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825B1 - 펌프 - Google Patents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825B1
KR100709825B1 KR1020050014565A KR20050014565A KR100709825B1 KR 100709825 B1 KR100709825 B1 KR 100709825B1 KR 1020050014565 A KR1020050014565 A KR 1020050014565A KR 20050014565 A KR20050014565 A KR 20050014565A KR 100709825 B1 KR100709825 B1 KR 10070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discharge port
pump
discharge
pu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073A (ko
Inventor
야스다 카즈요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고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고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고교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6/00Apparatus equipped with, or having provisions for equipping with, both elements for especially removal of refuse or the like and elements for removal of snow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1Treatment of dispersed oil or similar pollution on roads, for instance devices for applying treating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두 개의 토출구(吐出口) 중 한 쪽의 토출구에서 유체(流體)를 토출(吐出)하는 방향에 임펠라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의 토출구에서 유체가 펌프 하우징에 토출되는 것을 다른 방향의 토출구 근방의 토출압영역(吐出壓領域)을 흡입압영역(吸入壓領域)으로 연통(連通)하는 것에 의해 펌프하우징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한다.
하우징(29)내에 있어서, 흡입구(吸入口)(37)의 근방에 형성된 흡입압영역 (38)과 제2토출구(40)의 근방에 형성된 토출압영역(42)와는, 구부(溝部)(44)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임펠라부재(35)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부(44)의 중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과의 상쇄된 압력이 생기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하여 상기 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9)내의 세정수(洗淨水)(유체)는 각 임펠라부(48)에 의해 적극적으로 제2토출구(40)측에 유도(誘導)되며, 당해 세정수가 제2토출구(40)으로부터 펌프(P)의 외부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PumP}
도1은 본 발명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대략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펌프의 일부단면도
도3의 (a),(b)는 둘 다 펌프 하우징의 평면도
도4는 본발명 실시형태에 있어서 펌프를 축선방향에서 본 경우의 일부단면도
도5는 도4의 5-5선 실시단면도
도6의 (a)는 본 발명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펠라의 평면도
(b)는 비교예의 임펠라 평면도
도7은 개별 예의 펌프(펌프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개별 예의 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의 (a),(b),(c)는 모두 개별예의 임펠라를 나타내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0052]
29- 펌프하우징(하우징),
35, 35A, 35B, 35C-임펠라(펌프용 임펠라)
37, 37A- 흡입구 38, 38A- 흡입압영역
39- 제 1토출구 40- 제 2토출구
41- 토출압영역 42- 토출압영역
43- 유체통로 43a- 통로부분
44- 구부(연통로) 45- 유도규제부
47- 하프부 47a- 외주면
삭제
48, 48A, 48b, 48C- 임펠라
49- 일방측면 50- 다른 방향 측면
50a- 기단측부위 50b- 선단측부위
80- 임펠라(펌프용 임펠라)
82- 하프단측부위 82a- 외주면
83- 임펠라부 84- 일방측부위
85- 다른 방향 측 부위
85a- 기단측부위 85b- 선단측부위
90, 90A- 관로(연통로)
90, 91, 92- 다른 방향 측 부위
92a- 기단측부위 92b- 선단측부위
93- 일방측면 P- 펌프 S- 축선(회전축선)
[0001]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 등에 설치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에 식기세척기의 펌프는 세정실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식기의 세정 시와 세정수의 배수 시 사용되어지는 펌프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용 펌프(이하,[펌프]로 명시)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펌프는 펌프하우징(펌프케이싱)을 갖추고 해당 펌프하우징 내에는 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해 정(正),역(逆)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임펠라(날개차)가 설치되어있다. 펌프하우징에는 펌프하우징 내에 세정수(洗淨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구(흡입구)와 펌프하우징내의 세정수를 식기세척기의 세정실측으로 토수(吐水)(분사공급)시키기 위한 순환토출구(循環吐出口)와 펌프하우징 내의 세정수를 식기세척기 외부로 토수(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0003] 또한, 펌프하우징의 내부에는 앞서 말한 순환토출구와 배수토출구의 사이에 펌프하우징 내를 유동(流動)하는 세정수의 유체력(流體力)에 의해 절환변(切換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절환변(切換弁)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환변은 회전시 양 토출구 안에서 어느 한 쪽의 토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토출구를 개방함으로서 세정수의 토출방향을 절환 가능 하게 한다.
