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199Y1 -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99Y1
KR200344199Y1 KR20-2003-0036280U KR20030036280U KR200344199Y1 KR 200344199 Y1 KR200344199 Y1 KR 200344199Y1 KR 20030036280 U KR20030036280 U KR 20030036280U KR 200344199 Y1 KR200344199 Y1 KR 200344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plate
controller
remote contro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위
Original Assignee
(주)이씨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이씨앤아이티
Priority to KR20-2003-0036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 조작에 의해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기존 스위치의 구조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시소방식에 의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벽면형 스위치의 터치플레이트(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터치플레이트를 온오프 조작하는 조작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러(50)와;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모콘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적외선 리모콘(40)일 수도 있고, 다수의 벽면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전용 리모콘(60)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SWITCH ON/OFF UNIT BY REMOTE-CONTROL}
본 고안은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시소방식으로 동작하면서 실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벽면형 스위치를 원거리에서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스위치의 구조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등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는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된다.
상기의 스위치로 예컨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스위치(1)가 있다. 벽면 스위치(1)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며, 대략 그 중앙부가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시소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스위치 회로를 온오프시키는 터치플레이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플레이트(2)의 어느 일측을 누르면 스위치 회로가 온되어 실내 조명등이 점등되고, 반대로 터치플레이트(2)의 타측을 누르면 스위치 회로가 오프되어 실내 조명등이 소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스위치(1)가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터치플레이트(2)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스위치(1)가 설치된 벽쪽으로 이동하여 터치플레이트(2)를 조작하고 다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스위치가 먼 곳에 설치된 경우에는 그 이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더욱 극심하고, 아울러, 거동 불편자의 경우에는 벽면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모콘에 의해 실내 조명등을 원거리에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리모콘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회로 접점이 온오프되어 실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모콘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회로 구성에 의해 온오프작동시키는 것으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스위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설치하거나 기존 스위치의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리모콘을 조작하지 않고 수동으로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벽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스위치의 구조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벽면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에 적용된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의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의 작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의 구성도.
도 7a 내지 도 8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에 적용된 구동수단 및 조작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2 : 터치플레이트
10 : 하우징, 12 : 발광다이오드
20 : 구동모터, 21 : 피니언
30 : 슬라이더, 31 : 래크부
32,71A,71B : 누름부, 40,60 : 리모콘
50 : 컨트롤러, 51 : 수신부
52 : 제어부, 70A,70B : 누름부재
80A,80B : 솔레노이드, 81A,81B : 플런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시소방식에 의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벽면형 스위치의 터치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터치플레이트를 온오프 조작하는 조작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콘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적외선 리모콘일 수도 있고, 다수의 벽면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전용 리모콘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 솔레노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조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터치플레이트를 온오프조작하는 슬라이더, 캠 형상의 누름부재, 플런저 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 실시예 1 >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벽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치(1)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치(1)를 온오프시키는 슬라이더(30)와,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40)과, 그리고, 리모콘(40)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1)는 외력에 의해 시소방식으로 구동되어 스위치 회로를 온/오프시키는 터치플레이트(2) 및 터치플레이트(2)의 둘레부에 배치되면서 벽면에 고정되는 림(rim)(3)이 포함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슬라이더(30)가 터치플레이트(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플레이트(2)를 덮는 것으로, 예컨대, 그 둘레부에 끼움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스위치(1)의 림(3)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거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거나 터치플레이트(2)를 덮으면서 벽면에 접착테이프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20)는,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슬라이더(30)를 작동시킨다.
슬라이더(30)는, 구동모터(20)에 의해 작동되어 터치플레이트(2)의 양측 중 어느 일측을 눌러 스위치(1)를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구동모터(2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 터치플레이트(2)의 양측 중 어느 일측을 택일하여 눌러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며, 그 연결구조는 예컨대, 구동모터(20)와 래크/피니언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30)는 그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부(31)가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피니언(21)에 치합되며, 타측에는 터치플레이트(2)를 누르는 누름부(32)가 돌출 형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리모콘(4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적외선 리모콘, 예를 들어 텔레비젼 리모콘, 오디오 리모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리모콘(40)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모터(20)를 제어하는 것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51) 및 수신부(51)에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스위치의 온/오프를 결정하여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제어부(52)는 리모콘(40)에서 한 번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치를 온되도록 구동시키고, 다시 한 번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치를 오프되도록 구동시킨다.
