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707B1 -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 Google Patents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707B1
KR100706707B1 KR1020027006169A KR20027006169A KR100706707B1 KR 100706707 B1 KR100706707 B1 KR 100706707B1 KR 1020027006169 A KR1020027006169 A KR 1020027006169A KR 20027006169 A KR20027006169 A KR 20027006169A KR 100706707 B1 KR100706707 B1 KR 10070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ampler
portable
nozzle hole
nozz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572A (ko
Inventor
스기타나오키
핫타유타카
야마다타케시
나카타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직관부(15s)의 상류측에 테이퍼부(15t)를 설치한 노즐공(15a)을 노즐판(15)상에 격자상으로 배치하고, 노즐판(15)을 통과한 부유균을 배지에서 효율 좋게 포집하여 콜로니를 생성시키고, 눈으로 측정하여 콜로니 수를 계측하여 크린도를 측정한다.

Description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PORTABLE AIR-BORNE BACTERIA SAMPLER}
본 발명은 미생물이나 세균 등에 의한 오염상태를 조사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실내의 공중 부유균을 효율적으로 또한 계수하기 쉬운 상태로 포집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약ㆍ식품공학 등이나 병원을 비롯한 공공시설 등에 있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세균ㆍ진균 등을 포집하여 무균상태를 조사하는 공중 부유균 샘플러(sampler)로서, 정치형(定置型)과 포터블형(portable type)인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는 바이오크린룸, 식품공학의 생산라인 등의 크린도(a degree of cleanness)가 요구되는 장소나 병원 등의 미생물 오염상태의 주의관리가 요구되는 장소에서, 오염상태의 관리나 조사를 위해서 그들 공간내부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12는 종래예의 포터블형 샘플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이 포터블형 샘플러는 포집부(1)와 조작부(2)로 구성되고, 조작부(2)에는 운반에 사용되는 손잡이(3)가 부착되어 있다. 이 포집부(1)의 선단부에는 공중 부유균을 포착하기 위해서 공기가 유입하는 노즐부(4)가 감합되어 있고, 노즐부(4)에는 다수의 노즐공(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샘플러에 있어서는, 전원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팬을 회동하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의 샘플러 부근의 세균ㆍ진균 등의 피검입자(T)를 포함하는 공기류(A)가 노즐공(5)으로부터 흡인된다. 이 공기류(A)는 노즐공(5)을 통과하여 배지(K, 도 3 참조)에 충돌하여 피검입자(T)가 배지(K)에 포집된다.
(1)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의 포터블형 샘플러에 있어서는, 노즐공(5)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판(4)의 표면에서 단위면적당 노즐공(5)의 수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이 결과,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풍량이 부분적으로 다르고, 풍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배지가 건조하여 피검입자(T)중의 균의 포집율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됨과 동시에, 균을 포집한 경우에서도 배양후의 콜로니(colony)가 생기지 않게 되고, 또한 노즐공(5)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좁은 장소에서는 포집균이 근접하기 때문에, 배양할 때에 콜로니가 겹쳐져서, 실제의 콜로니 수를 알 수 없게 됨과 동시에, 방사상으로 정연하지 않게 배양된 콜로니가 늘어서기 때문에, 특별한 방법이나 별도 콜로니 계수기 등이 없으면, 쉽게 콜로니의 계수 누락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2) 또한, 피검입자(T)를 포함하는 공기류(A)는 노즐공(5)의 사이의 평탄부 표면에서 공기류(A)의 흐름이 저해되고, 피검입자(T)의 일부의 입자(T')가 이 부분에 부착하기 쉽다. 실제로, 피검입자(T)를 포함하는 공기류(A)를 사용한 실험에서, 평탄부의 부착상황을 가시화하여 보면, 평탄부에 부착하는 입자(T')가 많은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노즐공(5)의 사이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가까운 경우에는, 그 장소에서 공기류(A)가 일시적으로 체류하여 정체된 점이 발생하고, 입자(T')의 부착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크린도가 높게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는 크린룸 등의 환경에서 샘플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노즐공(5)을 통과시키지 못하여 노즐판(4)의 상류면에 균이 부착하면, 이들 균은 배지(K)에 포집되지 않고 사멸해 버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원래의 