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254B1 -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54B1
KR100712254B1 KR1020060031318A KR20060031318A KR100712254B1 KR 100712254 B1 KR100712254 B1 KR 100712254B1 KR 1020060031318 A KR1020060031318 A KR 1020060031318A KR 20060031318 A KR20060031318 A KR 20060031318A KR 100712254 B1 KR100712254 B1 KR 10071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hermo
hygrostat
data
res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엽
Original Assignee
태광이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이엔에스(주) filed Critical 태광이엔에스(주)
Priority to KR102006003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의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장난 항온항습기가 다시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리셋 버튼을 원격으로 눌러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항온항습기의 원격관리 시스템은, 항온항습기의 리셋 버튼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브라켓; 리셋 버튼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리셋 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설치되고, 전방의 비철심부와 후방의 철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비철심부의 둘레에 감겨진 솔레노이드;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된 슬라이딩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소정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Description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되는 가압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시스템의 중앙제어 유니트에서 항온항습기의 냉매 압력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항온항습기 10 : 감지 유니트
20 : 중앙제어 유니트 30 : 이동통신국
35 : 모바일 단말기 50 : 가압 유니트
51 : 브라켓 53 : 슬라이딩 부재
55 : 솔레노이드 56 : 탄성부재
57 : 컨트롤러부 60 : 리셋 버튼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장난 항온항습기가 다시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리셋 버튼을 원격으로 눌러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온항습기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최상의 대기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특히 전산실이나 실험실, 통신 설비실 등에 설치되어 온ㆍ습도의 변화에 민감한 각종 장비나 기기에 최적의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항온항습기는 보통 냉매,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증발기(Evaporator), 가습기(Humidifier) 등을 포함하여 냉ㆍ난방 및 습도 조절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현재의 항온항습기 관리 실태를 살펴보면, 항온ㆍ항습이 요구되는 룸(Room) 마다 개별적으로 항온항습기가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그 동작 상태를 체크하거나 셋팅(setting)을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관리자가 각각의 항온항습기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서 압력 조절기 또는 압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항온항습기의 가동이 자동으로 정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리셋 버튼을 직접 눌러 항온항습기를 재가동하여야 한다.
또한, 항온항습기에 과전류나 과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OCR(over current relay, 과전류 계전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등이 작동되어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작업자가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리셋 버튼을 직접 눌러 항온항습기를 재가동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항온항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곳까지 직접 가서 리셋 버튼을 눌러야 한다. 따라서, 항온항습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고 항온항습기의 고장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온항습기의 냉매 압력과 전류 상태를 원격으로 체크하고,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 항온항습기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공급되어 항온항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 리셋 버튼을 자동으로 눌러줄 수 있는 항온항 습기의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원격관리 시스템은, 항온항습기의 리셋 버튼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브라켓; 리셋 버튼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리셋 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설치되고, 전방의 비철심부와 후방의 철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비철심부의 둘레에 감겨진 솔레노이드;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된 슬라이딩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소정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셋 버튼은 항온항습기에 구비된 냉각 유니트의 압력 조절부재를 원위치시켜 항온항습기가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냉각 유니트의 냉매 압력과 압력 조절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제어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증앙처리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감지 유니트; 및 상기 감지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냉매 압력을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와, 냉매 압력이 기준압력의 범위 이내인지 여부와 압력 조절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감지 유니트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 유니트;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제어 유니트는, 냉각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 및 변환된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셋 버튼은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과전류/과전압 차단부재를 원위치시켜 항온항습기가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전류/전압 데이터 또는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제어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증앙처리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감지 유니트; 및 상기 감지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전류/전압 데이터를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와,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치 범위 이내인지 여부 또는 차단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감지 유니트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 유니트;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제어 유니트는, 전압 또는 전류의 상태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 및 변환된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동 작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시스템에 구비되는 가압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리셋 버튼(6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유니트(50)와, 항온항습기(1)의 작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감지 유니트(10)와,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고 가압 유니트(10)에 전원인가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유니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장이 발생하여 작동이 정지된 항온항습기(1)를 다시 정상 가동하기 위하여 리셋 버튼(60)을 자동으로 눌러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 유니트의 냉매 압력이 기준 압력범위를 벗어나서 작동이 정지된 경우, 또는 과전류/과전압이 공급되어 작동이 정지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원인에 의하여 항온항습기(1)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 압력이 기준 압력범위를 벗어나서 작동이 정지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 유니트()50는 브라켓(51)과, 브라켓(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53)와, 슬라이딩 부재(53)에 감겨진 솔레노이드(55)와, 슬라이딩 부재(5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6) 및, 솔레노이드(55)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57)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51)은 리셋 버튼(60)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브라켓(51)은 항온항습기(1)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51a)와, 슬라이딩 부재(5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체결부재(51a)로는 볼트 등 통상적인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리셋 버튼(6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가이드공(51b)과, 가이드공(51b)의 후방에 슬라이딩 부재(5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 부재(51c)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1c)의 끝단에는 돌출부(51d)가 형성된다. 돌출부(51d)는 슬라이딩 부재(53)가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에 탄성 부재(56)를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53)는 솔레노이드(55)의 자기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리셋 버튼(60)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부재(53)는 전방의 비철심부(53a)와, 후방의 철심부(53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부재(53)는 슬라이딩 케이스(53c)를 더 구비하고, 슬라이딩 케이스(53c)의 전방에는 비철심부(53a)가 수납되고 후방에는 철심부(53b)가 수납된다. 슬라이딩 케이스(53c)의 끝단에는 탄성 부재(56)를 지지하는 지지턱(53d)이 형성된다.
