리 기록된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재생모드, 즉 제 1과 제 2정보를 연산하고 재생하는 재생모드 가 선택된다면,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들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는 다중화기(multiplexer)(94)로 라우트된다. 다중화기(94)에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가 입력되며, 제 1기록층(4)으로부터 판독된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2정보에 대해, 광 디스크(1)상에 미리 기록된 식별 신호에 따라 가산과 뺄셈과 같은 연산 동작을 실행하여 최종 정보를 재생 신호들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만약 제 1오디오 신호들에 대응하는 좌우 전방 채널 데이터가 제 1기록층(4)에 기록되고, 제 2신호들에 대응하는 좌우 후방 채널 데이터가 제 2기록층(6)에 기록된다면, 다중화기(94)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합쳐서 최종 합산 정보를 출력한다.
다중화기(94)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 1 에러보간회로(95)로 전송된다. 이 회로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면, CIRC에 의해 디코드되며, 제 1D/A 변환기(96)로 전송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제 1개구회로(aperture circuit : 97)로부터 제 1저대역 필터(LPF :98)로 라우트 된다. 이러한 LPF(98)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약 20kHz의 차단 주파수로 필터하여, 최종 필터된 신호를 제 1증폭기(99)를 통해 제 1출력단자(100)로부터 출력한다. 스피커 장치 또는 헤드폰 장치와 같은 음향 재생장치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제 1기록층(4)으로부터 판독된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2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근거하여 음성 재생이 이루어진다.
만약 가사와 이 가사에 대한 반주 음악으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 작품으로부터 분리된 반주 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제 1기록층(4)에 기록되고, 그리고 이 음악 작품의 가사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기록층(6)내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될 때에, 식별신호가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의 합산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로 기록된다면, 다중화기(94)는 제 1기록층(4)과 제 2기록층(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의 합산 신호를 재생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합산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 1기록층(4)에 기록된 반주음악에 대응하는 제 1정보와 제 2기록층(6)에 기록된 가사에 대응하는 제 2정보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의 작품의 오디오 데이터이다.
만약 가사와 이 가사에 대한 반주 음악으로 구성된 완전한 음악 작품으로부터 분리된 반주 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제 1기록층(4)에 기록되고, 그리고 이 음악 작품의 가사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기록층(6)내에 제 2정보로서 기록될 때에, 식별신호가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된 제 1정보로부터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를 뺀 것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기록된다면, 다중화기(94)는 제 1기록층(4)내에 기록된 제 1정보로부터 제 2기록층(6)내에 기록된 제 2정보를 뺌으로써 얻어진 차이신호를 재생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차이 오디오 데이터는 제 1기록층(4)에 가사의 반주음악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만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이다.
만약 재생모드 선택버튼이 동작되어 광 디스크(1)의 제 1과 제 2기록층(4, 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하는 재생모드를 선택한다면, 제 1과 제 2기록층(4, 6)으로부터 판독된 제 1과 제 2정보는 제 1과 제 2복조회로들(92, 192)에 의해 복조되어 제 1과 제 2에러정정회로(93, 193)를 통해 제 2와 제 3에러 보간 회로(195, 295)로 라우트된다. 여기에서 제 1과 제 2정보가 예를 들면, CIRC에 의해 디코드되어 제 2와 3 D/A 변환기(196, 296)로 라우트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제 2와 제 3 개구회로들(197, 297)로부터 제 2와 제 3LPF(198, 298)로 라우트된다. LPF(198, 298)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이 약 20 kHz의 차단 주파수에서 필터되고 제 2와 제 3단자들(200, 300)에서 제 2와 제 3증폭기들(199, 299)을 통해 출력된다. 스피커 장치 또는 핸드폰 장치와 같은 음향 재생장치를 제 2와 제 3출력단자(200, 300)에 연결시킴으로써, 음향 재생이 제 1과 제 2기록층(4, 6)으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에 근거하여 실현된다. 제 2또는 제 3단자들(200, 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선택함으로써, 제 1 또는 제 2기록층(4, 6)에 기록된 제 1 또는 제 2정보가 선택적으로 재생되고 들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이지만, 이용되는 기록매체에 알맞은 재생장치가 사용된다는 조건하에서, 광 디스크에 제한되지 않으면서, 광카드 또는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자기 디스크와 같은 카드 형 메모리들이 될 수 있다.