노즐공(5)을 통과하여 배지(K)에 포집되는 균이 적은 양호하게 관리된 환경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배지(K)에 도달하여 포집되는 균수가 상당히 적게 되어, 크린룸 등의 환경이 정말 크린도가 높은건지, 측정할 수 없었던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1)을 해소하고, 단위면적당 노즐을 통과하는 풍량을 균일화함과 동시에, 공중 부유균을 포집한 후에 배양하여, 생성된 콜로니의 수 및 위치를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2)을 해소하고, 균수가 적은 환경에서도 공중 부유균을 유효하게 포집하고, 정체된 점을 되도록 적게 하여, 고정밀도로 크린도의 평가가 가능한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는, 복수의 노즐공을 갖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을 유지하는 노즐유지부재와, 상기 노즐판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배지를 수납하는 샬레(schale)를 지지하는 샬레지지부와, 공기류를 생성하는 팬을 갖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에 있어서, 직관부(直管部)와 상기 직관부의 상류측에 원추상의 테이퍼부(taper portion)를 갖는 노즐공을, 복수의 직교하는 가로세로 2방향의 등간격인 평행선의 교점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는 복수의 노즐공을 갖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을 유지하는 노즐유지부재와, 상기 노즐판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배지를 수납하는 샬레를 지지하는 샬레지지부와, 공기류를 생성하는 팬을 갖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에 있어서,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의 상류측에 원추상의 테이퍼부를 갖는 노즐공을, 복수의 가로방향의 등간격의 기준선과, 상기 기준선에 대해서 60도 및 120도의 복수의 등간격의 평행선에 의한 3방향의 교점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샘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포집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노즐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노즐공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직관부를 단축한 때의 노즐공의 단면도이며,
도 7은 테이퍼부의 각도를 넓힌 때의 노즐공의 단면도이고,
도 8은 한계입자경과 포집효율의 그래프도이며,
도 9은 정방형의 각 정점에 배열된 때의 노즐공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정방형의 각 정점에 배열된 때의 노즐공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정삼각형의 각 정점에 배열한 노즐공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종래예의 샘플러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노즐간의 평탄부에서 균부착 상황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도 1∼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의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포터블형 샘플러는 공중 부유균의 포집부(11)와 조작부(12)로 구성되고, 조작부(12)에는 운반용 손잡이(13)가 부착되어 있다. 포집부(11)를 형성하는 원통상의 광체(筐體)(14)의 상부에는 미세한 다수의 노즐공(15a)을 격자상으로 갖춘 노즐판(15)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유지부(16)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또한,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노즐유지부(16)는 예컨대, 나사구조 등에 의해 광체(14)에 감합되어 있다.
노즐판(15)의 바로 아래에는 한천 등의 배지(K)를 수납한 샬레(S)가 샬레지지부(17)에 지지되어 있고, 노즐판(15)과 샬레(S)중의 배지(K)의 상면과의 극간(g)은 0.5∼1.5mm로 되어 있다. 또한, 샬레지지부(17)의 아래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아래쪽에 터보팬이나 볼텍스 블로어(vortex blower) 등의 고정압팬(18), 고정압팬(18)을 구동하는 모터(19) 및 제어회로가 배설되어 있고, 높은 포집성을 고려하여 노즐판(15)에서 풍속은 20m/초 이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광체(14)의 가장 하부에는 배기용 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할 때에는 배지(K)를 소정의 두께로 충진한 샬레(S)를 광체(14)의 샬레지지부(17)에 의해 지지한 후에, 노즐유지부(16)를 광체(14)의 상부에 감합한다. 모터(19)를 구동하여 고정압팬(18)을 회전하면, 공기류(A)는 노즐공(15a)으로부터 유입하여, 노즐판(15)과 배지(K)의 간극(g)을 통과하여 흐른다. 이때, 노즐판(15)을 통과하는 풍속을 20m/초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배지(K)가 포집판으로 되고, 공중을 부유하는 예컨대, 세균ㆍ진균 등은 배지(K)의 표면에 관성충돌하는 것에 의해 배지(K)에 부착하여 포집된다. 그 후에, 공기류(A)는 고정압팬(18)에 의해 더 흡인되어,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부의 극간을 통과하여 배기용 필터(20)를 통하여 배기된다.
