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114B1 -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114B1
KR100705114B1 KR1020050120616A KR20050120616A KR100705114B1 KR 100705114 B1 KR100705114 B1 KR 100705114B1 KR 1020050120616 A KR1020050120616 A KR 1020050120616A KR 20050120616 A KR20050120616 A KR 20050120616A KR 100705114 B1 KR100705114 B1 KR 10070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roof
mounting
clip structure
m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의 접속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폐쇄하기 위해 설치되는 루프 몰딩(loop molding)을 고정하는 클립(clip)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클립을 개발하여 루프 패널에 업 플랜지를 성형하지 않고도 공간부 상에 루프 몰딩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11)에 걸림턱(14c)을 갖는 마운터(14)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와 마운터사이에는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사면(12a)을 갖는 지지블럭(12)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지지블럭의 경사면 사이에는 대응된 경사면(13a)을 갖는 작동블럭(13)을 설치하여 록킹수단에 의해 지지블럭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루프 패널, 아우터 패널, 루프 몰딩, 클립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Clip Structure for Fixing a Loop Molding of an Automobile}
도 1은 종래 루프 몰딩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마운터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이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사이에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루프 패널 2 : 아우터 패널
11 : 베이스 12 : 지지블럭
12a, 13a : 래치돌기 12b, 13b : 돌기
13 : 작동블럭 14 : 마운터
15 : 완충수단
본 발명은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의 접속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폐쇄하기 위해 설치되는 루프 몰딩(loop molding)을 고정하는 클립(clip)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클립 자체가 공간부 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루프 몰딩의 고정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의 접합에 따라 이들 사이에 접합면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접합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간부를 별도의 루프 몰딩으로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루프 몰딩의 사용에 따라 자동차의 외관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종래 루프 몰딩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에 각각 형성된 사이드 플랜지(1a)(2a)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되어 공간부(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루프 패널에 형성된 사이드 플랜지(1a)로부터 연장된 부위에는 업 플랜지(1b)가 형성되어 있어 루프 몰딩(4)에 고정되는 후크형태의 클립(5)이 상기 업 플랜지(1b)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후크형태를 갖는 클립을 고정하기 위하여 루프 패널에 형성된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연장되게 업 플랜지를 형성하므로 인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루프 패널의 프레스 성형 시 업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4단 절곡을 하여야 되므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져 금형의 제작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었음은 물론 스프링 백의 발생원인으로 작용되었으므로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둘째, 부품(루프 패널)의 운송 또는 적재과정에서 부주의로 업 플랜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변형되므로 루프 몰딩의 조립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셋째, 루프 패널에 업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인해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의 접합면을 실링(실러 도포)하는 작업성이 불량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밀불량의 발생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넷째, 몰딩 클립과 업 플랜지사이의 체결력 약화로 인해 클립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다섯째, 차종에 따라 공간부의 폭 및 업 플랜지의 위치가 각기 다른 경우에는 동종의 루프 몰딩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클립을 개발하여 루프 패널에 업 플랜지를 성형하지 않고도 공간부 상에 루프 몰딩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에 걸림턱을 갖는 마운터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와 마운터사이에는 루프 패널과 아우터 패널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사면을 갖는 지지블럭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지지블럭의 경사면 사이에는 대응된 경사면을 갖는 작동블럭을 설치하여 록킹수단에 의해 지지블럭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마운터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판 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의 양측에 안착면(11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면에는 상향 돌출된 걸림턱(11b)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1)의 상면에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블럭(12)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블럭의 사이에는 지지블럭(12)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블럭을 양측으로 밀어주는 작동블럭(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접속면에는 지지블럭이 최대한 양측으로 이동하여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수단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접속면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각 경사면에 형성된 래치돌기(12a)(13a)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래치돌기(12a)(13a)는 통상의 래치돌기와 마찬가지로 작동블럭(13)의 누름 시에는 작동블럭에 형성된 경사면이 지지블럭(12)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작동블럭(13)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한 경우에는 지지블럭(12)이 후퇴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은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운터(14)에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장공(14a) 및 수직 장공(14b)과, 상기 지지블럭 및 작동블럭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 장공 및 수직 장공에 끼워지는 돌기(12b)(1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1)에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이 위치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는 마운터(14)가 베이스(11)의 안착면(11a)에 얹혀져 걸림턱(11b)에 걸려 있는데, 상기 마운터(14)의 상면에는 루프 몰딩이 마운팅되는 걸림턱(14c)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블럭(12)의 양 측면을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의 경사 구배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하여도 본 발명의 클립을 공간부(3) 내에 고정 설치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블럭(12)의 접속면에 별도의 완충수단(15)을 고정하여 클립의 고정 시 완충수단(15)이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과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지지블럭(12)이 접속되는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이 어느 정도 경사져 있더라도 작동블럭(13)의 누름 동작으로 지지블럭(12)이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완충수단(15)이 어느 정도 변형을 하므로써, 클립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동블럭(13)의 누름으로 지지블럭(12)이 이동하여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완충수단(15)이 보다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완충수단(15)을 고무 또는 경질의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블럭(12) 사이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부품이 전부 조립되었을 때 이탈되지 않고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속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11)의 상면에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이 위치되고, 그 상면으로는 마운터(14)가 위치하여 베이스(11)에 형성된 걸림턱(11b)에 걸려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블럭(1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지지블럭(12)이 상호 내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클립을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11)가 공간부(3)의 바닥면에 닿도록 클립을 공간부(3)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킨 다음 작동블럭(13)을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작동블럭 및 지지블럭의 경사면에 의해 지지블럭 (12)이 작동블럭(13)의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12b)(13b)가 마운터(14)에 형성된 수평 장공(14a) 및 수직 장공(14b)에 끼워져 있어 이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지지블럭(12)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블럭(12)의 외측에 고정된 완충수단(15)이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에 긴밀히 접속되면 작동블럭(13)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경사면에는 래치돌기(12a)(13a)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블럭(12)이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의 벽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운터(14)에 형성된 걸림턱(14c)을 이용하여 루프 몰딩을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루프 패널에 형성된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업 플랜지를 성형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루프 패널로부터 업 플랜지의 삭제가 가능해지게 되므로 실링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루프 패널 및 아우터 패널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공간부 내에 클립을 견고한 상태로 체결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루프 몰딩의 체결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지지블럭 사이의 간격을 임의의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타 차종의 제작에 클립 사용의 호환성을 갖는다.

