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07B1 -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807B1
KR101239807B1 KR1020110124227A KR20110124227A KR101239807B1 KR 101239807 B1 KR101239807 B1 KR 101239807B1 KR 1020110124227 A KR1020110124227 A KR 1020110124227A KR 20110124227 A KR20110124227 A KR 20110124227A KR 101239807 B1 KR101239807 B1 KR 10123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
manual switch
tumbler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달연
최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최준영
황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최준영, 황달연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수동 및 전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본체의 내측 단자 및 통전판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된 누름구의 시소 방향에 따라 단속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수동 스위치; 상기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누름구의 회전 동작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텀블러; 일단이 각각 상기 텀블러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수동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벽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텀블러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상기 수동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제1 및 제2 가동 링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는 고정 링크; 상기 고정 링크에 축 결합되어 모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를 직선 운동시키는 모터; 적외선 리모콘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Electric and manual switch for electric lamp}
본 발명은 전등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동식 스위치와 전동식 스위치를 합친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을 비롯한 건물의 내벽에는 전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립형 텀블러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전원 또는 부하에 접속되는 각각의 개별 단자와 이들 단자를 연결하는 접지면을 내장하고 있는 스위치 박스(몸체)와, 상기 스위치 박스를 건물 내벽에 매립되어 있는 배설함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브라켓, 그 전방을 가리우면서 그 형태에 따라 1 구, 2 구, 또는 3구의 누름 버튼을 가지는 커버로 구성되어 제공되고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76988 호에는 텀블러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76988 호는 수동식 전등용 스위치로서 수동 절환하여 한쪽은 온과 다른 한쪽은 오프로 사람이 직접 가까이 가서 손으로 조작하게 된다. 스위치가 있는 거리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만일 리모콘 방식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리모콘이 분실될 경우 찾기가 어렵고 수동 조작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동 및 전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본체의 내측 단자 및 통전판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된 누름구의 시소 방향에 따라 단속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수동 스위치; 상기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누름구의 회전 동작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텀블러; 일단이 각각 상기 텀블러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수동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벽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텀블러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상기 수동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제1 및 제2 가동 링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는 고정 링크; 상기 고정 링크에 축 결합되어 모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를 직선 운동시키는 모터; 적외선 리모콘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텀블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는 상기 고정 링크와 상기 모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중간에 상기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적외선 센서 및 건전지가 위치하는 위치하는 벽 내 공간의 전방에 제1 및 제2 개방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스위치의 전면의 벽에 위치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스위치를 바꾸지 않고 단순히 위 아이디어를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최신 아파트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처럼 형광등 및 기타 시설에서 전동,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의 손으로 작동시키는 형광등 스위치를 사람 손으로도, 기계적인 힘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가장 먼저 사람 손으로도 움직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대상으로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적용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였다. 이 스위치를 힌지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힘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람 손으로 구동 시에는 큰 문제점이 없으며,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적인 힘으로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일단 가장 고려할 점을 사람 손으로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며, 이때 기계적 부분에 문제점 발생의 원인을 내포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서 기존에 지어진 아파트에 수동 전동으로 구동되는 스위치를 필요로 하는 세대일 것이다. 그러면 기존에 적용된 제품과 가장 큰 차별성은 별도로 새로운 스위치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스위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별도의 구동부를 장착하여서 기존에 적용된 제품과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최근에 미국이나 유럽 쪽에서는 자신의 집을 자신의 손으로 손수 수리나 보완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하며, 이를 위한 사업체가 성장하고 있다. 이럴 경우에 본 아이디어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누구나 쉽게 만들고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스위치에 버튼은 작은 것에 덮개가 달려 있는 것으로 모터에서 나오는 힘을 이용해 구동시 스위치를 움직일 수 있게 링크 구조를 고정시킬 예정이며, 이를 위해서 약간의 추가 가공이 필요하다. DC-모터의 경우에는 소형 DC-모터로 기어가 달려있고 1~2kgf의 힘을 낼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무선 리모콘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모듈로 적외선을 이용한 소형 무선 송수시를 이용하여 모터의 정역 제어를 통해서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기구부를 플라스틱 계열을 사용할 예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출 또는 금형으로 대량 생산으로 가면 전체적인 기구부의 가격 또한, 낮을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일일이 가공할 경우에는 문제점으로 플라스틱 계열이며, 전체적인 개념 설계상에 두께가 얇기 때문에 구동 또는 조립시 파손의 문제점이 있으며, Proto 타입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계열로 가공을 하여서 전체적인 기구부에 작동 원리상 문제점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우리 사회는 고령화 사회, 고속화 사회로 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는 본 아이디어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우를 위해서는 좋은 아이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이가 들어서 또는 움직이는데 힘들고 혼자 있을 경우 움직이는 것이 매우 귀찮을 수도 힘들 수도 있다. 이때 본 아이디어가 적용된 집 안의 형광등 스위치 및 기타 스위치가 있을 경우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아침에 출근을 위해서 문 앞을 나갔을 때 형광등이 켜져 있다고 하며, 본 발명의 스위치로 쉽고 빠르게 형광등을 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제품처럼 리모콘을 이용한 방식으로 작동을 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핸드폰과 호환성을 주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식 등 여러 종류의 제어를 위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와 텀블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와 링크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와 텀블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와 링크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는 수동 스위치(100), 텀블러(200), 제1 및 제2 가동 링크(300 및 400), 고정 링크(500), 모터(600), 지지부(700), 적외선 센서(8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수동 스위치(1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본체(110)의 내측 단자 및 통전판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된 누름구(120)의 시소 방향에 따라 단속됨에 따라 온/오프된다.
텀블러(200)는 상기 수동 스위치(100)의 누름구(1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누름구(120)의 회전 동작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일단이 각각 상기 텀블러(200)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수동 스위치(100)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벽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텀블러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상기 수동 스위치(100)를 온/오프한다.
고정 링크(500)는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300 및 400)의 타단을 각각 연결한다.
모터(600)는 상기 고정 링크(500)에 축 결합되어 모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고정 링크(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300 및 400)를 직선 운동시킨다. 전동을 위한 일반적인 DC-모터를 사용하였으며, 사람 손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시 DC-모터를 돌리게 될 경우 DC-모터의 수명에 문제가 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완충지대를 설계, 추가하여서 최종적인 전/수동식 형광등 스위치를 제공한다.
지지부(700)는 상기 고정 링크(500)와 상기 모터(6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600)를 지지한다.
적외선 센서(800)는 적외선 리모콘(도시안됨)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900)는 상기 적외선 센서(800)로부터의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600)로 출력하여 상기 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텀블러(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300 및 40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은 시중에 유통되어 적용되는 스위치를 기본으로 한다. 시중에 유통이 되는 스위치는 벽에 고정시키고 지그로 스위치를 고정하였다. 덮개로는 내부를 가리는 방식이다. 이때 내부 공간에 DC-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부를 만들고 스위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 구조를 만들어서 온/오프하고자 한다. 하지만 링크 구조를 이용 시 손으로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DC-모터도 같이 움직이면서 구동부에 문제를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 구조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서 손으로 구동할 경우에도 구동부에 영향을 안 주면서, DC-모터 구동 시에도 영향을 안 줘서 원활한 온/오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도 DC-모터의 정역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제어를 위한 공간이 작다는 것이 그나마 한계점을 보완해 주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수동 스위치
110: 본체
120: 누름구
200: 텀블러
300: 제1 가동 링크
400: 제2 가동 링크
500: 고정 링크
600: 모터
700: 지지부
800: 적외선 센서
900: 제어부
1000: 케이스
1010: 삽입공
1020: 제1 개방구
1030: 제2 개방구
1100: 건전지

