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663B1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663B1
KR100709663B1 KR20060054254A KR20060054254A KR100709663B1 KR 100709663 B1 KR100709663 B1 KR 100709663B1 KR 20060054254 A KR20060054254 A KR 20060054254A KR 20060054254 A KR20060054254 A KR 20060054254A KR 100709663 B1 KR100709663 B1 KR 10070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lass
band
terminals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5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세끼
고지 다께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각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지 않고, 멀티 셀 환경 하에서도 스루풋을 향상시킨다. 클래스 분류 수단(1a)은, 셀 내의 단말기(2a∼2e)를 클래스 분류한다. 채널 정보 수신 수단(1b)은, 단말기(2a∼2e)로부터 복수의 주파수 대역마다에서의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스케줄링 수단(1c)은,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채널 정보 수신 수단(1b)에 의해서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간다.
주파수 대역, 단말기, 클래스 분류, 채널 정보, 우선도, 스케줄링, 패킷, SINR

Description

통신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통신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통신 장치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패킷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셀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스케줄 TB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통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통신 장치의 스케줄링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8은 송신 전력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통신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스케줄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주파수 리유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소프트 리유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직렬형 스케줄링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 장치
1a : 클래스 분류 수단
1b : 채널 정보 수신 수단
1c : 스케줄링 수단
2a∼2e : 단말기
[비특허 문헌1] 2005년 전자 정보 통신 학회 통신 소사이어티 대회, B-5-99, 시라카베 외, 'CDMA 시스템에서의 직렬형 스케줄링의 특성 평가'
[특허 문헌1] 일본 특개성11-355838호 공보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에 할당하여 통신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기를 향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회선 교환에서는, 셀간의 이동이나 동적인 주파수 할당을 생각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채널(주파수 분할 접속 방식의 경우)이나 코드(부호 분할 접속 방식의 경우)를 단말기에 할당하고, 그 단말기의 통신 종료 시까지 그 통신회선을 유지한다. 패킷 전송에서는, 패킷마다 단말기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패킷에 효율적으로 단말기를 할당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이 단말기 선정 기능을 스케줄러라고 부른다.
스케줄러에서는, 각 단말기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패 킷의 단말기의 할당을 결정한다. 이 때, 각 단말기의 요구 품질이나 요구 전송 레이트, 지금까지의 데이터 수신량(혹은 통신 시간) 등이 고려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적응 변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채널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 페이딩 상태)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어, 스케줄러와 병용된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에서는, 스케줄러의 기능은 보다 복잡해진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과, 1개의 광대역을 몇 개의 부대역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통신이 있다.
도 9는, 통신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A)에서는, 복수의 떨어진 주파수 대역을 통신에 사용한다. 도면의 (B)에서는, 1개의 대역을 3개의 부대역으로 분할하여, 통신에 사용한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방식의 경우, 이들 대역은, 복수의 OFDM 서브 캐리어를 통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반드시 인접하는 서브 캐리어를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떨어진 서브 캐리어를 조합하여, 1개의 대역으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케줄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스케줄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A)에는, 기지국(101)과 단말기 A∼C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1)이 관할하는 셀 내에, 단말기 A∼C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의 (B)에는, 단말기 A∼C의 패킷의 할당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101)은, 스케줄러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마다 단말기 A∼C를 할당하 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101)은, 패킷에 의해, 단말기 A∼C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파일럿 신호 등의 단말기간 공통의 신호를 통지한다. 단말기 A∼C에서는, 자신용의 패킷이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패킷 내의 신호를 복조한다.
단말기 A∼C는, 패킷이 송신되지 않는 경우라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측정하고, 상향 회선을 통해서 기지국(101)에 통지한다. 기지국(101)의 스케줄러는, 단말기 A∼C로부터의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패킷에 할당할 단말기 A∼C를 결정한다.
스케줄러에 있어서, 패킷에 단말기 A∼C를 할당하는 알고리즘은 몇 가지 제안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것으로서는 RR(Round Robin), PF(Proportional Fairness), Max CIR(Maximum Carrier to Interface power Ratio)이 있다. RR에서는, 통지되는 채널 정보와 무관하게, 단말기가 순차로 패킷에 할당된다. 단말기 A∼C간에서는, 공평한 할당이 행하여지지만, 채널 정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스루풋은 저하된다. PF에서는, 각 단말기 A∼C의 평균 SINR(Signal to interface and Noise Ratio)과 순간 SINR치와의 차분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단말기 A∼C간에서의 전파 감쇠의 차가 경감되어, 비교적 높은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단말기 A∼C간의 공평성도 얻어진다. Max CIR은, 채널 정보가 가장 높은 단말기 A∼C에 할당한다. 현 전파로의 SINR의 가장 높은 단말기 A∼C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스루풋이 얻어진다. 한편, 기지국(101)으로부터 떨어진 단말기 B에서는, 전파 감쇠에 의해 SINR이 낮아, 패킷 할당될 확률이 매우 작아져, 단말기 A∼C간에서의 불공평함이 발생한다. 어느 알고리즘을 선택할지는, 시스템으로서 어느 평가량을 우선할지에 의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간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인접하는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통신 품질이 열화된다. 전술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도 11은, 주파수 리유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주파수 리유즈를 3으로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인접하는 셀(111∼113)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3셀 반복이라고도 불린다. 동일한 주파수 대역은, 인접하는 셀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1개 떨어진 셀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셀로부터의 간섭은 적어진다. 한편, 1셀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수가 1/3으로 되기 때문에, 분할 손실에 의해 유저 할당 효율이 열화된다. 또한, 실제의 환경에서는, 규칙적인 셀 배치가 곤란하기 때문에, 리유즈 효율은 열화되는 것이 생각된다.