어느 정도의 크린도가 유지관리되어 있는 크린룸 내에서 공중 부유균의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샘플러의 처리풍량은 ISO규격을, 10분 간격으로 흡인가능한 100+L/분으로 설정한다. 이때, 노즐판(15)으로는 노즐공(15a)의 절삭가공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예컨대 판두께 t=2.3mm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고 있다.
공중 부유균 샘플러에 있어서는, 공중 부유균을 배지(K)상에서 고효율로 포집할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부분에서 포집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배지(K)의 표면의 공기류(A)의 방향과 크기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므로써 고효율 포집을 달성하고 있지만, 한쪽에서 배지(K) 이외의 부분에서 부유균이 부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류(A)의 방향과 크기의 급격한 변화가 국소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배지(K) 이외의 부분에서 가장 급격한 공기류(A)의 변화가 발생하는 장소는, 노즐판(15)의 상류측의 에지부분이다. 따라서, 공기류(A)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 흐름을 만들기 위해서, 노즐판(15)의 에지부 분을 위쪽이 열린 원추상으로 가공하여, 직관부(15s)의 상류측에 큰 테이퍼부(15t)를 형성하고 있다.
노즐공(15a)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관부(15s)와 그 상류측에 설치한 테이퍼부(15t)로 구성할 때에, 압력손실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직관부(15s)는 극력 짧은 쪽이 바람직하므로, 가공정밀도도 고려하여 길이를 0.3[+0, -0.1]mm=B[+0, -Y]으로 설정한다. 또한, 배지(K)에서의 균의 포집효율은 노즐공(15a)의 직관부(15s)를 통과하는 풍속이 클수록 상승하고, 이 풍속은 직관부(15s)의 내경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노즐공(15a)의 직관부(15s)의 내경은 포집효율 및 가공정밀도를 고려하여 0.36 ±0.01mm = D ±Z(0.1017㎟)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노즐공(15a)을 직관부(15s)만으로 형성하면, 흡인시의 압력손실이 증대하기 때문에, 직관부(15s)의 상류측에 테이퍼부(15t)를 설치하고 있지만, 테이퍼부(15t)의 열린 각도가 지나치게 크면, 노즐판(15) 내에 배치하는 노즐공(15a)의 수가 한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가장 압력손실이 적은 열린각도 45 ±2도 즉, 편측 22.5 ±1도 = θ+ α의 테이퍼부(15t)를 형성한다. 그리고, 테이퍼부(15t)의 깊이는 직관부(15s)의 길이 0.3mm를 제외한 나머지 판두께 2.0mm로 되고, 이것에 의해 테이퍼부(15t)의 최상부의 최대 개구경(Dg)은 2.02mm로 된다.
노즐판(15)은 내경 85mmφ의 샬레(S)와의 관계로부터 직경 73mm의 치수로 되고, 그 때의 표면적은 4185㎟이다. 그리고, 노즐공(15a)은 하류의 배지(K)에서 포집한 부유균의 배양후의 콜로니 수를 눈으로 측정하여 직감적으로 계측하기 쉽도록, 격자상 요컨대, 복수의 직교하는 가로세로 2방향의 등간격의 평행선의 교점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면적 4185㎟의 노즐판(15)에 가로세로 2방향으로 등간격인 평행선, 예컨대 피치 P = 2.4mm의 격자상선을 따라서 끼워서, 그 교점위치와 노즐공(15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노즐판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부분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되거나, 또는 그러한 임의의 노즐공(15a)을 형성해 가면, 전체 710개 정도, 예컨대 713개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이퍼부(15t)의 최대지름부의 단으로부터 인접한 테이퍼부(15t)의 최대지름부까지의 최대지름부간의 거리(L)를 가공오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노즐공(15a)을 피치(P)를 2.4 ±0.1mm = P ±X로 설정하여, 최대지름부간 거리(L)를 0.38mm로 한다.
