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42B1 - 펌프 - Google Patents
펌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9742B1 KR100719742B1 KR1020050126396A KR20050126396A KR100719742B1 KR 100719742 B1 KR100719742 B1 KR 100719742B1 KR 1020050126396 A KR1020050126396 A KR 1020050126396A KR 20050126396 A KR20050126396 A KR 20050126396A KR 100719742 B1 KR100719742 B1 KR 100719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port
- impeller member
- passage
- fluid
- pump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8—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for unidirectional fluid flow in reversible pumps
- F04D29/48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for unidirectional fluid flow in reversible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펌프하우징에 설치된 일방(一方)의 토출구(吐出口)와 타방(他方)의 토출구 중 어느 한쪽의 토출구로부터 유체(流體)를 토출(吐出)시키는 방향으로 펌프하우징 내에서 임펠라부재가 회전하는 경우에, 타방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유체가 펌프하우징의 외부에 토출되는 것을 단순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규제가 가능하다
수용공간(收容空間) 34 내에는 정,역(正逆)으로 양회전이 가능한 임펠라부재 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라부재 35의 외주연(外周緣) 35a와 하측 펌프하우징 31의 주벽부(周壁部)31a와의 사이에는 유체통로 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 에는 소정간격을 갖도록 2개의 토출구 45a, 46a가 형성되며, 각 토출구 45a, 46a 와의 사이에 설치된 유도규제부(誘導規制部)48에는 상기 주벽부 31a로 향하게 연장된 돌벽부(突壁付)49, 51이 각각 돌설되어 있다.
유체통로 47과 토출구 45a, 46a와의 사이에는 토출구 45a, 46a의 통로 단면적 보다도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갖는 협소영역(狹小領域) 50, 52가 형성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 배수구, 흡입구, 임펠라
Description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종단면도.
도2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펌프의 일부 단면도.
도3은 도2에 따른 3-3선 단면도.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측 펌프 하우징의 저면도.
도5는 도4에 따른 5-5선 단면도
도6은 도4에 따른 6-6선 단면도
도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측 펌프하우징의 평면도
도8은 별도예시의 제2돌벽부 구성을 설명하는 일부 확대도
도9는 별도예시의 제2돌벽부 구성을 설명하는 일부 확대도
도10은 별도예시의 펌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11은 별도예시의 펌프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 양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2의 별도예시의 펌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사시도
[부호의 설명]
10-식기세척기, 29-상측펌프하우징, 30-링플레이트, 30a-내주연(흡입구), 31-하측펌프하우징, 31a-주벽부, 34-수용공간, 35-임펠라부재, 35a-외주연, 38-임펠라부, 39a-외주연(흡입구), 41-흡입통로, 41a-직선통로부, 41b-원호통로부, 41d-경사면( 가이드수단), 42-흡입부, 42a-흡입구, 43-임펠라부재의 회전평면, 45-제1토출부, 45a-제1토출구, 46b-연결부, 46-제2토출부, 47-유체통로, 47a-클리어랜스, 48-유도규제부, 48a-내면, 49-제1돌벽부, 49a-내면, 50-제1협소영역, 51-제2돌벽부, 51a-내면, 52-제2협소영역, 61-흡입용배관(흡입통로, 흡입부), 61a-선단부(흡입구),
P-펌프, S-축선(소정축선).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펌프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 나오는 펌프(식기세척기용 펌프)가 제안되고 있다. 이 펌프는 펌프하우징(펌프케이싱)을 준비하고, 펌프케이싱 내의 수용공간(收容空間)에는 모터의 회전을 기본으로 정역(正逆)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임펠라부재(임펠라)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펌프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안에 세정수(洗淨水)(유체(流體))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수용공간안의 세정수를 식기세척기의 세정실측으로 토출(吐出)(분사공급)하기 위한 순환토출구와, 상기 수용공간내의 세정수를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토출(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토출구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펌프하우징의 주벽과 임펠라부재의 외주연(外周緣)과의 사이에는, 해당 임펠라부재의 회전을 바탕으로 세정수를 펌프하우징의 주벽(周壁)에 따라 유동(流動)시키기 위한 유체 통로(通路)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의 주벽 안에 있는 상기 순환토출구와 배수토출구의 사이 부분에는, 세정수가 상기 순환토출구와 배수토출구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유도규제부(誘導規制部)가 설치되어있다.