Claims (4)

  1.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본체의 내측 단자 및 통전판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된 누름구의 시소 방향에 따라 단속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수동 스위치;
    상기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누름구의 회전 동작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텀블러;
    일단이 각각 상기 텀블러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수동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벽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텀블러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1 및 제2 가동 링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는 고정 링크;
    상기 고정 링크에 축 결합되어 모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고정 링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링크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모터;
    적외선 리모콘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크와 상기 모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간에 상기 수동 스위치의 누름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적외선 센서 및 건전지가 위치하는 벽 내 공간의 전방에 제1 및 제2 개방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스위치의 전면의 벽에 위치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KR1020110124227A 2011-11-25 2011-11-25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KR10123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27A KR101239807B1 (ko) 2011-11-25 2011-11-25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27A KR101239807B1 (ko) 2011-11-25 2011-11-25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807B1 true KR101239807B1 (ko) 2013-03-06

Family

ID=4818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227A KR101239807B1 (ko) 2011-11-25 2011-11-25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1962A1 (zh) * 2020-09-10 2022-03-17 李文洲 一种应用于按压控制的非接触式装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675Y1 (ko) 2000-10-18 2001-04-16 상도전기통신주식회사 매입형 텀블러 스위치의 사이드철장식
KR200435650Y1 (ko) 2006-09-27 2007-02-05 주식회사 서비전자 조명 스위치 제어용 리모콘과 조명 스위치 제어장치 및조명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675Y1 (ko) 2000-10-18 2001-04-16 상도전기통신주식회사 매입형 텀블러 스위치의 사이드철장식
KR200435650Y1 (ko) 2006-09-27 2007-02-05 주식회사 서비전자 조명 스위치 제어용 리모콘과 조명 스위치 제어장치 및조명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1962A1 (zh) * 2020-09-10 2022-03-17 李文洲 一种应用于按压控制的非接触式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072A1 (en) Passive rebound switch having variable number of buttons
US20090139052A1 (en) Handle element
US20150026890A1 (e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for a piece of furnitur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a corresponding piece of furniture
CN107046783A (zh) 防水无源无线控制器和控制系统及其应用
CN101646832A (zh) 具有照明装置的车辆把手
US20190333724A1 (en) Control modular assembly and switch including the same
KR101239807B1 (ko) 수동식 겸용 전동식 전등용 스위치
CN208000841U (zh) 一种遥控按压式开关装置
CN207069938U (zh) 可变更按键数目的无源回弹式开关
CN202546560U (zh) 灯具结构
CN106803335A (zh) 一种用于传统开关上的无线控制装置
US11295604B2 (en) Passive rebound switch having variable number of buttons
KR20050103121A (ko) 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259315B (zh) 门锁用电机驱动机构
JPH04351816A (ja) 制御用操作スイッチ用の遠隔駆動装置
JP4797929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CN210575584U (zh) 一种电驱动翘板开关面板
CN110491695A (zh) 一种电驱动翘板开关面板
JP2003297187A (ja) スイッチ用の遠隔操作装置
JP7054831B2 (ja) 負荷制御装置および送信機
CN218993132U (zh) 一种支持蓝牙连接的智能学习台灯
CN200941602Y (zh) 多功能移动开关
CN204618080U (zh) 一种多功能马桶盖板
CN214963194U (zh) 一种电动剃须刀消毒盒
CN220269182U (zh) 可旋转壁灯及具有其的智能家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