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582B1 -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 - Google Patents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582B1
KR100704582B1 KR1020050134657A KR20050134657A KR100704582B1 KR 100704582 B1 KR100704582 B1 KR 100704582B1 KR 1020050134657 A KR1020050134657 A KR 1020050134657A KR 20050134657 A KR20050134657 A KR 20050134657A KR 100704582 B1 KR100704582 B1 KR 10070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dentification code
droplet
fine particles
droplet e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030A (ko
Inventor
유지 이와타
히로노리 하세이
히로츠나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B05D1/06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1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digital information, e.g. bar codes, data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non digital, non alphanumeric information, e.g. symb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3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ntaining identification or track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27Machine readable code, e.g. bar c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3Inkjet printing, e.g. for printing insulating material or res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간이한 설비로 형성할 수 있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액체방울 토출 장치(1)의 액체방울 토출 헤드(5)는 2차원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기판(10)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 미립자(P)를 분산시킨 금속 잉크(I)를 액체방울 토출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잉크 방울을 기판(10)에 부착시킨다. 또, 잉크 방울이 부착한 기판(10)을 가열 처리 또는 건조 처리하여 잉크 방울 내의 금속 미립자(P)를 기판(10)에 고착시킴으로써 2차원 코드를 묘화한다.
액체방울 토출 장치, 액체방울 토출 헤드, 식별 코드, 표시 모듈

Description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IDENTIFICATION CODE DRAWING METHOD, SUBSTRATE, AND DISPLAY MODULE}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체방울 토출 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액체방울 토출 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확대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액체방울 토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기판에 설치된 액체방울 토출 공정 후의 코드 묘화 영역의 모식도.
도 6은 가열 공정 후의 코드 묘화 영역의 모식도.
도 7은 표시 모듈의 모식도.
도 8은 도 7의 표시 모듈을 구비한 휴대 전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액체방울 토출 장치,
5 … 액체방울 토출 헤드,
6 … 액체방울 토출 노즐로서의 노즐,
10 … 기판,
30 … 코드 묘화 영역,
35 … 식별 코드로서의 2차원 코드 표시,
50 … 표시 모듈,
54 …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
I … 기능액으로서의 금속 잉크,
P … 미립자로서의 금속 미립자.
본 발명은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장치(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는, 기판 위에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를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기판에는 품질 관리·제품 관리 등의 목적으로, 제조 번호 등을 코드화한 바코드 등의 고유의 식별 코드가 묘화되어 있다. 이 식별 코드는 전용 코드·리더에 의해서 읽어 내져 해독(解讀)된다.
한편, 식별 코드를 형성한 기판은 전기 광학 소자의 각 제조 공정, 각 공정 사이의 세정 공정·가열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내찰성(耐擦性),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식별 코드를 묘화한 내열성의 점착성 씰(seal)을 기판에 부착하는 방법이나, 레이저 조사에 의한 기판에의 직접 묘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연마재를 포함한 물을 기판 등에 분사하여, 기판에 번호 등을 각인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레이저광을 조사 하여, 크롬 피막을 기재 등에 전사시켜 기판에 마크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3-12753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평 11-77340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각 방법에서는, 기판 등으로부터 소거하기 어려운 식별 코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지만, 워터제트 장치, 레이저 스퍼터링 장치 등의 특수 또는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고비용이 되는 것 외에 설비의 소형화가 어렵다. 또, 레이저 조사에 의해서 식별 코드를 묘화하는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 커진다. 또는 워터제트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기판에 물, 먼지 등이 부착하면 건조 처리 또는 세정 처리 등이 필요해, 공정수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기판에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간이한 설비로 묘화할 수 있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식별 코드를 묘화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액체방울을 상기 기판에 부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판에 부착한 액체방울을 가열 처리 또는 건조 처리하여, 상기 액체방울에 포함되는 상기 미립자를 상기 기판에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식별 코드를 묘화한다.