또한, 노즐공(15a)의 배치가 지나치게 분리되면, 노즐판(15)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노즐공(15a)을 배치할 수 없게 되어 포집효율의 저하 등을 초래한다. 더욱이, 거리(L)가 크게 되기 때문에, 노즐판(15)의 표면의 평탄부가 증가하고, 공기류중의 피검입자의 일부가 이 부분에 부착해 버리는 비율이 증가하는 데다가, 공기류가 일시적으로 체류하여 정체된 점의 유발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노즐판(15)의 상류면에서 입자의 부착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거리(L)를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노즐공(15a)의 배치를 가깝게 하여 최대지름부간 거리(L)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노즐공(15a)의 평탄부(15f)는 작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인접하는 테이퍼부(15t) 사이에서 공기류(A)가 어느 방향으로도 흐르지 않아서, 이 부분에 정체된 점으로서 공기류(A)가 일시적으로 체류하여 국부적으로 많은 입자가 부착해 버린다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노즐공(15a)의 개구 최대지름부가 겹쳐지면 이 부분에 예리한 능선부가 발생하기 때문에, 노즐판(15)을 청소하는 경우에 청소용 천이나 실부스러기가 걸리기 쉽고, 반대로 포집시에 방해가 되거나 사람의 손이 닿는 경우에 상처를 입힐 염려가 있다.
또한, 직관부(15s)의 깊이는 0.3mm로 되어 있지만, 가공정밀도상의 치수오차가 [+0, -0.1]mm 정도이고, 여기에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관부(15s)의 깊이가 0.2mm로 되면,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은 0.0414 ×2mm만 증가하여, 2.02 + 0.083 = 2.103mm로 된다.
더욱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퍼부(15t)의 개구각도가 가공정밀도의 관계로부터 2도 정도 넓어질 가능성이 있고, 이 범위를 고려하면,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은 0.0413 ×2mm만 증가하여, 2.02 + 0.083 = 2.103mm로 된다.
따라서, 직관부(15s)의 길이와 테이퍼부(15t)의 개구각도의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면,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은 0.166mm 증가하여, 2.186mm로 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노즐공(15a)에 있어서, 이와 같은 상태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간의 거리(L)가 0.166mm만 좁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거리(L)가 0.166mm 좁아지는 것에 더하여, 공(孔)가공을 행할 때에 정밀도상 가공축이 인접축 각각이 예컨대, 0.1mm 어긋나서 거리(L)가 0.2mm 더 좁아져도, 이와 같은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치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치 P = 2.3mm에서는 테이퍼부(15t)의 겹쳐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치 P = 2.4mm를 결정하였다.
또한,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간의 거리(L)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L = (P ±X) - (D ±Z) - 2[{t - (B + 0, -Y)}tan(θ±α)]
또한, 최대편차는 δmax = Lmax - Lmin으로 된다.
여기에서, Lmax = (P + X) - (D - Z) - 2[{t - (B + 0)}tan(θ- α)], Lmin = (P - X) - (D + Z) - 2[{t - (B - Y)}tan(θ+ α)]로 하고, 상술한 가공오차분, 즉 X = 0.1mm, Y = 0.1mm, Z = 0.01mm, θ= 22.5도, α= 1도, t = 2.3mm, B = 0.3mm의 가공오차분을 가미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δmax = 2X + 2Z + 2[(t - B){tan(θ+ α) - tan(θ- α)}
+ Ytan(θ+ α)] = 0.2 + 0.02
+ 2 ×[2 ×(0.435 - 0.394) + 0.1 ×0.435]
= 0.2 + 0.02 + 2 ×(0.082 + 0.0435)
= 0.2 + 0.02 + 0.251 = 0.47057ㆍㆍㆍㆍㆍ≒0.47
따라서, 최대지름부간의 거리(L)는 가공정밀도상, 0 ≤L ≤0.47의 범위로 되는 것이 적당하다.
