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785A - 무선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785A
KR20080028785A KR1020070095496A KR20070095496A KR20080028785A KR 20080028785 A KR20080028785 A KR 20080028785A KR 1020070095496 A KR1020070095496 A KR 1020070095496A KR 20070095496 A KR20070095496 A KR 20070095496A KR 20080028785 A KR20080028785 A KR 2008002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ue
real
scheduling
tim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141B1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시자키
유키히로 다카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ublication of KR200800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Abstract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기지국 장치로서, 송신할 패킷을 적어도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 서비스로 배분 가능하도록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는 큐 배분수단과,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에 배분된 큐의 쌍방에 대해 개별적으로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스케쥴링수단과, 스케쥴링수단에 의해 결정된 송신순서로 패킷을 저장하는 버퍼와, 버퍼가 저장하고 있는 패킷의 무선프레임에 있어서의 배치를 결정하는 맵핑수단과, 무선프레임에 수납되지 않는 패킷을 퇴피시키는 넥스트버퍼를 구비하였다. 스케쥴링수단은 큐마다 산출되는 우선도값에만 의거해서 송신순서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무선기지국장치 {WIRELESS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순서나 채널할당의 제어를 실행하는 무선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기지국으로서, 특허문헌 1 및 2가 알려진다.
특허문헌 1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고, 금후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다른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QoS」라 한다)을 의식한 제어가 필요 불가결하다고 고려되고 있다. 이 QoS에서 규정되는 트래픽 특성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조건 등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그 때문에, 단말이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QoS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QoS를 고려한 네트워크의 구축, 제어기술이 필수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금후의 네트워크 형태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의 모든 경로상의 프로토콜이 IP(Internet Protocol)로 통일화된다고 고려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 독자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던 무선통신 시스템도 IP를 베이스로 한 것으로 변환되어 갈 가능성이 높다. IP를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IP 패킷을 QoS 제어의 단위로 하고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IP 통신에 있어서의 QoS 에 관한 제어를 받아들여 갈 필요가 있다.
이 때,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파로 환경의 변동이나 다른 신호에 의한 간섭 등의 영향을 받아,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품질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 때문에, 유선의 통신시스템과는 다른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받아,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QoS에 관한 각종 제어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동시에, QoS를 요구하지 않는 단말을 위해, 단말간의 공평성을 고려하여 송신순서를 결정하는 스케쥴링을 실행하는 방법 등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패킷을, 통신품질에 관한 요구값을 갖는 정량보증형 패킷과 요구값을 갖지 않는 상대보증형 패킷으로 분류하는 패킷분류수단과, 패킷분류수단이 분류한 정량보증형 패킷 및 상대보증형 패킷마다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송신순서 제어수단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품질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2에 기술되어 있다. 즉, 이동체통신 등의 멀티패스환경을 전파한 신호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서브캐리어마다의 위상회전량 및 수신전력이 변동한다. 또한, 그 변동은 전파로의 환경, 주파수에 따라 다르고, 또한 주파수 선택성은 사용자간에서 독립이다. 즉, 주파수에 의해서, 수신채널상태, 예를 들면 SIR(Signal-to-Interference Power Ratio)이 양호한 사용자와 양호 하지 않은 사용자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나 OFCDM(Orthogonal Frequency Code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주파수블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주파수블럭마다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주파수 스케쥴링이 검토되고 있다.
주파수 스케쥴링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수신채널 상태의 주파수특성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 종축은 수신채널 상태 이고, 횡축은 또한 주파수블럭 1∼4로 분할된다.
User1과 User2는 다른 장소에 있기 때문에, 전파로가 다르고,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이 받는 방법도 다르다. 도 20에서는 User1과 User2의 주파수 선택성에 상관이 거의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경우, User1에 있어서 수신채널상태가 양호한 주파수대역, 예를 들면 주파수블럭 1 및 2가 User1에 할당되고, User2에 있어서 수신채널 상태가 양호한 주파수대역, 예를 들면 주파수블럭 3 및 4가 User2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스케쥴링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받아, 수신채널 상태를 고려한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올리는 각종 제어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는 각 이동단말이 측정한 수신채널 상태를 기지국에 피드백시키고, 기지국은 피드백된 수신채널 상태를 토대로, 각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주파수블럭을 결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14060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50545호
종래 기술에서는 QoS 요구가 있는 패킷을 정량보증형, QoS 요구가 없는 패킷을 상대보증형의 2개로 분류하고, 정량보증형의 패킷을 우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QoS 요구가 있는 패킷 중에서도, 다른 종별의 어플리케이션(음성, 화상, 통신게임 등)이 존재하고, QoS 요구도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패킷을 3개 이상으로 분류하고, 우선 순번을 세세히 제어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 패킷분류수가 2개로 한정되어 있고, 또 우선순번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정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변경량은 방대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대보증형 패킷의 스케쥴링에 수신채널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의 수신채널 상태를 기지국에 피드백시켜 제어를 실행할 때에는 제약이 있다.
그 제약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수신채널 상태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속도가 빠르게 됨에 따라, 측정한 수신채널 상태와 현재상태의 무선채널 상태의 상관이 작아지는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단말의 이동속도가 임의의 속도를 넘었을 때에는 Max C/I(Maximum Carrier to Interference ratio)법이나 PF(Proportional Fairness)법을 사용해도, 각 단말에 효율좋게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말 이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수신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이동속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QoS 요구가 있는 패킷을 정량보증형, QoS 요구가 없는 패킷을 상대보증형의 2개로 분류하고, 정량보증형의 패킷을 우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QoS 요구가 있는 패킷 중에서도, 다른 종별의 어플리케이션(음성, 화상, 통신게임 등)이 존재하고, QoS 요구도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패킷을 3개 이상으로 분류하고, 우선 순번을 세세히 제어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 패킷분류수가 2개로 한정되어 있고, 또 우선순번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정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변경량은 방대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대보증형 패킷의 스케쥴링에 수신채널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의 수신채널 상태를 기지국에 피드백시켜 제어를 실행할 때에는 제약이 있다.
그 제약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수신채널 상태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속도가 빠르게 됨에 따라, 측정한 수신채널 상태와 현재상태의 무선채널 상태의 상관이 작아지는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단말의 이동속도가 임의의 속도를 넘었을 때에는 Max C/I(Maximum Carrier to Interference ratio)법이나 PF(Proportional Fairness)법을 사용해도, 각 단말에 효율좋게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말 이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수신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이동속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무선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기지국장치로서, 송신할 패킷을(적어도)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와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로 배분하고,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배분수단과, 상기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와 상기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스케쥴링수단과, 상기 스케쥴링수단에 의해 결정된 송신순서로 패킷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가 저장하고 있는 패킷의 무선프레임에 있어서의 배치를 결정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리얼타임계의 큐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의 큐에 대해, QoS 요구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우선도값에 따라서 송신순서를 결정하는 동종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상기 리얼타임계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에서 상기 우선도값의 산출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보다도 상기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가 먼저 되도록,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큐 배분수단은 패킷을 커넥션 ID별로 큐에 저장함과 동시에, 리얼타임계 서비스와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QoS의 요소를 상기 큐에 대응짓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지연의 함수와, 서비스 클래스의 함수와, 대응하는 이동단말과의 사이의 무선품질의 함수와, 해당 큐에 축적되어 있는 패킷의 수 또는 사이즈의 함수와, 해당 큐가 최초로 송신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의 함수와, 송신회수의 함수로부터 복수 꺼내는 조합의 합 또는 곱으로 표시되는 우선도값으로서, 상기 리얼타임계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에서 다른 상기 우선도값을 큐마다 산출한다.