본 발명의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판에 대해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체방울 토출 노즐로부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토출하여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부착시킨다. 그리고, 기판에 부착한 액체방울을 가열 또는 건조하여, 미립자의 기판에의 고착에 의해 식별 코드를 형성한다.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에 의해 기판 위에 식별 코드가 묘화되므로, 내약품성, 내열성, 내찰성 등이 뛰어난,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액체방울 토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 또는 고가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간이한 장치로 기판에 식별 코드를 묘화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적어도 망간 또는 망간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능액에 분산시킨 미립자에는 적어도 망간 또는 망간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도전성이 낮은 미립자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능액이 전자 장치 등에 부착해도 장치의 고장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판을 각종 소자를 구비한 표시 모듈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제조 공정에서 절연막 중에 미립자가 미량 혼입해도, 절연막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적어도 니켈 또는 니켈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능액에 분산시킨 미립자에는 적어도 니켈 또는 니켈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적어도 은 또는 은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능액에 분산시킨 미립자에는 적어도 은 또는 은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적어도 금 또는 금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능액에 분산시킨 미립자에는 적어도 금 또는 금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적어도 구리 또는 구리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기능액에 분산시킨 미립자에는 적어도 구리 또는 구리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2차원 코드이다.
이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의하면, 식별 코드는 2차원 코드이다. 이 때문에, 작은 묘화 면적에 다량의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코드 묘화 영역을 구비한 기판에 있어서,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토출되어 상기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부착되는 액체방울 토출 처리와, 상기 기판에 부착한 상기 액체방울을 가열 또는 건조하는 처리가 적어도 실시되어, 상기 액체방울에 포함되는 상기 미립자가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고착됨으로써 상기 식별 코드가 묘화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은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코드 묘화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판은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코드 묘화 영역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실시된다. 또, 기판에 부착한 액체방울을 가열 또는 건조함으로써, 미립자를 기판에 밀착시키는 공정이 실시된다.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에 의해, 기판 위에 식별 코드가 묘화되므로, 내약품성, 내열성, 내찰성 등이 뛰어난,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액체방울 토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 또는 고가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간이한 장치로 기판에 식별 코드를 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모듈은 상기한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기판은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코드 묘화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판은, 식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코드 묘화 영역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실시된다. 또, 기판에 부착한 액체방울을 가열 또는 건조함으로써, 미립자를 기판에 밀착시키는 공정이 실시된다.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에 의해 기판 위에 식별 코드가 묘화되므로, 내약품성, 내열성, 내찰성 등이 뛰어난,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부터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액체방울 토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 또는 고가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간이한 장치로 기판에 식별 코드를 묘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 1 ~ 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1)의 요부 정면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액체방울 토출 장치(1)는 지지대(B)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부(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2)는 주주사(主走査) 방향(도 1 및 도 2 중, X 화살표 방향 및 반(反)X 화살표 방향)에 따라서 지지대(B)의 소정 영역 위에 가설되어 있다. 이 지지부(2)에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주사 가이드 레일(2a)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주주사 가이드 레일(2a)에는 왕복대(3)가 접동(摺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 다. 이 왕복대(3)는 X축 모터(MX)(도 4 참조)와 도시하지 않은 X축 구동 기구에 의해, 주주사 가이드 레일(2a)을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왕복대(3)에는 액체방울 토출 헤드(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액체방울 토출 헤드(5)는 그 아랫면에 노즐 플레이트(5a)를 구비하고, 노즐 플레이트(5a)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16개의 액체방울 토출 노즐(이하, 간단히 노즐(6)이라고 함)(6)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노즐(6)은 부주사(副走査) 방향(도 2 중, Y 화살표 방향 및 반Y 화살표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1열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5)는 각 노즐(6)에 대응하는 압전 소자(7)(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압전 소자(7)에 대한 인가 전압의 제어에 의해 압전 소자(7)가 변형하면, 액체방울 토출 헤드(5) 내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기능액으로서의 금속 잉크(I)(도 1 참조)가 액체방울 상태로 되어 노즐(6)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왕복대(3)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 기구를 통하여 잉크 탱크(8)와 접속되어 있다. 잉크 탱크(8)는 내부에 금속 잉크(I)를 저장하고, 상기 금속 잉크(I)는 상기 공급 기구를 통하여 액체방울 토출 헤드(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금속 잉크(I)는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듯이, 분산매(S)와 분산매(S)에 분산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 미립자(P)를 포함하고 있다.