도 12는, 소프트 리유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121∼123)은, 내측 영역(도면에서의 원 내)과 외측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셀(121∼123)의 외측 영역의 대역은,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각각, f1, f2, f3으로 되어 있다. 셀(121∼123)의 내측 영역의 대역은, 외측 영역의 대역과 다른 주파수가 선택되어 있다.
셀(121∼123)의 내측 영역에서는, 인접 셀 간섭이 적고, 또한, 수신 신호 전력도 높다. 따라서, 인접 셀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 송신 전력도 내릴 수 있다. 셀(121∼123)의 외측 영역에서는, 반대로 간섭이 커, 수신 신호 전력은 약해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 셀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여기서, 내측 영역에서 사용하는 2 대역의 송신 전력을, 외측 영역에서의 대역의 송신 전력과 동등하게 하면, 모든 셀(121∼123)이 동일한 대역을 재이용하는 주파수 리유즈 1의 시스템에 상당한다. 반대로, 중심부에서 사용하는 2 대역의 송신 전력을 0(송신하지 않음)으로 하면, 주파수 리유즈 3의 시스템과 동등해진다. 송신 전력의 조정에 의해, 등가적으로 리유즈 계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프트 리유즈로 된다. 단, 셀 배치는 규칙적으로 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셀간에서 단말기 분포도 서로 다르고, 시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적으로 최적의 소프트 리유즈 계수로 설정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으로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각 단말기가 통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1개로 한정하고, 스케줄러를 주파수 대역마다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기 A∼C가 사용하는 대역을 f1, 단말기 D∼F가 사용하는 대역을 f2, 단말기 G∼I가 사용하는 대역을 f3으로 고정한다. 이 대역의 할당은, 통신 개시 시에 설정한다. 대역 f1의 스케줄러는, 단말기 A∼C의 채널 정보에 의해, 대역 f1의 다음 패킷에서 신호 송신할 단말기 A∼C를 결정하고, 대역 f2의 스케줄러는, 단말기 D∼F의 채널 정보에 의해, 대역 f2의 다음 패킷에서 신호 송신할 단말기 D∼F를 결정하고, 대역 f3의 스케줄 러는, 단말기 G∼I의 채널 정보에 의해, 대역 f3의 다음 패킷에서 신호 송신할 단말기 G∼I를 결정한다.
이 방법에서는, 각 단말기는, 통신 개시 시에 설정된 1개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 SINR을 측정하고, 그 정보만을 기지국에 피드백하기 때문에, 채널 정보량은 적다. 한편, 주파수 대역당의 단말기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이 열화된다.
이에 대하여,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스케줄링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1 참조).
도 13은, 직렬형 스케줄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비특허 문헌1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줄러(131∼133)를 직렬 접속한다. 스케줄러(131)는, 대역 f1의 스케줄링을 행하여, 셀 내의 모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다. 셀 내의 스케줄링 대상의 단말기 수를 N이라고 하면, N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행하여, 대역 f1의 다음 패킷에서 송신할 1개의 단말기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스케줄러(132)는, 남은 N-1의 단말기를 대상으로 대역 f2에서 송신할 단말기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스케줄러(133)는, 남은 N-2의 단말기를 대상으로 대역 f3에서 송신할 단말기를 결정한다. 각 단말기는, 전체 주파수 대역분의 채널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할 필요가 있지만, 스케줄러에서의 주파수 대역의 분할 손실이 없어,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31∼133)마다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 단말국의 송신 신호의 인접 채널 누설 전력 규격을 엄격하게 하 지 않고, 다른 오퍼레이터에 속하는 기지국에의 방해를 저감시켜, 단말국 송신부의 소비 전력이나 장치 사이즈를 저감하는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할당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그러나, 전술한 주파수 리유즈나 소프트 리유즈에서는, 인접하는 셀간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미리 결정하여 놓을 필요가 있으며, 각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제한되어, 각 셀에서 실현되는 최대 스루풋이 억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특허 문헌1에서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스케줄링을 행하고 있지만, 멀티 셀 환경 하에서의,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의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지 않고, 멀티 셀 환경 하에서도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2a∼2e)에 할당하여 통신하는 통신 장치(1)에 있어서, 셀 내의 단말기(2a∼2e)를 클래스 분류하는 클래스 분류 수단(1a)과, 단말기(2a∼2e)로부터 복수의 주파수 대역마다에서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수신 수단(1b)과,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마 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가는 스케줄링 수단(1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1)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1)에 따르면, 단말기(2a∼2e)를 클래스 분류하고,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신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1)는, 클래스 분류 수단(1a), 채널 정보 수신 수단(1b), 및 스케줄링 수단(1c)을 갖고 있다. 통신 장치(1)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2a∼2e)에 할당하여 통신을 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f1∼f3으로 하여 설명한다.