도 8에 나타난 한계입자경과 포집효율의 이상그래프도(에어로솔테크놀로지, 114페이지, 도 5, 8, 임팩트의 한계입자경의 이상과 실제 : 1985년 4월 10일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쇼인 발행)에 의하면, 포집효율을 5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경 우는 스톡수(StK)의 값을 0.22 이상(
Figure 112002014629783-pct00001
= 0.47 이상), 95% 이상의 포집효율로 하는 경우는 0.3 이상(
Figure 112002014629783-pct00002
= 0.5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 스톡수(Stk)는 입자밀도 ρ, 입경 d, 풍속 U, 커닝햄 계수 C, 공기의 점성 η, 노즐내경 D로 하면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Stk = ρd2UC/9ηD ㆍㆍㆍㆍ(1)
본 실시예와 같이, 직경 73mm의 노즐판(15)에 형성하는 노즐공(15a)의 개수를 713개로 한 경우에는, 식(1)에 따른 계산식에, 본 실시예의 입자밀도 ρ= 1 ×10-3kg/㎤, 입자경 d = 고초균과 거의 동일한 0.7㎛, 커닝햄 계수 C = 1.237, 공기의 점성 η= 1.847 ×10-6kgfㆍs/㎡ ×9.8m/sec2, 가공오차가 있으므로 공경이 0.01mm 크게 가공되어도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노즐내경 D = 0.36 + 0.01 = 0.37mm를 사용하여, 100L/min을 노즐공 전체 개구면적에서 뺀 값의 풍속 U = 21.78m/s를 대입하여 산출하면, Stk수 = 0.22를 하회하게 된다.
따라서, Stk수 = 0.22를 넘도록 노즐공(15a)의 개수를 삭감한다. 즉, 종횡직교하는 중심선에 의해 구분되는 각 상한(象限)으로부터 각 8개의 노즐공(15a)을, 각 상한에서 대칭으로 되도록 합계 32개 감하여 681개로 하고, 노즐공(15a)의 피치 (P)는 변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노즐공(15a)을 통과하는 풍속은 20m/초를 넘는 24.04m/초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이 Dg = 2.02mm일 때에, 노즐공(15a)을 공피치 P = 2.4mm로 배치한 경우에는 4개의 노즐공(15a)의 중심끼리를 연결할 수 있는 가상정방형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고려하면, 이 영역내에서의 노즐공(15a)의 직관부(15s)와 테이퍼부(15t) 이외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평탄부(15f)의 면적은 가상정방형의 면적에 대해서 44.4%로 된다.
여기에서 도 10(a)는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가 서로 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경우는 평탄부(15f)의 가상정방형 면적비는 21.5%로 된다. 또한,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 사이에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의 반분의 간격을 설정하여 L = Dg/2로 한 경우에는, 평탄부(15f)의 가상정방형 면적비는 65.1%로 되고,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지름부 사이에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Dg)과 동일한 거리를 설정하여 L=Dg로 한 경우에는 평탄부(15f)의 가상정방형 면적비는 80.3%로 된다.