상기 리셋 버튼(60)은 압력조절부재 또는 과전류/과전압 차단 부재가 작동되어 항온항습기(1)의 가동이 중단된 경우에 항온항습기(1)가 다시 가동되도록 하는 버튼이다.
압력조절부재로는 각종 압력 스위치, 압력 조절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스위치, 압력 조절기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384088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과전류/과전압 차단 부재로는 OCR(over current relay, 과전류 계전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 또는 과전류/과전압 차단 부재가 작동되면 작동 버튼이 돌출되기 때문에 리셋 버튼(60)으로 작동버튼을 눌러 항온항습기(1)를 다시 정상 가동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5)는 비철심부(53a)의 둘레에 감겨진다. 따라서, 전원이 솔레노이드(55)에 공급되면 솔레노이드(55) 내부의 자기장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5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탄성 부재(56)는 전방으로 이동된 슬라이딩 부재(53)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솔레노이드(55)에 전원이 공급되면 슬라이딩 부재(53)는 탄성 부재(5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슬라이딩 부재(53)는 탄성 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컨트롤러부(57)는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57a)와, 릴레이 스위치(57b)를 구비한다. 컨트롤러(57a)는 후술하는 중앙제어 유니트(20)의 신호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57b)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이 점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감지 유니트(10)는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제어 유니트(20)로 유/무선으로 전송한다.
중앙제어 유니트(20)는 감지 유니트(10)로부터 전송되는 가동상태 데이터 예를 들어, 냉매 압력 데이터, 압력조절부재 작동여부 데이터, 전압/전류 데이터, 과전압/과전류 차단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 등을 통해 항온항습기(1)의 가동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가동상태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연산하여 항온항습기(1)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이때, 복수개 항온항습기(1)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 유니트(10)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니트(10)와 중앙제어 유니트(20) 간의 무선통신 수단으로는, 통상의 무선모뎀이 채용되어 감지 유니트(10)와 중앙제어 유니트(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그밖에 블루투스(Bluetooth)모듈 등 무선데이터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수단이 채용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무선통신 수단은 도 1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온항습기(1)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항온항습기(1)의 감지 유니트(10)에만 설치되고 복수개 항온항습기(1)의 감지 유니트(10) 간에는 예컨대, RS485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와 토큰링(Token Ring) 데이터 교환방식을 사용하며 케이블(2)을 통해 접속되는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을 구축한 후, 각각의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를 하나의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중앙제어 유니트(20)로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통신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으로 구성하여 항온항습기(1) 상호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어느 하나의 항온항습기(1)에 설치된 감지 유니트(10)와 중앙제어 유니트(20)간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제어 유니트(20)는 특정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데이터통신망(25)을 경유하여 접속된 이동통신 국(30)을 통해 관리자 측 모바일 단말기(35)로 음성경보신호 또는 문자 메세지를 송출하는 기능이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통신망(25)으로는 각종의 유/무선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35)로는 휴대폰을 비롯하여 음성출력기능 또는 문자 메시지 출력기능이 탑재된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지 유니트(10)는 가동중인 항온항습기(1)의 각종 데이터(1a)(1b)를 감지하기 위한 제1,2 체크부(10a)(10b)와, 기저대역처리부(10c)와, 송수신모듈(10d) 및, 컨트롤러부(57)에 소정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재(10e)를 포함한다.
