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656B1 -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656B1
KR100713656B1 KR1020010066791A KR20010066791A KR100713656B1 KR 100713656 B1 KR100713656 B1 KR 100713656B1 KR 1020010066791 A KR1020010066791 A KR 1020010066791A KR 20010066791 A KR20010066791 A KR 20010066791A KR 100713656 B1 KR100713656 B1 KR 10071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ox
chain
auxiliary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188A (ko
Inventor
첸 융-히신
Original Assignee
첸 융-히신
칭-생,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 융-히신, 칭-생,리 filed Critical 첸 융-히신
Priority to KR102001006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6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와 분리하여 설치한 구조틀에 체인을 고정시키는데 이 체인은 엘리베이터 자체상자 위 측면의 교륜과 맞물리게 하며, 이 교륜은 또한 치륜 연동을 받는 감속기의 출력축과 서로 연결되고, 치륜은 유압통의 출력배치와 맞물려 연대적으로 작동된다. 치륜은 평상시에 정지제동스위치로써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정전 혹은 엘리베이터가 고장나 엘리베이터 자체상자가 건물의 층 사이에 정지할 때 즉시 긴급단추를 눌러 보조동력원을 작동시켜 정지제동스위치가 더 이상 치륜을 멈추게 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는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건물의 각층에 설치된 감응기가 엘리베이터가 도달한 것을 감응하면 정지제동스위치에 알려 치륜을 멈추게 하여 상관된 여러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엘리베이터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아 탑승객이 순조롭게 엘리베이터 문을 통해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보조구명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Cadence rescuing system of elevator}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앞에서 본 전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구조의 옆에서 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국부구조의 앞에서 본 전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국부구조의 옆에서 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의 전체구조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의 국부구조를 앞에서 본 전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의 국부구조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8 은 재래용의 전체구조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엘리베이터 자체상자 11:지탱대
12:낙하방지기계 121:유압통
122:기름유출발브 123:기름저장통
1211:작동막대 13:구조틀
2:체인 3:교륜
4:감속기 5:치륜
6:유압통 61:출력배치
62:회유관로 63:기름유출발브
7:정지제동스위치 8:보조동력원
9:감응기 10:엘리베이터 자체상자
20:금속 사슬 30:모터 주기계
40:중량배합 덩어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전이나 고장으로 인해 동력을 상실하여 작동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를 더 이상 하강시키지 않고 가장 가까운 층의 엘리베이터 문에 정지하게 하여 순조롭게 위험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빌딩에는 모두 엘리베이터 설비가 장치되어 있어 쉽게 가고 싶은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 8에서 예시한 것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비로 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0)의 위 측면에 금속 사슬(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금속 사슬(20)의 한쪽은 위를 향해 기계방의 모터 주기계(30)를 지나 둘러싸는 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다시 위를 향해 하나의 중량배합 덩어리(40)위에 고정 연접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정전이나 고장 등의 인소로 동력을 잃고 작용이 중단되면 엘리베이터가 올라가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으며 두 개 층의 중간에 멈추어 있게 된다. 이때 만약 잘못하여 엘리베이터의 문이나 각층의 엘리베이터 문을 열게되면 추락의 위험이 있게 된다.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은 전기가 회복되거나 고장 수리가 끝날 때까지 속수무책으로 기다릴 수밖에 없다. 이는 탑승객의 시간낭비 외 심리적인 공포감을 초래하여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키기도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자체 상자의 위 측면에 금속 사슬과 연결된 구조틀을 설치하며, 이 금속 사슬은 기계방의 모터 주기계를 지나 위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설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하나의 중량배합 덩어리에 고정·연접된다. 이어 구조틀에 체인의 한쪽을 고정시키고 다시 체인을 엘리베이터 자체상자 위 측면의 교륜과 서로 맞물리게 한다. 