Claims (8)

  1. 베이스(11)에 걸림턱(14c)을 갖는 마운터(14)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11)와 마운터(14)사이에는 루프 패널(1)과 아우터 패널(2)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사면을 갖는 지지블럭(12)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지지블럭(12)의 경사면 사이에는 대응된 경사면을 갖는 작동블럭(13)을 설치하여 록킹수단에 의해 지지블럭(12)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의 양측에 걸림턱(11b)을 갖는 안착면(11a)을 구비하여 상기 마운터(14)가 안착면(11a)에 얹혀진 상태에서 걸림턱(11b)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경사면에 형성된 래치돌기(12a)(13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마운터(14)에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장공(14a) 및 수직 장공(14b)과, 상기 지지블럭(12) 및 작동블럭(1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 장공(14a) 및 수직 장공(14b)에 끼워지는 돌기(12b)(1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2)의 양 측면에는 루프 패널(1) 및 아우터 패널(2)과 접속되는 완충수단(15)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2) 사이에 탄성부재(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KR1020050120616A 2005-12-09 2005-12-09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KR10070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16A KR100705114B1 (ko) 2005-12-09 2005-12-09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16A KR100705114B1 (ko) 2005-12-09 2005-12-09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114B1 true KR100705114B1 (ko) 2007-04-06

Family

ID=3816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16A KR100705114B1 (ko) 2005-12-09 2005-12-09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4A (ja) * 1996-07-04 1998-01-23 Sharp Corp ゲートウェイ装置、クライアント計算機およびそれらを接続した分散ファイルシステム
JP2000005419A (ja) * 1998-06-23 2000-01-11 Sanyo Bussan Kk 遊技機
JP2002046721A (ja) * 2000-05-23 2002-02-12 Tsukasa Kogyo Kk ロータリー式開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4A (ja) * 1996-07-04 1998-01-23 Sharp Corp ゲートウェイ装置、クライアント計算機およびそれらを接続した分散ファイルシステム
JP2000005419A (ja) * 1998-06-23 2000-01-11 Sanyo Bussan Kk 遊技機
JP2002046721A (ja) * 2000-05-23 2002-02-12 Tsukasa Kogyo Kk ロータリー式開袋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541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98-23523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21134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46721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6522B2 (ja) ブラケット装置及びブラケット装置を含む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101067262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4345981B2 (ja) 一方の面を製品表面とした合成樹脂製品の連結構造
US9150120B2 (en) Fastening clip
JP6086295B2 (ja) サイドシルスカッフのオープニングトリム挟持構造
KR100705114B1 (ko) 자동차의 루프 몰딩 장착용 클립구조
KR20060109341A (ko) 도어 내측 강판 및 캐리어 요소로 이루어진 조립 유닛
JP4451273B2 (ja) 発泡充填具
JP6450654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に対するスカッフ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2001334826A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KR100787889B1 (ko) 자동차 내장트림의 연결장치
JP2013023056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2021098399A (ja) 外装部材の接続構造
KR20120108603A (ko) 자동차용 마운팅클립
JP2001343089A (ja) 棒状体クリップ
KR102456787B1 (ko) 패스너 홀더와 패스너의 결합 구조
JP2002012102A (ja) バンパークリップ
JP2008132888A (ja) 車両の箱形荷台のフレーム構造
JP2014210491A (ja) バンパーカバーの取付け構造
KR102175262B1 (ko) 차량의 루프몰딩 및 이를 포함하는 루프 어셈블리
JP2013116683A (ja) カバー部材の固定構造
JP4528169B2 (ja) 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および取付用クリップ
KR200377578Y1 (ko) 자동차 내외장 판넬 조립용 클립
JP2011247394A (ja) 樹脂部品の取付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