[0004] 즉, 식기를 세정하기 위해서 임펠라가 한 쪽 방향(예를 들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펌프하우징 내에 흡수된 세정수가 해당 펌프하우징내의 측면에 따라 임펠라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정방향)으로 유동하여 그 유체력에 의해 절환변이 배수토출구를 폐쇄하는 식이 된다. 그 때문에 세정수는 순환토출구를 지나 세정실내에 공급(분사공급)하게 된다. 한편 세정수를 배수하기 위해 임펠라가 다른 쪽(예를 들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펌프하우징 내에 흡수되는 세정 수가 해당 펌프 하우징 내의 측면에 따라 임펠라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역방향)으로 유동하여 그 유체력에 의해 절환변이 순환토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세정수는 배수토출구를 끼고 식기세척기의 외부에 배수 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3-284666호 공보 (청구항 6, 단락번호[0013]~[0015], 도2)
[0005]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펌프의 경우에는 하기의 내용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펌프에서는 식기의 세정 시에는 배수토출구를, 세정수의 배수 시에는 세정토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절환변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하여 펌프 내에 흡수되는 세정수에는 식기 등에 부착되어있는 더러움과 찌꺼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세정수에 포함되어있는 더러움과 찌꺼기들이 절환변(특히 회전축 부근)에 부착되는 경우, 절환변이 회동(回動) 불능이 되어 순환토출구 및 배수토출구가 폐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식기의 세정 시에 세정수가 배수토출구를 지나 외부에 토출되면 세정실내에 공급(분사공급)된 세정수의 수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펌프의 본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0006]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이다. 그 목적은, 두 개의 토출구 중 한 쪽의 토출구에서 유체를 토출하는 방향에 임펠라가 회전할 경우에는 다른 방향의 토출구에서 유체가 펌프 하우징에 토출되는 것을 다른 방향의 토출구 근방의 토출압영역(吐出壓領域)을 흡입압영역(吸入壓領域)으로 연통(連通)하는 것에 의해 펌프하우징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0007]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펌프하우징 안에 소정 축선 둘레에 정,역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임펠라가 들어간다. 펌프하우징에는 이 임펠라의 회전을 기본으로 펌프 하우징 외부로부터 펌프하우징 내부까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펌프하우징 내부로 흡입한 유체를 임펠라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체통로와, 상기 임펠라가 정,역 양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유체통로 안에서부터 펌프하우징의 외부로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1토출구와 임펠라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유체통로안에서부터 펌프하우징 외부로 유체를 토출 시키기 위한 제 2토출구가 각각 설치되어있는 펌프로서, 펌프하우징에는 제 1토출구 근처 및 제 2토출구 근처에 형성되어있는 각 토출압영역에 있어 최소한 어느 한 방향의 토출압영역과 흡입구 근처에 형성되어있는 흡입압영역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설치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0008] 청구항 2에 기재되어있는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펌프로서, 흡입구는 임펠라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선상의 위치에 놓여져 임펠라의 흡입구측에 흡입압영역이 형성되게 설치하고, 제 1토출구 및 제 2 토출구는 축선방향에서 볼 때 흡입압영역의 내측이 되는 영역에 각 토출압영역이 최소한 일부라도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계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0009] 청구항 3에 기재되어있는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펌프로서, 연통로(連通路)는 펌프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있는 배수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요 지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펌프로서 유체통로는 배수부를 일부 포함한 구성의 통로부분을 가지고 있고 해당 통로부분은 제 1토출구 및 제 2토출구의 안쪽 해당통로부분이 바로 연결되는 토출구에 임펠라 측에서 흡입압영역의 일부를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0011] 이하, 본 발명을 식기세척기의 펌프에 구체화시킨 실시 형태를 도1~도6에서 설명한다. 도1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의 식기세척기(10)은 기본체(機本體) (11)안에 식기(D)를 세정하는 세정실(洗淨室)(12)과 해당 세정실(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펌프실(13)을 갖추고 있다. 세정실(12)와 펌프실(13)은 기본체(11) 안의 내부 스페이스(14)를 칸막이판(15)에서 아래위를 구분하는 것으로 하여 구획 형성 시킨다. 하기의 본 명세서 설명에 있는 [상하좌우방향]은 도1에 있는 상하좌우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다.
[0012] 세정실(12)에는 식기(D)를 배치하기 위한 식기장(16)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식기장(16)은 수평방향(도1에서는 좌우방향)에 늘어져 있는 레일(17)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대치되어 있다. 또 세정실(12)의 하부에는 식기(D)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유체)를 세정실(12) 안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18)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있다. 이 노즐(18)의 윗면에는 복수의 구멍(도면에 표시되어있는)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18)의 아랫면에는 칸막이판(15)를 관통하여 펌프실 (13)안까지 연결되도록 세정관로(洗淨管路)(19)가 설치되어있다. 이 세정관로(19)는 노즐(18)의 내부공간(도면에 표시되어있는)을 지나 노즐(18) 윗면의 각 구멍과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세정실(12) 안의 식기(D)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세정관로(19)를 지나 펌프실(13)측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세정수가 노즐(18) 윗면의 각 구멍에서 세정실(12)내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0013] 또한 세정실(12)의 좌측에는 기본체(11)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개폐문(20)이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그 개폐문(20)은 식기(D)를 세정실(12) 내의 식기장(16)에 넣고 세정 후 식기(D)를 세정실 (12)에서 밖으로 꺼내기 위해 개방되어지고 그때 이외는 닫혀 있도록 되어있다. 또 세정실(12)의 우측에는 소정 용량의 세정수를 기본체(11)의 외부에서 세정실(12) 내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통로(21)이 형성되어있다. 또 세정실(12)의 아래에는 해당 세정실(12)에서 세정수를 펌프실(13)로 내려 보내고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흡입구(22)에는 식기(D)에 붙어 있는 잔여물이 세정수와 함께 펌프실(13)에 흡입되지 않도록 잔여물을 처리하는 휠터(F)가 설치되어있다.