그로 인해 상기 임펠라부재를 한 방향(예를들어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수용공간내의 세정수가 유체통로내를 한방향으로 도수하고, 순환토출구를 세정실측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반대로 상기 임펠라부재를 다른 방향(예를들어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수용공간내의 세정수가 유체통로내를 타방향으로 물을 내보내, 배수토출구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되어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10-43119호 공보 (청구항 1, 단락번호 [0020]~[0023], 도2)
그런데, 앞에서 말한 펌프에서는 임펠라부재를 한 방향(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유체통로 내(內)를 세정토출구 측(또는 배수토출구 측)까지 유동한 세정수의 대부분이 상기 세정토출구(또는 배수토출구)를 지나 펌프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상기 펌프에서는 상기 유체통로 내를 세정토출구 측(또는 배수토출구 측)까지 유동한 세정수의 일부가, 상기 유도규제부와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있는 클리어랜스내를 유동하여 배수토출구 측(또는 순환토출구 측)까지 유동하고, 해당 배수토출구(또는 순환토출구)을 거쳐 펌프의 외부로 토출 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상기 펌프에서는 세정실측에 수용공간 내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경우에, 해당 세정수의 일부가 배수토출구를 지나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쓸데없이 토출되고 마는 것을 확실히 규제하지 못하며, 세정실내에 분사공급되는 세정수의 수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런 사정을 감안한 것이다. 그 목적은 펌프하우징에 설치된 한 쪽의 토출구와 다른 쪽 토출구 중, 한 쪽의 토출구에서 유체를 토출시키는 방향으로 펌프하우징내에서 임펠라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다른 쪽 토출구에서 유체가 펌프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도 양호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펌프하우징내의 수용공간에 소정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임펠라부재가 수용되고, 펌프하우징에는 임펠라부재의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펌프하우징 밖에서 수용 공간 안으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수용공간내로 흡입한 유체를 상기 임펠라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체통로와, 상기 임펠라부재가 정역 양방향 중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유체통로 안에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제1토출구와,
상기 임펠라부재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유체통로내에서 상기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제2토출구와, 유체가 상기 임펠라부재 의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유체통로내를 정역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도되었을 경우에, 상기 유체가 각 토출구 중 어느 한쪽의 토출구 근방을 통과하여 다른쪽 토출구측까지 유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유도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도규제부와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의 사이에는, 상기 유체통로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클리어랜스가 형성되어있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1토출구의 통로 단면적이 상기 제2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와의 사이에는 해당 제1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1협소(狹小) 영역을 형성하는 제1돌벽부(突壁部)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와의 사이에는, 해당 제2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고 또한 제1협소영역의 통로 단면적보다도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2협소영역을 형성하는 제2돌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펌프에 있어서, 상기 각 돌벽부 중 작은 제2돌벽부는, 상기 유도규제부에서 펌프하우징의 주벽(周壁)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펌프에 있어서, 각 돌벽부 중 작은 제2돌벽부는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기재된 펌프에 있어서, 각 돌벽부중 어느 한 쪽의 돌벽부는, 해당 돌벽부에서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 의 대향면(對向面)이, 상기 유도규제부에서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의 원호면(圓弧面)상을 한 대향면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식기 세척기용 펌프로 구체화시킨 실시형태를 도1~도7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본실시형태의 식기세척기 10은, 기본체 11안에 식기D를 세정하는 세정실 12와 해당 세정실 12의 아래에 위치한 펌프실 13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세정실 12와 펌프실 13은 기본체 11내의 내부 스페이스 14를 나누는 판 15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것으로 구획 형성을 하고 있다.
또한 아래 있는 본 명세서 중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좌우방향]은 도 1에서 보여지는 상하좌우방향으로 한다.
상기 세정실 12에는, 식기D를 배치하기 위한 식기장16이 수용되며, 해당 식기장 16은 수평방향(도 1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진 레일 17위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재치(裁置)시킨다.
또한 세정실 12의 하부에는, 식기D을 세정할 때 세정수(유체)를 세정실 12내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 18이 회전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있다.
이 노즐 18의 윗면에는 여러개의 구멍(도에는 생략)이 형성되어있고, 노즐 18의 하면측에서는 칸막이판 15를 관통하여 펌프실 13안까지 연장되어진 세정관로(洗淨管路) 19가 설치되어있다.
이 세정관로 19는 노즐 18의 내부공간(도에는 생략)을 거쳐 노즐 18윗면의 각 구멍과 연결되어있다. 그로 인해 세정실 12내에서 식기D를 세정할 때는 세정관 로 19를 거쳐 펌프실 13측에서 공급되어진 세정수가 노즐 18 윗면의 각 구멍에서 세정실 12 내로 분사되도록 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세정실 12의 좌측에는 기본체 11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기본체 11에 대응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진 개폐문20이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이 개폐문 20은 식기 D를 세정실 12안의 식기장 16에 배치할 때나 세정후 식기D를 세정실 12에서 외부로 꺼낼 때 등에 개방되어지며, 그 외에는 열리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한 세정실 12의 우측에는 소정용량의 세정수를 기본체 11의 외부에서 세정실 12 내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통로 21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세정실 12의 아랫부분에는 해당 세정실 12에서 세정수를 펌프 13으로 유하(流下)시켜 흡입하기 위한 취수구 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취수구22에는 식기D에 부착되어있던 잔여물 등이 세정수와 함께 펌프실 13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잔여물 등을 걸러내는 휠터 F가 배치되어있다.
한편 펌프실 13에는 세정실 12에서 취수구 22를 거쳐 유하한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류조23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저류조 23의 측방(도1에 의하면 좌측)에는 펌프 P가 수용 배치되어있고, 해당 펌프 P는 흡수관로 24를 거쳐 저류조 23과 연결되어있다.
그로 인해 저류조 23안에 일단 저장되어있던 세정수는, 흡수관로 24를 거쳐 펌프 P안에 수평방향으로 흡수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세정실 12내의 식기 D를 세정하는 경우에는 펌프 P의 구동을 바탕으로 펌프 P안에서 세정수가 세정관로 19를 거쳐 노즐 18로 공급되어, 노즐 18 윗면의 각 구멍에서 세정실 12안으로 분사되어진다.