하우징(10)의 정면에는 리모콘(40)에서 신호가 송출되면 이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12) 등의 발광부재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모터(20)와 슬라이더(30)를 이용하여 터치플레이트(2)를 온오프 조작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에는 구동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교체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기존 벽면형 스위치(1)의 구조 변경없이 벽면형 스위치(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지 않을 경우 벽면형 스위치(1)에서 분리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를 사용할 경우 이를 스위치(1)에 장착하는데, 그 장착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위치(1)의 림(3)에 하우징(10)의 끼움부(11)를 끼우게 되면 끼움부(11)의 자체 탄성력 등의 고정구조물에 의해 하우징(10)이 스위치(1)에 장착된다.
실내에서 사용자가 벽면형 스위치(1)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실내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려 할 경우 스위치(1)가 설치된 벽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리모콘(40)의 송신부를 하우징(10)의 수신부(51)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임의의 버튼(리모콘(40)에 구비된 모든 버튼을 누르면 적외선이 송출되므로 모든 버튼을 눌러도 무방함)을 누르면 리모콘(40)에서 적외선이 송출되어 컨트롤러의 수신부(51)에 수신된다.
도 4a의 상태를 오프상태라 가정할 때, 컨트롤러(50)는 수신부(51)를 통해적외선의 수신을 감지하면 구동모터(20)에 정극성(또는 부극성)을 부여하여 피니언(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회전력에 의해 슬라이더(30)가 정방향(도면 기준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도 4b와 같이, 누름부(32)가 터치플레이트(2)의 일측(온측)을 누르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가 온됨으로써 실내등이 점등된다.
한편, 점등 상태의 실내등을 소등시킬 경우 리모콘(40)의 송신부를 하우징(10)의 수신부(51)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임의의 버튼(리모콘(40)에 구비된 모든 버튼을 누르면 적외선이 송출되므로 모든 버튼을 눌러도 무방함)을 누르면 리모콘(40)에서 적외선이 송출되어 수신부(51)에 수신된다.
컨트롤러(50)는 수신부를 통해 적외선의 수신을 감지하면 구동모터(20)에 부극성(또는 정극성)을 부여하여 피니언(2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회전력에 의해 도 4b의 상태의 슬라이더(30)가 역방향(도면 기준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도 4a에서처럼, 누름부(32)가 터치플레이트(2)의 타측(오프측)을 누르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가 오프되어 실내등이 소등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스위치를 수동/자동 겸용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터치플레이트(2)의 일측만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터치플레이트(2)의 일부분(도면 기준 상측)은 하우징(10)에 의해 덮히는 한편 나머지는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경우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원거리에서 리모콘(40)을 조작하여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 및 슬라이더 등의 조작수단에 의해 터치플레이트(2)를 누름으로써 원거리에서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수동의 경우 사용자가 하우징(10)에 의해 덮히지 않은 터치플레이트(2)의 개방부의 양측을 선택적으로 누르면 터치플레이트(2)가 시소방식으로 구동되어 스위치 회로의 접점을 절환함으로써 실내등이 점등/소등된다.
< 실시예 3 >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적외선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고 전용 리모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에 하나의 스위치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모콘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지만, 도 6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벽면형 스위치(1)는 경우에 따라 2개 또는 4개의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처럼 복수개의 스위치(1)가 함께 설치된 경우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하면 모든 스위치가 온/오프되는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는 전용 리모콘(60)을 사용하고, 컨트롤러는 해당 신호만 수신하여 구동수단을 작동시킨다.
하우징(10)은 스위치(1)의 수량에 맞도록 분할되며 각각의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각각 컨트롤러, 구동수단 및 조작수단이 각각 설치되며, 리모콘(60)에는 복수의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부(61,62,63,64)가 구비되는데, 이 스위치부(61,62,63,64)는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스위치의 배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위치부(61,62,63,64)와다수의 컨트롤러(50A,50B,50C,50D)는 서로간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코드를 부여받음으로써 스위치부(61,62,63,64)를 누르면 지정된 컨트롤러(50A,50B,50C,50D)만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해당 구동수단(20A,20B,20C,20D)을 구동시켜 해당 스위치(1A,1B,1C,1D)만 온/오프시킨다. 각각의 컨트롤러(50A,50B,50C,50D)는 각각의 버튼부(61,62,63,64)의 선택에 의해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해당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 실시예 4 >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구동수단과 조작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7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스위치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미도시)이고, 조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캠형상의 누름부재(70A)(70B)이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오프를 조작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도 7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 및 제2누름부재(70A)(70B)의 누름부(71A)(71B)가 터치플레이트(2)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도 7a의 상태를 오프 상태라 할 때, 리모콘으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온측의 제1구동모터가 구동되어 도 7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누름부재(70A)가 1회전하면서 누름부(71A)가 터치플레이트(2)의 온측을 눌러 도 7b처럼 작동되고, 리모콘으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도 7b의 상태에서 오프측의 제2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제2누름부재(70B)가 1회전함에 따라 누름부(71B)가 터치플레이트(2)의 오프측을 눌러 도 7a의 상태로 된다.
