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63B1 -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63B1
KR100704763B1 KR1020000017006A KR20000017006A KR100704763B1 KR 100704763 B1 KR100704763 B1 KR 100704763B1 KR 1020000017006 A KR1020000017006 A KR 1020000017006A KR 20000017006 A KR20000017006 A KR 20000017006A KR 100704763 B1 KR100704763 B1 KR 10070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ssion
preliminary
release
preliminary ligh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614A (ko
Inventor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71With second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목 감소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목 감소 모드시 예비 발광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촬영자의 릴리즈 스위치 조작이 있으면, 이 릴리즈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중지시키고 본 발광을 지연시키기 위한 일정 시간 촬영 지연을 가진 후에 다시 예비 발광을 수행시키고 예비 발광이 완료되면 본 발광을 수행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비 발광 중에 예비 발광을 본 발광이라고 오판함에 따라 피사체인 인물이 움직이는 것에 대응하여 플래시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므로써, 필름의 낭비를 방지하고, 카메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예비 발광, 적목 현상, 발광 지연, 플래시, 카메라

Description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A PHOTOGRAPH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 RED EY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기능을 가진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기능을 가진 카메라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기능을 가진 카메라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camera)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목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으로부터 촬영을 위한 본 발광이 이루어지기까지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여 적목 감소를 위한 플래시(flash) 발광 촬영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목 현상이란 어두운 장소에서 섬광광원 즉, 플래시 벌브, 일렉트로닉 플래시등에서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인물을 정면에서 컬러 촬영하였을 때 인물의 동공이 빨갛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적목 현상은 인물의 동공이 광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동공이 많이 열린 상태에서 촬영하였을 때 발생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카메라는 적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물의 동공이 광에 충분히 익숙해져 동공이 작아졌을 때 플래시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종래에는 촬영이 수행되기 전에 미리 광을 조사하는 예비 발광을 하여 인물의 동공이 광에 대해 충분히 적응되도록 한 후 본 발광과 함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예비 발광을 위해 본 발광과 같은 플래시를 이용하는 방식과, 따로 LED(Light Emitting Diode)나 lamp 등을 채용하여 예비 발광을 해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적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비 발광을 사용한 종래의 기술로서, USP(미국특허출원공보)5,300,970, USP5,630,182, USP5,640,621, USP5,701,519, USP5,707,963, USP4,285,588 등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USP5,300,970은 플래시 발광을 위한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면 예비 발광이 수행되도록 하는 발명이고, USP5,630,182는 예비 발광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하는 발명이며, USP5,640,621은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에 의해 적목 발광 모드 또는 일반 플래시 발광 모드가 결정되어 촬영이 수행되는 발명이며, USP5,701,519는 예비 발광이 수행되는 동작 중에는 타 카메라 동작의 작동이 금지되도록 하는 발명이고, USP5,717,963은 적목 감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고 선택적 발광이 가능한 발명이며, USP4,285,588은 발광 명령에 의해 예비 발광이 먼저 일어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본 발광이 수행되는 발명입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적목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시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해서 전혀 대응할 수 없었으며, 플래시가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할 때 사용자가 예비 발광을 본 발광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 원치 않는 구도에서 촬영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가 예비 발광을 본 발광으로 오인하여 촬영에 임할 때에도 사용자는 예비 발광시의 피사체 동작에 대응하는 카메라 제어를 수행하여 정상적인 촬영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적목 기능을 가진 카메라는, 적목 감소 스위치, 릴리즈 스위치, 측광부, 제어부, 타이머, 및 플래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목 감소 스위치는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릴리즈 스위치는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영 시작을 알리는 릴리즈 1단 신호와,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릴리즈 2단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측광부는 피사체의 휘도를 검출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목 감소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적목 감소 모드를 설정 한 상태에서 상기 측광부의 출력 신호로서 피사체 휘도가 저휘도라고 판단하면, 예비 발광이 일정시간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예비 발광후 본발광 직전까지의 시간동안 상기 릴리즈 스위치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동작을 수행하여 본 발광 동작을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고, 예비 발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카운트 동작을 하여 설정 지연 시간의 정보를 제공한다. 플래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예비 발광 및 본 발광을 수행하여 피사체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릴리즈 1단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이 수행되도록 하고, 릴리즈 2단 신호에 따라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릴리즈 2단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수행하고 예비 발광이 완료되면 본 발광을 수행하는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부는 예비 발광을 위한 예비 발광부와, 본 발광을 위한 본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예비 발광부는 적목 감소용 발광 다이오드 또는 램프(lamp) 또는 제1 크세논 방전 튜브이고, 본 발광부는 제2 크세논 방전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방법은, 적목 감소 모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피사체 휘도가 저휘도이면, 릴리즈 스위치의 제1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스위치의 릴리즈 1단 신호가 재차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예비 발광을 종료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상기 예비 발광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단계로 리턴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예비 발광 중에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예비 발광 완료 후 본 발광과 함께 촬영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다.