[0014] 한편 펌프실(13)에는 세정실(12)에서부터 흡입구(22)를 사이에 두고 아래로 흐르는 세정수를 저류(貯留)(모아두기)하기 위한 저류조(貯留槽)(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저류조(23)의 측방(側方)(도1의 우측)에는 펌프(P)가 배치되어 있고, 펌프(P)는 흡수관로(吸水管路)(24)를 사이에 두고 저류(23)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류조(23)안에 일단 저류되어 있던 세정수는 흡수관로(24)를 통해 펌프 (P)안으로 수평방향에서 흡수된다. 그리고 세정실(12)안의 식기(D)를 세정하는 경우에는 펌프(P)의 구동에 의해 펌프(P)안에서 세정수가 세정관로(19)를 통하여 노즐(18)에 공급되어지고 노즐(18) 윗면의 각 구멍에서 세정실(12)안으로 분사되어진다. 한편 세정수를 배수할 경우에는 펌프(P)의 구동에 의해 펌프(P)에서 세정수가 배수관로(25)로 도출되어 기본체(11)밖으로 배수되어진다.
[0015] 다음으로 펌프(P)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P)는 도2에서 보는바와같이 모터부(26)과 펌프부(27)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부(26)은 전기배선(E)를 통해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전원에 접속되어진 모터(예를 들면 직류 모터 등)(M)을 설치하고 있으며, 모터(M)의 내부에는 회전자 및 고정자(도면에 표시 되어 있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에는 모터부(26)(모터 (M))의 내부에서 펌프부(27)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28)이 고정 부착되어있다. 그리고 실제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M)의 고정자에 공급되어진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자가 샤프트(28)과 함께 샤프트(28)의 축선(소정축선)(S)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0016] 한편 펌프부(27)은 일단측 (도1에서는 우측, 도 2에서는 좌측)이 개구되어진 약유저원통(略有底円筒)형상의 펌프하우징(이하 <하우징>)(29)와 해당 하우징(29)의 개구부를 폐쇄 가능 하도록 형성되어진 펌프브라켓(이하<브라켓>)(30)과 모터부(26)측의 접합부재(接合部材)가 되는 취부판(取付板)(31)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9), 브라켓(30) 및 취부판(31)은 브라켓(30)을 중앙으로 하여 몇개(실제 실시 형태로는 다섯 개)의 나사(32)에 의해 일체 조립되는 것으로 일체 조립 상태에서는 취부판(31)이 모터(M)에 나사(33)으로 접합 고정 되어져있는 것에 의해 펌프부(27)은 모터부(26)에 일체 결합되어져 있다.
[0017] 브라켓(30) 및 취부판(31)에는 샤프트(28)이 끼어저 있는 관통구멍 (30a)(31a)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펌프부(27)이 모터부(26)에 일체 결합한 형태에서는 모터부(26) 측에서 연결 되어진 샤프트(28)이 취부판(31)의 관통구멍(31a)와 브라켓(30)의 관통구멍(30a)에 끼워져 하우징(29)안 까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하여 취부판(31)과 브라켓(30) 사이에 샤프트(28)의 주변에는 링형태를 복수(본 실제 형태로는 2개)의 오일씰(34)가 압입 되어 있다.
[0018] 또한 하우징(29)안에 있는 샤프트(28)의 선단에는 임펠라(펌프용 임펠라)(35)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즉 모터(M)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샤프트(28)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샤프트(28)과 함께 축선(S) 주위로 임펠라(35)가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펌프부(27)의 일체 조립형태에 있는 하우징(29)와 브라켓(30) 사이에 O링(36)이 있음으로써 하우징(29)안에서의 세정수 누출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0019] 도3(a) (b)에서 보는바와같이 하우징(29)는 그 저벽부(底壁部)(29a)에 상기 흡수관로(24)에 대응해 연결부위가 되는 저류조(23)에서 임펠라(35)의 회전에 의해 하우 (29)안으로 세정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7)이 설계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37)은 저벽부(29a)에 있는 임펠라(35)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선(S)의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있고 하우징(29)안에 축선을 따르는 세정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축선(S)를 따라 내려가는 방향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임펠라(35)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4 및 도5의 이점쇄선에서 보는바와같이 흡입구(37) 근방에 있는 임펠라(35)의 전면측(즉 흡입구(37) 측)이 되는 영역에 임펠라(35)의 외주연(外周縯)의 회동 궤적과 약동(略同) 형태를 부압(負壓) 분위기의 흡입압영역(38)이 형성되는 것이 된다.