< 실시예 5 >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는, 구동수단과 조작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스위치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솔레노이드(80A,80B)이고, 조작수단은 각각의 솔레노이드(80A,80B)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81A,81B)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의 상태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온측의 제1솔레노이드(80A)가 구동되어 제1플런저(81A)가 인출되어 터치플레이트(2)의 온측을 눌러 도 8b의 상태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오프측의 제2솔레노이드(80B)가 구동되어 제2플런저(81B)가 인출됨에 따라 터치플레이트(2)의 오프측을 눌러 도 8a의 상태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플레이트(2)의 양측을 각각 조작하기 위하여 2개의 솔레노이드가 채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플런저를 인출/삽입시킴으로써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격 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에 의하면,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벽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리모콘으로 조작하여 실내등을 점등/소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동/자동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스위치의 구조변경없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벽면에 설치되어 시소방식에 의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벽면형 스위치의 터치플레이트(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터치플레이트를 온오프 조작하는 조작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러(50)와;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60)은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는 다수의 스위치부(61,62,63,64)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50A,50B,50C,50D)는 상기 리모콘의 각각의 스위치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벽면형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온오프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20)이며,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래크/피니언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플레이트를 누르는 누름부(3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양측 중 어느 일측을 선택적으로 누르는 슬라이더(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20)이며,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양측을 택일하여 누르는 캠형상의 누름부재(70A,7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온오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80A,80B)이며,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일측을 눌러 작동시키는 플런저(81A,8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되는 발광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KR20-2003-0036280U 2003-11-20 2003-11-20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KR200344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80U KR200344199Y1 (ko) 2003-11-20 2003-11-20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80U KR200344199Y1 (ko) 2003-11-20 2003-11-20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296A Division KR20050048382A (ko) 2003-11-19 2003-11-19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99Y1 true KR200344199Y1 (ko) 2004-03-10

Family

ID=4942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280U KR200344199Y1 (ko) 2003-11-20 2003-11-20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4B1 (ko) 2006-04-06 2007-05-02 태광이엔에스(주)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CN109659173A (zh) * 2018-12-03 2019-04-19 徐士林 一种墙壁开关控制器及其墙壁开关
KR20200025963A (ko) 2018-08-31 2020-03-10 최지윤 스위치 해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4B1 (ko) 2006-04-06 2007-05-02 태광이엔에스(주) 항온항습기 원격관리 시스템
KR20200025963A (ko) 2018-08-31 2020-03-10 최지윤 스위치 해머
CN109659173A (zh) * 2018-12-03 2019-04-19 徐士林 一种墙壁开关控制器及其墙壁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930A (en) Wall-mountable switch &amp; dimmer
CA2523313C (en) Ac powered wireless control 3-way light switch transmitter
US20090139052A1 (en) Handle element
WO2007109206A2 (en) Traditional-opening dimmer switch having a multi-functional button
CA2110475A1 (en) Electrical switch control device
EP3783190A2 (en) Curtain remote controller and a method for setting remote control stroke thereof
CN108811282B (zh) 一种灯具智能控制装置
KR200344199Y1 (ko)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KR20050048382A (ko)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US7880663B2 (en) Manipulator with motor speed adjustable actuated circuit used to control remote-controlled spotlight
GB2399682A (en) Switch
KR100361371B1 (ko) 스위치 작동장치
JPH04351816A (ja) 制御用操作スイッチ用の遠隔駆動装置
KR0140962B1 (ko) 다기능 리모콘의 복합키 장치
KR2002008562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JP3144940B2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KR200269528Y1 (ko)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KR200235951Y1 (ko) 리모콘 및 수동 겸용 스위치
JP2511760Y2 (ja) 光ワイヤレス受信器
KR101239807B1 (ko)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JP2003297187A (ja) スイッチ用の遠隔操作装置
CN113074270B (zh) 一种给水器具及其控制装置
KR950010184Y1 (ko) 무선신호 수신부를 갖는 매립형 배전스위치
KR101647992B1 (ko) 무선 통신으로 작동되는 조명 스위치 커버장치
CN114641168B (zh) 一种网络智能家居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