삭제
여기서, 제1 신호는 릴리즈 1단 신호 이거나 릴리즈 2단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릴리즈 1단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수행하거나, 또는 릴리즈 2단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는, 적목 감소 모드 스위치(SW1), 릴리즈 스위치(SW2), 측광부(100), 측거부(200), 제어부(300), 타이머(400), 플래시부(500), 표시부(6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타이머(400)는 제어부(300)에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고 한다. 플래시부(400)는 예비 발광을 위한 예비 발광부(510)와, 본 발광을 위한 본 발광부(520)로 이루어지는데, 예비 발광부(510)는 광을 조사하는 예비 광원(511)과, 전하를 축적하여 예비 광원(511)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예비 축적부(512)로 이루어지고, 본 발광부(520)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 광원(521)과, 전하를 축적하여 발광 광원(521)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발광 축적부(522)로 이루어진다.
예비 축적부(512) 및 발광 축적부(522)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전원 전압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축적하여 발광 전압을 형성시켜 예비 광원(511) 및 발광 광원(521)에 공급한다. 여기서, 예비 발광부(510)의 예비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램프 또는 크세논 방전 듀트(xenon discharge tube)일 수 있다.
한편, 표시부(600)는 제어부(300)의 출력에 따라 촬영 연장 동작 표시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부(600)는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인데,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가 따로인 경우와 일체인 경우에 따라서 촬영 연장 동작 표시를 달리한다. 즉, 표시부(600)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촬영 연장 시간동안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점등시키고,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촬영 연장 시간동안 점등과 점멸을 번갈아시킨다.
여기서, 각 스위치(SW1, SW2)는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구동하고, 측광부(100) 및 측거부(200)는 릴리즈 1단 신호에 따른 제어부(3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검출한 피사체 휘도 정보 및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타이머(400)는 예비 발광부(510)의 동작중에 릴리즈 스위치(SW2)의 출력 신호가 발생할 때 인가되는 제어부(3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카운트 구동을 시작하여 카운트 정보를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설정 시간 후에 제어부(300)에 의해 구동이 정지된다.
플래시부(500)의 예비 발광부(510)는 릴리즈 1단 또는 릴리즈 2단 신호(S21, S22) 발생시 제어부(300)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예비 광원을 피사체로 조사하고, 광 조사중 릴리즈 1단 신호(S\21) 발생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정지되고 일정 시간후 재차 동작한다. 본 발광부(510)는 릴리즈 2단 신호(S22)가 발생하고 예비 발광부(510)의 발광 동작이 완료된 후에 제어부(300)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본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도2를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촬영자가 적목 감소 스위치(SW1)를 온 신호시키면, 제어부(300)느 적목 감소 스위치(SW1)의 온 신호를 입력하여 적목 감소 모드를 설정한다(S10).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촬영자가 릴리즈 스위치(SW2)를 조작하여 릴리즈 1단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300)는 릴리즈 1단 신호를 입력하여 측광부(100) 및 측거부(20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측광부(100) 및 측거부(200)의 구동에 의해 검출되는 피사체의 휘도 신호와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인 측거 신호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 및 피사체의 휘도를 판단한다(S20, S30).