클래스 분류 수단(1a)은, 셀 내의 단말기(2a∼2e)를 클래스 분류한다. 예를 들면, 클래스 분류 수단(1a)은, 셀을 통신 장치(1)로부터 가까운 영역과 먼 영역의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어느 쪽의 영역에 속하는지에 따라서, 단말기(2a∼2e)를 클래스 분류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말기(2a, 2b)는, 클래스 C1(통신 장치(1)에 가까운 영역)에 속하고, 단말기(2c∼2e)는, 클래스 C2(통신 장치(1)에 먼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채널 정보 수신 수단(1b)은, 단말기(2a∼2e)로부터 복수의 주파수 대역 f1∼f3마다에서의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스케줄링 수단(1c)은,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2a∼ 2e)의 각 주파수 대역 f1∼f3에서의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 C1, C2마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간다.
클래스 C1, C2의 우선도 및 클래스 C1, C2마다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 f1∼f3의 개수는, 예를 들면, 시스템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다. 여기서, 클래스 C2는, 통신 장치(1)로부터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신 신호 전력이 약하고, 또한,인접하는 셀로부터의 간섭도 크다. 이 때문에, SINR이 낮아, 단말기(2c∼2e)에 주파수 대역 f1∼f3이 할당될 확률이 작아진다. 따라서, 클래스 C2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2로 하고, 클래스 C1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1로 하여, 클래스 C2의 스루풋을 높인다. 한편, 클래스 C1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는, 1개이기 때문에, 클래스 C1의 스루풋이 내려간다. 따라서, 클래스 C1의 우선도를 클래스 C2보다 높게 한다.
이 경우, 스케줄링 수단(1c)은, 단말기(2a∼2e)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 C1의 단말기(2a, 2b)에, 주파수 대역 f1∼f3을 1개 할당하게 된다. 채널 정보는, 예를 들면, 각 주파수 대역 f1∼f3에서의 단말기(2a∼2e)의 SINR이며, 스케줄링 수단(1c)은, SINR이 가장 높은 단말기에 주파수 대역 f1∼f3을 1개 할당한다. 여기서는, 단말기(2a)의 주파수 대역 f1의 SINR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하면, 스케줄링 수단(1c)은, 클래스 C1의 단말기(2a)에 주파수 대역 f1을 할당하게 된다.
계속해서, 스케줄링 수단(1c)은, 단말기(2a∼2e)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 C2의 단말기(2c∼2e)에, 주파수 대역 f1 ∼f3을 2개 할당하게 된다. 주파수 대역 f1은, 이미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 C1의 단말기(2a)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줄링 수단(1c)은, 주파수 대역 f2, f3을 단말기(2c∼2e)에 할당하게 된다. 채널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각 주파수 대역 f1∼f3에서의 단말기(2a∼2e)의 SINR이며, 스케줄링 수단(1c)은, SINR이 가장 높은 단말기(2c∼2e)에 주파수 대역 f2, f3을 할당한다. 여기서는, 주파수 대역 f2의 SINR은, 단말기(2c)가 가장 높고, 주파수 대역 f3의 SINR은, 단말기(2d)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하면, 스케줄링 수단(1c)은, 클래스 C2의 단말기(2c)에 주파수 대역 f2를 할당하고, 단말기(2d)에 주파수 대역 f3을 할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는, 단말기(2a∼2e)를 클래스 C1, C2로 나누고,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 C1, C2마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 f1∼f3을 할당하여 가도록 했다. 이에 의해서, 클래스 C1, C2의 우선도와 클래스 C1, C2마다 결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적당하게 결정함으로써, 각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지 않고, 멀티 셀 환경 하에서도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클래스 C1, C2의 우선도 및 클래스 C1, C2마다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 f1∼f3의 개수는 일례이며, 통신 상황이나 유저가 구축하고자 하는 사양의 시스템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기지국에 설치된 통신 장치(10) 및 단말기(21, 22, …)가 도시되어 있다. 통신 장치(10) 와 단말기(21, 22, …)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도 3은,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대역 f1∼f3을 사용하여, 패킷(31a, 31b, …), 패킷(32a, 32b, …), 패킷(33a, 33b, …)을 송수신한다.