한편 세정수를 배수하는 경우에는 펌프 P의 구동을 바탕으로 펌프 P내에서 세정수가 해당 펌프 P와 소정의 수두차(水頭差)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진 배수관로 25로 도출되어 해당 배수관로 25를 거쳐 기본체 11 밖으로 배수되어진다.
다음으로 펌프 P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P는 도 2에서 보듯이, 모터부 26과 펌프부 27로 구성되어져 있다. 모터부 26은 도에는 없는 전원에 접속되어진 모터(예를 들어 직류모터)M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모터 M의 내부에는 회전자 및 고정자(둘 다 도생략)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회전자에는 모터부 26(모터M) 내부에서 펌프부 27 안까지 연장되어진 샤프트 28이 고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M의 고정자에 공급되어진 전류의 방향에 대응해 상기 회전자가 샤프트 28과 같이 해당 샤프트 28의 축선(소정축선) S를 회전중심으로 정역 양방향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펌프부 27은 모터 M이 재치(載置) 고정된 상측 펌프하우징 29와, 이 상측 펌프하우징29의 하면측에 부착되어있는 원형모양을 한 링플레이트 30과, 이 링플레이트 30을 끼어 상측 펌프하우징29에 부착조립되어진 하측 펌프하우징31이 설치되어있다.
상측 펌프하우징29의 하면측에 있어서, 모터M의 바로 아랫부분에는 링플레이 트30의 외주형상에 대응한 플레이트용 凹(오목)부 29a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링플레이트 30은 이 플레이트용 凹(오목)부 29a내에 감합(嵌合)되어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에 의해 상측 펌프하우징29에 부착 고정되어있다.
또한, 상측 펌프하우징29와 하측 펌프하우징31은, 양자간에 O링32를 끼고 있는 상태로 일체화되게 조립되어있다.
그리고 일체 조립상태에 있어서, 상측 펌프하우징29의 상면측에 모터M이 몇 개(도2에서는 2개)의 나사33으로 접합고정 있는 것에 의해, 펌프부 27과 모터부26이 일체결합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렇게 상측 펌프하우징29, 링플레이트30 및 하측 펌프하우징31이 O링32를 끼워 일체조립 된 것에 의해,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상면측을 따라 링플레이트30의 바로 아랫부분에 오목하게 설계된 수용공간34가 밀봉공간이 된다.
또한, 상측 펌프하우징29에 있어서, 링플레이트30의 내주연 30a의 내측이 되는 부분에는, 샤프트28을 압통(押通) 가능하도록 한 관통구멍29b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펌프부27이 모터부26에 일체 결합된 형태에 있어서, 모터부26측에서 연장된 샤프트28이 상측 펌프하우징 29의 관통구멍 29b를 압통하여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수용공간34안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이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수용공간34안에 있어서, 샤프트28의 선단(하단)에는 임펠라부재35가 설치된다.
임펠라부재35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원반형태를 한 원반부36과, 해당 원반부36의 중앙부근에 형성된 허브부37과, 해당 허브부37의 외주면 37a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 및 몇 장(본 실시 형태에서는 10장)의 판형태를 한 임펠라부38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허브부37의 대략 중앙에 상측 펌프하우징 29의 관통구멍29b와 동축(同軸) 배치되어있는 관통구멍37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라부재35는, 이 관통공29b에 샤프트28이 감합(嵌合)된 것으로, 샤프트28에 대응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부재35는 모터M의 회전구동을 바탕으로 샤프트28이 회전할 경우에는 해당 샤프트28과 같이 축선S를 중심으로 정역 양방향(도3에 나타난 A방향, B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각 임펠라부38은 축선S측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A방향(정방향)을 회전방향 전방측(前方側)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 다음에 이어지는 회전방향 후방(B방향)측에 경사진 임펠라형상(소위, 후퇴익(翼)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측 펌프하우징29에는 관통구멍29b를 중심으로 한 부위를 아랫방향으로 움푹 판 보스39가 형성되어있고, 해당 보스39의 이면측(즉 상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진 凹(오목)부 39a안에는 몇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링 형태를 한 오일씰40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29를 압통하는 샤프트28의 외주면이 각 오일씰40에 의해 봉인되도록 되어져 있다.
또한, 상측 펌프하우징29의 하측면에는, 흡수관로24와 상류단측이 연통하는 흡입통로4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흡입통로41은 도4 표시와 같이, 세정수의 유동방향 상류측(도4는 좌측)에서 보스 39의 형성부위를 향해 직선으로 연장된 직선통로부 41a와, 보스39를 둘러싼 원호모양의 원호통로부41b로 구성되어있다.
원호통로부41b는 그 하류단이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으로 있는 정역 양방향 가운데 A방향(도4에서는 시계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직선통로부41a와 원호통로부 41b와의 연통부위와, 원호통로부41b의 하류단 사이에는 원호통로부41b 내를 유동 방향 하류단까지 유동한 세정수가, 직선통로부41a와 원호통로부41b와의 연통부위에 한번 더 유입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분리벽부41c가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발생한 흡입력에 따라 흡입통로41안을 직선통로부41a측에서 원호통로부41b로 유동한 세정수는, 링플레이트30의 내주연 30a와 보스39의 외주면39b와의 사이에 있는 링형태를 한 간극을 거쳐 수용공간 34내로 흡입되도록 되어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플레이트30의 내주연 30a와 보스 39의 외주연 39b의 사이에 있는 링형태의 간극에 의해 흡입구 42a가 구성되어있다.