Claims (34)

  1. 적어도 제 1정보가 기록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되는 제 2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기록층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되고,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각각 재생하는 제 1재생모드와,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연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제 2재생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기록층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상기 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목록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목록정보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목록정보영역에 상기 식별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정보는 다른 기록층이 목록정보를 가지는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다른 기록층과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상기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중 하나의 기록층의 부분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록층이 하나의 기록층에 대한 목록정보의 판독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의 기록층과 마주 대하는 상기 다른 기록층의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모드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가 어떻게 판독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적어도 제 1정보를 기록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를 기록하는 제 2기록층을 갖추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재생시에 최초로 판독되는 상기 제 1기록층 또는 제 2기록층에는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되고,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각각 재생하는 제 1재생모드 및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연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제 2재생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는 재생시에 판독되는 기록층에 설치되고 목록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목록정보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정보는 다른 기록층이 상기 목록정보를 가지는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다른 기록층과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상기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중 하나의 기록층의 부분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록층이 하나의 기록층에 대한 목록정보의 판독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의 기록층과 마주 대하는 상기 다른 기록층의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모드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정보가 어떻게 판독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삭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적어도 제 1정보가 기록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되는 제 2정보층을 가지고,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 중 하나의 층에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정보가 재생처리되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기록되는 제 1정보 및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기록되는 제 2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처리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처리수단을 스위칭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처리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 1 및 제 2정보를 연산하여 그 결과의 정보를 출력하는 연산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 1정보 및 상기 제 2정보중 하나의 정보가 기입되는 버퍼메모리와,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다른 정보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식별신호가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정보를 연산하여 그 결과의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낼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도록 상기 재생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식별신호가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되고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재생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2. 적어도 제 1정보가 기록되는 제 1기록층과 제 2정보가 기록되는 제 2정보층을 가지고,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 중 하나의 층에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정보가 재생처리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기록되는 제 1정보 및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기록되는 제 2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제 1 및 제 2정보가 공급되는 재생처리수단의 재생처리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처리수단은, 상기 식별신호가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는 것을 나타낼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고, 처리된 제 1 및 제 2정보를 재생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처리수단은, 상기 식별신호가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
  25. 제 1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제 1기록층과 상기 제 2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중간층에 의해 상기 제 1기록층과 분리된 제 2기록층을 갖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디오 정보는 상기 제 2오디오 정보에 관련되고, 광헤드에 의해 판독이 적합한 상기 광기록매체는 스레드 피트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 2오디오 정보의 위치의 근처에서 상기 제 1기록층상에 위치에 기록되는 제 1오디오 정보는 스레드 피트의 이동없이 상기 제 1 및 제 2오디오 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물렌즈의 관찰범위내의 이동에 의해 억세스가 허용되고,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오디오 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오디오 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디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기록층의 영역의 시작위치와 상기 제 2오디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기록층의 영역의 시작위치가 스레드 피드의 이동 없이 상기 대물렌즈의 관찰범위내의 이동에 의해 억세스 가능한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7. 제 26에 있어서,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는 적어도 상기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중 하나의 기록층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각각 재생하는 제 1재생모드와,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 2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제 2재생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9. 제 2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중 하나의 기록층에는 상기 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목록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목록정보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목록정보영역에는 상기 식별신호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정보는 다른 기록층이 목록정보를 가지는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기록층의 다른 기록층과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상기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중 하나의 기록층의 부분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록층이 목록정보의 판독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의 기록층과 마주 대하는 상기 다른 기록층의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모드는, 상기 제 1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오디오 정보와 상기 제 2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오디오 정보가 판독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3. 삭제
  34.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록층의 상기 제 1오디오 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 2기록층의 상기 제 2오디오 정보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KR1020000047198A 1999-08-18 2000-08-16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13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32052 1999-08-18