통신 장치(10)는, 스케줄러에 따라서, 대역 f1∼f3의 각각의 패킷(31a, 31b, …), 패킷(32a, 32b, …), 패킷(33a, 33b, …)에 단말기(21, 22, …)를 할당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가로 방향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세로 방향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패킷(31a, 31b, …), 패킷(32a, 32b, …), 패킷(33a, 33b, …)에는, 파일럿 신호 P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기(21, 22, …)는, 파일럿 신호 P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측정하고, 업스트림 회선을 통해서 통신 장치(10)에 통지한다. 채널 정보는, 예를 들면, SINR치, 또는, 그것을 양자화한 값, 혹은 SINR에 상당하는 전송 레이트 정보이다. 이하에서는, 채널 정보는, SINR치로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10)는, 예를 들면, 3대 설치되며, 각각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41∼43)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셀(41∼43)은, 도면에서 원 내의 내측 영역과, 도면에서 원 밖의 외측 영역의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내측 영역에 있는 단말기를 클래스 C1, 외측 영역에 있는 단말기를 클래스 C2로 한다.
단말기의 클래스 C1, C2의 선별은, 통신 장치(10)와 단말기의 거리에 의해서 행한다. 각 단말기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평균 수신 전력으로부터, 통신 장치(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통신 장치(10)에 보고한다. 통신 장치(10)에서는, 단말기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클래스 분류한다. 또한, 단말기의 위치는, 예를 들면, GPS나 패킷의 지연 시간을 계측함으로써도 알 수 있다.
셀(41∼43)의 외측 영역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전력이 약하고, 또한, 인접하는 셀로부터의 간섭도 크다. 이 때문에, SINR이 낮아, 스케줄러에서, 외측 영역의 단말기에 패킷이 할당될 확률이 작아진다. 또한, 패킷이 송신된 경우에도, 저SINR 때문에, 전송 레이트가 낮아진다. 유저간의 공평성을 중요시하는 시스템에서는, 클래스 C2의 우선도를 높게 함으로써, 외측 영역 내의 단말기의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셀 전체의 평균 스루풋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 전력이 강하고 전송 레이트가 높은 클래스 C1의 우선도를 높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41)의 외측 영역에는, 단말기 A∼F, 내측 영역에는, 단말기 G∼K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f1∼f3으로 한다. 각 단말기 A∼K는, 3개의 대역 f1∼f3의 SINR을 측정하고, 채널 정보로서 통신 장치(10)에 통지한다.
통신 장치(10)에서는, 클래스 C1, C2마다, 수신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f1∼f3마다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1에서의 대역 f1∼f3의 각각에서, 가장 SINR이 컸던 단말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면의 화살표 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 f1에서는, 단말기 H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또한, 대역 f2에서는, 단말기 H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또한, 대역 f3에서는, 단말기 K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2에서의 대역 f1∼f3의 각각에서, 가장 SINR이 컸던 단말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면의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 f1에서는, 단말기 C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또한, 대역 f2에서는, 단말기 E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또한, 대역 f3에서는, 단말기 B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여기서, 외측 영역의 클래스 C2에 대하여, 내측 영역의 클래스 C1의 우선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또한, 외측 영역의 클래스 C2에 2개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으로 한다. 클래스 C1의 우선도를 높게 함으로써, 내측 영역에서의 스루풋을 높이고, 클래스 C2에 2개의 주파수를 할당함으로써, 외측 영역에서의 스루풋을 높여, 공평성을 유지한다.
클래스 C1의 우선도가 높기 때문에,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1 중에서, 가장 SINR이 큰 단말기를 취득한다. 즉, 도면의 화살표 A1로 나타낸 각 대역 f1∼f3의 단말기 H, H, K 중에서, 가장 큰 SINR의 단말기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대역 f1의 단말기 H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남은 대역 f2, f3은, 클래스 C2에 할당된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도면의 화살표 A2로 나타낸 대역 f2, f3의 단말기 E, B를 취득한다. 도면의 화살표 A3은, 상기에 의해서 각 대역 f1∼f3에 할당한 단말기 H, E, B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통신 장 치(10)는, 클래스 C1, C2마다, 수신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f1∼f3마다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가 스케줄링을 행할 때에 생성하는 스케줄 TB(TB :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스케줄 TB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케줄 TB(5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란 및 대역 f1∼f3의 란을 갖고 있다.
단말기의 란은, 외측 영역(클래스 C2)과 내측 영역(클래스 C1)으로 나누어진다. 단말기의 외측 영역의 란에는, 단말기 A∼F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의 내측 영역의 란에는, 단말기 G∼K가 저장되어 있다.
대역 f1∼f3의 란에는, 각 단말기 A∼K의 각 대역 f1∼f3에서의 SINR의 순위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순위와 함께 SINR의 값도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셀(41)의 통신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말기 A∼K의 거리를 취득하고, 도 5의 스케줄 TB(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의 외측 영역의 란에, 단말기 A∼F를 저장하고, 내측 영역의 란에, 단말기 G∼K를 저장한다.