이 흡입구 42a는 흡입통로41의 하류단에 설치되어있고, 원호통로부41b안을 유동한 세정수는, 축선S와 직교하는 임펠라부재35의 회전평면43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해당 흡입구 42a를 거쳐 수용공간34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구 42a와 흡입통로41에 의해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펌프P 외부에서 수용공간 34내로 세정수(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42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흡입통로41(원호통로부41b)의 하류단측에 원호통로부 41b를 형성하는 통로내면(상세하게는 수용공간34와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통로내면으로 도5 및 도6에서는 상면)은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34안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 41d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로 인해 흡입통로 41(원호통로부 41b)안을 경사면 41d에 따라 하류방향으로 유동한 세정수는, 임펠라부재35의 정역 양방향 회전 가운데 A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있어서, 해당 회전방향의 후방(B방향)측에서 전방(A방향)측을 향해 아래로 휘어 경사진 방향으로 수용공간 34내로 흡입시킨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통로부41b의 경사면 41d가 흡입통로41내를 유동하는 세정수(유체)를 임펠라부재35의 회전평면43에 대응한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해 아래로 휘어진 경사방향으로부터 흡입구42a를 거치고 수용공간 34안으로 흡입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수용공간 34내부까지 연결된 샤프트28과 상측 펌프하우징29의 관통구멍29b와의 사이에는, 샤프트 28 및 임펠라부재 35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약간의 간극(클리어랜스)가 존재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대로 샤프트28에 의해 모터M과 수용공간34와의 사이의 축방향위치에는 보스39의 凹(오목)부39a 내에 끼워진 각 오일씰40이 감합상태로 조립되어있다. 그로인해 이 오일씰40의 봉인기능에 의해 수용공간 34측에서 샤프트 28의 외주면을 통해 모터M측으로 세정수가 세는 일이 억제된다.
이 점에서 보스39 및 각 오일씰40은 수용공간34내의 세정수가 샤프트28에 따라 모터M안으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하는 축봉부44로서 기능한다.
상기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주벽부31a(구체적으로는 수용공간34를 둘러싼 외벽부분에서 경방향 외측에 돌출되도록 튀어나온 주벽부분)에는 제1토출구45a가 형성되어있고, 상측 펌프하우징29에는 세정관로19에 대응한 연결부45b가 위를 향해 돌출형성되어있다.
이 제1토출구45a와 연결부45b는 하측 펌프하우징31 및 상측 펌프하우징29를 건너 형성된 도에는 나오지 않은 통로를 거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토출구45a 및 연결부45b에 의해 임펠라부재35의 A방향으로의 회전을 바탕으로 수용공간 34안의 세정수를 펌프P의 외부(세정실 12내부)로 토출하기 위한 제1토출구45가 구성되어있다.
또한,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주벽부 31a에 있어서, 제1토출구 45a에서 보는 주방향으로부터 소정각도로 벌어진 위치(도3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약45도가량 이간된 위치)에는 제2토출구 46a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배수관로25에 대응해 연결부46b가 샤프트 28의 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2토출구46a 및 연결부46b에 의해 임펠라부재35의 B방향으로의 회전을 바탕으로 수용공간 34내의 세정수를 펌프P의 외부(식기세척기 10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제2토출부46이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제2토출구46a는 그 통로 단면적이 제1토출구45a의 통로 단면적보다도 작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모터M은 임펠라부재35의 정역 양방향(A방향 및 B방향)으로의 회전 중 A방향으로의 회전이 B방향으로의 회전보다도 빠르도록 설정되어있다.
이로인해 임펠라부재35를 A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 의하면 제1토출구45a에서 세정실 12안으로 단위시간당 세정수의 토출량이 임펠라부재 35를 B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 의한 제2토출구 46a에서 식기세척기 10 외부로 나가는 단위시간당 세정수의 토출량보다 많도록 되어있다.
또한, 하측 펌프하우징31안에 있어서, 주벽부31a의 내주면과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와의 사이에는, 수용공간34안에서 세정수를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유체통로47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수용공간 34내의 세정수는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는 유체통로47안을 A방향으로 회전하고, 임펠라부재 35가 B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유체통로47안을 B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 35a는 임펠라부재35의 구성요소인 원반부36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임펠라부재35의 구성요소로 있는 임펠라부38의 선단의 회전궤적을 나타낸다.
또한,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주벽부31a 중에 주방향에 있어서 제1토출구45a와 제2토출구46a의 사이가 되는 부분은, 그 내면(즉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 35a와의 대향면)48a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 35a에 근접하도록 주벽부31a의 벽두께가 내주측으로 두껍게 형성된 유도규제부48로 되어있다.
즉 이 부분은 유체통로47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클리어랜스47a가 형성되어있고, 해당 클리어랜스47a는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만을 위한 약간의 통로 단면적 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유체통로47을 따라 제1토출구45쪽으로 도수(유도)되어진 세정수의 대부분은, 유도규제부48에 의해 제2토출구46a측으로 다시 도수되는 것이 규제되어진다.