송수신모듈(10d)은 중앙제어 유니트(20)와 무선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모뎀을 비롯하여 블루투스 모듈 등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0c)는 송수신모듈(10d)에서의 무선송출 방식에 적합한 신호가 되도록 입력된 데이터(1a)(1b)의 신호를 처리하여 송수신모듈(10d)로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중앙제어 유니트(20)는 송수신모듈(10d)로부터 무선송출되는 가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항온항습기(1)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송수신부(21), 제어부(22), 표시부(23) 및, 메모리(24)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1)는 송수신모듈(10e)과 무선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송수신모듈(10e)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22)는 송수신부(2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코드식별부(22a), 데이터 재생부(22b), 비교연산부(22c), 제어명령부(22d), 데이터변환부(22e), 통지모듈 (22f) 및, 출력부(22g)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식별부(22a)는 감지 유니트(10)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송수신부(21)에 수신된 신호에서 식별코드를 추출한 후, 메모리(24)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24a)를 바탕으로 항온항습기(1)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항온항습기(1)에 각각 감지 유니트(10)를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하게 될 경우에는 각각의 감지 유니트(10)에 항온항습기(1) 고유의 식별자, 즉 식별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이 경우에 코드식별부(22a)는 식별코드와 코드 데이터(24a)를 이용하여 항온항습기(1)를 식별한다.
상기 데이터 재생부(22b)는 송수신부(21)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동 중인 항온항습기(1)의 냉매 압력, 압력조절부재의 작동여부, 전류, 전압, 과전류/과전압 차단부재의 작동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데이터 재생부(22b)를 통해 재생된다.
비교연산부(22c)는 메모리(24)와 연동하며, 메모리(24)에 저장된 각종 기준값 데이터(24b)를 바탕으로 데이터 재생부(22b)에서 재생된 항온항습기 가동상태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항온항습기(1)의 현재 가동상태를 파악한다.
제어명령부(22d)는 항온항습기(1)가 비정상 상태로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파 악되었을 때, 솔레노이드(5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감지 유니트(10)의 제어부재(10e)는 제어명령부(22d)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수신모듈(10d)을 통하여 수신하여 항온항습기(1)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22e)는 항온항습기(1)의 가동상태 즉, 정상 상태 여부가 관리자 측으로 음성전송 또는 문자메세지로 전달하도록 가동상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데이터 변환부(22e)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 형식 또는 문자 데이터 형식의 데이터는 통지모듈(22f)을 통해 이동통신국(30)을 경유하여 관리자 측 모바일 단말기(35)로 전송이 된다.
상기 출력부(22g)는 데이터 재생부(22b)로부터 가동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부(23)에 인가하기 적합하도록 신호의 파형을 조작하는 등 포맷을 변경한 후, 표시부(23)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표시부(23)로는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 비롯하여 통상의 모니터 등 다양한 정보표시장치가 채용가능하다.
상기 메모리(24)에는 각각의 항온항습기(1)에 고유하게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코드 데이터(24a)와, 항온항습기(1)가 정상가동될 때의 가동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24b)가 저장된다. 즉, 냉매 압력의 기준 범위, 전류의 기준 범위, 전압의 기준 범위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항온항습기(1)의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서 항온항습기(1)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 가압 유니트(50)가 작동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인가되어 과전류/과전압 차단부재가 작동되는 경우는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압력조절부재는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항온항습기(1)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먼저, 압력조절부재가 작동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송수신모듈(10d)을 통하여 중앙제어 유니트(20)에 전달된다(S10). 도면에는 무선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데이터는 유선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중앙제어 유니트(20)의 코드식별부(22a)는 다수의 항온항습기(1) 중에서 압력조절부재가 작동된 항온항습기(1)를 식별하게 된다. 데이터재생부(22b)는 압력조절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재생한다.
압력조절부재가 작동되지 않았으면 제어부(22)는 표시부(23)를 통하여 정상 상태임이 표시(S30)되도록 하고, 압력조절부재가 작동된 경우에는 이를 표시부(23)에 표시(S50)하고, 데이터변환부(22e)와 통지모듈(22f)을 통하여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35)에 비정상 상태임을 알린다(S52).