통신 장치(10)는, 단말기 A∼K로부터, 각 대역 f1∼f3에서의 SINR을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0)는, 단말기 A∼K의 각 클래스 C1, C2마다에서, SINR치의 순위를 산출하고, 그 SINR과 함께, 스케줄 TB(51)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도 5의 스케줄 TB(51)의 예에서는, 클래스 C2의 대역 f1의 순위는, 단말기 C, A, B, E, D, F로 되어 있다. 클래스 C1의 대역 f1의 순위는, 단말 기 H, J, I, G, K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셀(41)의 통신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셀(42, 43)의 통신 장치(10)도 마찬가지로, 스케줄 TB(51)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의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장치(10)는, 스케줄 TB(51)를 참조하여, 어느 단말기에 어느 대역을 할당할지 스케줄링을 행한다.
통신 장치(10)는, 미리 클래스의 우선도와, 각각의 클래스에 몇 개의 대역을 할당할지가 입력되어 있다.
통신 장치(10)는, 우선도가 가장 높은 클래스에서, 미리 입력된 개수 분의 대역을, SINR이 높은 순으로 단말기에 할당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에서, 미리 입력된 개수 분의 대역을, SINR이 높은 순으로 단말기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에는, 클래스 C1이 클래스 C2보다 고우선이라고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클래스 C1에 대역이 1개, 클래스 C2에 대역이 2개 할당되도록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클래스 C1이 고우선이기 때문에, 통신 장치(10)는, 스케줄 TB(51)의 내측 영역의 란에 대응하는 대역 f1∼f3 중에서, 가장 SINR이 높은 단말기를 1개 선택하게 된다. 스케줄 TB(51)의 예의 경우, 대역 f1의 가장 SINR이 높은 단말기는 H이고, 대역 f2의 가장 SINR이 높은 단말기는 H이며, 대역 f3의 가장 SINR이 높은 단말기는 K이다. 통신 장치(10)는, 이 중에서, 가장 SINR치가 높은 단말기를 선택한다. 또한, 여기서는, 대역 f1의 단말기 H의 SINR치가 가장 커서, 단말기 H에, 대역 f1이 할당된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는, 남은 대역 f2, f3을, 클래스 C2의 단말기에 할당한다. 통신 장치(10)는, 스케줄 TB(51)를 참조하여, 대역 f2에 단말기 E를 할당하고, 대역 f3에 단말기 B를 할당한다.
이와 같이,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에, 보다 높은 SINR의 대역을 할당하기 때문에, 대역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의 기능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통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채널 정보 입력부(61), 스케줄러 유닛(62), 분배부(67), 버퍼(68), 스위치(69, 72, 75), 변조부(70, 73, 76), 및 전송부(71, 74, 77)를 갖고 있다.
채널 정보 입력부(61)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는, 채널 정보로서, SINR 및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의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스케줄러 유닛(62)은, 단말기에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한다. 스케줄러 유닛(62)은, 클래스 분배부(63), 클래스 스케줄러(64, 65), 스케줄 TB(51), 및 셀렉터부(66)를 갖고 있다.
클래스 분배부(63)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와 단말기의 거리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셀의 내측 영역의 클래스에 속해 있는지, 셀의 외측 영역의 클래스에 속해 있는지를 판단한다. 클래스 분배부(63)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 의 SINR을 클래스 스케줄러(64, 65)에 출력한다.
클래스 스케줄러(64, 65)는, 클래스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클래스 스케줄러(64)는, 셀의 내측 영역의 클래스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클래스 스케줄러(65)는, 셀의 외측 영역의 클래스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클래스 스케줄러(64, 65)는, 대역에 대응한 스케줄러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역이 f1∼f3으로 3개 존재하면, 각각의 대역 f1∼f3에 대응하는 3개의 스케줄러를 갖게 된다.
클래스 스케줄러(64, 65)는, 대역마다, 예를 들면, Max CIR이나 PF 등의 스케줄 알고리즘에 따라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리고, 클래스 스케줄러(64, 65)는, 스케줄링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케줄 TB(51)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클래스 스케줄러(64)의 3개의 스케줄러는, 도 4, 도 5에서 설명한 클래스 C1의 대역 f1∼f3을, Max CIR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행한다. 클래스 스케줄러(65)의 3개의 스케줄러는, 도 4, 도 5에서 설명한 클래스 C2의 대역 f1∼f3을, Max CIR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리고, 클래스 스케줄러(64, 65)는, 스케줄 TB(51)를 생성한다.
스케줄 TB(51)는, 스케줄링 결과를 저장하고 있다. 스케줄 TB(51)는, 도 5의 스케줄 TB(51)이며, 클래스 분류된 단말기마다에서의, 각 대역에서의 순위가 저장되어 있다.
셀렉터부(66)는, 스케줄 TB(51)에 기초하여, 스위치(69, 72, 75)를 버퍼(68)의 어느 버퍼에 접속해야 할지 지시를 한다. 또한, 변조부(70, 73, 76)의 변조 방 식을 변경한다.