한편, 임펠라부재35가 B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유체통로47을 따라 제2토출구46a측으로 도수(유도)되어진 세정수의 대부분은, 동일한 형태의 유도규제부48에 의해 제1토출구45a측으로 다시 도수되는 일이 규제되어진다.
상기 유도규제부48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통로47과 제1토출구45a와의 사이에 있어서 주벽부31a을 향해 연장 및 제1돌출부49가 돌출설계되어있다.
이 제1돌벽부49는 그 내면(즉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 35a와의 대향면)49a가 유도규제부48의 둥근면형태를 한 내면 48a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로 인해 클리어랜스 47a의 통로폭은 제1돌벽부49의 형성부분에서도 변경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유체통로47과 제1토출구 45a와의 사이(즉, 제1토출구45a의 직전)에 있어 제1돌벽부49의 선단 49b에는 제1토출구45a의 통로 단면적 보다 작은 통로단면적을 가진 제1 협소영역(도 3 및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영역)50가 형성되어있다.
제1돌벽부49는 제1협소영역50에서 제1토출구45a까지의 통로단면적이 두번째로 크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제1돌벽부49에 의한 주방향의 선단 49b와 축선S를 연결한 직선S1을 A방향(도 7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 회전 시켰을 경우, 직선S1의 연장방향은 제1토출구45A에 의한 주방향의 양단부 중 유도규제부48에서 먼 쪽의 단부와 축선S를 연결한 직선 S2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도록 되어있다.
즉, 제1돌벽부49는 해당 제1돌벽부49가 대응하는 제1토출구45a를 임펠라부재35의 축선(소정축선)S에서 봤을 경우에, 해당 제1토출구45a를 보고 판단할 수 없는 상태로(즉, 볼 수 없도록)했으며, 그 선단 49b가 주방향으로 돌출형성 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유도규제부48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통로47과 제2토출구46a의 사이에 있어서 주벽부31a를 향해 연장된 제2돌벽부51이 돌출 설치되어있다.
제2돌벽부51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를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그 내면(즉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 35a와의 대향면)51a가 유도규제부48의 원호면상을 한 내면 48a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로 인해 클리어랜스47a의 통로폭은 제2돌벽부51의 형성부분에 있어서도 변경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유체통로47과 제2토출구46와의 사이(즉 제2토출구46a의 직전)로 있는 제2돌벽부51의 선단 51b측에는 해당 제2토출구46a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2협소영역(도 3 및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영역)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협소영역52는 그 통로 단면적이 제1협소영역50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제2돌벽부51에 의하면 주방향의 선단51b와 축선S를 연결한 축선S3을 B방향(도7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 회전시켰을 경우, 직선S3의 연장방향은 제2토출구46a에서 주방향의 양단부 중 유도규제부48에서 먼 쪽의 단부와 축선S를 연결한 직선S4의 연장방향과 일치하도록 되어있다.
즉, 제2돌벽부51도 또한 해당 제2돌벽부51이 대응하는 제2토출구46a를 임펠라부재35의 축선(소정축선)S에서 봤을 경우, 해당 제2토출구46a를 볼 수 없도록 그 선단 51가 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용으로 구성되어진 본 실시 형태의 식기세척기10에서의 펌프P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모터M의 회전구동을 바탕으로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흡입부42내에 유입되어진 세정수는 흡입통로41을 유동한다.
그러면 흡입부42는 흡입통로41의 직선통로부41a에서 원호통로부41b로 세정수를 통로내면을 따라 세정수를 유동시킨다.
그리고 원호통로부41b내에 의하면 해당 원호통로부41b의 통로 내면을 따라 세정수를 임펠라부재35의 축선S를 중심으로 두고 나선형상으로 유동한다.
또한 원호통로부41b내를 유동방향 하류단측까지 유동한 세정수를 경사면41d을 따라 수용공간34내로 흡입된다.
즉,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해 아래로 휘어 경사진 방향에서 흡입구42a을 거쳐 세정수를 수용공간내 34안으로 흡입시킨다.
그로인해 임펠라부재35는 A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흡입구42a를 거쳐 수용공간34내로 흡입되어진 세정수의 힘을 이용해, 해당 세정수를 유체통로47 내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임펠라부재35는 A방향으로 회전구동한 것으로 수용공간34내로 흡입되어진 세정수에 원심력을 일으킨 것에 의해, 해당 세정수를 임펠라부재35의 회전 중심으로 있는 축선S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그러면 축선S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유동한 세정수의 대부분은 유체통로47안으로 유도되어 해당 유체통로47안을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인 A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여기서, 임펠라부재35의 A방향으로의 회전구동에 있어, 축선S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유동한 세정수의 일부가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주벽부31a에 형성되어있던 제2토출구46a로 직접유입되는 것도 고려되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S에서 볼 때 제2토출구46a가 보이지 않도록 제2돌벽부51이 유도규제부48에서 주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축선S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유동한 세정수가 제2토출구46a에 직접흡입되는 일 없이, 유체통로47내로 A방향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임펠라부재35의 A방향으로의 회전을 기본으로 유체통로47내를 A방향 으로 유동하여 제1토출구45a 근방까지 유도되어진 세정수는, 그 대부분이 유도규제부48에 의해 제2토출구46a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유도규제부48에 의해 제2토출구46a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규제당한 세정수는 제1토출구45a(제1토출부45) 및 세정관로19를 거쳐 세정실 12안으로 토출(분사공급)되어진다.