상기 버퍼로부터 넘친 패킷을 저장하는 제 2 버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맵핑수단이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패킷을 버스트로 분류하고, 상기 버스트가 모두 무선프레임에 수납될 때까지,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패킷을 상기 제 2 버퍼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시행을 반복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는 이동단말이 측정한 무선품질의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동단말로부터의 무선신호의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는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무선품질의 정보와 상기 도플러 주파수에 의거하여, 서브채널배치 또는 변조방식 또는 부호화율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기지국장치는 복수의 가입자국과의 사이에서 IP층 레벨로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기지국장치로서, 송신할 패킷을 규정된 배분 단위로 복수의 큐에 배분하고, 패킷의 내용을 저장하는 큐 배분수단과, 상기 복수의 큐의 각각에 대해, 큐마다 설정되는 최대 지연량과, 큐마다 설정되는 최소 보증 대역폭과, 큐마다 설정되는 허용 지터량과, 큐마다의 전회의 패킷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과, 큐마다의 전회의 송신데이터량과, 큐마다의 전회 의 송신데이터량과, 큐마다의 전회의 지터량과, 큐마다의 변조 다진수와, 큐마다의 부호화율을 입력 파라미터로 하고,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함수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우선도를 해당 큐마다 계산하고, 스케쥴링 우선도의 크기의 순에 따라서 해당 큐를 송신하는 스케쥴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는 OFDM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선기지국장치로서,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 서비스의 각 큐를 복수의 서브채널 배치 종별마다 분류하고, 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의 순으로, 또 적응변조 가능한 서브채널 배치, 적응변조 불가능한 서브채널 배치의 순으로, 무선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 배치 영역내에, 배치 가능한 데이터량을 계산하면서 데이터 배치를 결정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분류수, 패킷분류별의 우선도, 큐단위의 가중 (SP 값)의 결정이 맵핑부나 프레임 작성 기능과 같은 부분의 내부에서 클로즈하고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설계상의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유연하게 그들의 결정방법을 변경할 수 있고, 응용에 따라 더욱 세세한 정밀도에서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특히, 스케쥴링으로의 영향이 큰 SP값을 테이블이나 계수 등으로 표현되는 함수에 의해 수치적으로 산출하므로, 그들의 테이블이나 계수 등의 변경으로 용이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단말의 이동속도를 고려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수신채널 상태만을 사용한 효율좋은 무선 리소스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더욱 높은 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어느 실시예도 IEEE802.16규격에 적용한 경우의 예이며,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용어의 정의는 해당 규격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무선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본 예의 무선기지국은 패킷분류부(1)와, 스케쥴링부(2)와, 맵핑부(3)와, 송신부(4)와, 수신부(5)와, 서브채널 배치부(6)와, 접수제어부(7)를 갖고,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OFDMA 방식에 의한 쌍방향의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또 도 1은 MAC(Media Access Control)층 및 그 이하의 층의 기능에 대응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Down-Link: DL) 송신계의 제어에 필요한 부분 이외의 (Up-Link: UL) 수신계는 본 예의 설명에 불필요하기 때문에 생략하고 있다.
패킷분류부(1)는 송신될 데이터로서 MAC-SDU(Media Access Control-Service Data Unit)를 입력받고, 예를 들면 CID(Connection Identifier)마다 마련되는 큐에 분류해서 보관한다. MAC-SDU는 예를 들면, 상위층으로부터의 IP 패킷이다.
큐는 커넥션 초기화시에 생성되고, 각각 속성값을 갖는다. 속성값으로서, CID, 서비스타입, QoS 파라미터, 서비스 클래스, 옵션정보 및 스케쥴링 우선도(SP: Scheduling Priority)값 등이 있다.
CID는 MAC 커넥션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며, MAC-PDU(Protocol Data Unit)의 헤더에 반드시 삽입된다. CID는 통상, 서비스타입이 다르면 다른 것으로 되며, 상위층(IP층)의 수신지 어드레스와 포트번호로부터도 특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서비스타입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UGS, rtPS, nrtPS, BE 등이 정해져 있다.
서비스 클래스는 예를 들면 품질에 따라, 금, 은 청동 등이 정해져 있다.
QoS 파라미터는 Maximum latency, Maximum Reserved Traffic Rate 등의 값을 갖는다. 서비스타입, 서비스 클래스 및 QoS 파라미터는 미리 대응관계를 반고정적으로 정해 두어도 좋다.
옵션정보는 송신회수와 같은 상기 이외에 스케쥴링에 필요한 정보이다.
SP값은 이 큐의 종합적인 우선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SP값을 기준으로 해서 스케쥴링을 실행한다. 따라서, SP값의 결정방법(알고리즘)이 중요하게 된다.
그 밖에, 속성값으로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Fd(도플러 주파수), 변조방식, 부호화율, 서브채널 배치 등의 정보를 저장해도 좋다.
스케쥴링부(2)는 패킷분류부(1)에 의해 분류된 큐를 SP값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큐에 있는 데이터(MAC-SDU)를 꺼내어, 내장된 스케쥴링 버퍼(Scheduling Buffer: SB)로 이동시킨다. 1프레임에 수용할 수 있는 바이트수가 가득차면, 스케쥴링 처리를 종료하고, 맵핑처리로 이행한다. 이 처리를 프레임주기로 반복한다. 스케쥴링부(2)에는 SP값의 산출에 필요한 CQI나 Fd 등이 후술하는 서브채널 배치 부(6)나 수신부(5)로부터 각각 입력된다.
도 2는 본 예의 스케쥴링 처리에 관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킷 분류부에 의해, CID별로 n개로 큐잉되어 있다. 스케쥴링부(2)는 큐를 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로 크게 나누고, 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 각각에 있어서, 큐의 속성값인 SP값을 기준으로(예를 들면,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 대상의 큐를 선택해 간다. 그리고 SB로의 이동은 QoS 요구가 엄격한 리얼타임계의 큐부터 먼저 처리되고, 그 후, 논리얼타임계의 처리가 실행된다.
Next SB는 선택한 큐의 내용을 1회의 맵핑 처리에서 모두 맵핑할 수 없었을 때에, SB로부터 넘친 패킷(MAC-SDU)을 퇴피시키는 장소에서, 퇴피된 패킷은 다음의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패킷을 Next SB에 퇴피시킨 후, 재차 맵핑을 실행하고, SB내의 모든 패킷을 1프레임내에 맵핑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맵핑에 성공하면, Next SB에 퇴피해 둔 패킷을 SB의 선두에 복사하고, 다음의 프레임에 있어서 최초로 우선해서 송신한다.
도 3은 SB 및 Next SB의 내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1프레임에 수용 가능한 심볼수는 변조방식, 부호화율, 서브채널 배치 등에 의존하며, 고정은 아니다. 스케쥴링부(2)(혹은 맵핑부(3))는 서브채널 배치부(6)에 의해 결정된 변조방식 등의 정보를 입력받고, SB의 사이즈를 제어함과 동시에, 후단의 송신부 등에도 변조방식 등의 정보를 전달한다.
도 1로 되돌아가, 맵핑부(3)는 SB(및 Next SB)에 저장된 송신데이터를 프레임에 할당한다. 프레임은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므로, 할당은 시간축 및 주파 수축상에서 자유도를 갖지만, 통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분할된 버스트라 불리우는 단위로 실행된다. 이것은 IEEE802.16e의 8.4.4에 기재되어 있다.