이때, 소정 이상의 풍속을 얻기 위한 노즐공(15a)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681개 이상 필요하게 되므로, 이것으로부터 피치(P)는 2.48mm 이하 즉, 거리(L)는 0.46 이하가 아니면 안되고, 이때의 가상정방형 면적비는 44.4%로 된다. 따라서, 노즐공(15a)은 상술한 가상정방형 면적비가 21.5∼44.4%로 되는 범위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노즐판(15)을 격자상은 아니고,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방향으로 연속한 다수의 정삼각형의 각 정점에, 노즐공(15a)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복수의 가로방향의 등간격의 기준선에 대해서 60도 및 120도의 복수의 등간격의 평행선에 의한 3방향의 교점위치에, 노즐공(15a)을 배치하는 것에 의 해,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노즐공(15a)간의 거리를 가장 접근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격자상으로 노즐공(15a)을 배치하는 방식에 비하여 콜로니의 계수가 약간 번잡하게 되지만, 평탄부(15f)의 면적비는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 테이퍼부(15t)의 개구 최대지름부가 접하는 경우에는, 평탄부(15f)의 가상정삼각형에 대한 면적비는 9.3%로 되고,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삼각형의 1변을 테이퍼부(15t)의 개구의 최대경의 2배인 2Dg로 하면, 가상정삼각형 면적비는 77.3%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노즐판(15)의 평탄부(15f)를 가장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노즐판(15)의 상류면에 부착하는 사멸균을 감소시켜, 노즐공(15a)을 통과하여 배지(K)에 도달하는 피포집입자를 유효하게 샘플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정방형배치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부터, 노즐공(15a)은 가상정삼각형 면적비가 9.3∼73.9%로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는, 노즐공을 직관부와 그 상류측에 설치한 원추상의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노즐공을 등간격의 격자상 또는 각 방향으로 연속한 정삼각형의 각 정점에 배치하므로써, 고속의 흡인풍량을 압력손실 적게 달성할 수 있어, 균수가 적은 환경에서도 공중 부유균을 유효하게 포집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환경의 크린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복수의 노즐공을 갖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을 유지하는 노즐유지부재와, 상기 노즐판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배지를 수납하는 샬레(schale)를 지지하는 샬레지지부와, 공기류를 생성하는 팬을 갖는 포터블형(portable type) 공중 부유균 샘플러(sampler)에 있어서,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의 상류측에 원추상의 테이퍼부를 갖는 노즐공을, 복수의 직교하는 가로세로 2방향의 등간격의 평행선의 교점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인접 노즐공의 테이퍼부의 최대지름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노즐공의 중심축끼리의 간격이 상기 테이퍼부의 최대지름부와 동일한 치수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공은 인접 테이퍼부의 최대지름부간의 간격을 L로 할 때에, 0 ≤L ≤0.47mm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공은 4개의 노즐공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정방형의 면적에 대해서, 상기 노즐공의 테이퍼부 이외의 평탄부의 면적이 21.5∼80.3%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6. 복수의 노즐공을 갖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을 유지하는 노즐유지부재와, 상기 노즐판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배지를 수납하는 샬레를 지지하는 샬레지지부와, 공기류를 생성하는 팬을 갖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에 있어서,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의 상류측에 원추상의 테이퍼부를 갖는 노즐공을 복수의 가로방향의 등간격의 기준선과, 상기 기준선에 대해서 60도 및 120도의 복수의 등간격의 평행선에 의한 3방향의 교점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7. 제 6항에 있어서, 인접 노즐공의 테이퍼부의 최대지름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공은 3개의 노즐공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면적에 대해서, 상기 노즐공의 테이퍼부 이외의 평탄부의 면적이 9.3∼77.3%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KR1020027006169A 1999-11-25 2000-11-17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KR100706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34201 1999-11-25
JP33420199A JP4441024B2 (ja) 1999-11-25 1999-11-25 ポータブル型空中浮遊菌サンプ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572A KR20020063572A (ko) 2002-08-03
KR100706707B1 true KR100706707B1 (ko) 2007-04-11

Family