분산매(S)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 탄화수소계 등, 액체방울 토출 헤드 (5)의 토출에 의해 소정의 지름의 액체방울을 형성할 수 있고 , 금속 미립자(P)를 분산시킬 수 있는 액체이면 좋다. 또, 분산매(S)에 분산된 금속 미립자(P)는 도전성이 낮은 금속 원소(또는 금속 산화물)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망간 입자이다. 또, 이 금속 미립자(P)는 1nm ~ 0.1μm의 입경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액체방울 토출 헤드(5)에 의해 토출 가능한 입경이면 된다. 또한, 이 금속 미립자(P)는 유기물 등에 의한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듯이, 액체방울 토출 헤드(5)의 아래쪽에는 반송부(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반송부(9)는 Y축 모터(MY)(도 4 참조)와 도시하지 않은 Y축 구동 기구에 의해, 액체방울 토출 헤드(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구동 기구는 반송부(9)를 부주사 방향으로 보내는 반송 롤러 등의 구동 기구로 구성된다. 또, 반송부(9)는, 예를 들면 반송 벨트 등으로 구성되지만, 반송 롤러 등이라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이 반송부(9)에는 표시 모듈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하, 간단히 기판(10)이라고 함)(10)이 그 이면(10b)을 위쪽으로 하여 탑재 배치된다. 기판(10)은 표면(10a)(도 2의 지면(紙面) 뒤편, 도 1 참조)에 도 2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제1 영역(11)에 전기 광학 소자가 형성되고, 제2 영역(12)에 주사선 구동 회로의 회로 소자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의 회로 소자가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각 회로 소자나 전기 광학 소자가 형성되기 전의 기판(10)에, 미리 세정 공정 등을 실시한 후, 도 2와 같이 그 이면(10b) 을 위쪽으로 하여, 반송부(9)에 배치 고정된다. 반송부(9)에 탑재 배치된 기판(10)은 상기한 Y축 모터(MY) 및 Y축 구동 기구에 의해, 액체방울 토출 헤드(5)에 대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액체방울 토출 헤드(5)는 X축 모터(MX) 및 상기 X축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반송부(9)에 배치 고정된 기판(10)에 대해서 주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다음에, 액체방울 토출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제어부(20)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하고, ROM 등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식별 코드(2차원 코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서, 반송부(9)의 구동에 의한 기판(10)의 반송 및 액체방울 토출 처리 동작을 행한다. 또, ROM에는 기판(10)에 2차원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비트맵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 비트맵 데이터는 제조 번호, 로트 번호 등의 문자열, 숫자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 식별 데이터를 공지의 방법으로 2차원 코드화해, 한번 더 비트맵화한 데이터이다.
또, 제어부(20)는 노즐 구동 회로(21)와 접속하고, 노즐 구동 회로(21)에 노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노즐 구동 회로(21)는 제어부(20)로부터의 노즐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액체방울 토출 헤드(5)에 설치한 각 압전 소자(7) 중, 노즐 구동 신호에 응한 압전 소자(7)를 통전시켜 구동시킨다. 그리고, 그 압전 소자(7)에 대응하는 노즐(6)로부터 액체방울 상태의 금속 잉크(I)를 기판(10)을 향해 토출시킨다.