프레임에 배치하는 버스트를 정의하는 단위로서, 다음의 표에 나타내는 3개를 고려할 수 있다.
첫번째는 1CID에 대해, 1버스트를 정의하는 방법(Single CID-Single Burst, 이후, SCSB라 부른다)이다. 각 버스트의 크기는 가장 작아지고, 맵핑에서는 배치의 유연성이 높아지는 한편, DL-MAP 메시지 사이즈가 가장 커진다.
두번째는 1사용자에 대해, 1버스트를 정의하는 방법(Single User-Single Burst, 이후, SUSB라 부른다)이다. 1사용자는 복수의 C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각 버스트의 크기는 작아지고, 맵핑에서는 배치 유연성이 높아지는 한편, DL-MAP 메시지 사이즈가 약간 커진다.
세번째는 동일한 변조방식, 부호화율의 복수 사용자를 일괄해서 1버스트를 정의하는 방법(Multiple User-Single Burst, 이후, MUSB라 부른다)이다. 각 버스트의 크기는 가장 커지고, 맵핑에서는 배치 유연성이 다른 방법보다도 뒤떨어지지만, DL-MAP 메시지 사이즈가 가장 작아진다.
본 예에서는 전송효율을 중시하여, MUSB를 채용하고 있다.
맵핑시의 버스트 정의
버스트 사이즈 DL-MAP 사이즈 버스트 배치 유연성 전송효율 (DL-MAP이 프레임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SCSB ×
SUSB
MUSB ×
또한, 맵핑에 있어서의 버스트의 배치 방법에는 다음의 후보가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간축방향(횡)을 짧게 하고, 주파수방향(종)을 가능한한 길게 하는 배치(주파수방향 장방형)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간축방향을 길게 하고, 주파수방향을 짧게 하는 배치(시간축방향 장방형)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간축방향, 주파수방향 모두 짧게 하는 배치(대략 정방형)가 있다. 최후의 정방형 배치는 복잡하게 되므로, 본 예에서는 맵핑처리를 가볍게 하는 것을 중점에 두고, 주파수방향 장방형 또는 시간축방향 장방형을 채용하고 있다.
도 7은 맵핑부(3)에 의해 생성되는 버스트의 내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각 버스트의 프레임상에서의 블럭 사이즈(서브채널수 × 심볼수)가 동일해도, 변조방식, 부호화율이나 서브채널 구성에 따라서 버스트의 용량은 다르다. 도 7에서는 버스트2는 블럭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용량도 크게 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송신부(4)는 맵핑부(3)에 의해 맵핑된 DL 프레임을 OFDM 변조하여 안테나로부터 무선 송신한다.
수신부(5)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UL 프레임을 OFDM 복조하고, 적어도 단말로부터의 CQI와, Fd와 DSA-REQ(Dynamic Service Addition REQuest)을 꺼내어, 서브채널 배치부(6), 스케쥴링부(2), 접수제어부(7)로 각각 출력한다. 또한 Fd는 예를 들면 수신한 파일럿캐리어의 위상을 이미 알고 있는 심볼과 비교하여, 그 위상회전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서브채널 배치부(6)는 단말과의 교섭이나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CQI 등에 따라서 변조방식, 부호화율, 서브채널 배치(후술하는 PUSC, FUSC, PUSC w/all subchannels 등)를 결정하고, 스케쥴링부(2) 등으로 출력한다. CQI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버스트가 단말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수신품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UL 프레임에 마련된 전용의 채널(CQICH)을 이용하여 송신원의 기지국으로 즉시 되돌려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채널상황에 따른 고속의 피드백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QI가 나쁠 때에는 노이즈에 강한 변조방식이나 부호화율로 전환하거나, 서브채널 배치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SP값을(일시적으로) 내리도록 해도 좋다. 서브채널 배치의 변경은 예를 들면 미사용의 서브채널이 있으면 그것과 교환하고, 없으면 CQI가 나쁜 서브채널끼리 교환한다.
또,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CQI의 취득주기보다도 전파로 변동 쪽이 고속으로 되어 CQI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도플러 주파수로부터 추정되는 단말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CQI를 채용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추정된 이동속도가 임의의 임계값을 넘은 경우, 채널상황도 나쁘다고 추정되므로, 수신부(5)로부터의 CQI 대신에 최악의 CQI(고정값)을 이용하여, 변조방식 등을 페이딩에 강한 것으로 고정시킨다.
접수제어부(7)는 수신부(5)로부터 Mac Management Message(적어도 DSA-REQ나 DSD-REQ)를 입력받고, 그들을 해석하여, 스케쥴링부(2)에 프레임작성 개시요구나 종료요구 등을 출력한다. 그 밖에, 커넥션관리나 링크확립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본 예의 특징인 스케쥴링부(2)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본 예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예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은 큐의 속성값을 입력받고, 알고리즘에 따라서 SP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얻어진 SP값에 따라서 실제의 스케쥴링(큐의 선택)을 실행하는 스텝을 갖는다.
SP값은 각 큐 속성값의 함수로 되어 있고, 함수는 큐의 속성값을 입력하면, 일의의 SP값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함수화한 것에 의해,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으로 교체하거나, 파라미터를 조정하거나, 함수 자체를 블랙박스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SP값을 결정하는 요소(인수)로서, 이하와 같은 것이 고려된다.
1. QoS 파라미터
2. 서비스 클래스
3. CQI
4. 큐에 축적되어 있는 패킷수(혹은 사이즈)
5. 전회의 패킷송신시각(전회의 송신으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했는지)
6. 지금까지의 패킷송신 회수
7. 기타
각 요소 중 직접 수치를 나타내지 않는 것(서비스 클래스 등)은 테이블에 의해 수치와 대응지어 두고, 수치를 나타내는 것도 1차 변환이나, 상하한을 마련하여 규격화(가중)해 둔다. m개의 각 요소를 SP값 계산용으로 규격화한 값을 F1, F2,…, Fm으로 하면, SP값은 다음과 같이 각 Fn의 가감 혹은 승제 혹은 그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해진다.
SP=F1+F2+…+Fn
혹은
SP=F1×F2×…×Fn
또, 함수는 각 요소의 전부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본 예에서는 각 요소가 수치화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서 SP값을 결정하기 위한 계산식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요소가 변동하는 수치의 경우, 현재의 값에 한정되지 않고 규격화에 이력성을 갖게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쥴링부(2)는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로 크게 나누어 스케쥴링을 실행한다.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에서는 다른 알고리즘즉 다른 SP값 함수가 이용된다. 일예로서 리얼타임계는 속성값 중 QoS 파라미터의 가중을 무겁게 해서 SP값을 산출한다. 한편, 논리얼타임계는 공평성(송신회수)의 가중을 무겁게 해서 SP값을 산출한다. 어느 경우에도 CQI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것 을 고려한 SP값으로 한다.
이후, 본 예의 무선기지국의 동작의 상세를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기술하는 스케쥴링 기능은 전술한 스케쥴링부(2)에 머물지 않고, 다른 패킷분류부(1) 등에 있어서의 처리도 포함한 것이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도 8은 본 예의 스케쥴링 기능에 관한 타이밍도이다. 본 예의 스케쥴링 기능은 주로, 주제어기능과 프레임작성 기능으로 구성된다.