이 교륜은 감속기의 출력축과 서로 연결되고 감속기는 치륜의 연동을 받고 치륜은 유압통의 출력배치와 맞물리게 된다. 동시에 이 치륜은 평상시에 정지제동스위치의 견제를 받으면 움직임이 정지된다. 정전 혹은 엘리베이터가 고장나 엘리베이터 자체상자가 건물의 층 사이에 정지할 때 즉시 긴급단추를 눌러 보조동력원을 작동시켜 정지제동스위치가 더 이상 치륜을 멈추지 않게 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의 중량과 유압통의 출력배치가 치륜과 맞물리며, 치륜이 교륜을 연대작동시키고, 교륜이 체인을 맞물리게 하는 작동 때문에 엘리베이터 자체상자는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건물의 각층에 설치된 감응기가 엘리베이터가 도달한 것을 감응하면 정지제동스위치에 알려 치륜을 멈추게 하여 상관된 여러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엘리베이터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아 탑승객이 순조롭게 엘리베이터 문을 통해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면 1에서 4에 예시한 대로 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위 측면에 금속 사슬(20)을 설치하고, 이 금속 사슬(20)은 기계방의 모터 주기계(30)를 지나 위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설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하나의 중량배합 덩어리(40)에 연접된다. 평상시에는 모터 주기계(30)로부터 금속 사슬(20)을 연동시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가 아래 혹은 위로 이동한다. 보조구명장치는 필요 시(정전 혹은 엘리베이터 고장 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를 보조하여 가장 가까운 층으로 하강하게 도와주고 전원이 회복되어 전기가 공급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수리가 끝나면 다시 보조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를 원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 보조구명장치의 설치는 주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 위 측면의 지탱대(11)에 추락방지기계(12)와 구조틀(13)을 가설하고 금속 사슬(2)을 구조틀(13)에 고정·연접한다. 이 추락방지기계(12)는 유압통(121), 기름유출발브(122)와 기름저장통(123)으로 구성되는데 유압통(121)의 작동막대(1211)를 이용하여 지탱대(11)와 구조틀(13)사이에 꽂아 접속하여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구조틀(13)의 적당한 위치에 체인(2)의 한쪽(체인의 설치 수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음)을 설치하는데 이 체인(2)은 적당한 길이를 갖추고 있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하강을 지탱해준다. 동시에 체인(2)의 평상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 위 측면의 예정된 자리에 저장해 둔다. 다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위 측면에 체인(2)과 같은 수의 교륜(3)을 설치하는데, 이 교륜(3)은 대응하는 체인(2)과 맞물림 운동을 하게된다. 교륜(3)은 감속기(4)의 출력축(41)과 서로 고정·가설되는데 감속기(4)는 치륜(5)에 의해 연대작동된다. 이어 치륜(5)은 유압통(6)의 출력배치(61)에 맞물리게 되며 정지제동스위치(7)로써 치륜(5)의 동작을 통제한다. 한편, 보조동력원(8)은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위 측면에 설치된다. 이 보조동력원(8)의 개폐시기는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 내의 긴급단추로써 통제되며 동시에 각층의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정상적인 정지처에 감응기(9)를 설치하여 이 감응기(8)가 정지제동스위치(7)와 연설되게 한다.
정전이나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가 건물층 사이에 멈추어 올라가지도 내려가지도 않을 때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내의 긴급단추를 눌러 보조동력원을 작동시킨다.(이하 도면 5-7을 참고) 이때 추락방지기계(12)의 기름유출발브(122)가 열려져 유압통(121) 내의 액압유를 기름저장통(123)에 흘러 들어가게 하여 유압통(121)의 작동막대(1211)를 원래대로 돌아오게 해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지탱대(11)와 구조틀(13)을 분리시킨다.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지탱대(11)와 구조틀(13)이 분리됨으로 해서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는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추락하게 되는데 중력 가속도의 영향으로 급속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조동력원(8)의 작동을 이용해 정지제동스위치(7)의 치륜(5) 정지상태를 해제하면 치륜(5)은 그 힘이 석방되어 전동하게 된다. 전동하게 되면 동시에 유압통(6)의 출력배치(61)를 연대 작동시킨다. 이때 유압통(6)의 회유관로(62)위에 설치된 속도조절발브(63)로 출력배치(61)의 속도를 통제한다.(즉 액압유의 속도조절발브 통과 시의 유량을 통제함으로써 출력배치의 작동속도를 통제한다.) 때문에 이에 연대작동하는 감속기(4) 역시 따라 작동하게 되고 교륜(3)의 회전을 연대작동시켜 교륜(3)이 체인(2) 위에서 굴러 움직이게 한다. 이렇게 하여 점차적으로 천천히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를 하강시켜 가장 가까운 층에 이르게 한다. 각층에 설치된 감응기(9)가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의 도달을 감응한 후 정지제동스위치(7)에 알려 치륜(5)을 정지시켜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하며 모든 상관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탑승자들도 순조롭게 나올 수 있다.