이어서,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제어명령부(22d)는 솔레노이드(55)에 대한 전원공급 명령신호를 발생시킨다(S70). 상기 전원공급 명령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 드(55)에 소정 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55)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되어 슬라이딩 부재(53)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리셋 버튼(60)을 누르게 된다. 솔레노이드(55)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탄성 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5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가압 유니트(50)가 작동된 후에는 리셋 버튼(60)이 눌려진 후의 냉매 압력이 감지 유니트(10)를 통하여 중앙제어 유니트(20)에 입력된다(S72). 비교연산부(22c)는 상기 냉매 압력을 기준 범위와 비교(S80)하여 상기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정상 상태 신호를 출력(S30)하고 비정상 상태이면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부(23) 및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35)에 표시한다(S50)(S52).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과정들(S50)(S52)(S70)(S72)(S80) 즉, 압력조절부재가 작동된 경우에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는 과정(S50)(S52)과, 솔레노이드(55)에 전원을 인가하는 과정(S70)과, 리셋 버튼(60)이 작동된 후의 냉매 압력을 수신하는 과정(S72)과, 수신된 냉매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는 과정(S80)을 소정 횟수 동안만 반복한다. 만약, 상기 반복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횟수 예를 들어 3회를 초과하게 되면 시스템은 리셋 버튼(60)의 가압을 중지한다. 이것은 리셋 버튼(60)을 소정 횟수동안 반복해서 눌러도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항온항습기(1)를 직접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 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원격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가동 중인 항온항습기의 냉매 압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거나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인가되어 항온항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 항온항습기를 신속하게 다시 정상작동 시킬 수 있다.
둘째, 다수의 항온항습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Claims (5)

  1. 항온항습기의 리셋 버튼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브라켓;
    리셋 버튼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리셋 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설치되고, 전방의 비철심부와 후방의 철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비철심부의 둘레에 감겨진 솔레노이드;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된 슬라이딩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소정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리셋 버튼 쪽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버튼은 항온항습기에 구비된 냉각 유니트의 압력 조절부재를 원위치시켜 항온항습기가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냉각 유니트의 냉매 압력과 압력 조절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제어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증앙처리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감지 유니트; 및
    상기 감지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냉매 압력을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와, 냉매 압력이 기준압력의 범위 이내인지 여부와 압력 조절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감지 유니트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유니트는,
    냉각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 및
    변환된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버튼은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과전류/과전압 차단부재를 원위치시켜 항온항습기가 정상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전류/전압 데이터 또는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제어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증앙처리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감지 유니트; 및
    상기 감지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전류/전압 데이터를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와,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치 범위 이내인지 여부 또는 차단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감지 유니트에 전원공급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유니트는,
    전압 또는 전류의 상태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 및
    변환된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관리자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KR1020060031318A 2006-04-06 2006-04-06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KR10071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18A KR100712254B1 (ko) 2006-04-06 2006-04-06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18A KR100712254B1 (ko) 2006-04-06 2006-04-06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183U Division KR200419485Y1 (ko) 2006-04-06 2006-04-06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254B1 true KR100712254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318A KR100712254B1 (ko) 2006-04-06 2006-04-06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684A (ja) 1998-06-26 2000-01-1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
KR200224246Y1 (ko) 1999-01-26 2001-05-15 이종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장치
KR200344199Y1 (ko) 2003-11-20 2004-03-10 (주)이씨앤아이티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KR20050044160A (ko) * 2003-11-07 200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684A (ja) 1998-06-26 2000-01-1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
KR200224246Y1 (ko) 1999-01-26 2001-05-15 이종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장치
KR20050044160A (ko) * 2003-11-07 200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44199Y1 (ko) 2003-11-20 2004-03-10 (주)이씨앤아이티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US7440735B2 (en) Virtual wireless transmitter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102626524B1 (ko) 시스템의 상태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985574B2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building
KR100712254B1 (ko)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JP2007034507A (ja) 無線を利用した機器の診断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19485Y1 (ko)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JP2006253010A (ja) リレー寿命管理サーバ
JP2009274845A (ja) 複数種のエレベータを遠隔監視する保守セン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352546A (ja) センサーモジュールおよび管理システム
CN111459853B (zh) 一种继电器设备控制系统及方法
JP4950617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KR101970523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N102589100A (zh) 一种基于蓝牙无线网络的空调控制模组
KR100458950B1 (ko) 항온항습기 무선 관리시스템
KR200259906Y1 (ko) 항온항습기 무선 관리시스템
JP200919951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60099588A (ko) 이동통신망으로 홈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홈게이트웨이장치
JP2003248888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5399961B2 (ja) 省エネルギー診断システム
US11954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network connection reliability of IoT tracking and emergency response devices
US20060224251A1 (en) Duplex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control right in duplex system
JP2014064190A (ja) 管理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12198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