[0020] 또한 하우징(29)는 그 주벽부(29b)에 세정관로(19)의 연결부위가 되는 제 1토출구(39)와 배수관로(25)의 연결부위가 되는 제 2토출구(40)이 설치되어있으며 이것의 토출구(39)(40)을 통해 임펠라(35)의 회전을 기본으로 세정수를 하우징(29) 밖으로 토출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임펠라(35)가 회전할 때는 도3~도5의 이점쇄선에서 보는바와같이 하우징(29) 내부에 있는 제 1토출구(39) 근방 및 제 2토출구(40) 근방의 각 토출구(39)(40)의 개구(開口)형상과 약동(略同)형상으로서 부압(負壓) 분위기의 흡입압영역(38)보다도 고압(高壓) 분위기인 토출압영역 (41)(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0021] 여기서 제2토출구(40)은 제1토출구(39)에서 볼 때 주벽부(29b)의 주방향에 소정각도(실제 형태에서는 도3 및 도4에서 볼 수 있듯이 약 90도)만을 이간(離間)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선(S)를 따라 내려가는 방향에 있어서는 제 1토출구(39)가 흡입압영역(38) 보다도 임펠라(35)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토출구(40)이 흡입압영역(38) 보다도 흡입구(37)측에 설치되어있다. 또 흡입구 (37)측(즉 축선(S) 방향)에서 볼 경우에 제 1토출구(39) 및 제 2토출구(40)이 함께 각 토출압영역(41)(42)의 일부가 흡입압영역(38) 보다 안쪽에 형성됨으로서 각각 축선(S)와 직교되는 방향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0022] 또한 하우징(29)안에는 하우징(29)안에 있는 세정수를 임펠라(3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체통로(43)이 주벽부(29b)의 안쪽면을 따라 내려가도록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체통로(43)은 임펠라(35)의 회전을 기본으로 흡입구(37)로부터 하우징(29)안으로 흡입시켜 즉 원심력으로 주벽부 (29b)측에 유동시킨 세정수를 제 1토출구(39) 및 제 2토출구(40)으로 도수(導水)(유도)하는 것이며, 도3(b)에서 볼 수있듯이 제 2토출구(40)에 연결하는 통로부분(43a)에는 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구부(溝部)(44)는 유체통로(43) 안에서 제 2토출구(40)에 직접 연결하는 부분이 되는 통로부분(43a)가 있으며 유체통로(4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0023] 그리고 유체통로(43)은 통로부분(43a)에서 축선(S)를 따라 흐르는 방향으로 흡입압영역(38)보다도 흡입구(37)측에 위치하는 제 2토출구(40)에 연결되도록 임펠라(35)측에서 보는 경우 통로깊이가 제 2토출구(40)에 가깝도록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 통로부분(43a)에는 흡입압영역(38)보다 안쪽이 되는 영역에 토출압영역(42)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계된 제 2토출구(40)에 유체통로(43)을 연결하도록 임펠라(35)측에서 보는 경우 통로 폭이 제 2토출구(40)에 가깝게 내주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있다. 즉 유체통로(43)은 통로부분(43a)(구부(44))에서 임펠라(35)측으로부터 흡입압영역(38)의 일부를 통과하여 제 2토출구(40)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구부는 흡입압영역(38)과 토출압영역(42)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연통로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있다.
[0024] 그리고 도4에서 볼 수 있듯이 임펠라(35)가 정,역 양방향 중 어느 방향(실제로는 A실인(失印) 방향)에 회전하는 경우에는 흡입구(37)에서 하우징(29)의 유체통로(43)안으로 흡입된 세정수가 제 1토출구(39)로부터 세정관로(19)측에 토출, 세정관로(19)를 지나 세정실(12)안으로 흡수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임펠라(35)가 정,역 양방향 중 반대쪽 방향(실제로는 B실인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흡입구(37)에서 하우징(29)의 유체통로(43)안으로 흡입되어진 세정수가 통로부분(43a)를 통하여 제 2토출구(40)으로부터 배수관로(25)측으로 토출, 배수관로(25)를 지나 기본체(11)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0025] 또한 하우징 (29)의 주벽부 (29b) 안 쪽 주방향에서 제 1토출구(39)와 제 2토출구(40)의 사이가 되는 부분은 내면이 임펠라(35)의 외주연에 근접하도록 주벽부 (29b)의 두터운 벽이 내주측에 두껍게 형성되어진 유도규제부(45)가 된다. 즉 이 부분에서는 유체통로(43)이 임펠라(35)의 회전을 허용할 정도의 좁은 간격(43b)가 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35)가 A실인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유체통로(43)을 타고 제1토출구(39)측으로 도수(유도)되어진 세정수는 유도규제부(誘導規制部)(45)에 의해 제 2토출구(40)측으로 급하게 도수되어지는 것을 저지시킨다. 한편 임펠라(35)가 B실인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유체통로(43)을 타고 제 2토출구(40)측으로 도수(유도)되어진 세정수가 같은 유도규제부(45)에 의해 제 1토출구(39)측으로 급하게 도수되는 것을 저지시킨다.