여기서, 제어부(300)는 판단한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로서 자동초점조절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판단한 피사체 휘도로서 노출 제어 및 플래시 발광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피사체의 휘도가 저휘도로서 플래시 발광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면, 제어부(300)는 예비 발광부(51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예비 발광부(510)의 예비 광원(511)은 제어부(300)에서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광을 피사체로 발광한다. 이때, 예비 축적부(512)는 예비 광원(511)이 동작할 수 있는 동작 전압을 형성한 상태이다. 여기서, 예비 광원(511)은 LED 즉, 발광 다이오드인데, 발광 다이오드 대신 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S40).
여기서, 예비 발광부(510)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예비 발광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설정 시간은 피사체인 인물의 동공이 적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지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예비 발광부(510)를 구동시킨 후, 예비 발광부(510)의 예비 발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렇게 예비 발광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예비 발광 동작중에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S50).
즉, 대개의 일반인은 적목 현상이라는 것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그에 따라 적목 방지 촬영시 예비 발광이 수행된 후 본 발광이 수행된다는 것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예비 발광이 수행되면 예비 발광을 본 발광이라고 생각하고 촬영이 이루어졌겠지 라고 판단하여 본 발광이 수행되기 전에 움직이거나 눈을 깜박거리게 된다. 이때, 촬영자가 릴리즈 스위치(SW2)를 누르면,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300)는 예비 발광이 중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촬영자가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스위치(SW2)를 누르면 릴리즈 1단 신호(SW1)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재차 릴리즈 1단 신호(SW1)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여 예비 발광부(5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예비 광원(51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61, S62).
예비 광원(511)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제어부(300)는 타이머(400)를 구동시켜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한 시간이 설정된 촬영 연장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3).
여기서, 촬영 연장 시간을 가지는 것은 촬영자가 다시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함과 동시에 예비 축적부(512)가 예비 광원(511)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전압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300)는 촬영 연장 동작을 수행함을 촬영자 및 피사체 인물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60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부(600)는 1개의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와 또 다른 1개의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머(400)의 구동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시키고, 소정 시간후에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시키고, 다시 소정 시간후에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만을 발광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 동작은 타이머(400)의 동작이 끝나는 시점 즉, 촬영 연장 시간이 끝나는 시점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표시부(600)는 1개의 측거 확인 및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촬영 연장 시간의 시초점에서 점등 동작을 하고 소정 시간후에 점멸 동작을 하며, 다시 소정 시간후에 점등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 동작은 촬영 연장 시간이 끝나는 시점까지 이루어진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표시부(600)를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 로 촬영 연장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파인더내에 촬영 연장 확인을 나타내는 부호등의 메시지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타이머(400)로부터 시간을 체크하여 설정한 촬영 연장 시간이 되었다고 판단하면(S64), 다시 예비 발광부(51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예비 광원(511)이 발광하도록 한다(S40).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예비 광원(511)의 발광이 설정된 예비 발광 시간동안 완료하였는 지를 판단하고(S50), 예비 발광이 완료하면 릴리즈 2단 신호(S22)의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70).
