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85B1 - 배관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85B1
KR100704785B1 KR1020050065942A KR20050065942A KR100704785B1 KR 100704785 B1 KR100704785 B1 KR 100704785B1 KR 1020050065942 A KR1020050065942 A KR 1020050065942A KR 20050065942 A KR20050065942 A KR 20050065942A KR 100704785 B1 KR100704785 B1 KR 10070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wir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937A (ko
Inventor
손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n element which is hinged on one end of the pipe-ends and which is maintained in locked position by a screw tightened against the other pipe-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배관 연결시 사용되는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클램프는 연결하는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배관 외주면에 상응하는 반원형이고 내주면 또는 외부면에는 소정의 홈 갖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 2 몸체,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결합시 환형이 되고, 환형으로 결합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만나는 두 개의 부분 중 한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와, 다른 한 부분을 조이기위한 클램프 조임 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배관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 조임 부재가 상기 클램프를 조일 때, 각각의 클램프 몸체가 배관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밀착되어 배관을 조여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관 클램프는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클램프가 배관의 이음 부위에서 너트로 조이면서 결합될 때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배관 이음 부위를 완전히 밀착하여 조여줄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배관 연결시 보다 용이하게 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다.
배관 클램프, 클램프

Description

배관 클램프{CLAMP FOR TIGHTENING PIPE}
도 1은 종래 배관 클램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클램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클램프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배관 클램프 160 : 내주면 홈
110 : 제 1 몸체 200 : 와이어
120 : 제 2 몸체 210 : 와이어 라인
130 : 고정핀 220a, 220b : 제 1 및 제 2 고리
140 : 클램프 조임 부재 230 : 외주면 홈
150 : 결합 부재
본 발명은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분야 및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는 공통적으로 박막 공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예컨대,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제조되는 반도체 제품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턴스를 박막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분야는 액정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 등을 박막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박막 공정은 미세하고 정밀한 공정이므로 박막의 형성 공정은 매우 정밀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다수의 박막 형상 장치들 중 일부는 유독성 화학 가스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 제거 도는 박막의 특성을 변경시킨다.
박막 공정에 사용되는 유독성 가스는 미량이 누설되더라도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고, 유독성 화학 가스 중 일부는 대기 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유독성 화학 가스는 내식성 및 내약품성에 강한 배관을 매개로 화학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반도체 제조 장비로 공급된다. 이 때, 가스 공급 시스템과 반도체 제조 장치의 연결을 위한 배관은 이음 부위가 없는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하는 것이 누설 방지 측면에서 가장 이상적이지만, 이는 배관의 운반 및 설치 그리고, 유지 보수 등의 현실적인 측면으로는 불가능하며, 실질적으로는 여러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배관과 배관의 이음 부분은 유독성 가스의 누설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이 이음 부분을 밀착하여 결합하기 위해 클램프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10)는 제 1 몸체(11), 제 2 몸체(12), 고정핀(13), 결합 부재(15), 그리고 클램프 조임 부재(14)를 갖는다.
제 1 몸체(11)는 배관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는 반원형의 형상이고, 내주면에는 소정의 홈을 갖는다. 제 2 몸체(12)는 제 1 몸체(11)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몸체(11)와 환형으로 결합된다.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가 환형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두 부분에서 결합되어야 한다. 그 중 한 결합부분은 결합부재(15)와 고정핀(13b, 13c)에 의해서 결합되며, 다른 결합부분은 클램프 조임 부재(14)에 의해서 결합된다.
결합부재(15)에는 각각의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를 관통되어 형성된 홀에 상응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홀들을 일치시킨 후 그 홀에 고정핀(13b, 13c)이 삽입하여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의 일측을 결합하게 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는 결합부재(15) 상에서 고정핀(13b, 13c)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를 회전할 수 있다.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는 이러한 소정의 각도를 회전하게 되므로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배관의 외주면을 이탈할 수 있다.
클램프 조임 부재(14)는 결합 부재(15)의 맞은편 결합 부분에 위치하여 클램프(10)의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를 서로 조여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 조임 부재(14)는 고리핀(14c)과 너트(14d)를 포함한다. 고리핀(14c)은 고리(140a) 부분과 나사산이 형성된 핀(14b) 부분으로 나뉜다. 고리(140a)는 제 2 몸체부(12)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는 고정핀(13a)에 끼워진다. 너트(14d)는 핀(14b)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된다. 예컨대, 너트(14d)는 작업자가 직접 돌릴 수 있는 나비 너트의 형상이고, 너트(14d)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된다.