[0026] 여기서 본 발명 실시 형태에 있는 임펠라(35)의 구성에 대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임펠라(35)는 도6(a)에서 볼 수 있듯이 약원반(略円盤) 형상을 이루는 원반부(円盤部)(46)과 원반부(46)의 중앙부근에 형성되어있는 하프부(47)과 하프부(47)의 외주면(47a)에서 외주방향으로 연결된 몇 개(실제로 6개)의 임펠라부(4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프부(47)의 약중앙(略中央)에는 관통구 (4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임펠라(35)는 관통구(47b)에 샤프트(28)이 접합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28)에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그로 인해 임펠라(35)는 모터(M)의 회전구동에 의해 샤프트(28)과 함께 샤프트(28)의 축선(S) 주위를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다.
[0027] 그런데 임펠라(35)가 도 69(b)에 보이는 비교예시의 임펠라(80)처럼 구성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 비교예의 임펠라(80)은 약원반형태를 한 원반부(81)과 원반부(81)의 중앙부근에 형성되있는 하프부(82)와 하프부 (82)의 외주면 (82a)에서 외주에 연결되는 6개의 임펠라(8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임펠라부(83)은 축선(회전축선)(S)측에서 외주방향으로 연결되어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에 대해 앞의 면이 되는 일방측면(84)가 다음 후방(즉 B방향)측에 경사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각 임펠라부(83)은 B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에 대응해 앞의 면이 되는 반대방향측면(85)가 축선(S)측에서 외주방향에 연결되어 다음 전방(즉 B방향)측에 경사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진다.
[0028] 그 때문에 임펠라(80)이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즉 식기 D의 세정 과정의 경우)에는 각 임펠라부(83)에 있는 일방측면(84)(특히 일방측면(84)의 외주측)가 외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임펠라(80)의 회전을 기본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을 옆에 있는 각 임펠라부(83) 사이에 개재된 세정수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임펠라(80)이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즉 세정수의 배수 과정의 경우)에는 각 임펠라부(83)에 있는 반대측면(85)의 일부(특히 반대측면(85)의 외주측)이 안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수에 원심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비교예의 임펠라(80)에서는 펌프(P)의 회전구동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0029]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 실시형태의 임펠라(35)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 구성을 하고 있다. 즉 각 임펠라부(48)에는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방향에 대응해 전면이 되는 일방측면(49)와 B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대응하여 전면이 되는 반대측면 (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일방측면 49와 축선(S)에서 외주방향을 향해 다음 회전방향의 B방향 측에 경사진 곡면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 실시 형태의 임펠라(35)는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즉 식기 D의 세정 과정의 경우)에는 비교예의 임펠라(80)과 같이 효과적인 각 임펠라부(4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옆에 있는 각 임펠라부(48)의 사이에 개재되어있는 세정수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펌프(P)의 외부(본 발명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실(12) 측)에 토출(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0030] 한편 각 임펠라부(48)의 반대측면(50)은 각 반대측면(50) 안의 축선 (S)측으로부터 중도까지 기단측부위(基端側部位)(50a)가 축선(S)에서 외주방향을 향해 다음 회전방향의 B방향측으로 경사진 곡면상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으로 중도에서 선단(외주측)까지의 선단측부위(50b)가 축선(S)에서 방사상(放射狀)이 되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실제형태의 임펠라(35)는 B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즉 세정수의 배수 과정의 경우)에는 각 임펠라(80)과 비교하여 각 임펠라부(48)의 회전을 기본으로 원심력을 효과적으로 옆에 있는 각 임펠라부(48)의 사이에 있는 세정수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제형태의 임펠라 (35)(반대측면 46)은 비교예의 임펠라(80)(반대측면(83))보다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펌프(P)의 외부(본 발명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체(11)의 외부측)로 토수(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0031]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한 본 발명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10)에 있는 펌프(P)의 작용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모터(M)의 회전구동에 의해 임펠라(35)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흡입구 (37)의 근방에는 흡입압영역(38)이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제 1 토출구(39)의 근방에는 토출압영역(41)가 또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는 토출압영역(4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저류조(23)에 저류되어있는 세정수는 저류조(23)으로부터 흡수관로(24)를 유동하여 흡입구(37)을 지나 펌프(P)의 하우징(29)안으로 흡수되어진다. 그리고 나면 세정수는 임펠라(35)의 각 임펠라부(48)(일방측면(49))에 의해 유체통로(43)으로 도수되어지고 유체통로(43)을 임펠라(3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A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제 1토출구(39) 근방(토출압영역(41))까지 유동한 세정수는 토출압영역(41)에 있는 토출압에 의해 제 1토출구(39)로부터 펌프(P) 밖으로 (세정관로(19))로 토출되어진다.