또, 제어부(20)는 X축 모터 구동 회로(23)와 접속하고, X축 모터 구동 회 로(23)에 X축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X축 모터 구동 회로(23)는 제어부(20)로부터의 X축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해, X축 모터(MX)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X축 모터(MX)가 정회전하면, 왕복대(3)는 X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역회전하면 왕복대(3)는 반X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어부(20)는 Y축 모터 구동 회로(24)와 접속하고, Y축 모터 구동 회로(24)에 Y축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Y축 모터 구동 회로(24)는 제어부(20)로부터의 Y축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해, Y축 모터(MY)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Y축 모터(MY)가 정회전하면, 반송부(9)는 Y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역회전하면 반송부(9)는 반Y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단연(端緣) 검출 장치(25)와 접속하고 있다. 단연 검출 장치(25)는, 예를 들면 기판(10)의 테두리끝을 검출하는 센서, 기판(10)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단연 검출 장치(25)가 광학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판(10)과 반송부(9)의 반사율의 차이 등으로부터 기판(10)의 테두리끝을 검출하여 제어부(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단연 검출 장치(25)가 카메라를 구비한 촬상 장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카메라에 의해서 촬상된 촬상 데이터를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화상 처리부에 의해서 해석 처리하고, 기판(10)이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20)는 X축 모터 회전 검출기(26)와 접속하고, X축 모터 회전 검출기(2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20)는 이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X축 모터(MX)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고, 액체방울 토출 헤드(5)(왕복대(3))의 주주사 방향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을 연산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20)는 Y축 모터 회전 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Y축 모터(MY)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고, 기판(10)에 대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5)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연산한다.
제어부(20)는 단연 검출 장치(25)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면 수신한 시점의 기판(1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다. 또, Y축 모터 구동 회로(24)를 구동하여, 반송부(9)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Y축 모터 회전 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연산하면서, 반송부(9) 위의 기판(10)을 소정의 Y축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 제어부(20)는 입력 장치(28)와 접속하고 있다. 입력 장치(28)는 기동 스위치, 정지 스위치 등의 조작 스위치를 갖고, 각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다음에, 2차원 코드 묘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기판(10)을 이면(10b)이 위쪽이 되도록 반송부(9)에 배치 고정한다. 이 때, 왕복대(3)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홈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홈 위치는 왕복대(3)의 이동 가능 영역의 우단측(또는 좌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부(20)는 단연 검출 장치(25)로부터의 기판(10)의 테두리끝의 검출 신호를 기다리면서, Y축 모터 구동 회로(24)를 통하여 Y축 모터(MY)를 구동한 다. 그리고, 제어부(20)가 단연 검출 장치(25)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Y축 모터 회전 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기판(10)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연산하면서, 기판(10)을 소정의 Y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액체방울 토출 헤드(5)가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 기판(10)의 제2 영역(12)의 이면(10b)에 대응하는 위치를 소정의 Y축 위치로 한다.
동시에, 제어부(20)는 코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서, ROM에 저장한 비트맵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이 비트맵 데이터를 액체방울 토출 헤드(5)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로 변환한다.
기판(10)을 소정의 Y축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어부(20)는 X축 모터 회전 검출기(26)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X 화살표 방향의 이동량을 연산하면서, X축 모터 구동 회로(23)를 통하여 X축 모터(MX)를 구동한다. 그리고, 액체방울 토출 헤드(5)를 소정의 X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중 아래쪽의 제2 영역(12)의 이면(10b)측에 설치된 코드 묘화 영역(30)의 윗쪽 위치를 소정의 X축 위치로 한다.
이 코드 묘화 영역(30)은, 예를 들면 1 ~ 2mm각(角)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코드 묘화 영역(30)은 도 5에 나타내듯이, 16행·16열의 각 셀(31)로 가상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셀(31)은 금속 잉크(I)의 잉크 방울이 토출되는지 토출되지 않는지에 따라, 금속 잉크(I)가 투입되지 않는 흰 셀(비토출부), 또는 금속 잉크(I)가 부착한 검은 셀(토출부)이 된다. 또한, 도 2에는 편의상 코 드 묘화 영역(30)을 크게 도시하고 있다.