클램프(10)를 조이기 위해서는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가 환형으로 결합하고 고리핀(14c)의 위치를 제 1 몸체(11)의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너트(14d)를 점차 회전시키면, 제 1 몸체(12)와 제 2 몸체(11)가 상호 밀착되면서 클램프(10)를 조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관 클램프(10)는 배관의 이음부위를 밀착하여 연결할 때 배관의 이음부위에 힘이 골고루 전달하기 힘들다. 이는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는 배관의 이음부위의 외주면과 정밀하게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단단한 서스 재질의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12)는 배관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너트(14d)로 클램프(10)를 조일 때 배관의 외주면과 클램프 몸체(11, 12)에 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배관 클램프로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 클램프의 몸체가 배관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서 배관 이음 부위에 리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 클램프 몸체가 골고루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하기 위해서 해머로 두들겨 주면서 너트를 조이는 불합리한 작업을 부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되면 클램프에 충격이 누적되므로 클램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의 목적은 클램프가 배관의 이음 부위에서 너트로 조이면서 결합될 때 해머로 배관 클램프를 두들겨주는 등의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없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배관 이음 부위를 완전히 밀착하여 조여줄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관 클램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제공하여 배관 클램프로 배관을 연결시, 배관 클램프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구비된 와이어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유도하고, 또한 와이어도 배관을 더욱 조여주면서 배관 전체에 골고루 힘을 가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와이어는 배관 클램프가 배관에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배관 클램프를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관 클램프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유독성 가스가 이송되는 배관들의 이음 부위에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 제조 공정뿐 아니라 그 밖에 산업상 이용되는 배관의 연결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
특히, 배관 클램프에 와이어가 구비되는 방식과 와이어의 개수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와이어가 구비되는 방식 및 와이어의 개수를 단순히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배관 클램프로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 클램프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갖는 배관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클램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클램프(100)는 제 1 몸체(first boby)(110), 제 2 몸체(second body)(120), 고정핀(fixing pin)(130), 클램프 조임 부재(clamp tighting member)(140), 결합 부재(union member)(150), 그리고 와이어(wire)(200)를 포함한다.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는 배관의 외주면과 상응할 수 있도록 각각 반원형으로 제작되며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는 원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을 이룬다.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가 환형으로 결합시 만나게 되는 두 개의 부분은 각각 클램프 조임 부재(140)와 결합 부재(150)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내주면에 배관의 연결시 배관의 이음 부위에 상응할 수 있도록 내주면 홈(160)이 형성된다.
결합 부재(150)는 제 1 몸체(110)의 일측과 제 2 몸체의 일측을 결합하기 위 한 부재이다. 결합 부재(150)에는 각각의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에 상응하는 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 1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과 결합 부재(150)에 일측에 형성된 홀을 일치한 후 고정핀(13c)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 2 몸체(120)에 형성된 관통홀과 결합부재(150)에 다른 일측에 형성된 홀을 일치한 후 고정핀(13b)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하여,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환형으로 결합된다. 제 1 몸체(110)는 고정핀(130c)을 축으로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몸체(120)는 고정핀(130b)을 축으로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운동으로 클램프(100)는 배관으로부터 탈착가능하다.
클램프 조임 부재(140)는 결합 부재(150)와 맞은편에서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를 조여주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프 조임 부재(140)는 고리핀(140c)과 너트(140d)를 포함한다. 고리핀(140c)의 한 쪽 끝단은 고리(140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은 나사산(140b)이 형성된 핀이다. 너트(140d)는 작업자가 직접 풀고 조일 수 있는 나비 너트의 형상이고, 고리핀(140c)에 형성된 나사산(140b) 상에서 이동된다.
고리핀(140c)은 고정핀(130a)에 의해 제 2 몸체(120)와 결합한다. 제 2 몸체(120)에서 클램프 조임 부재(14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리핀(140c)에 형성된 고리(140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30a)이 삽입된다. 제 2 몸체(120)에 삽입되는 고정핀(130a)에 의해 고리핀(140c)이 고정되고, 제 1 몸체(110) 와 제 2 몸체(120)가 원형으로 결합되면, 너트(140d)는 제 1 몸체(110)의 측면에 위치하여 나사산(140b)상에서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몸체(110, 120)를 조이고 풀 수 있다.
와이어(200)는 제 1 및 제 2 몸체(110, 120)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 홈(230)에 위치한다. 와이어(200)는 와이어 라인(210) 및 와이어 라인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와이어 고리(220a, 220b)를 포함한다. 와이어 고리(220a)는 고정핀(130a)에 삽입되어 제 2 몸체(120)의 일측과 고정되고, 와이어 고리(220b)는 고리핀(140c)의 나사산(140b)에 삽입되어 제 1 몸체(110)의 일측에서 결합된다.