한편, 제1토출구45a근방까지 유도되어진 세정수 가운데 일부 세정수는, 유도규제부48의 내면 48a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와의 사이에 있는 좁다란 클리어랜스47a안을 A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토출구46a측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클리어랜스47a안을 통과하는 것을 마친 세정수는 해당 클리어랜스47a이 통로 단면적보다도 큰 통로 단면적을 가진 유체통로47안을 향하여 힘차게 유출되어진다. 그러면 제2돌벽부51의 선단51b근방에 형성되어진 제2협소영역52에 있어서는, 클리어랜스47a안에서 세정수가 힘차게 유출된 것을 바탕으로 이 분위기압력이 제2토출구46a의 분위기압력보다 저압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용공간34안의 세정수 일부가 제2토출구46a에 있다하더라도 그 세정수는 분위기압력이 제2토출구46a보다 저압인 제2협소영역52까지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제2협소영역52까지 되돌아온 세정수는 클리어랜스47a안에서 유체통로47측을 향해 힘차게 방출되어진 세정수와 함께 유체통로47안으로 유도되어 다시한번 유체통로47안을 A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임펠라부재35가 B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모터M의 회전구동을 바탕으로 임펠라부재35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흡 입부42안으로 유입된 세정수는 흡입통로41안을 유동한 후, 흡입구42a을 거쳐 수용공간34안으로 흡입되어진다.
그리고 수용공간34내에 흡입되어진 세정수는 임펠라부재35의 B방향으로의 회전을 바탕으로 유체통로47안을 B방향으로 유동하고, 제2토출구46a근방까지 유도되어진다. 이 때 유도규제부48은 제2토출구46a까지 유도되어진 세정수의 대부분이 유도규제부48의 내면48a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의 사이에 형성되어진 클리어랜스47a 안을 또 다시 B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유도규제부48에 의해 제1토출구45a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규제당한 세정수는 제2토출구46a(제2토출부46) 및 배수관로25을 거쳐 식기세척기10의 밖으로 토출(배수)되어진다.
한편, 제2토출구46a근방까지 유도된 세정수 중 일부 세정수는, 유도규제부48에 의해 다시 유동이 규제되지 않고, 클리어랜스 47내를 B방향으로 유동하고 제1토출구 45a측으로 유도되어진다.
그리고 클리어랜스47a안의 통과를 마친 때에는, 해당 클리어랜스47a의 통로 단면적보다 큰 통로 단면적을 가진 유체통로47내를 향해 세정수가 힘차게 유출되어진다. 그러면, 제1돌벽부49의 선단49b 근방에 형성되어진 제1협소영역50에서는 클리어랜스47a안에서 세정수가 힘차게 유출되어진 것을 바탕으로, 그 분위기압력이 제1토출구45a의 분위기압력보다 저압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용공간34내의 세정수 중 일부가 제1토출구45a에 있다해도 그 세정수는 분위기압력이 제1토출구45a보다 저압인 제1협소영역50까지 되돌아 오게 된다.
그리고 제1협소영역50까지 되돌아온 세정수는 클리어랜스47a안에서 유체통로47측을 향해 힘차게 방출된 세정수와 함께 유체통로47내로 유도되어 다시한번 유체통로내를 B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임펠라부재35는 B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A방향으로의 회전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되어있다.
또한 제1협소영역50은 통로 단면적이 제2협소영역52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그로 인해 임펠라부재35가 B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따른 제1협소영역50과 제1토출구45a의 압력차이는,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의 제2협소영역52와 제2토출구46a의 압력차보다 작다.
따라서 임펠라부재35가 B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제1토출구45a에 있는 세정수의 일부는 제1협소영역50측으로 되돌아오는 일 없이, 세정관로19측에 유도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정관로19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있기 때문에 (도1참조) 제1토출구45a에서 누수된 세정수가 세정관로19를 거쳐 세정실12측으로 토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기에 나오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1) 제2토출구46a와 유체통로47의 사이에는 제2토출구46a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2협소영역52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임펠라부재35가 축선S를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협소영 역52는 그 분위기압력이 제2토출구46a의 분위기 압력보다 저압이 된다.
그로인해 임펠라부재35가 A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수용공간34내의 세정수(유체)가 제2토출구46a에 있다하더라도, 그 세정수는 제2협소영역52에 확실히 되돌아 간다. 따라서 두 개가 있는 토출구45a, 46a 중에 제1토출구(한 쪽의 토출구) 45a에서 세정수를 토출시킨 방향(A방향)으로 임펠라부재35가 회전했을 경우에는, 제2토출구(다른 쪽의 토출구) 46a에서 세정수가 펌프P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확실히 규제한다.