ID=1827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69A KR100706707B1 (ko) 1999-11-25 2000-11-17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92953B1 (ko)
EP (1) EP1233056A4 (ko)
JP (1) JP4441024B2 (ko)
KR (1) KR100706707B1 (ko)
CN (1) CN1221658C (ko)
CA (1) CA2393926A1 (ko)
HK (1) HK1052527B (ko)
TW (1) TWI234646B (ko)
WO (1) WO2001038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167B1 (fr) * 2000-11-24 2003-01-31 Air Liquide Procede de separation de particules vivantes d'un gaz sous pression et sa variante, determination de sa qualite microbiologique, dispositif apte a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utilisation
US20040185521A1 (en) * 2003-03-20 2004-09-23 Shigeru Yoshida Microorganism sampling method and microorganism sampling device
GB0420292D0 (en) * 2004-09-10 2005-02-09 Bae Systems Plc Particle separator
JP2006345704A (ja) * 2005-06-13 2006-12-28 Hitachi Ltd 細菌捕集装置
US7926368B2 (en) * 2006-11-01 2011-04-19 Zefon International, Inc. Humidity-controlled gas-borne matter collection device
JP4767920B2 (ja) * 2007-07-06 2011-09-07 関西セイキ工業株式会社 空中浮遊菌サンプラー
US7940188B2 (en) * 2008-02-07 2011-05-10 Veltek Associates, Inc. Air samp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air sampling devices with their own flow switches
US7973668B2 (en) * 2008-02-07 2011-07-05 Veltek Associates, Inc. Air samp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air sampling devices with their own flow switches
US8188874B2 (en) * 2008-02-07 2012-05-29 Veltek Associates, Inc. Air sampling system having inline flow control switch
WO2009157510A1 (ja) * 2008-06-27 2009-12-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菌捕集担体カートリッジ、担体処理装置および菌の計測方法
EP2161561A1 (en) * 2008-09-03 2010-03-10 BAE Systems PLC Particle separators
EP2326936A2 (en) * 2008-09-03 2011-06-01 BAE Systems PLC Particle separators
WO2011103145A1 (en) 2010-02-18 2011-08-25 Veltek Associates, Inc. Improved air sampling system
JP5282912B2 (ja) * 2010-03-26 2013-09-04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捕集ユニット
FR2960969B1 (fr) * 2010-06-08 2017-06-02 Thales Sa Dispositif porta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aeroportees
JP5761588B2 (ja) * 2010-07-27 2015-08-12 柴田科学株式会社 大気中の被捕集物質の捕集装置、捕集方法及び濃度測定方法
EP2607473A1 (en) * 2010-08-20 2013-06-26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Method for arranging nozzle holes of collector nozzle in airborne microorganism collection device and airborne microorganism collection device
US8701980B2 (en) 2011-10-27 2014-04-22 Veltek Associates, Inc. Air samp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9285792B2 (en) 2012-11-09 2016-03-15 Veltek Associates, In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based control center and user interface for air sampling in controlled environments
WO2014192787A1 (ja) * 2013-05-31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検出装置
ES2539413B1 (es) * 2013-12-31 2016-04-11 Fundación Andaluza Para El Desarrollo Aeroespacial Dispositivo de captura y almacenamiento múltiple de muestras de elementos macroscópicos
US9939416B2 (en) 2014-08-28 2018-04-10 Veltek Assoicates, In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base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air sampling in controlled environments
US9945825B2 (en) * 2014-10-29 2018-04-17 The Boeing Company Predictive analysis of complex datasets and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D877924S1 (en) * 2016-08-15 2020-03-10 Veltek Associates, Inc. Portable sampling device
US11662279B2 (en) 2016-08-15 2023-05-30 Veltek Associates, Inc. Portable air sampler
EP4109068B1 (en) * 2018-02-07 2024-07-03 Veltek Associates, Inc. Portable air sampler