[0032] 이때, 하우징(29)의 주벽부(29b)에는 유도규제부(45)가 형성되어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29)안을 유체통로(43)을 지나 제 1토출구(39)측으로 도수되어진 세정수는 유도규제부(45)를 지나 제 2토출구(40)에 도수되어지는 경우는 없다. 또 흡입압영역(38)과 제 2토출구(40)의 토출압영역(42)는 구부(44)를 지나 연결되며 구부(44)의 중간(즉 흡입압영역(38)과 토출압영역(42)의 경계부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이 상쇄되어 압력이 생기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라(35)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9)안의 세정수는 적극적으로 제 2토출구(40) 근방에 도수되지 않으며 유체통로(43)을 제 2토출구(40)근방까지 유동한다 해도 구부(44)에서 다시 흡입압영역(38)로 도수된다. 이로 인해 세정수는 제 2토출수(40)에서 펌프(P)의 외부에 흡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정수의 일부가 제 2토출구(40)에서 펌프(P)의 외부(배수관로(25))에 흡수된다 하더라도 세정수는 기본체 (11)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 펌프(P)보다도 높은 위치(본 실제형태에서는 약 30센티미터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기본체(11)의 외부에 배수 되는 경우는 없다.
[0033] 한편 모터(M)의 회전구동을 기본으로 임펠라(35)가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흡입구(37)의 근방에는 흡입압영역(3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토출구(39)의 근방에는 토출압영역(41)이, 또한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는 토출압영역(42)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그리하여 저류조(23)에 저류 되어있던 세정수는 저류조(23)으로부터 흡수관로 24를 유동하여 흡입구(37)을 지나 펌프(P)의 하우징(29)안으로 흡수되어진다. 그리고 나면 세정수는 임펠라(35)의 각 임펠라부 (48)(반대측면(50))에 의해 유체통로(43)에 도수 되어지고 유체통로(43)을 임펠라 (35)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B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하여 구부(44)를 유동하고 제 2토출구(40)근방(토출압영역(42))까지 유동한 세정수는 토출압영역(42)에 있는 토출압에 의해 제 2토출구(40)에서 펌프(P) 밖(배수관로(25))으로 토수되어진다. 이 경우에도 역시 세정수는 유도규제부(45)를 넘어 제 1토출구(39)로 도수되어지는 경우는 없다.
[0034] 따라서 본 발명 실시형태에서는 하기 내용에서 볼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1) 임펠라(35)가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9)안에서는 흡입구(37)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압영역(38)과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 형성되어있는 토출압영역(42)이 구부(연통로)(44)를 지나 연통되고 구부(44)의 중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을 상쇄시켜 압력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지게 되어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35)가 A방향(일방)으로 회전할 경우 유체통로(43)을 유동하는 세정수(유체)는 각 임펠라부(48)에 의해 적극적으로 제 2토출구(40)측에 유도되지 않게 하기 위해 구부(44)로부터 다시 흡입압영역(38)에 도수시킨다. 따라서 임펠라(35)가 A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하우징(29)안에 흡수시킨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제 1토출구(39)에서 펌프(P)의 외부(세정실(12)측)으로 토출 가능하다. [00(35)] 한편 임펠라(35)가 B방향(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9)안에 흡수시킨 세정수는 각 임펠라부(48)에 의해 적극적으로 제 2토출구(40)측에 유도되기 때문에 유체통로(43)을 유동하여 제 2토출구(40)으로부터 펌프(P)의 외부(기본체(11)의 외부)로 토출(배수)시킨다. 이 경우 세정수의 일부는 제 1토출구(39)측의 토출압영역(41)에 유동하여 제 1토출구(39)에서 펌프(P)의 외부(세정실(12) 측)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세정실 (12)안으로 토출(공급)된 세정수는 저류조(23)에 안내되어 다시 하우징(29)안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제 2토출구(40)에서 펌프(P)의 외부로 토출되어진다. 따라서 두 개의 토출구 (39)(40)의 안에 제 1토출구(39)에서 하우징(29)안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방향에 임펠라(35)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 2 토출구(40)에서 세정수가 하우징(29)안으로 토출되는 것을 제 2토출구(40) 근방의 토출압영역(42)를 흡입압영역(38)에 연통시키는 것으로 인해 확실히 방지 된다.