주제어기능은 부모로 되는 직종이며,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션의 초기화(큐의 작성), 큐관리 테이블의 제어, 패킷수신과 큐 분류 및 단말로부터 수신한 CQI에 의거하는 변조방식, 부호화율, 서브채널 배치의 결정 등의 처리가 있다. 주제어기능은 전술한 패킷분류부(1), 서브채널 배치부(6), 접수제어부(7)에 상당한다.
프레임작성 기능은 주제어 기능으로부터 불리는 직종이며, 주기적인 프레임작성 처리나, 스케쥴링(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 처리나, 맵핑 처리를 실행한다. 프레임작성 처리는 주제어부로부터 프레임작성 개시요구를 수신하여 개시되고, 프레임작성 정지요구를 수신하면 종료한다. 프레임 작성 기능은 전술한 스케쥴링부(2)와, 맵핑부(3)에 상당한다.
도 8에 있어서, 주제어기능은 기동후 최초로 상위층으로부터 DL 패킷(MAC-SDU)을 수신하거나, 단말측으로부터 DSA-REQ를 수신했을 때에, 프레임작성 기능에 대해 프레임작성 개시요구를 지시한다. 그것을 받은 프레임작성 기능은 타이머를 세트하고, 이후 주기적인 타이머 인터럽트를 트리거로 해서 프레임을 스케쥴링 및 맵핑에 의해 생성한다. 또한 주제어부는 상위층으로부터 DL 패킷(MAC-SDU)을 수신하면 큐 분류처리를 실행하고, 단말로부터 UL 데이터를 수신하면 각 단말의 CQI, Fd를 갱신하고, 변조방식, 부호화율 및 서브채널의 배치를 결정한다. 또한 주제어부는 큐관리 테이블에 남은 최후(유일)의 커넥션에 관한 DSD-REQ(Dynamic Service deletion REQuest)을 수신하면, 프레임작성 기능에 대해 프레임작성 종료요구를 보내고, 프레임작성 기능이 최후의 프레임을 다 생성하면, 양 기능은 대기상태로 된다.
또, DSA-REQ나 DSD-REQ는 MAC-PDU(Protocol Data Unit)에 탑재되는 Mac Management Message의 일종이며, IEEE802.16-2004의 6.3.2.3.10나 6.3.2.3.16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주제어기능에 의한 커넥션마다의 큐관리는 큐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도 9는 큐관리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이 테이블은 CID를 키로 해서, 스케쥴링에 필요한 정보로 될 수 있는 커넥션의 각종 속성값과, SP값과, 축적된 패킷(의 포인터)을 저장한다. 이 테이블은 프레임작성 기능으로부터도 액세스되며, 예를 들면 SP값 등이 갱신될 수 있다.
도 10은 주제어기능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주제어기능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패킷 혹은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서 적어도 4종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큐 배분처리와, 커넥션확립 요구처리와, 커넥션절단 요구처리와, SS 패킷수신처리이다. 이 4개의 처리는 본 예의 설명에 필요한 것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또한, 임의의 처리의 내부에서 이벤트를 발생하고, 별도의 처리를 호출해도 좋다.
도 11은 큐 배분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큐 배분처리는 상위층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큐에 분류한다(S103). 그 전에, 그 패킷이 새로운 커넥션으로 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1), 새로운 커넥션이면 큐관리 테이블에 신규등록을 실행해서 큐를 새롭게 생성한다(S102). 또한, 프레임 작성부가 정기적인 프레임 작성의 동작에 들어가 있지 않으면(S104), 프레임 작성부에 대해 프레임작성 개시요구를 보낸다(S105). 그것이 종료하면, 이벤트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12는 커넥션확립 요구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커넥션확립 요구처리는 예를 들면 단말(SS: Subscriber Station)로부터의 커넥션확립 요구(DSA-REQ)를 수신했을 때에 발생한다. 우선, 큐관리 테이블에 신규 등록하여, 대역요구를 큐관리 테이블에 반영시킨다(S201). 그 때, 각 커넥션의 대역요구량의 합계가 해당 무선기지국의 용량을 넘을 때에는 신규등록을 하지 않고, DSA-REQ에 대한 응답도 해주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작성부가 정기적인 프레임작성의 동작에 들어가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고(S202 ), 동작중이 아니면 프레임 작성부에 대해 프레임작성 개시요구를 보낸다(S203).
도 13은 커넥션절단 요구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커넥션절단 요구처리는 단말(SS)로부터의 커넥션절단 요구(DSD-REQ)를 수신했을 때에 발생한다. 우선, 큐관리 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큐를 삭제하고, 메모리를 개방한다(S301). 다음에, 큐 관리 테이블내에 현재 통신중인 커넥션이 존재하지 않는지(스케쥴링 대상의 커넥션이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하고(S302), 존재하지 않으면 프레임 작성부에 대해 프레임작성 종료요구를 보낸다(S303).
도 14는 SS 패킷 수신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SS 패킷 수신처리는 단말(SS)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발생한다. CQICH를 복호하여 CQI를 취득함과 동시에, 물리층으로부터 Fd(도플러 주파수)의 정보를 취득하고, 큐관리 테이블의 CQI, Fd 정보를 갱신한다.
도 15는 프레임작성 기능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해서 프레임주기로 발생한다. 우선 최초로 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처리를 실행한다(S501). 다음에 SB에 빈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02), 빈 부분이 있으면 논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를 실행한다(S503). 그 후, 맵핑처리를 실행한다(S504). 다음에, 주제어부로부터 프레임작성 종료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05), 없으면, 다음의 스케쥴링 타이밍에서 호출될 때까지 대기한다(S506).
도 16은 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에서는 처음에 리얼타임계의 각 큐의 SP값을 전술한 SP값 함수에 따라 갱신한다(S601). 각 큐가 리얼타임계인 것은 큐관리 테이블의 서비스타입이 UGS, rtPS, ertPS인 것으로 판별된다. 다음에, 가장 SP값이 높은 큐를 선택하고(S602), 패킷을 SB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 큐의 SP값을 갱신한다(S603). 이것은 큐로부터의 이동에 수반하여 적어도 큐에 축적되어 있는 패킷수 등이 (0으로) 변경되므로, 그들을 즉시 반영시키지 않으면, 다음의 큐를 적절히 선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때, 가장 최근의 SS패킷 수신처리에서 갱신된 CQI 등도 가미되게 된다. 다음에, SB에 빈 부분이 있고 또한 SP값이 제 1 규정값 이상인 큐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고(S604), 혹시 있으면 S602로 천이한다. 이것에 의해 큐의 선택이, SB에 빈 부분이 없어지거나, 모든 큐의 SP값이 제 1 규정값 미만이 될 때까지 실행된다. SP값이 제 1 규정값 이상인 큐는 Next SB로 넘칠 수 있지만, 커넥션의 대역의 총합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넘침은 그다지 많지 않다.
도 17은 논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각 스텝은 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단, 스케쥴링 대상이 논리얼타임계의 큐(서비스타입이 nrtPS 혹은 BE의 큐)이고, SP값 함수가 논리얼타임계용의 것이며, 제 1 규정값 대신에 제 2 규정값을 이용하는 점에서 다르다.