와이어 고리(220b)는 너트(140d)와 고리(140a) 사이에서 이동하며, 나비 너트(140d)는 와이어 고리(220b)의 이동을 수행한다. 즉, 너트(140d)가 나사산(140b)을 따라 조여지면, 와이어 고리(220b)도 너트(140d)에 의해 조여지고, 너트(140d)가 풀어지면, 와이어 고리(220b)도 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관 클램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클램프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관(2)을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를 벌려서 그 사이에 배관(2)을 위치한 후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를 오므린다. 그리하여,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는 배관(2)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결합되고 고리핀(140c)의 나사산(140b)에 와이어 고리(220b)를 삽입하고 너트(140d)를 끼워 회전시키며 조여준다. 너트(140d)가 회전하면서 조여주게 되면, 너트(140d)에 의해 와이어 고리(220b)가 제 2 몸체(110)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 와이어 고리(220b)가 밀리면서 와이어 라인(210)은 클램프 몸체(110, 120)를 배관(2)의 외주면측으로 당겨주게 된다. 또한, 와이어 라인(210)은 클램프 몸체(110, 120)가 배관(2)을 조여주는 힘을 배관(2)의 외주면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와이어(200)가 구비되는 배관 클램프(100)는 배관(2)을 연결할 때 와이어(200)에 의해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의 내주면이 배관의 외주면과 정밀하게 밀착하여 조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클램프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배관 클램프에 구비되는 와이어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제 1 및 제 2 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모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클램프는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클램프가 배관의 이음 부위에서 결합시 배관 클램프에 구비된 와이어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배관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하여 조여줄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와이어도 배관을 더욱 조여주게 된다.
그러므로, 배관 클램프가 배관 이음 부위에 결합될 때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를 해머로 두들겨주는 등의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없이 배관을 완전히 밀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해머로 배관 클램프의 몸체를 두들겨서 배관을 연결 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배관 클램프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클램프에 있어서,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배관 외주면에 상응하는 반원형이고,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소정의 홈 갖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시, 결합되는 두 부분 중 한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와;
    다른 한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서로 조여주기 위한 클램프 조임 부재 및;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홈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각각의 고정핀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고정핀들을 축으로 각각 소정의 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임 부재는 제 2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리핀과, 상기 고리핀에 형성된 나사산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일측을 풀고 조이는 기능을 갖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끝단에는 와이어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끝단에는 와이어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나사산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KR1020050065942A 2005-07-20 2005-07-20 배관 클램프 KR10070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42A KR100704785B1 (ko) 2005-07-20 2005-07-20 배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42A KR100704785B1 (ko) 2005-07-20 2005-07-20 배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37A KR20070010937A (ko) 2007-01-24
KR100704785B1 true KR100704785B1 (ko) 2007-04-10

Family

ID=3801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42A KR100704785B1 (ko) 2005-07-20 2005-07-20 배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09B1 (ko) 2007-08-22 2009-10-05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진공배관용 클램프
KR20200098818A (ko) * 2019-02-13 2020-08-21 (주)아이솔루션 풀림 방지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43B1 (ko) * 2010-10-21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장실 공동 배관 구조
KR102644850B1 (ko) * 2021-09-16 2024-03-08 주식회사 레인테크 클램프 풀림 방지장치 및 클램프 고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43U (ko) * 1989-06-15 1991-01-29
US5354021A (en) 1994-01-04 1994-10-11 Farrell Darvel B An adjustable clamp
JPH0719692U (ja) * 1993-09-10 1995-04-07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バンド
KR200155193Y1 (ko) 1994-09-27 1999-08-16 정몽규 밴드 클램프
KR20040013409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43U (ko) * 1989-06-15 1991-01-29
JPH0719692U (ja) * 1993-09-10 1995-04-07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バンド
US5354021A (en) 1994-01-04 1994-10-11 Farrell Darvel B An adjustable clamp
KR200155193Y1 (ko) 1994-09-27 1999-08-16 정몽규 밴드 클램프
KR20040013409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09B1 (ko) 2007-08-22 2009-10-05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진공배관용 클램프
KR20200098818A (ko) * 2019-02-13 2020-08-21 (주)아이솔루션 풀림 방지 클램프
KR102207807B1 (ko) * 2019-02-13 2021-01-26 (주)아이솔루션 풀림 방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37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3187B (zh) 可陷型的垫圈锁紧板
JPS6364678B2 (ko)
KR100704785B1 (ko) 배관 클램프
US20090302598A1 (en) Pipe Joint Locking Device
US101971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flanges and other connections
KR101915928B1 (ko) 풀림 방지용 배관연결 클램프
KR20170000577U (ko) 배관 체결용 지그 장치
US20150130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flanges and other connections
JP2021089291A (ja) ジェットポンプすべり継手を修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091182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및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장치
TWI807082B (zh) 流路接頭構造
KR102032088B1 (ko) 반도체 및 엘씨디 제조장비의 배기시스템용 연결구
KR100917120B1 (ko) 파이프용 커플러
KR20150142752A (ko) 열 변형 방지용 지그
JP2015034605A (ja) 管継手
JPH0211992A (ja) 半導体製造装置の配管用クランプ継手
JP2007245258A (ja) 配管連結用治具
TWI783116B (zh) 管接頭與閥接頭部的鎖固裝置
KR20040013409A (ko) 배관클램프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JPH07248092A (ja) ライニング管の分岐部シール方法
JP2007285469A (ja) 配管接続装置
JP2003021282A (ja) 曲管継手
JP2001004069A (ja) 管路用接手
KR200331250Y1 (ko) 연결관의 플랜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