[0036] (2) 흡입구(37)은 축선(S) 위에 위치하고, 임펠라(35)의 흡입구(37)측에 흡입압영역(38)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 2토출구(40)은 축선(S) 방향에서 본 경우에 흡입압영역(38)의 내측이 되는 영역에 토출압영역(42)의 일부가 각각 형성되는 위치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입압영역(38)과 토출압영역(42)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임펠라(35)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서 유동하는 세정수를 흡입압영역(38)측에 빠르게 유도할수 있으며 제 2토출구(40)으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37] (3) 하우징(29)의 주벽부(29b)의 내측에 형성되어있는 구부(44)가 연통로로서 기능해야 하기 때문에 연통로(예를들면 관로 등)을 별도 설계하는 것으로 인해 펌프(P)를 조립할 때 드는 조립 공정의 증가를 저지할수 있다. 또 부품수의 증가나 펌프(P)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펌프(P)를 컴팩트화 할 수있으며 식기세척기(10)의 펌프실(13)의 공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0038] (4) 유체통로(43)에서 구부(연통로)(44)를 일부로 포함하는 구성의 통로부분 (43a)는 제 2토출구(40)에 임펠라(35)측으로부터 흡입압영역(38)의 일부를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 형성되어있는 토출압영역(42)에 매우 가깝게 흡입압영역(38)과의 연통구조가 형성 가능하다. 따라서 제 2토출구(40)의 근방에서 유동하는 세정수가 제 2토출구(40)으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0039] (5) 임펠라(35)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펠라(3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A방향)으로 유체통로(43)을 유동하여 제 1토출구(39)측에 도수시킨 세정수가 유도규제부(45)를 지나 제 2토출구(40)측에 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임펠라(35)가 B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임펠라(35)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B방향)으로 유체통로(43)을 유동하여 제 2토출구(40)측으로 도수 될 세정수가 유도규제부(45)를 지나 제 1토출구(39)측에 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40] (6) 임펠라(펌프용임펠라)(35)가 어느 쪽 방향(A방향)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방향에 대응해 전면이 되는 각 임펠라부(48)의 일방측면(一方側面)(49)는 축선(S)로부터 외방(外方)을 향해 다음 반대방향(B방향)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35)가 A 방향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각 임펠라부 (48)은 회전을 기본으로한 원심력을 옆에 있는 각 임펠라부(48)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세정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펠라(35)가 반대방향(B방향)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전면이 되는 각 임펠라부 (48)의 반대측면(50)의 기단측부위(基端側部位)(50a)는 축선(S)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다음 B방향측으로 형성되도록 되어있으며, 선단측부위(先端側部位)(50b)는 축선 (S)에서 외주측을 향해 방사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35)는 B방향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비교예의 임펠라(80)보다도 회전을 기본으로한 원심력을 옆에 있는 각 임펠라부(48) 사이에 개재된 세정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0041] 또한 본 발명 실시형태는 하기 내용에서 볼 수 있듯이 별개의 실제형태(별개의 예)로 변경해도 괜찮다. 앞서 기재된 실제형태에 의하면 유도규제부(45)는 제 1토출구(39)와 제 2토출구(40)과의 사이에서의 세정수 유동억제를 위해서라면 실제형태에서 볼 수 있는 외주부(29b)의 두터운 벽을 두껍게 하는 것 이외에 외주부 (29b)의 내면에 블록체를 부착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또 이 유도규제부 (45)는 반드시 하우징(29)의 주벽부(29b)의 내주면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0042] 앞서 기재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통로(구부(44))는 도7에서 볼 수 있듯이 흡입압영역(38)과 토출압영역(42)는 하우징(29)를 외부로 연결시키는 관로(90)이라도 괜찮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입구(37A)는 도8번에서 볼 수 있듯이 저류조(23)안에 저류하고 있는 세정수를 축선(S)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하우징 (29A)안에 흡수하도록 돌출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흡입구(37) 근방에 형성되어있는 흡입압영역(38A)와 제 2토출구(40)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압영역(42)는 관로(연통로)(90A)에 의해 연통되게 된다.
[0043] 앞서 기재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토출구(39)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압영역(41)과 흡입구(37) 근방에 형성되어있는 흡입압영역(38)과의 사이에 연통되는 연통로(예를 들면 구부)를 설계해도 괜찮다. 이런 구성을 했을 경우 임펠라(35)가 회전하게 되면 연통로의 중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이 상쇄되어 압력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진다. 이로 인해 임펠라(35)가 B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9)안의 세정수는 적극적으로 제 1토출구(39) 근방에 도수되지 않기 때문에 제 1토출구(39)로부터 펌프(P)의 외부에 토수되지 않게 된다.
[0044] 앞서 기재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9(a)에서 볼 수 있듯이 임펠라 (35A)의 각 임펠라부(48a)는 그 반대측면(91)의 선단측부(91b)가 회전방향의 일방(A방향)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9(b)에서 볼 수 있듯이 임펠라 (35B)의 각 임펠라부(48B)는 그 반대측면(92)의 선단측부위(92b)가 기단측부위 (92a)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항(B방향)측으로의 경사와 비교해 완만한 경사로 구성해도 괜찮다.
[0045] 앞서 기재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9(c)에서 볼 수 있듯이 임펠라 (35C)에 있는 각 임펠라부(48C)의 일방측면(93)은 축선(S)로부터 외주방향의 중간까지의 평면상의 기단측부위(93a)와 중간에서부터 외주측까지의 평면상의 선단측부위 (93b)에서 형성되어 구성되어도 괜찮다.
[0046] 앞서 기재된 실시형태에서는 펌프(P)가 식기세척기용 펌프로 구체화되어 있으나 임의의 펌프를 구체화 해도 된다. 이 경우 펌프 안에 유동된 유체는 물(세정수) 이외 임의의 액체(예를 들면 알콜 등)이나 기체(예를 들면 공기 등)여도 괜찮다.
[0047] 다음으로 위에 기재된 실시형태 및 다른 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생각에 대하여 하기에 덧붙이도록 한다.