도 18은 맵핑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맵핑 처리에서는 처음에 SB내의 패킷(MAC-SDU)을 동일한 변조방식, 부호화율, 서브채널 배치의 버스트로 분류한다(S801). 다음에, 각 버스트를 프레임에 배치(맵핑)한다(S802). 다음에, 모든 버스트를 프레임에 배치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803),배치할 수 없었던 경우, SB의 최후미의 패킷(SB 중에서는 가장 우선도가 낮은 패킷)을 Next SB에 퇴피시키고(S804), S801로 천이한다. 이것에 의해, 재차 버스트분류, 맵핑이 실행되고, 모든 버스트를 프레임에 배치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되게 된다. 프레임에 배치할 수 있으면, Next SB로 이동한 패킷은 현재 프레임의 맵핑 종료 후에 SB의 선두로 이동한다(S805). 이것에 의해, 다음프레임 작성시에 최우선으로 송신된다. 또, 반복 시행할 때의 맵핑은 프레임의 실데이터를 메모리상에 전개할 필요는 없으며, 논리적으로 맵핑 가능하면 충분하다.
본 예에 있어서,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 각각의 스케쥴링은 SP값의 함수 등이 다를 뿐 알고리즘으로서는 동종의 것이고, SP값은 공통의 큐관리 테이블의 요소의 함수이다. 따라서 큐를 분류하는 시점에서는 각각의 스케쥴링에 따라서 다른 처리를 할 필요는 없다. 즉, 패킷의 분류(큐의 배분)와 스케쥴링은 기능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QoS 요구(SP값)가 다른 최소의 단위로 고려되는 CID별로 큐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각 큐를 스케쥴링수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세세히 분류하고, 적절한 스케쥴링으로 배분만 할 수 있으면, 어떠한 큐잉이라도 좋다.
또한, 스케쥴링의 수는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의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큐관리 테이블에는 서비스타입 이외에도 각종 요소가 보존되어 있으므로, 그들중 어느 것에 의거하는지에 따라 배분 방법이나 배분 수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SP값을 이용한 것에 의해, Maximum latency와 같은 특정의 QoS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다른 각종 조건을 고려한 적절한 스케쥴링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SP값의 계산 알고리즘을 더욱 상세하게 개시한다. 또한 프레임을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고속 피드백에 의거하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를 이용한 경우의 구체적인 스케쥴링 방법을 개시한다. 또, 본 예에서 언급하지 않는 구성은 실시예 1과 동등하다고 하지만, 본 예는 앞의 실시예 1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실시예 2의 무선기지국의 SP값 계산 메인처리의 흐름도이다. SP값 계산 메인처리는 예를 들면 도 10의 이벤트 대기 상태로부터, 무선 프레임 주기로 실행된다.
우선, 예를 들면 커넥션 ID마다 복수 마련된 큐 중, 송신데이터가 저장되고(또한, 미처리의) 큐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고, 존재하면, 해당 큐의 1개를 선택하여 다음의 처리를 속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송신데이터가 저장된 큐의 SP값 계산이 모두 끝났으면), SP값 계산 메인처리를 종료한다(S901).
다음에, 해당 큐의 종류를 리얼타임계인지 논리얼타임계인지 판정하고, 각각 대응하는 알고리즘으로 배분한다(S902).
다음에, 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3) 혹은 논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4)에 의해, 배분된 큐의 SP값을 계산하고, 그 후 S901로 되돌아가 나머지 큐에 대해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22는 도 21의 각 SP값 계산처리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22(a)는 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3)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의 큐관리 테이블 등으로부터 계산에 필요한 파라미터(지연, 보증대역, 지터)를 취득하고(S911), 지연에 관한 SP를 계산하며(S912), 대역보장에 관한 SP를 계산하고(S913), 지터에 관한 SP를 계산하며(S914), 상기 3개의 SP를 가산하여, 해당 큐의 SP값으로 한다(S915). 이 갱신된 SP값은 적절히 큐관리 테이블에 보존된다.
도 22(b)는 논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4)의 상세 흐름도이고, 마찬가지로 파라미터(보증대역, 공평성, 변조 다진수, 부호화율)를 취득하고(S921),대역보장에 관한 SP를 계산하며(S922), 공평성에 관한 SP를 계산하고(S923), 변조 다진수 등에 관한 SP를 계산하며(S924), 상기 3개의 SP를 가산하여, 해당 큐의 SP값으로 한다(S925). 변조 다진수 등의 파라미터는 AMC에 의해 적응적으로 제어되므로, 그 기능 실현수단인 서브채널 배치부(6) 등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 22(a)에 나타낸 각 SP의 계산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3)에서는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필요로 한다. 또, 3개의 QoS 파라미터는 서비스 흐름마다 지정된다. 서비스 흐름은 IEEE802.16e-2005의 6.3.14.2에 규정되어 있다.
항목 설명
QoS 파라미터 Maximum latency [sec] Minimum reserved traffic rate[bps] Tolerated jitter[sec]
기타 파라미터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sec] 전회 송신 데이타량[bit] 전회 지터[sec]
S912의 지연에 관한 SP값은 Maximum latency를 d[sec],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t[sec], 정수를 α로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8018150-PAT00001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Maximum latency에 가까워짐에 따라, SP값이 증가한다.
S913의 보증대역에 관한 SP값은 Minimum reserved traffic rate를 r[bps],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t[sec], 전회 송신 데이터량을 l[bit], 정수를 β로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8018150-PAT00002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과 전회 송신 데이터량으로부터 순간의 송신레이트를 계산하고, 그 값이 작을수록 SP값이 커진다.
S914의 지터에 관한 SP값은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t[sec], 전회 지터를 t′[sec], 정수를 γ로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8018150-PAT00003
여기서, t′의 초기값을 Tolerated jitter [sec]로 한다.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전회 지터보다 작을 때에는 SP값이 부(負)가 되고, 커지면 정(正)이 되며, 증가한다.
다음에, 도 22(b)에 나타낸 각 SP의 계산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논리얼타임계 SP값 계산처리(S904)에서는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필요로 한다. QoS 파라미터는 서비스 흐름마다 지정되므로, 리얼타임계의 것과는 일반적으로 다르다.
항목 설명
QoS 파라미터 Minimum reserved traffic rate[bps]
기타 파라미터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sec] 전회 송신 데이타량[bit] 변조 다진수 전회 지터[sec]
S922의 보증대역에 관한 SP값은 Minimum reserved traffic rate를 r[bps],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t[sec], 전회 송신 데이터량을 l[bit], 정수를 χ로 하면, 리얼타임계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8018150-PAT00004
S923의 공평성에 관한 SP값은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t [sec],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의 임계값을 tthres [sec] 로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tthres일 때, 1
t>tthres일 때, ∝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임계값을 넘으면, 최우선으로 스케쥴링된다.
S923의 공평성에 관한 SP값은 변조 다진수를 g, 부호화율을 h, 정수를 y로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8018150-PAT00005
이것에 의해, 변조 다진수와 부호화율에 따른 하중이 SP값에 가산된다. 기본 적으로, 고레이트 전송 가능한 사용자의 큐에 대해 SP값을 높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흐름을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로 분류한 후, 상기 SP값 계산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복수 존재하는 파라미터를 SP값으로 함으로써, 큐가 종합적인 우선도를 일원화하고, 송신순번 제어를 위한 큐선택을 SP값의 대소비교만으로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데이터 흐름의 QoS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 2의 다른 특징인 스케쥴링/맵핑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가능한한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 데이터를 AMC 영역(Zone)에 맵핑하면서, 리얼타임계 데이터의 지연 특성을 보증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IEEE Std.802.16-2004에는 AMC, 및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s)나 FUSC(Full Usage of Subchannels)나 PUSC w/ all subchannels 등의 서브채널 배치(서브캐리어 할당) 및 그들의 1 내지 복수의 서브채널 배치를 프레임내의 대응하는 1 내지 복수의 영역(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AMC 영역에의 맵핑을 실행하기 위해, SB를 사용자마다 및/또는 서브채널 배치마다 분할하여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은 본 예의 스케쥴링/맵핑 처리의 흐름도이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15에 대략 대응하고, 도 1의 스케쥴링부(2) 및 맵핑부(3) 등의 수단에 의해 처리된다.