그리고, 제어부(300)는 릴리즈 2단 신호(S22)가 입력하면 본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본 발광부(52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발광 광원(521)을 발광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300)는 도시하지 않는 셔터부를 구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도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진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는 제1 실시예가 릴리즈 1단 신호가 발생할 때 예비 광원(511)을 발광시켜 예비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예비 발광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는지에 대응 하는 플래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릴리즈 1단 신호가 발생하면 측거 및 측광 동작만을 수행하고 릴리즈 2단 신호가 발생할 때 예비 광원(511)이 설정된 예비 발광 시간동안 구동하며 예비 발광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는지에 대응하는 플래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간략히 설명하면, 적목 감소 스위치(SW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하면 측거부(200) 및 측광부(100)를 구동시켜 포커싱 및 노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초점조절 및 노출 제어를 수행한다(S100, S200, S300).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릴리즈 2단 신호가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고(S400), 릴리즈 2단 신호가 입력하며 예비 광원(511)을 설정된 예비 발광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제어한 후에(S500),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1단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600, S610).
여기서,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1단 신호(S21)가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예비 광원(511)의 발광을 중지시키고, 타이머(400)를 구동시켜 설정된 촬영 연장 시간을 판단한 후에(S620, S630, S640), 릴리즈 2단 신호(S22)가 입력될 때(S400) 다시 예비 광원(511)을 발광시킨다(S500).
한편, 상기 판단에서(S600), 예비 발광이 완료되면 제어부(300)는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발광 광원(521)을 발광시킴과 동시에 촬영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700, S800).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를 도4를 참조 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장치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나, 예비 광원(511)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램프가 아닌 크세논 방전 튜브를 사용한다.
크세논 방전 튜브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램프에 비해 요구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므로, 예비 축적부(512)는 예비 광원(511)이 발광 다이오드나 램프일 때보다 더 많은 예비 광원(511) 동작 전압을 형성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는 전반적으로 제2 실시예의 동작과 유사하나, 예비 발광중 릴리즈 1단 신호가 발생할 때 예비 축적부(512)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가지는 점이 다르다.
도4를 참조로 간략히 설명하면, 적목 감소 스위치(SW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하면 측거부(200) 및 측광부(100)를 구동시켜 포커싱 및 노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초점조절 및 노출 제어를 수행한다(S1000, S2000, S3000).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릴리즈 2단 신호가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고(S4000), 릴리즈 2단 신호가 입력하며 예비 광원(511)을 설정된 예비 발광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제어한 후에(S5000),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1단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6000, S6100).
여기서,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1단 신호(S21)가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예비 광원(511)의 발광을 중지시킨 후에(S6200), 예비 광원(511)을 발광시킬 수 있는 동작 전압이 예비 축적부(512)에 형성되도록 예비 축적부(512)의 재충전을 개시시킨다(S6300).
그리고, 제어부(300)는 재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6400), 재충전이 완료되면 타이머(400)를 구동시켜(S6500) 설정된 촬영 연장 시간을 판단한 후에, 촬영 연장이 이루어지면(S6600) 릴리즈 2단 신호(S22)가 입력될 때(S4000) 다시 예비 광원(511)을 발광시킨다(S5000).
한편, 상기 판단에서(S6000), 예비 발광이 완료되면 제어부(300)는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발광 광원(521)을 발광시킴과 동시에 촬영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7000, S8000).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중 하나일 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비 발광 중에 예비 발광을 본 발광이라고 오판함에 따라 피사체인 인물이 움직이는 것에 대응하여 플래시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므로써, 필름의 낭비를 방지하고, 카메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적목 감소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목 감소 스위치;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영 시작을 알리는 릴리즈 1단 신호와,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릴리즈 2단 신호를 출력하는 릴리즈 스위치;
    피사체의 휘도를 검출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측광부;
    상기 적목 감소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적목 감소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제1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예비 발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수단, 상기 예비 발광이 이루어지면서 본 발광이 수행되기 전까지의 시간간격 중에 상기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예비 발광을 종료하는 수단, 상기 예비 발광을 종료한 다음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예비 발광과 본 발광을 순차적으로 수행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카운트 동작을 하여 설정된 시간의 경과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예비 발광 및 본 발광을 각각 수행하여 피사체로 광을 조사하는 플래시부