전원이 회복되어 전기가 공급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수리가 끝나면 치륜(5), 감속기(4), 유압통(6)의 출력배치(61), 교륜(3)은 반방향으로 작동하여 체인(2)을 감아들이고 엘리베이터 자체상자(1)를 원래 위치로 회복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고장나거나 정전이 되어 건물 층 사이에 멈추게 되었을 때 간단하고 안전한 조작을 통해 엘리베이터 자체상자를 평안하고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으로 하강시켜 내부에 있던 사람들을 순조롭게 탈출시키며 위험성을 최대로 낮추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탑승자들을 구조하는 장치이다. 동시에 지진이나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 혹은 고장이 있을 때도 외부의 도움 없이 탑승자들이 스스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어 불필요한 사망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의 위 측면에 금속 사슬과 연결된 구조틀을 설치하고, 상기 금속 사슬이 기계방의 모터 주기계를 지나 위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설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하나의 중량배합 덩어리에 고정·연접되어서, 필요할 때 엘리베이터 자체상자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하강시키며, 전원이 회복되거나 수리가 끝났을 때 엘리베이터 자체상자를 원래 위치대로 회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이고,
    상기 보조구명장치는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의 위 측면에 금속 사슬과 연결된 구조틀에 체인의 한쪽을 고정·가설하고 이 체인을 교륜과 맞물리게 하며, 상기 교륜은 감속기의 출력축과 서로 연결되고 감속기는 치륜의 연동을 받으며, 상기 치륜은 유압통의 출력배치와 맞물리게 되고 정지제동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치륜의 작동 시기를 통제하는 한편, 보조동력원의 작동이 긴급단추로써 통제되고, 동시에 각층의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의 정상적인 정지처에 감응기를 설치하여 이 감응기가 정지제동스위치와 연설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와 구조틀 사이에 추락방지기계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이를 이용해 엘리베이터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할 때에는 추락방지기계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엘리베이터 자체상자와 구조틀이 분리하도록 함을 특 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KR1020010066791A 2001-10-29 2001-10-29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KR10071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91A KR100713656B1 (ko) 2001-10-29 2001-10-29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91A KR100713656B1 (ko) 2001-10-29 2001-10-29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37U Division KR200293237Y1 (ko) 2001-09-24 2001-09-24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88A KR20030026188A (ko) 2003-03-31
KR100713656B1 true KR100713656B1 (ko) 2007-05-02

Family

ID=3741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791A KR100713656B1 (ko) 2001-10-29 2001-10-29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6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169A (ja) * 1996-07-25 1998-03-24 Shunan O エレベータにおける緊急避難装置
JP2000026040A (ja) * 1998-07-14 2000-01-25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
JP2000229770A (ja) * 1999-02-04 2000-08-22 Shunan O エレベータの緊急避難補助装置
KR20010000695A (ko) * 2000-10-13 2001-01-05 전소연 승강기식 휠체어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169A (ja) * 1996-07-25 1998-03-24 Shunan O エレベータにおける緊急避難装置
JP2000026040A (ja) * 1998-07-14 2000-01-25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
JP2000229770A (ja) * 1999-02-04 2000-08-22 Shunan O エレベータの緊急避難補助装置
KR20010000695A (ko) * 2000-10-13 2001-01-05 전소연 승강기식 휠체어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88A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4404C (zh) 电梯救援方法和具有救援系统的电梯
CN107352356B (zh) 一种带平衡装置的楼道双人扶梯
WO2016122920A1 (en) Elevator safety device
AU778499B2 (en) Device for the evacuation of elevator passengers
CN105000446A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装置
US7392885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elevator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13656B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KR200293237Y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구명장치
JP2007161446A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CN205500495U (zh) 电梯防坠落手动刹车控制装置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CN110510470A (zh) 一种电梯救援装置
JPH02169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083624U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補助装置
JP2008189463A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CN2488891Y (zh) 电梯的辅助收放逃生装置
JPH0336185A (ja) 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
IT9047789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o sbloccaggio di una cabina di as censore o montacarichi immobilizzata incidentalmente tra due pianerott oli.
JPH10120321A (ja) 多目的リフト
EP1857398A9 (en)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n auxiliary system for moving the passenger car
KR860002535Y1 (ko) 정전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장치
TAHARI et al. ELEVATOR Part 1: Building Transportation
CN113753707A (zh) 一种别墅电梯故障自救系统
JP2004067274A (ja) エレベータかご閉じ込め救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01

Effective date: 200607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