본 예의 스케쥴링/맵핑 처리는 AMC대상 사용자 선정(S941)과, 리얼타임계 AMC의 스케쥴링(S942)과, 리얼타임계 PUSC, FUSC, PUSC w/all subchannels의 스케 쥴링(S943)과, 논리얼타임계 AMC의 스케쥴링(S944)과, 논리얼타임계 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스케쥴링(S945)을 실행한다.
앞의 실시예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얼타임계의 처리를 먼저 실행하도록 했지만, 본 예에서는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의 각 스케쥴링에 있어서, 또한 영역마다의 스케쥴링을 실행한다.
즉, AMC에서는 각 단말로부터 통지되는 CQI에 의거하여 버스트마다 변조방식, 부호화율을 결정시키므로, PUSC에 비해 전송효율이 높다. 그 때문에, AMC 영역을 PUSC 영역보다도 먼저 처리하고, AMC 영역을 넓게 확보하 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얼타임계(UGS, ertPS, rtPS), 논리얼타임계(nrtPS, BE) 중에서, 각 QoS 카테고리에 스케쥴링 처리의 순위매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에서는 영역마다의 스케쥴링에 있어서 맵핑이(논리적으로) 시행되고, 스케쥴링과 맵핑이 더욱 일체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그들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스케쥴링/맵핑 처리로 한다.
또한, 상기 SB의 설명에 있어서, SB의 개수는 1개뿐이었지만, 본 구체예의 설명에서는 맵핑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SB도 복수개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SB의 개수가 증가해도 제어방법은 상기 1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AMC 대상 사용자 선정(S941)에서는 각 SS의 동기상태, 이동속도를 토대로, 이하의 분류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각 SS의 동기상태(MAC 레벨)를 체크하 고, 동기가 어긋나 있는 SS는 스케쥴링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음에 각 SS의 이동속도(Fd)를 체크하고, 규정된 속도를 넘고 있는 SS는 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에 할당하고(AMC 대상외 SS), 그 이외의 SS를 AMC 적용 SS로 한다.
다음의 리얼타임계 AMC의 스케쥴링(S942)에서는 각 SS의 CQI를 토대로, 서브채널에 버스트를 할당한다.
도 24(a)는 리얼타임계(AMC)의 맵핑예이다.
우선 S951로서, 각 SS에, CQI로부터 각 SS의 최대전송속도(Maximan Reserved traffic Rate. 복수의 서비스흐름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합)에있어서 CQI가 양호한 순(최대전송속도의 확보가 용이한 순)으로 1개의 서브채널을 할당한다. 그 서브채널은 양호한 CQI가 얻어진 전회의 프레임에서 이용된 서브채널이다. 만약 동일한 서브채널을 이용하고 있던 SS가 복수 있는 경우, CQI가 낮은 쪽의 SS는 예를 들면 제일 최후에 남는 서브채널에 할당된다.
단, 사용자수가 적고, 또한 연속된 복수의 서브채널에 있어서 변조방식 및 부호화율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복수 서브채널을 할당하도록 해도 좋다.
그 후, SS마다 AMC 대상 SS의 리얼타임계 스케쥴링을 실행한다. 따라서 버스트의 구분은 통상 SUSB로 된다.
우선 S952로서, AMC 영역의 폭에 상한을 마련하기 위한 임계값을 설정한다. 프레임의 선두는 PUSC 영역에서 시작되는 것이 규격에서 정해져 있기 때문에, PUSC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임시 AMC 영역을 프레임의 뒤쪽에 채워 마련하고, 임시 AMC 영역의 선두를 리얼타임계 AMC 임계값으로 한다. 리얼타임계 AMC 임계값은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의 각각의 SP값의 총합의 비에 따라서 결정해도 좋다.
다음에, SS마다 변조방식, 부호화율, 리얼타임계 AMC 임계값(및 서브채널수)으로부터, 1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SS에 할당된 영역에서 송신 가능한 최대 데이터량을 산출한다(S952). 이 최대 데이터량이 AMC 사용자마다의 SB의 사이즈로 된다.
다음에 S953으로서, 각 AMC 대상 SS의 큐이고, 1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UGS)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사용자마다 설정된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54로서, 각 AMC 대상 SS의 큐이고, 2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ertPS)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사용자마다 설정된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55로서, 각 AMC 대상 SS의 큐이고, 3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rtPS)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사용자마다 설정된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상기 스케쥴링 종료후, S956으로서, 사용자마다 할당된 SB에 저장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최대 AMC 영역 심볼수(잠정)를 산출한다.
도 23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리얼타임계 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스케쥴링(S943)에서는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순차 버스트의 할당을 실행한다.
도 24(b)는 리얼타임계(PUSC)의 맵핑예이다.
우선 S961로서, S956에서 산출된 최대 AMC 영역 심볼수로부터,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를 결정한다.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는 (다운링크 최대 심볼수 - AMC 대상 SS의 리얼타임계 버스트의 최대 사용 심볼수)이다. 단, FUSC나 PUSC w/ all subchannels 대상의 SS가 존재하는 경우, FUSC존, PUSC w/ all subchannels 존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를 정한다. 예를 들면, PUSC 사용자, FUSC 사용자, PUSC w/ all subchannels 사용자로 분류하여 SP값의 합계를 계산하고, 그 비율로 결정한다.
다음에 S962로서,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로부터, PUSC존용 SB의 사이즈(PUSC 존에 맵핑 가능한 데이터량의 상한에 상당)를 산출한다. 이 때, 사용자마다 변조방식, 부호화율이 다르기 때문에, 개산적으로 PUSC존용의 SB 사이즈를 정한다.
다음에 S963으로서, PUSC에 삽입 필수의 버스트(FCH, DL-MAP, UL-MAP)를 할당한다.
다음에 S964로서, PUSC 대상 SS의 큐이고 1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또, 해당 PUSC 대상 SS에는 앞의 리얼타임계 AMC의 스케쥴링(S943)에 있어서 이미 할당이 실행된 AMC 대상 SS는 제외되어 있다.
다음에 S965로서, PUSC 대상 SS의 큐이고 2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66으로서, PUSC 대상 SS의 큐이고 3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 리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상기 스케쥴링 종료후, S967로서, PUSC용 SB에 저장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사용할 심볼수를 산출하고,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를 결정한다. PUSC 영역에서는 SCSB, SUSB, MUSB의 어느 버스트도 이용할 수 있으며, SB를 사용자마다 분할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는 PUSC 영역에 버스트를 배치하지 않으면 알 수 없으므로, 이 시점에서 논리상의 맵핑이 완료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도 24(b)에 있어서, 가장 심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서브채널에 있어서의 심볼수가 최대 PUSC 영역 심볼수이다.
다음에 S968로서, 만약 FUSC나 PUSC w/ all subchannels이 필요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각각의 존에 대해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S969, 그리고, 리얼타임계 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합계영역 심볼수를 산출한다.