분배부(67)에는, 단말기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분배부(67)는,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처 단말기에 따라서, 복수 있는 버퍼(68)의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버퍼(68)는, 복수의 버퍼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A, B, C, D, …와 각 단말기에 대응한 버퍼를 갖고 있다. 분배부(67)는, 예를 들면, 단말기 A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경우, 버퍼(68)의 단말기 A의 버퍼에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69, 72, 75)는, 셀렉터부(66)의 지시에 기초하여, 버퍼(68)와 변조부(70, 73, 76)를 접속한다.
변조부(70, 73, 76)는, 버퍼(6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부(70, 73, 76)는, 셀렉터부(66)의 지시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SINR)에 기초한 최적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송부(71, 74, 77)는, 변조부(70, 73, 7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단말기에 무선 송신한다.
또한, 스위치(69), 변조부(70), 및 전송부(71)는, 대역 f1의 데이터(패킷)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스위치(72), 변조부(73), 및 전송부(74)는, 대역 f2의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스위치(75), 변조부(76), 및 전송부(77)는, 대역 f3의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말기 A의 데이터를, 대역 f2에서 송신하는 경우, 셀렉터부(66)는, 스위치(72)에 버퍼(68)의 단말기 A의 버퍼와 접속하도록 지시를 한다. 이에 의해서, 단말기 A의 데이터는, 대역 f2의 패킷으로서, 단말기 A에 송신되게 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의 스케줄링 동작을,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단말 장치의 스케줄링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 통신 장치(10)는, 셀(41) 내의 단말기 A∼K로부터 대역 f1∼f3마다의 SINR을 수신한다.
[스텝 S2] 통신 장치(10)는, 단말기 A∼K를 클래스 분류하고, 단말기 A∼K의 SINR을 클래스 스케줄러(64, 65)에 송출한다. 또한, 단말기 A∼K의 클래스 분류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와 단말기 A∼K의 거리에 의해서 행하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 A∼F는, 클래스 C2, 단말기 G∼K는, 클래스 C1에 클래스 분류된 것으로 한다.
[스텝 S3] 통신 장치(10)의 클래스 C1의 스케줄러(도 6의 클래스 스케줄러(64))는, 예를 들면, Max CIR의 스케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대역 f1∼f3마다 스케줄링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도 5에 도시한 내측 영역의 스케줄 TB(51)가 생성된다.
[스텝 S4] 통신 장치(10)의 클래스 C2의 스케줄러(도 6의 클래스 스케줄러(65))는, 예를 들면, Max CIR의 스케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대역 f1∼f3마다 스케줄링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도 5에 도시한 외측 영역의 스케줄 TB(51)가 생성된다.
[스텝 S5]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1의 각 대역 f1∼f3에서의 단말기 선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스케줄 TB(51)에서, 대역 f1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H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1에서, 단말기 H를 선정한다. 대역 f2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H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2에서, 단말기 H를 선정한다. 대역 f3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K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3에서, 단말기 K를 선정한다.
[스텝 S6]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2의 각 대역 f1∼f3에서의 단말기 선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스케줄 TB(51)에서, 대역 f1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C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1에서, 단말기 C를 선정한다. 대역 f2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E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2에서, 단말기 E를 선정한다. 대역 f3의 SINR이 가장 큰 단말기는, 단말기 B이다. 따라서, 통신 장치(10)는, 대역 f3에서, 단말기 B를 선정한다.
[스텝 S7] 통신 장치(10)는, 선정한 대역 f1∼f3의 단말기 H, H, K 중에서, 가장 SINR이 큰 단말기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대역 f1의 단말기 H가 가장 SINR이 컸던 것으로 한다.
[스텝 S8] 통신 장치(10)는, 클래스 C2의 대역 할당에서, 클래스 C1에서 할당되지 않은 대역을, 클래스 C2의 단말기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스텝 S7에서, 클래스 C1에는, 단말기 H에 대역 f1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클래스 C2의 단말기에는, 대역 f2, f3을 할당하게 되고, 대역 f2에 단말기 E, 대역 f3에 단말기 B를 할당한다.