액체방울 토출 헤드(5)를 코드 묘화 영역(30)의 윗쪽 위치(소정의 X축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어부(20)는 X축 모터(MX)를 구동하여 왕복대(3)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성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노즐 구동 회로(21)에 노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즉, 액체방울 토출 헤드(5)를 탑재한 왕복대(3)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압전 소자(7)가 노즐 구동 회로(21)에 의해 변형 구동한다. 그 결과,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노즐(6)로부터 검은 셀로 설정된 각 셀을 향해 금속 잉크(I)가 토출된다. 그 결과, 셀에 착탄(着彈)한 잉크 방울(Ia)은 도 3에 나타 내듯이 반구 형상으로 되어 토출 대상의 셀에 부착한다.
그리고, 액체방울 토출 헤드(5)가 1주사 분의 액체방울 토출 동작을 종료하면, 도 5에 나타내듯이, 코드 묘화 영역(30)에 잉크 방울(Ia)이 투입된 셀(31a)과, 잉크 방울(Ia)이 투입되지 않는 셀(31b)이 형성된다. 금속 잉크(I)가 투입된 셀(31a)에는, 반구 형상의 잉크 방울(Ia)이 부착하고 있다. 또한, 도 5에는 데이터 매트릭스 형식에 의한 2차원 코드를 나타냈지만, 그 외의 형식에 의한 2차원 코드라도 좋다.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는 금속 잉크(I)의 토출이 종료하면, 제어부(20)는 Y축 모터 구동 회로(24)에 Y축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기판(10)을 액체방울 토출 헤드(5)의 하부 위치로부터 퇴출시킨다.
2차원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공정이 종료한 기판(10)은, 계속 해서 가열 공정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핫 플레이트, 온풍로 등을 사용하여 기판(10)을 가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미립자(P)를 소결 가능한 온도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코드 묘화 영역(30)에 투입된 금속 잉크(I)의 분산매(S)가 증발하여, 각 금속 미립자(P)가 기판(10)에 고착된다. 기판(10)에 고착된 금속 미립자(P)는 소결되어 서로 접합해 경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듯이, 코드 묘화 영역(30)에 금속 잉크(I)가 투입되지 않은 흰 셀(32)과, 금속 미립자(P)의 고착에 의해 형성된 도트(34)가 묘화된 검은 셀(33)이 형성된,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로서의 2차원 코드 표시(35)가 형성된다.
2차원 코드 표시(35)가 형성된 기판(10)은, 전기 광학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각 공정, 각 공정 사이의 세정 공정·가열 공정을 거쳐, 도 7에 나타내는 표시 모듈(50)이 된다. 표시 모듈(50)은 기판(10)의 제1 영역(11)에 액정을 봉입한 표시부(51)를 구비하고, 각 제2 영역(12)에 주사선 구동 회로(5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5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7 중, 우측의 주사선 구동 회로(52)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기판(10)의 이면(10b)에는 2차원 코드 표시(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2차원 코드 표시(35)는 이면(10b)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2차원 코드·리더에 의해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표시 모듈(50)은 도 8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54),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 디지탈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모듈(50)에 사용되는 기판(10)에 2차원 코드 표시(35)를 묘화 하도록 했다. 그리고, 2차원 코드 표시(35)를 묘화할 때에, 우 선, 액체방울 토출 헤드(5)로부터 제어부(20)에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에 의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의 금속 미립자(P)를 분산시킨 금속 잉크(I)의 잉크 방울(Ia)을 토출하고, 잉크 방울(Ia)을 기판(10)의 이면(10b)에 부착시켰다. 그리고, 기판(10)에 부착한 잉크 방울(Ia)을 가열 또는 건조함으로써, 잉크 방울(Ia) 내의 금속 미립자(P)를 기판(10)에 고착시키도록 하였다.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 미립자(P)를 분산시킨 금속 잉크(I)를 사용했으므로, 기판(10) 위에 내구성이 높은 2차원 코드 표시(3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방울 토출 헤드(5)로부터 잉크 방울(Ia)을 토출하는 액체방울 토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수 또는 대형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간이한 장치로 기판(10)에 2차원 코드 표시(35)를 묘화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잉크(I)에 분산시킨 금속 미립자(P)를 망간 입자로 구성했다. 