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570B1 -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570B1
KR100702570B1 KR1020040116429A KR20040116429A KR100702570B1 KR 100702570 B1 KR100702570 B1 KR 100702570B1 KR 1020040116429 A KR1020040116429 A KR 1020040116429A KR 20040116429 A KR20040116429 A KR 20040116429A KR 100702570 B1 KR100702570 B1 KR 10070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ag
medication
printed
resistor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539A (ko
Inventor
김영철
박장환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11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5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의 일측면에 도체 및 저항체를 인쇄시켜 병렬 저항을 구성하고, 상호 연결된 조제용 약봉지로부터 일부가 제거될 경우 저항값이 변화되고, 이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값을 체크하여 투약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조제용 약봉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약 배분수단과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약배분수단에 조제된 약을 분배한 후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절취선을 형성시켜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쇄되어 있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 사이에 인쇄되어 있는 저항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제용 약봉지, 저항체, 전류변화, 투약인식, 투약정보

Description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Prescription bag and tablet package having the sensor function of dosage and the monitoring app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알약 패키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 패키지의 일 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등가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6의 등가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리지형 증착 또는 프린트 저항의 등가 배선도,
도 10은 도 2에 적용된 통전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조제용 약봉지 110 : 하부 커버
112 : 도전체 111 : 베이스 부재
114 : 저항체 116 : 상부 커버
200 : 투약인식수단
210 : 저항변화 감지부 220 : 내부메모리
230 : 제어부 240 : 근거리 무선통신부
300 : 통전용 클립
본 발명은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의 일측면에 도체 및 저항체를 인쇄시켜 병렬 저항을 구성하고, 상호 연결된 조제용 약봉지로부터 일부가 제거될 경우 저항값이 변화되고, 이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값을 체크하여 투약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약 패키지의 몸체에 도전체를 프린팅하고 절취가 쉬운 얇은 박형의 스티커에 저항체를 프린팅하여 상기 알약이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힘에 의해 알약 패키지의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저항체가 단선되어 투약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치료를 치료할 때, 특히 소화기계통, 신경계통의 환자의 치료시 정시에 약을 복용하여 약제의 지속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치료 과정 중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많은 의약 복용 환자들이 제시간에 투약을 행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노인이나 소아의 경우 제때에 처방약을 복용하지 않아 병세가 악화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환자에게 투약시간을 알려주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시스템들은 단순히 환자 또는 보호자(간병인)에게 환자의 투약시간을 문자 메시지 등으로 알려주는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말로 환자가 알람된 시간에 투약을 하였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구개발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의 일측면에 도체 및 저항체를 인쇄시켜 병렬 저항을 구성하고, 상호 연결된 조제용 약봉지로부터 일부가 제거될 경우 저항값이 변화되고, 이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값을 체크하여 투약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약 배분수단과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약배분수단에 조제된 약을 분배한 후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절취선을 형성시켜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쇄되어 있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 사이에 인쇄되어 있는 저항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도전체가 각각 인쇄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 사이에 저항체가 인쇄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도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용 클립; 및 상기 통전용 클립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항체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출력하는 저항 변화 감지부와 상기 저항 변화 감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을 이전에 등록된 전류값과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투약하였음 을 인식하고, 내부 메모리에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미리 설정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로 구성된 투약인식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미리 세팅되어 있는 서버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조제용 약봉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제용 약봉지(100)는 약 배분수단과 결합되는 상부커버(110) 및 하부커버(1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약배분수단에 조제된 약을 분배한 후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절취선을 형성시켜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100)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1)와, 상기 베이스 부재(111)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쇄되어 있는 도전체(112)와, 상기 도전체(112) 사이에 인쇄되어 있는 저항체(114)로 이루어진 투약인식을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1) 하부면에는 조제용 약봉지(100)의 상부커버(116) 또는 하부커버(110)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저항체(114)는 상기 절취선에 의해 쉽게 그 일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항체(114)의 길이가 짧아지면 저항값이 달라진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제용 약봉지(100)의 도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전체(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용 클립(300)과, 상기 통전용 클립(30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항체(114)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출력하는 저항 변화 감지부(210)와 상기 저항 변화 감지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을 이전에 등록된 전류값과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투약하였음을 인식하고, 내부 메모리(220)에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저장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미리 설정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40)로 구성된 투약인식수단(200)를 더 포함하여 조제용 약봉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가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모니터링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절취선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 조제용 약봉지 세트로부터 하나의 약봉지를 절취선을 따라 잘라내면,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된 저항(R1~RN) 중 하나의 저항이 제거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통전용 클립(300)을 통해 저항 변화 측정부(210)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도 변화가 생기고, 상기 저항 변화 측정부(210)는 크기가 변화된 전류가 제어부(230)로 입력되고, 제어부(230)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다음 내부메모리(220)에 저장된 전류값과 비교하여 그 변화량이 체크하고, 상기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변화량의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투약하였다고 인식하고, 상기 내부메모리(220)에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저장시킨다.