    를 포함하는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거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 확인용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 지연시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영 지연을 나타내는 점광 및 소등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인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릴리즈 1단 신호에 따라 상기 예비 발광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예비 발광이 수행된 후에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릴리즈 2단 신호에 따라 상기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인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릴리즈 2단 신호에 따라 상기 예비 발광이 수행되도록 하고, 예비 발광이 수행된 후에 상기 본 발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부는 예비 발광을 위한 예비 광을 피사체로 발광하는 예비 광원과, 인가되는 전하를 축적하여 상기 예비 광원의 동작 전압을 형성하는 예비 축적부로 이루어진 예비 광원부, 및
    본 발광을 위한 플래시 광을 피사체로 발광하는 발광 광원과, 인가되는 전하를 축적하여 상기 발광 광원의 동작 전압을 형성하는 예비 축적부로 이루어진 본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6. 적목 감소 모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피사체 휘도가 저휘도이면, 릴리즈 스위치의 제1 신호에 따라 예비 발광을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예비 발광중에 릴리즈 스위치의 릴리즈 1단 신호가 재차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예비 발광을 종료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상기 예비 발광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단계로 리턴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예비 발광 중에 릴리즈 1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예비 발광 완료 후 본 발광과 함께 촬영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적목 감소 촬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제1 신호는, 릴리즈 1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제1 신호는, 릴리즈 2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릴리즈 1단 신호가 재차 입력됨에 따라 예비 발광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타이머를 구동시켜 시간 지연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를 통해 입력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지연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시간 지연이 설정된 시간만큼 완료되면 다시 예비 발광을 수행시키는 제3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적목 감소 촬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예비 발광을 중지시킨 후에, 예비 발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는 재충전 시간을 일정시간동안 가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목 감소 촬영 방법.
KR1020000017006A 2000-03-31 2000-03-31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0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06A KR100704763B1 (ko) 2000-03-31 2000-03-31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06A KR100704763B1 (ko) 2000-03-31 2000-03-31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614A KR20010094614A (ko) 2001-11-01
KR100704763B1 true KR100704763B1 (ko) 2007-04-09

Family

ID=1966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006A KR100704763B1 (ko) 2000-03-31 2000-03-31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45B1 (ko) * 2001-03-15 2007-10-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적목 현상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3939B1 (ko) * 2001-03-27 2008-01-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
KR100702397B1 (ko) * 2004-06-14 2007-04-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012A (en) * 1994-02-04 2000-02-22 Nikon Corporation Self-timer camera equipped with a red-eye reduc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012A (en) * 1994-02-04 2000-02-22 Nikon Corporation Self-timer camera equipped with a red-eye reduc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614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4880B2 (en) Photographic illumination device, image-capturing system, camera system and camera
US7606480B2 (en) Photographic illuminating device and camera
JPWO2005078529A1 (ja) カメラシステム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US5317362A (en) Control circuit for camera having auxiliary light source
JPH07504518A (ja) 写真フラッシュ装置
KR100704763B1 (ko)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29101B1 (ko) 카메라의 적목 발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2072302A (ja) カメラの調光制御装置
CN1208863B (zh) 对与成像器材一起使用的光源进行控制的装置、其控制方法以及照相机
JP3061437B2 (ja) カメラ及びカメラと非接続な外部ストロボからなるシステム
JP2010134091A (ja) ストロボ装置、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H0534577A (ja) オートフオーカスカメラ
KR950001386A (ko) 근접 촬영범위가 확대된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H0961896A (ja)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3014807B2 (ja) カメラのバッテリーチェック回路
JP3957853B2 (ja) カメラ
JP3202036B2 (ja) 補助光源を有するカメラ
JP4262821B2 (ja) 撮像用ストロボ装置
JP2001242510A (ja) カメラ
JP3300414B2 (ja) ストロボ回路
JP3238475B2 (ja) 強制無限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2001343579A (ja) カメラシステム
JPH0850318A (ja) 閃光撮影装置
JPH08190136A (ja) 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