(2) 가령 각 돌벽부49, 51이 하측 펌프하우징31의 주벽부31a에서 유도규제부48을 향해 돌출설계되어있다고 하자. 그러면 임펠라부재35의 A방향(또는 B방향)으로의 회전을 바탕으로 유체통로47 내를 A방향(또는 B방향)으로 유동하여 토출구45a, 46a근방까지 유도된 세정수(유체)는 돌벽부49, 51이 해당 세정수에 대응해 장해물로서 기능하고 말아 펌프P밖으로 신속한 토출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각 돌벽부49, 51은 유도규제부48에서 주벽부31a를 향해 각기 돌출설계되어,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토출구45a, 46a근방까지 유도된 세정수의 펌프P 외부로 신속한 토출을 방해하는 것은 없다.
(3) 각 돌벽부49, 51은 임펠라부재35의 축선(소정축선)S에서 봤을 때, 각 토출구45a, 46a가 보이지 않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로 인해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축선(소정축선)S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유동한 세정수(유체)가 유체통로47안을 유동하는 일 없이 각 토출구45a, 46a에 직접 유입되고 마는 일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4) 가령 유도규제부48의 내면 48a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의 사이 간극보다 각 돌벽부49, 51의 내면 49a, 51a와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의 사이 간극 쪽이 넓도록 각 돌벽부 49, 51을 형성했다고 치자.
그러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유체통로47내를 토출구45a, 46a측까지 유도된 세정수(유체) 중 클리어랜스47a측으로 유도된 세정수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돌벽부49, 51의 내면 49a, 51a가 유도규제부48의 원호면상을 한 내면48a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임펠라부재35의 회전을 바탕으로 유체통로47 안을 유동한 세정수가 클리어랜스47a측으로 유도된 것을 극력 피하는 것이 가능, 효율적으로 수용공간34안의 세정수를 펌프P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5) 임펠라부재 35는 A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흡입부42 내의 경사면(가이드수단)41d에 가이드되어진 수용공간34내로 흡입되어진 세정수(유체)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처럼 임펠라부재35의 회전중심인 축선(소정축선)S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세정수를 흡입한 경우와 비교하면, 임펠라부재35가 가지는 부담을 저감시키고 흡입한 세정수를 유체통로47 내에서 A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임펠라부재35의 회전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흡입구42a를 통하여 세정수를 수용공간34 내에 흡입시키고, 또는 흡입된 세정수를 각 토출구42a, 46a에서 효율적으로 펌프P 외부로 토출하는것이 가능하다.
(6) 흡입부42내의 세정수(유체)을 수용공간34내에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수단(경사면41d)를 흡입부42 내에 형성되어진 흡입통로41(원호통로부41b)의 하류단에서의 통로내면을 수용공간34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가능하다.
(7) 흡입통로41 중, 원로통로부41b는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 중 A방향에 대응하도록, 임펠라부재35의 축선S를 둘러 싸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로 인해 흡입부42 내의 세정수(유체)는 임펠라부재35의 회전방향(A방향)에 따르도록 수용공간34 안에 흡입되어진다.
따라서 임펠라부재35는 그 회전방향을 따르도록 흡입구42a을 거쳐 수용공간34 내로 흡입되어진 세정수(유체)보다 효율적으로 펌프P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하기와 같이 별도의 실시형태(별도예시)로 변경해도 된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돌벽부49는 그 선단49b와 임펠라부재35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선S와 연결된 직선S1의 연장방향이 직선S2의 연장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괜찮다.
동일하게 제2돌벽부51은 그 선단51b와 축선S을 연결하는 직선S3의 연장 방향이 직선S4의 연장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괜찮다.
별도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돌벽부51은 도 8에서 보듯이 그 내면51a가 유도규제부48의 내면48a보다도 임펠라부재35의 경방향 외측이 되도록 돌출 설계 되어도 괜찮다. 동일하게 제1돌벽부49도 또한 그 내면 49a가 유도규제부48의 내면48a보다 임펠라부재35의 경방향 외측이 되도록 돌출 설계 되어도 괜찮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돌벽부49, 51은 유체통로47과 토출구45a, 46a와의 사이에 협소영역 50, 5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면, 임펠라부재35의 외주연35a를 따라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돌벽부51은 도 9에서 보듯이 주벽부31a에서 유도규제부48측을 향해 돌출설계되어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제1돌벽부49도 주벽부31a에서 유도규제부48측을 향해 돌출 설계되어도 된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입부42는 도10에 보듯이, 그 흡입구42a가 모터M의 샤프트28을 경방향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링플레이트30에 흡입구42a와 샤프트28이 압통하는 압통공60을 각기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입부42는 도 11에서 보듯이, 샤프트28의 축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 수용공간34에 설치된 축방향위치와 동일한 축방향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수용공간34 내에는 임펠라부재35의 측방에서(즉,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세정수가 흡입되게 된다.
별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입통로는 도 12에서 보듯이 흡수관로24에 연결된 흡입용배관61이여도 된다.
이 흡입용배관61은 보스39(및 축선S)을 둘러싸도록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흡입구)61a에서 세정수가 수용공간34 내로 흡입되게 된다.