도 23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논리얼타임계 AMC의 스케쥴링(S944)에서는 SS마다 프레임의 빈 영역에 뒤에서 채워 버스트의 할당을 실행한다.
도 25(a)는 논리얼타임계(AMC)의 맵핑예이다.
우선, S971로서, S969에서 산출한 리얼타임계 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합계영역 심볼수로부터 논리얼타임계 AMC 경계를 설정한다.
다음에 S972로서, 각 AMC 대상 SS의 큐이고, 4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nrtPS)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해당 SS에 할당된 서브채널이 남아 있는 영역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S952에서 사용자마다 설정된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73으로서, 각 AMC 대상 SS의 큐이고, 5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BE)에 속하는 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해당 SS에 할당된 서브채널이 남아 있는 영역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S952에서 사용자마다 설정된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S974로서, 상기 스케쥴링 종료후, 사용자마다 할당된 SB에 저장된 각 데이터량으로부터 최대 AMC 영역 심볼수를 결정한다.
도 23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논리얼타임계(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스케쥴링(S945)에서는 각 존의 빈 영역에 앞에서 채워버스트의 할당을 실행한다.
도 25(b)는 논리얼타임계(PUSC, FUSC, PUSC w/ all subchannels)의 맵핑예이다.
우선, S981로서, S974에서 산출된 최대 AMC 영역 심볼수로부터 최대 PUSC 영역 심볼수를 결정한다. 도 25(b)와 같이 FUSC나 PUSC w/ all subchannels이 없으면, 최대 PUSC 영역 심볼수에 의해 논리얼타임계 PUSC 경계는 AMC 영역의 선두에 설정되고, 경계를 넘어서 PUSC의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S982로서, PUSC 대상 SS의 큐이고 4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에 속하는 논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남아 있는 영역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83으로서, PUSC 대상 SS의 큐이고 5번째의 우선순위의 QoS 카테고리에 속하는 논리얼타임계 큐 중에서, SP값이 높은 순으로, 남아 있는 영역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84로서, FUSC에 대해, S982∼S983과 마찬가지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FUSC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85로서, PUSC w/ all subchannels에 대해, S982∼S983과 마찬가지로 스케쥴링을 실행하고, PUSC w/ all subchannels용 SB로 송신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S987로서, PUSC용 SB 등에 저장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사용할 심볼수를 산출하고, 각 존의 최대심볼수 및 그 합계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S988로서, S987에서 산출한 합계 심볼수를 AMC 영역의 선두(존 경계)로 해서, AMC 영역의 버스트를 앞에서 채운다. 이와 같이 각 영역이 그 선두부터 버스트송신이 시작되도록 버스트 배치를 조정하여, 맵핑이 완료한다.
도 26은 본 예의 스케쥴링/맵핑 처리에 의한 맵핑 완료예이며, PUSC와 AMC의 2존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버스트의 배치방법으로서 AMC 영역에서는 주파수방향 긴쪽(도 4), PUSC 영역에서는 대략 정방형(도 6)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임의의 배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버스트의 정의 방법에 대해서도, SCSB, SUSB, MUSB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27은 지금까지 설명한 스케쥴링/맵핑 처리에 있어서 SB에 관한 부분을 뽑 아 낸 SB 제어의 흐름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 SB는 존마다(논리적/물리적으로) 분할된다. 또한 AMC 영역에서는 SS(사용자)마다 AMC를 실행하는 형편상, SB도 또한 SS마다(논리적/물리적으로) 분할된다. 분할된 각 SB에는 사이즈가 설정되고, 그것에 수납되도록 큐의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존에 수납되는 바와 같은 맵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무선기지국은 스케쥴링수단이 큐마다 설정되는 QoS 파라미터(Maximum latency, Minimum reserved Traffic rate 및 Tolerated jitter)나, 해당 큐마다의 전회의 리드(SB로의 리드로서, 큐내의 패킷이 송신된 것을 의미함)로부터의 경과시간, 전회송신 데이터량, 전회까지의 지터, (해당 큐가 할당된 버스트의) 변조 다진수 및 부호화율을 입력 파라미터로 하고,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함수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우선도를 해당 큐마다 계산하고, 해당 스케쥴링 우선도를 새로운 해당 큐마다의 속성값으로서 유지하며, 각 큐의 해당 스케쥴링 우선도끼리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송신순번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흐름에 요구되는 통신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무선기지국은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를 각각 서브채널 배치 종별마다(존마다) 분류하고, 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의 순으로, 또 적응변조 가능한 서브채널 배치, 적응변조 불가능한 서브채널 배치의 순으로, 무선프레임 구성내의 데이터 배치 가능한 영역을 계산하면서 데이터 배치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SS에 적합한 복수의 서브채널배치 종별을 이용해도 적절 하게 QoS에 따른 스케쥴링 및 무선자원을 유효하게 사용한 맵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무선기지국의 구성도
도 2는 실시예 1의 스케쥴링 처리에 관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의 SB(Scheduling Buffer) 및 Next SB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의 버스트의 배치방법의 일례(주파수방향 장방형)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의 버스트의 배치방법의 일예(시간축방향 장방형)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버스트의 배치방법의 일예(대략 정방형)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맵핑부(3)에 의해 생성되는 버스트의 내용도
도 8은 실시예 1의 스케쥴링 기능에 관한 타이밍도
도 9는 실시예 1의 큐관리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주제어기능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11은 실시예 1의 큐배분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2는 실시예 1의 커넥션확립 요구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3은 실시예 1의 커넥션절단 요구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4는 실시예 1의 SS 패킷 수신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5는 실시예 1의 프레임 작성 기능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16은 실시예 1의 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 1의 논리얼타임계의 스케쥴링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8은 실시예 1의 맵핑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
도 19는 실시예 1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20은 수신채널 상태의 주파수특성
도 21은 실시예 2의 SP값 계산 메인처리의 흐름도
도 22는 실시예 2의 SP값 계산처리의 흐름도
도 23은 실시예 2의 스케쥴링/맵핑 처리의 흐름도
도 24는 실시예 2의 리얼타임계의 맵핑예
도 25는 실시예 2의 논리얼타임계의 맵핑예
도 26은 실시예 2의 맵핑 완료예
도 27은 실시예 2의 SB 제어의 흐름도

Claims (8)

  1.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기지국 장치로서, 송신할 패킷을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와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로 배분하고,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배분수단과,
    상기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와 상기 비리얼타임계 서비스로 배분된 큐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스케쥴링수단과,
    상기 스케쥴링수단에 의해 결정된 송신순서로 패킷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가 저장하고 있는 패킷의 무선프레임에 있어서의 배치를 결정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하는
    무선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리얼타임계의 큐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의 큐에 대해, QoS 요구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우선도값에 따라서 송신순서를 결정하는 동종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상기 리얼타임계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에서 상기 우선도값의 산출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보다도 상기 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큐가 먼저 되도록, 패킷의 송신순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 배분수단은 패킷을 커넥션 ID별로 큐에 저장함과 동시에, 리얼타임계 서비스와 비리얼타임계 서비스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QoS의 요소를 상기 큐에 대응짓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지연의 함수와, 서비스 클래스의 함수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이에 대응하는 이동단말과의 사이의 무선품질의 함수와, 해당 큐에 축적되어 있는 패킷의 수 또는 사이즈의 함수와, 해당 큐의 전회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의 함수와, 송신회수의 함수로부터 복수 꺼내는 조합의 합 및/또는 곱으로 표시되는 우선도값으로서, 상기 리얼타임계와 상기 비리얼타임계에서 다른 상기 우선도 값을 큐마다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측정한 무선품질의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무선신호의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는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무선품질의 정보와 상기 도플러 주파수에 의거하여, 서브 채널 배치 또는 변조방식 또는 부호화율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7. 복수의 가입자국과의 사이에서 IP층 레벨로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기지국장치로서,
    송신할 패킷을 복수의 큐에 배분하고, 패킷의 내용을 저장하는 큐 배분수단과,
    상기 복수의 큐의 각각에 대해, 큐마다 설정되는 최대 지연량과, 큐마다 설정되는 최소 보증 대역폭과, 큐마다 설정되는 허용 지터량과, 큐마다의 전회의 패킷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과, 큐마다의 전회의 송신데이터량과, 큐마다의 전회의 송신데이터량과, 큐마다의 전회의 지터량과, 큐마다의 변조 다진수와, 큐마다의 부 호화율을 입력 파라미터로 하고, 리얼타임계와 논리얼타임계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함수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우선도를 해당 큐마다 계산하고, 스케쥴링 우선도의 크기의 순서에 따라서 해당 큐를 송신하는 스케쥴링수단을 구비하는
    무선기지국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는 OFDM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선기지국장치로서,
    리얼타임계 및 논리얼타임계 서비스의 각 큐를 복수의 서브채널 배치 종별마다 분류하고, 리얼타임계, 논리얼타임계의 순으로, 또 적응변조 가능한 서브채널 배치, 적응변조 불가능한 서브채널 배치의 순으로, 무선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 배치 영역내에, 배치 가능한 데이터량을 계산하면서 데이터배치를 결정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하는
    무선기지국장치.