[스텝 S9] 통신 장치(10)는, 다음 패킷에서 송신할 단말기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는, 대역 f1의 다음 패킷에 단말기 H를 할당하고, 대역 f2의 다음 패킷에 단말기 E를 할당하고, 대역 f3의 다음 패킷에 단말기 B를 할당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셀 내의 단말기를 클래스 분류하고,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소정 수의 대역을 할당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멀티 셀 환경에서, 셀마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제한을 설정하지 않고, 단말기 할당의 공평성을 높여,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유저의 입력에 의해서, 클래스 C1, C2의 우선도를 바꿀 수 있다. 클래스 C1, C2의 우선도를 바꿈으로써, 단말기 A∼K간의 공평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저의 입력에 의해서, 클래스 C1에 2개의 대역, 클래스 C2에 1개의 대역을 할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A∼K의 셀(41) 내의 분포(예를 들면, 셀(41)의 내측 영역, 외측 영역에서의 단말기 수의 비율 등)나 외부의 셀(42, 43)로부터의 간섭량은, 셀마다 다르고, 또한, 시간에 따라서도 다르다. 각 단말기 A∼K의 데이터 수신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우선도나 주파수 대역 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41)의 내측 영역에서, 일시적으로 단말기 수가 증가하고, 각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량이 저하한 것으로 한다. 지금까지, 외측 영역에 할당하고 있던 2개의 대역 중 하나를, 내측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내측 영역의 단말기의 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상황이 개선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셀(41∼43)간에서도 환경이 서로 다른 것이 고려된다. 셀(41∼43)의 크기나 셀(41∼43)의 설치 장소(통신 장 치(10)의 설치 장소)에 의해 단말기 A∼K의 분포는 크게 변화된다. 사람이 집중하는 시설 등이 셀 내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경우에도, 셀 독자적으로 우선도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통신 장치(10)는, 스케줄 TB(51)를 SINR의 크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있다. 그리고,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 C1부터 단말기에 대역을 할당하는 데에, 가장 큰 SINR치를 갖는 단말기에 그 대역을 할당한다. 즉, 상기에서는, Max CIR의 스케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스케줄 TB(51)를 작성하고, 단말기에 대역을 할당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스케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스케줄 TB(51)를 작성하고, 단말기에 대역을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는, PF에 기초하여, 스케줄 TB(51)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래스 C1로 클래스 분류된 단말기 A∼F의 대역 f1에서, 평균 SINR치와 순간 SINR치의 차분을 산출한다. 여기서, SINR은 ㏈치로 환산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A의 대역 f1의 PF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SINR_A1-Av[SINR-A]에 의해서 산출한다. 여기서, SINR_A1은, 단말기 A의 대역 f1에서의 순간 SINR치를 나타낸다. Av[SIR-A]는, 대역 f1∼f3에서의 단말기 A의 평균 SINR치를 나타낸다.
통신 장치(10)는, 각 단말기 A∼F의 대역 f1에서의 PF치를 산출하면, 큰 순으로 순위를 붙인다. 마찬가지로, 대역 f2, f3에서도 행한다. 또한, 클래스 C2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PF의 알고리즘에 기초한 스케줄 TB(51) 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에 의해 스케줄링의 방식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셀(41)의 내측 영역에는, Max CIR을 이용하고, 셀(41)의 외측 영역에는, PF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셀(41)의 내측 영역에서는, 스루풋을 최대화하고, 셀(41)의 외측 영역에서는, 공평성이 높은 유저 할당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클래스 분류를 통신 장치(10)와 단말기의 거리로 행하였지만, 트래픽의 종류(요구 품질이나 데이터량)에 따라서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화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 단말기로 클래스 분류하고, 데이터 전송 단말기에 우선도를 부여하여, 높은 SINR을 갖는 대역을 할당한다. 통화 단말기는, 그 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많은 주파수 대역을 할당함으로써 대처한다. 또한, 세세한 클래스 분류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셀의 내측 영역의 통화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 단말기, 셀의 외측 영역의 통화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 단말기로, 세세한 클래스 분류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클래스에 의해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송신 전력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81)의 내측 영역에서 사용하는 대역 f1의 송신 전력은 낮게 하고, 외측 영역에서 사용하는 대역 f2, f3의 송신 전력을 높게 한다. 이것은, 도 12에서 설명한 소프트 리유즈에 가까운 방식으로 된다. 단, 도 12에서 설명한 소프트 리유즈와 달리, 통신 장치(10)는, 각 영역에서 사용하는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경한다.