(가) 앞서 기재된 펌프하우징에는 유체가 임펠라의 회전을 기본으로 흡입구측에서 제 1토출구측 또는 제 2토출구 중 어느 쪽으로 유도된 경우에 있어서 유체가 제 1토출구와 제 2토출구와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유도규제부가 형성되어있는 청구항4 내에 기재되어 있는 펌프
[0048] (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프부를 설치 하프부의 외주면에 몇 개의 임펠라부를 설치, 각 임펠라부가 축선측에서 외방측으로 연결됨에 따라 각 임펠라부의 회전방향의 일방측면을 다음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한편 각 임펠라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반대방향측면의 안 축선측부터 중간까지의 선단측부위를 중간근방에 있는 기단측부의 경사와 비교하여 완만한 경사 또는 회전방향의 일방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펌프용 임펠라
[0049] (다) 각 일방측면은 곡면상을 하고 있으며 기술적 생각(나)에 기재되어있는 펌프용 임펠라
(라) 각 반대측면의 기단측부위는 곡면상을 하고 있으며 기술적 생각(나) 또는 기술적 생각(다)에 기재되어있는 펌프용 임펠라
[0050] (마) 각 반대측면의 선단측부위는 축선에서 방사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져 있는 기술적생각(나)~(라)의 안에 기재되어있는 펌프용 임펠라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토출구 안에, 한 쪽의 토출구로부터 유체를 토출시키는 방향에 임펠라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 토출구에서 유체가 펌프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을 해당 다른 방향의 토출구 근처의 토출압영역을 흡입압영역에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4)

  1. 펌프하우징 안 축선주위에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임펠라를 수용하여,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임펠라의 회전을 기본으로 펌프하우징 밖으로부터 펌프하우징 안으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흡입구로부터 펌프하우징 안으로 흡입된 유체를 임펠라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유동하게 하는 유체통로와 임펠라가 정 방향으로 움직였을 경우 유체통로 내에서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토출구와, 임펠라가 역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유체통로 내에서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2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펌프로서, 상기 펌프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토출구 일측 및 제 2토출구 일측에 형성된 각 토출압영역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토출압영역과 흡입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압영역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설치한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임펠라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선 위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임펠라의 흡입구 측에는 흡입압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토출구 및 제 2 토출구는 축선방향에서 본 경우 흡입압영역의 안 쪽이 되는 영역에 상기 각 토출압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펌프하우징의 안 쪽에 형성되어진 구부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제 2 토출구의 구부를 일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통로부분이 있고, 상기 통로부분은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 안에서 통로부분이 바로 연결된 토출구에 상기 임펠라측으로부터 흡입압영역의 일부를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한 펌프.
KR1020050014565A 2004-04-19 2005-02-22 펌프 KR100709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3363A JP4287322B2 (ja) 2004-04-19 2004-04-19 ポンプ
JPJP-P-2004-00123363 2004-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73A KR20060043073A (ko) 2006-05-15
KR100709825B1 true KR100709825B1 (ko) 2007-04-23

Family

ID=3534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65A KR100709825B1 (ko) 2004-04-19 2005-02-22 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87322B2 (ko)
KR (1) KR100709825B1 (ko)
CN (1) CN1004738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7061B2 (ja) * 2008-10-06 2013-03-21 朝日興業株式会社 ポンプ
CN104279167B (zh) * 2014-10-23 2017-03-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电机泵和具有该电机泵的洗涤电器
CN106704264B (zh) * 2017-01-12 2023-08-25 常州雷利电机科技有限公司 泵以及具有所述泵的排水循环系统和家用电器
EP3376051B1 (de) * 2017-03-14 2022-08-24 Grundfos Holding A/S Pumpenaggregat
EP3376050A1 (de) * 2017-03-14 2018-09-19 Grundfos Holding A/S Kreiselpumpenaggregat
JP2019019673A (ja) * 2017-07-11 2019-0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ポンプ
EP3540233A1 (de) * 2018-03-13 2019-09-18 Grundfos Holding A/S Kreiselpumpenaggregat mit drehbarem ventilele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0815760000
10009632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0443A (zh) 2005-11-02
JP2005307787A (ja) 2005-11-04
CN100473840C (zh) 2009-04-01
KR20060043073A (ko) 2006-05-15
JP4287322B2 (ja)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825B1 (ko) 펌프
US7832419B2 (en) Extra width dishwasher
US20180132691A1 (e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0719747B1 (ko) 펌프
US10314457B2 (en) Filter with artificial boundary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0719742B1 (ko) 펌프
JP2007222242A (ja) 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KR20060115480A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232275B1 (ko) 펌프 장치
JP5167061B2 (ja) ポンプ
CN216984830U (zh) 一种清洗机
JP2009085226A (ja) ポンプ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JP3281802B2 (ja) 食器洗浄機
CN217547979U (zh) 水槽组件及泡茶机
JP3743859B2 (ja) 液体用モータ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食器洗浄機
KR100267922B1 (ko) 식기세척기
WO2023110079A1 (en) Dishwasher including a flow controller assembly
KR100480090B1 (ko) 급/배수 일체형 펌프
CN114343535A (zh) 一种清洗机
CN116491868A (zh) 一种清洗机
KR100267917B1 (ko) 식기세척기
KR100269470B1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
KR20230103915A (ko) 식기세척기
KR100259824B1 (ko) 식기세척기의 펌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