KR1020070095496A 2006-09-27 2007-09-19 무선기지국장치 KR101267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1613 2006-09-27
JP2006261613 2006-09-27
JPJP-P-2007-00024726 2007-02-02
JP2007024726 2007-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85A true KR20080028785A (ko) 2008-04-01
KR101267141B1 KR101267141B1 (ko) 2013-05-23

Family

ID=3953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496A KR101267141B1 (ko) 2006-09-27 2007-09-19 무선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10202A1 (ko)
JP (1) JP2008211759A (ko)
KR (1) KR101267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3167B2 (en) * 2001-09-27 2009-11-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pstream priority lookup at physical interface
JP4828386B2 (ja) * 2006-11-29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4845719B2 (ja) * 2006-12-25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WO2008066120A1 (fr) 2006-11-29 2008-06-05 Kyocera Corpora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s, station de base, terminal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US7856004B2 (en) * 2007-03-08 2010-12-2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for scheduling heterogeneous traffic in B3G/4G cellular networks with multiple channels
US8908511B2 (en) * 2007-12-21 2014-12-09 Telcom Italia S.P.A.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s; corresponding devices,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099140A1 (en) * 2008-03-04 2009-09-09 Alcatel, Lucent Base station link adaptation method
JP2009296522A (ja) * 2008-06-09 2009-12-17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11063A (ja) * 2008-06-26 2010-01-14 Panasonic Corp パケット送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US8842676B2 (en) * 2009-01-09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link scheduling using weighted QoS parameters
US9065779B2 (en) 2009-06-12 2015-06-23 Wi-Lan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and scheduling packe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665724B2 (en) 2009-06-12 2014-03-04 Cygnus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and scheduling packe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292206B2 (ja) * 2009-07-06 2013-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装置またはシステム
EP2471322A4 (en) * 2009-08-24 2016-11-02 Intel Corp QUICK AND LOW CONSUMPTION SERVICE TRANSMISSION
US8612526B2 (en) * 2010-07-21 2013-12-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message transcriptions
US8879695B2 (en) 2010-08-06 2014-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voicemail transcription
JP4846047B2 (ja) * 2010-08-11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JP5596177B2 (ja) * 2010-12-16 2014-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2131297B (zh) * 2011-03-16 2013-03-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资源分配方法和设备
EP2557876B1 (en) * 2011-07-29 2016-10-12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time-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JP6098633B2 (ja) 2012-03-02 201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05879B2 (ja) * 2012-12-20 2016-10-12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無線リソースをスケジュール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062286B2 (ja) * 2013-02-27 2017-01-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ロギングシステム
CN105284084B (zh) * 2013-03-21 2018-11-06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用于调度通信可调度单元的方法和装置
MY182312A (en) 2015-06-22 2021-01-19 Ericsson Telefon Ab L M Blanking pattern indication for resource utiliz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WO2018131080A1 (ja) * 2017-01-10 2018-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CN110312226B (zh) * 2018-03-20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通信装置
US11057748B1 (en) * 2018-09-17 2021-07-06 Synapse Wireless, Inc. Prioritized communication windows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11831560B2 (en) * 2019-02-04 2023-11-28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at least distribution of a packet to a queue and update of a distribution rule thereof
WO2021235795A1 (en) * 2020-05-17 2021-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quality-of-service (qos) in communication networks
KR20220042927A (ko) * 2020-09-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들의 작업들과 관련된 복수의 패킷들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2980B1 (en) * 2000-12-19 2006-02-21 Chiaro Networks, Ltd. System and method for router queue and congestion management
JP3662543B2 (ja) * 2002-02-15 2005-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伝送方法
US7110411B2 (en) * 2002-03-25 2006-09-19 Erlang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FQ scheduling using a plurality of scheduling queues to provide fairness, high scalability, and low computation complexity
US7385997B2 (en) * 2002-04-08 2008-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y based bandwidth allocation within real-time and non-real-time traffic streams
US7093256B2 (en) * 2002-12-13 2006-08-15 Equato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al-time and non-real-time access to a shared resource
KR100610221B1 (ko) 2005-02-23 2006-08-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의 데이터 분기장치 및 그 방법
KR100704674B1 (ko) * 2005-06-27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02750A1 (en) * 2005-07-01 2007-01-04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Generic Real Time Scheduler for Wireless Packet Data Systems
US7853205B2 (en) * 2005-11-02 2010-1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of control channel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645514B2 (en) * 2006-05-08 2014-02-0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self-organization of devices
KR200425886Y1 (ko) 2006-06-27 2006-09-1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큐오에스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141B1 (ko) 2013-05-23
US20090010202A1 (en) 2009-01-08
JP2008211759A (ja)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41B1 (ko) 무선기지국장치
US20190222981A1 (en) Method for allocating v2x resource pool to subframe remaining after excluding specific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EP2241124B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triggering of the transmission of buffer status reporting (bsr) information
EP17399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a multi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79929B1 (en) Scheduling a communication service
US20180049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938008B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资源分配的方法和设备
CN102369778B (zh) 移动通信系统中的缓冲状态报告
KR1009436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16598B1 (ko) 시그널링 방법, 시스템, 기지국 및 이동국
US928254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659714B1 (ko) 적응형 버퍼 상태 보고
KR100709663B1 (ko) 통신 장치
CN110225547B (zh) 一种调度请求发送、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060136341A (ko) 다중채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200201594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wireless data
US20110310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a Multi-hop Environment
CN112637911B (zh) 一种5G系统中eMMB和urllc并存时资源分配方法及系统
US20210160038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KR200600911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81307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dit-based channel transmission scheduling (CBCTS)
JP7424379B2 (ja) 通信デバイ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CN110383914A (zh) 信息发送方法、装置、终端、接入网设备及系统
KR20090039519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영역 할당방법
WO2021098055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