이 때문에, 금속 잉크(I)의 먼지가 다른 장치 등에 부착해도, 장치의 고장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판(10)에 형성된 절연막 중에 금속 미립자(P)가 미량 혼입하는 일이 있어도, 절연막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방울 토출 방법을 사용하여 2차원 코드 표시(35)를 작성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레이저 조사, 워터제트 등에 의한 각인과 같이, 기판(10)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내구성이 높은 2차원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50)의 설계의 자유도를 방해하는 일 없이, 2차원 코드 표시(35)를 기판(10)에 묘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액체방울 토출 장치(1)의 Y축 구동 기구는 지지부(2)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기구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잉크(I)가 투입된 기판(10)을 가열하도록 했지만, 저온(상온을 포함한다)으로 방치하는 것만으로 분산매(S)가 증발하고, 금속 잉크(I)의 금속 미립자(P)가 기판(10)에 고착(또는 소결)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건조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금속 잉크(I) 중에 함유되는 금속 미립자(P)는 망간, 니켈, 은, 금 및 구리 중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 망간 산화물, 니켈 산화물, 은 산화물, 금 산화물 및 구리 산화물 중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금속의 1개 또는 복수와, 상기한 금속 산화물의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한 구성이라도 좋다.
·기판(10)은 실리콘 웨이퍼, 수지 필름, 금속판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방울 토출 헤드(5)에 16개의 노즐(6)을 설치하도록 했지만, 16개 이외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모듈(50)을 액정 표시 모듈로서 구체화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 모듈로 구체화해도 괜찮다. 또, 평면 형상의 전자 방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자에 의한 형광 물질의 발광을 이용한 전계 효과형 디스플레이(FED이나 SED 등)를 구비한 표시 모듈이라도 좋다. 또, 2차원 코드 표시(35)가 묘화된 기판(10)은 이들 디 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기기에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내구성이 높은 식별 코드를 간이한 설비로 형성할 수 있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기판에 식별 코드를 묘화(描畵)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에 있어서,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을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액체방울을 상기 기판에 부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판에 부착한 액체방울을 가열 처리 또는 건조 처리하여, 상기 액체방울에 포함되는 상기 미립자를 상기 기판에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식별 코드를 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망간 또는 망간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니켈 또는 니켈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은 또는 은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금 또는 금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에 분산시킨 상기 미립자에는 구리 또는 구리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2차원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 묘화 방법.
  8.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코드 묘화 영역을 구비한 기판에 있어서,
    식별 코드를 묘화하기 위한 액체방울 토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체방울 토출 헤드의 노즐로부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토출되고, 상기 기능액의 액체방울이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부착되는 액체방울 토출 처리와,
    상기 기판에 부착한 상기 액체방울을 가열 또는 건조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액체방울에 포함되는 상기 미립자가 상기 코드 묘화 영역에 고착됨으로써 상기 식별 코드가 묘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9. 제 8 항에 기재된 기판을 구비한 표시 모듈.