JP23205299A JP4300642B2 (ja) 1999-08-18 1999-08-18 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再生装置並びに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318A KR20010021318A (ko) 2001-03-15
KR100713667B1 true KR100713667B1 (ko) 2007-05-02

Family

ID=1693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198A KR100713667B1 (ko) 1999-08-18 2000-08-16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28174B1 (ko)
EP (1) EP1081707B1 (ko)
JP (1) JP4300642B2 (ko)
KR (1) KR100713667B1 (ko)
CN (1) CN1136551C (ko)
AT (1) ATE325415T1 (ko)
AU (1) AU770011B2 (ko)
DE (1) DE60027655T2 (ko)
MY (1) MY1255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41B1 (ko) * 1999-08-18 2007-07-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디오신호의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기록장치,재생장치
JP2002025098A (ja) * 2000-07-07 2002-01-25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042346A (ja) * 2000-07-19 2002-02-08 Sony Corp 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再生装置並びに再生方法
US6952382B2 (en) * 2001-04-11 2005-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40156294A1 (en) * 2001-04-17 2004-08-12 Katsuya Watanabe Optical disc,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80849B2 (en) * 2001-05-18 2007-02-20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storage medium enabling uniform light transmittance, optical read/write apparatus for same, and optical read/write method for same
JP2002373426A (ja) * 2001-06-13 2002-12-26 Sharp Corp 光記録媒体、光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記録再生方法
US7006411B2 (en) * 2001-06-13 2006-02-28 Ricoh Company, Ltd. Optical pickup unit having electro-optical element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4770080B2 (ja) * 2001-07-17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の調整用光ディスク
JP4101666B2 (ja) *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AU2003232671A1 (en) * 2002-06-07 2003-12-22 Lg Electronics Inc. High-density multi-layer optical disc, method for recording data thereon on layer-by-layer basis,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s thereof
JP2004152398A (ja) * 2002-10-30 2004-05-27 Pioneer Electronic Corp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多層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793770B2 (ja) * 2003-08-22 2006-07-05 株式会社リコー 媒体特性規定方法
US7164640B2 (en) * 2005-03-01 2007-01-16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storage method that assures compatibility of writable medium with read only medium
KR100840851B1 (ko) * 2003-11-10 2008-06-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시스템 집적회로
CN101656091B (zh) * 2003-11-10 2012-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介质,播放装置,程序,播放方法,系统集成电路
JP4062279B2 (ja) * 2004-05-12 2008-03-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8059618A (ja) * 2005-01-07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層光ディスク
US20070265971A1 (en) * 2006-05-10 2007-11-15 Smalley August R Token based digital media distribution system
JP2008084504A (ja) * 2006-09-29 2008-04-10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4840666B2 (ja) * 2007-06-18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再生装置および音声再生方法
JP4631901B2 (ja) * 2007-12-11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専用型光ディスク媒体の製造方法、再生専用型光ディスク媒体
JP5140131B2 (ja) * 2010-10-25 2013-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光記録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10348907B1 (en) * 2016-05-12 2019-07-09 Antony P. Ng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417A (en) * 1988-04-25 1991-04-2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layback method for use in a recording medium playing apparatus using information control signals
US5295126A (en) * 1991-12-17 1994-03-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able optical disc
EP0729153A2 (en) * 1995-02-24 1996-08-28 Hitachi, Ltd.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901B2 (ja) * 1987-03-11 1995-04-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US5291462A (en) * 1990-10-31 1994-03-01 Richards Robert E Optical disk having playback parameters recorded thereon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871534B2 (ja) * 1995-06-26 1999-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970003054A (ko) 1995-06-29 1997-01-28 구자홍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 방법
JPH0917119A (ja) * 1995-06-30 1997-01-17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3674092B2 (ja) * 1995-08-09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H09259576A (ja) * 1996-03-25 1997-10-03 Toshiba Corp 複数管理領域を持つ情報記録ディスク
JP3707137B2 (ja) * 1996-07-04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0068835A (ja) * 1998-08-25 2000-03-03 Sony Corp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417A (en) * 1988-04-25 1991-04-2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layback method for use in a recording medium playing apparatus using information control signals
US5295126A (en) * 1991-12-17 1994-03-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able optical disc
EP0729153A2 (en) * 1995-02-24 1996-08-28 Hitachi, Ltd.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7655T2 (de) 2007-04-05
CN1288226A (zh) 2001-03-21
AU770011B2 (en) 2004-02-12
CN1136551C (zh) 2004-01-28
JP4300642B2 (ja) 2009-07-22
DE60027655D1 (de) 2006-06-08
MY125532A (en) 2006-08-30
ATE325415T1 (de) 2006-06-15
AU5341300A (en) 2001-02-22
US6728174B1 (en) 2004-04-27
EP1081707A1 (en) 2001-03-07
EP1081707B1 (en) 2006-05-03
JP2001056965A (ja) 2001-02-27
KR20010021318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667B1 (ko)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및 장치
US6469965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laying back optical disc
US7352676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recording medium
JP3972456B2 (ja) マルチレイヤー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マルチレイヤーディスク再生方法
JPH05101547A (ja) デイスク状記録媒体
JP4465942B2 (ja) 記録媒体の再生装置
US7130252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multiple reproduction modes
US20050141402A1 (en) Multi-recording medium and storage medium
KR100636725B1 (ko) 광학적 기억 장치와, 광학적 기억 매체의 판독 및 기록 방법
US74239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ROM and RAM data into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KR20000056143A (ko) 다층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3077177A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20000034565A (ko) 씨디 및 디브이디 겸용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 디스크판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