통신 장치(10)는, 예를 들면, 클래스별로 평균 송신 데이터량 등을 측정하 고, 셀(81)의 외측 영역에서의 데이터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외측 영역의 단말기의 수신 SINR을 개선하여, 데이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동작은, 각 셀의 통신 장치(10)에서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서는, 단말기를 클래스 분류하고,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의 단말기로부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 결정된 개수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가도록 했다. 이에 의해서, 클래스의 우선도와 클래스마다 결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개수에 의해, 각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지 않고, 멀티 셀 환경 하에서도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에 할당하여 통신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셀 내의 상기 단말기를 클래스 분류하는 클래스 분류 수단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마다에서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수신 수단과,
    우선도가 높은 상기 클래스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래스마다 결정된 개수의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가는 스케줄링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분류 수단은, 해당 통신 장치와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통신 장치와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개수를 변경하는 개수 변경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해당 통신 장치와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우선도를 변경하는 우선도 변경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마다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전력 송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수단은, 상기 클래스마다의 평균 송신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가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클래스마다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분류 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클래스 분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SIN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우선도가 높은 상기 클래스의 상기 단말기의 상기 SINR이 가장 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20060054254A 2006-03-30 2006-06-16 통신 장치 KR10070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3656A JP2007274042A (ja) 2006-03-30 2006-03-30 通信装置
JPJP-P-2006-00093656 2006-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663B1 true KR100709663B1 (ko) 2007-04-24

Family

ID=3695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54254A KR100709663B1 (ko) 2006-03-30 2006-06-16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30428A1 (ko)
EP (1) EP1841258A1 (ko)
JP (1) JP2007274042A (ko)
KR (1) KR100709663B1 (ko)
CN (1) CN1010479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9278B2 (en) * 2006-09-11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amplifier backoff
JP4403515B2 (ja) * 2006-09-20 2010-01-2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その基地局及び通信方法
EP2075938B1 (en) * 2006-09-20 2011-09-07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it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8391196B2 (en) * 2006-10-26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amplifier backoff using headroom information
US20080159249A1 (en) * 2006-12-21 2008-07-03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09038178A1 (ja) * 2007-09-21 2009-03-26 Sharp Kabushiki Kaish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
JP5227571B2 (ja) * 2007-11-14 2013-07-03 株式会社Kddi研究所 端末局装置
JP2009188902A (ja) * 2008-02-08 2009-08-20 Nec Corp 無線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JP5633929B2 (ja) 2008-03-19 2014-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リソースブロック割当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44471B1 (en) * 2008-05-09 2014-06-03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ategorized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CN101677464B (zh) * 2008-09-17 2012-10-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多频带调度系统及其方法
JP5211974B2 (ja) 2008-09-18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219105B2 (en) * 2008-10-01 2012-07-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resource allocation to reduce uplink interference
KR101479011B1 (ko) * 2008-12-17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스케쥴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1652864B1 (ko) * 2009-02-19 201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곽 셀 주파수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중-셀 네트워크
US8340677B2 (en) * 2009-07-02 2012-12-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mi-static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5021718B2 (ja) * 2009-12-08 2012-09-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JP5561006B2 (ja) * 2010-08-05 2014-07-30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JP2014116732A (ja) * 2012-12-07 2014-06-26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US9548848B1 (en) * 2015-02-19 2017-01-17 Mbit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complexity CQI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8806A (ja) 2002-03-06 2003-09-12 Ntt Docomo Inc 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基地局
KR20050066632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8599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데이터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20060021218A (ko) * 2004-09-02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선의 스케쥴링 가변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20060114467A (ko) * 2005-04-29 200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 링크 스케줄러와스케줄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8902B2 (ja) 2000-10-02 2006-06-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通信装置
US6807426B2 (en) * 2001-04-12 2004-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577118B2 (en) * 2001-07-24 2009-08-1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lassifying remote users according to link quality, and scheduling 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to the users based upon the classifications
US7164919B2 (en) * 2002-07-01 2007-01-1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of data transmission for terminals with variable scheduling delays
US20040097238A1 (en) * 2002-11-07 200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equency reuse metho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534695B2 (ja) * 2004-09-28 2010-09-0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周波数検出方法
JP4545613B2 (ja) * 2005-02-24 2010-09-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装置およ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US7738422B2 (en) * 2005-08-23 2010-06-15 Alcatel-Lucent Usa Inc. Interference-reducing method of forward link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8213367B2 (en) * 2005-11-02 2012-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dimensioning the control channel for transmission efficiency in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8806A (ja) 2002-03-06 2003-09-12 Ntt Docomo Inc 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基地局
KR20050066632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8599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데이터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20060021218A (ko) * 2004-09-02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선의 스케쥴링 가변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20060114467A (ko) * 2005-04-29 200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 링크 스케줄러와스케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0428A1 (en) 2007-10-04
EP1841258A1 (en) 2007-10-03
CN101047943A (zh) 2007-10-03
JP2007274042A (ja)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663B1 (ko) 통신 장치
JP4295300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RU2409011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8811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a multi-hop environment
CN104938008B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资源分配的方法和设备
KR1009436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0289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050880B1 (ko) 기지국 장치
KR1009436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0201594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wireless data
KR20070045951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우선 순위 결정 장치및 방법
KR200601244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이용한 스케줄링 방법 및그 시스템
JP2012120063A (ja) アンテナ送信電力制御を行う無線基地局装置
KR20060056316A (ko) 가상 집중화 업링크 스케줄링
KR20080028785A (ko) 무선기지국장치
KR20130004941A (ko) 무선 확장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30848A (ko) 다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대역 할당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20090026336A (ko) 기지국, 이동국 및 채널품질정보 통지방법
US8036171B2 (en) Multicarrier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US20070274263A1 (en) Slot allocation method for use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for use in the same system
KR20040003052A (ko) 상대적 스루풋 산포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의 데이타패킷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다중 임계 스케쥴러
KR101192030B1 (ko) 다수개의 채널들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Tsai et al. Down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with Carrier Aggregation in MIMO LTE-advanced systems
KR100837080B1 (ko) 패킷 스케줄링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를 이용하는시스템
CN102939780A (zh) 通信终端、通信系统及通信终端的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