이런 구성을 했을 경우, 흡입용배관61이 흡입부로서 기능하고, 해당 흡입용배관61의 나선형태를 한 통로내면이 가이드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하우징에 설치된 한 쪽의 토출구와 다른 쪽의 토출구 중 한 쪽의 토출구에서 유체를 토출시키는 방향으로 펌프하우징내에서 임펠라부재가 회전한 경우에 다른 쪽 토출구에서 상기 유체가 펌프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Claims (4)
- 펌프하우징내의 수용공간에 소정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임펠라부재가 수용되고, 펌프하우징에는 임펠라부재의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펌프하우징 밖에서 수용 공간 안으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수용공간내로 흡입한 유체를 상기 임펠라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체통로와, 상기 임펠라부재가 정역 양방향 중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유체통로 안에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제1토출구와,상기 임펠라부재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유체통로내에서 상기 펌프하우징 밖으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제2토출구와, 유체가 상기 임펠라부재의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유체통로내를 정역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도되었을 경우에, 상기 유체가 각 토출구 중 어느 한쪽의 토출구 근방을 통과하여 다른쪽 토출구측까지 유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유도규제부가 설치되고,상기 유도규제부와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의 사이에는, 상기 유체통로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클리어랜스가 형성되어있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1토출구의 통로 단면적이 상기 제2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와의 사이에는 해당 제1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1협소영역을 형성하는 제1돌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와의 사이 에는, 해당 제2토출구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고 또한 제1협소영역의 통로 단면적보다도 작은 통로 단면적을 가진 제2협소영역을 형성하는 제2돌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벽부 중 작은 제2돌벽부는, 상기 유도규제부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의 주벽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2항에 있어서, 각 돌벽부 중 작은 제2돌벽부는,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각 돌벽부중 작은 제2돌벽부는, 해당 돌벽부에서 상기 임펠라부재의 외주연과의 대향면이, 상기 유도규제부의 원호면상을 한 대향면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74364 | 2004-12-24 | ||
JP2004374364A JP2006177329A (ja) | 2004-12-24 | 2004-12-24 | ポンプ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464A KR20060073464A (ko) | 2006-06-28 |
KR100719742B1 true KR100719742B1 (ko) | 2007-05-17 |
Family
ID=3673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6396A KR100719742B1 (ko) | 2004-12-24 | 2005-12-20 | 펌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6177329A (ko) |
KR (1) | KR1007197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83820B2 (ja) * | 2014-09-12 | 2018-02-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ポンプ装置 |
KR101688981B1 (ko) * | 2014-12-11 | 2016-12-23 | 한국기계연구원 | 임펠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관 세정 시스템 |
EP4008907B1 (en) | 2019-09-03 | 2024-06-12 |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 Heating pump and cleaning device with same |
CN112443487A (zh) * | 2019-09-03 | 2021-03-05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一种具有加热装置的泵及一种清洁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9269B1 (ko) * | 1995-06-23 | 1998-04-08 | 구자홍 | 웨스코형 펌프의 유로구조 |
KR200147552Y1 (ko) * | 1997-04-07 | 1999-06-15 | 전주범 | 양방향펌프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55171A (ja) * | 1974-11-11 | 1976-05-14 | Hitachi Ltd | Shotsukiaraikyohonpu |
JP3338297B2 (ja) * | 1996-08-01 | 2002-10-28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食器洗い機用ポンプ |
JP3124994B2 (ja) * | 1996-08-01 | 2001-01-15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食器洗い機用ポンプ |
JP3757348B2 (ja) * | 1998-07-30 | 2006-03-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食器洗浄機用ポンプ |
-
2004
- 2004-12-24 JP JP2004374364A patent/JP2006177329A/ja active Pending
-
2005
- 2005-12-20 KR KR1020050126396A patent/KR1007197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9269B1 (ko) * | 1995-06-23 | 1998-04-08 | 구자홍 | 웨스코형 펌프의 유로구조 |
KR200147552Y1 (ko) * | 1997-04-07 | 1999-06-15 | 전주범 | 양방향펌프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464A (ko) | 2006-06-28 |
JP2006177329A (ja) | 2006-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9747B1 (ko) | 펌프 | |
KR100719742B1 (ko) | 펌프 | |
KR101507803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0709825B1 (ko) | 펌프 | |
KR20110099967A (ko) | 세탁기와 그 배수펌프 | |
KR20060115480A (ko) |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 |
KR100232275B1 (ko) | 펌프 장치 | |
US20100147337A1 (en) | Dish washing machine | |
JP5167061B2 (ja) | ポンプ | |
JP2003148396A (ja) | 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を用いた食器洗い機 | |
KR100234095B1 (ko) | 식기세척기 | |
KR100457595B1 (ko) |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 |
KR100480090B1 (ko) | 급/배수 일체형 펌프 | |
KR101758162B1 (ko) |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 |
JP5353507B2 (ja) | ポンプ | |
US20240000288A1 (en) | Dishwasher | |
JPH0914175A (ja) | 水中ポンプ | |
KR100267917B1 (ko) | 식기세척기 | |
KR20040063272A (ko) |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 |
JP2009085226A (ja) | ポンプ | |
JP2005307823A (ja) | 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食器洗い機 | |
JP2003286999A (ja) | ポンプ | |
JP3305586B2 (ja) | 食器洗い機用ポンプ | |
JP3743859B2 (ja) | 液体用モータ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食器洗浄機 | |
KR101052965B1 (ko) |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