KR1020050134657A 2005-01-11 2005-12-30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 KR100704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3426 2005-01-11
JP2005003426A JP2006192320A (ja) 2005-01-11 2005-01-11 識別コード描画方法、基板及び表示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030A KR20060082030A (ko) 2006-07-14
KR100704582B1 true KR100704582B1 (ko) 2007-04-06

Family

ID=3665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657A KR100704582B1 (ko) 2005-01-11 2005-12-30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52571A1 (ko)
JP (1) JP2006192320A (ko)
KR (1) KR100704582B1 (ko)
CN (1) CN1807113A (ko)
TW (1) TW2006318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652B2 (ja) 2005-01-11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識別コード描画方法
JP4356740B2 (ja) * 2006-11-29 2009-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線パターン形成方法、デバイスおよび電子機器
CN203236849U (zh) * 2013-03-27 2013-10-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标识系统
CN105469130B (zh) * 2015-04-14 2018-12-04 赵宏峰 油田井下金属制品增加永久性可自动识别标识的方法
CN107053860B (zh) * 2016-09-05 2019-02-01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喷墨打印装置及喷墨打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7340A (ja) * 1987-12-30 1989-07-13 Showa Denko Kk 高強度・耐摩耗性Al粉末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JPH10503969A (ja) * 1995-02-15 1998-04-14 ジェムプリュス 電子カード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で得られるカード
JP2003127537A (ja) * 2001-10-29 2003-05-08 Optrex Corp マーキング方法
JP2003191633A (ja) * 2001-12-28 2003-07-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102A (en) * 1995-09-25 1999-08-17 Muntz; Eric Phillip High speed jet soldering system
US6386671B1 (en) * 1999-12-29 2002-05-14 Hewlett-Packard Company Orientation independent indicia for print media
JP3578162B2 (ja) * 2002-04-16 2004-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ターンの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装置、導電膜配線、デバイス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382364B2 (ja) * 2002-04-24 2009-12-09 株式会社東芝 液体インク
US6726759B2 (en) * 2002-07-01 2004-04-27 Nu-Kote International, Inc. Aqueous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ink-jet ink composition
JP3823981B2 (ja) * 2003-05-12 2006-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ターンと配線パターン形成方法、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3966241B2 (ja) * 2003-06-30 2007-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7340A (ja) * 1987-12-30 1989-07-13 Showa Denko Kk 高強度・耐摩耗性Al粉末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JPH10503969A (ja) * 1995-02-15 1998-04-14 ジェムプリュス 電子カード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で得られるカード
JP2003127537A (ja) * 2001-10-29 2003-05-08 Optrex Corp マーキング方法
JP2003191633A (ja) * 2001-12-28 2003-07-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92320A (ja) 2006-07-27
US20060152571A1 (en) 2006-07-13
CN1807113A (zh) 2006-07-26
TW200631812A (en) 2006-09-16
KR20060082030A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000B1 (ko)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표시 모듈, 및 전자 기기
KR100704582B1 (ko) 식별 코드 묘화 방법, 기판 및 표시 모듈
KR101767803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3801158B2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多層配線基板、電子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CN1182961C (zh) 用于卡片型存储介质的图形打印机及其打印方法
JP4644882B2 (ja) 配線基板製造方法、配線基板、吐出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US9056465B2 (en) Ink-jet print head with integrated optical monitoring of the nozzle function
KR20130036379A (ko) 패턴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장치
CN1660577A (zh) 标记喷印装置
CN1498757A (zh) 液滴喷出装置和方法
WO2005090081A1 (ja) 液滴配置装置及び液滴配置方法
JP2006239899A (ja) パターン形成方法、識別コード形成方法、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
JP3849545B2 (ja) 薄膜形成装置と薄膜形成方法、回路パターンの製造装置と回路パターンの製造方法と電子機器、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装置と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US20230391105A1 (en) Ejection control using imager
KR100754443B1 (ko) 식별 코드, 식별 코드 형성 방법, 액적 토출 장치, 및전기 광학 장치
JP200621287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192323A (ja) 基板、識別コード描画方法及び表示モジュール
JP2006192322A (ja) パターン
JP2006212577A (ja) パターンの描画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JP2006221273A (ja) パターン
US20230130748A1 (en) Liquid discharge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06213019A (ja) パターン、パターン形成方法、基板、表示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パターン読取方法
JP4696587B2 (ja) 表示装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7178978A (ja) 記録装置
JP2006215899A (ja) パターン、パターン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