CN112204372A (zh) * 2018-11-08 2021-01-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检测系统以及信息显示系统
CN113186089B (zh) * 2021-04-29 2023-10-31 正太集团有限公司 一种检验科用空气浮游菌采集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743A (ja) * 1998-02-19 1999-08-24 E Jet:Kk 浮遊菌や粉塵の捕集装置
EP0964240A1 (en) * 1998-06-10 1999-12-15 Millipore S.A. Sampling apparatus for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of ai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012A (en) * 1975-06-06 1976-07-06 Jones Jay A Aerosol bacterial contamination test kit
GB2224118B (en) * 1988-08-16 1991-10-23 Burkard Manufacturing Company Air sampler
JPH0568300A (ja) 1991-09-09 1993-03-19 Sony Corp 車載用オーデイオ装置
JP2580638Y2 (ja) * 1992-02-21 1998-09-10 株式会社日研生物医学研究所 微生物検査用微生物捕集器
US5421214A (en) * 1993-01-25 1995-06-06 Central Biomedia, Inc. Air sampler for clean rooms
FR2732692B1 (fr) * 1995-04-06 1997-06-20 Unir Dispositif de controle microbiologique d'un gaz sous pression
US6133020A (en) * 1996-05-07 2000-10-17 Pitzurra; Ovidio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the air and a method of operating said apparatus
FR2777904B1 (fr) * 1998-04-24 2000-12-15 Millipore Sa Cassette ainsi que procede et appareil d'analyse de l'air l'utilisant
TW409186B (en) * 1998-10-26 2000-10-21 Midori Anzen K K Portable sampling device for air floating bacter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743A (ja) * 1998-02-19 1999-08-24 E Jet:Kk 浮遊菌や粉塵の捕集装置
EP0964240A1 (en) * 1998-06-10 1999-12-15 Millipore S.A. Sampling apparatus for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of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1658C (zh) 2005-10-05
KR20020063572A (ko) 2002-08-03
JP2001149064A (ja) 2001-06-05
JP4441024B2 (ja) 2010-03-31
TWI234646B (en) 2005-06-21
EP1233056A4 (en) 2006-05-17
WO2001038483A1 (fr) 2001-05-31
CN1390251A (zh) 2003-01-08
US6692953B1 (en) 2004-02-17
CA2393926A1 (en) 2001-05-31
HK1052527B (zh) 2005-12-23
HK1052527A1 (en) 2003-09-19
EP1233056A1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707B1 (ko) 포터블형 공중 부유균 샘플러
Macher Positive-hole correction of multiple-jet impactors for collecting viable microorganisms
US6565638B1 (en) Portable air-borne bacteria sampler
US9146188B2 (en) Variable flow path width virtual impactor and particle detecting device
SG182465A1 (en) Microbial air sampler
JPWO2012114458A1 (ja) 大気中微生物等の捕集装置及びその捕集方法
WO2018047409A1 (ja) 粒子計数器組み込み型隔離装置
US20210331113A1 (en) Particulate collection device
Kang et al. Evaluation of air samplers for recovery of biological aerosols in dairy processing plants
JP2000300246A (ja) ポータブル型空中浮遊菌サンプラ
WO2019090243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filterless wet removal of particles from and humidification of air
Benbough et al. Determination of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a microbial air sampler
JP4441027B2 (ja) ポータブル型空中浮遊菌サンプラ
JPH10123043A (ja) 可変形プローブを備えたパーティクルカウンター
TWI827109B (zh) 微粒子測量裝置
Duart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Clean Rooms
CN214953376U (zh) 一种用于环境治理的环境检测装置
Li Aerosolization Potential of Fungal Spores from the Colony Growing on HVAC Ducts.
KR102670729B1 (ko) 집진장치
KR102254078B1 (ko) 공기정화기용 입자분리기
Mainelis et al. Performance of a compact air-to-liquid aerosol collector with high concentration rate
Kuz'mina et al. Sanitary estimation of vortex air circulation for work-room ventilation.
JP2002106943A (ja) 局所空間清浄化ノズルおよび局所空間清浄化ユニット
Ljungqvist et al. Sampling of Airborne Viable Particles-A Comparative Study of Common Instruments
JP4026996B2 (ja) 粉体試料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