상기 제어부(23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40)를 통해 상기 내부메모리(220)에 저장된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로 전송되도록 한다.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 패키지)
그리고,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 패키지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방향으로 함몰되어 알약을 보관할 수 있는 함몰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은박지(30)와, 상기 은박지(30) 하단에 부착되는 투약인식 스티커(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티커(20)에 도전체(21) 및 저항체(22)가 소정 패턴을 갖도록 프린팅되어 알약 패키지가 투약인식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에 대해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 패키지의 2가지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1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커(20)는 상기 함몰부(11)를 중심으로 일측 양단에 프리팅된 도전체(21)와 상기 함몰부(11)를 가로질러 프린팅되는 저항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체(21)는 상기 몸체(10)의 양끝단부와 중심에 매칭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스티커(20) 일측면에 프린팅되며, 상기 양끝단부에 프린팅된 도전체(21)는 스티커(20)의 하단부로 연장형성되되, 가운데 부분에서 소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프린팅된다.
즉, 등가회로도인 첨부 도면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약이 스티커(20)를 뚫고 나오는 순간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 중 해당 저항이 단선된다.그러면 상기 도전체(21)의 양단에 연결된 투약인식수단의 통전용 클립(첨부 도면 도 2 참조)을 통해 전류값이 변화되고, 상기 전류값의 변화를 체크하여 몇 개의 알약이 투약되었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투약인식수단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투약인식수단과 동일한 구성을 갖게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2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커(20)는 상기 함몰부(11)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프린팅된 도전체(21)와, 상기 함몰부(11)를 가로질러 세로방향으로 프린팅된 저항체(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체(21) 중 상단 및 하단에 프린팅된 도전체는 상기 저항체(22)와 평행되도록 연장형성되되, 가운데 부분에서 소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프린팅된다.
즉, 등가회로도인 첨부 도면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약이 스티커(20)를 뚫고 나오는 순간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 중 해당 저항이 단선된다.
즉, 첨부 도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등가회로도는 알약형 투약팩의 종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일예만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회로의 투약팩에서 알약이 인출되면 저항의 한 단자가 끊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단자" 부분에서 본 저항의 값이 변동하게 된다. "단자" 부분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류 또는 전압 증폭회로를 연결, 구성하게 되면, 알약의 인출에 의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변화를 감지하여 투약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리지형 증착 또는 프린트 저항의 등가 배선도로서, 종이형 조제 약봉지나 알약형 제조약이 떨어져 나가 저항이 떨어져 나게 됨에 따라 브리지 회로에 불평형이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투약인식기능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브리지의 평형조건 R1R4=R2R3(여기서, 초기에는 R1=R3, R2=R4이고 모든 병렬 저항들은 동일한 값이다)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한 개의 저항이 떨어져 나감에 따라 상태가 R1(R4+ΔR)≠R2R3되어 저항 RD 에는 전류가 흐른다.
또 다시 다른 한 개의 저항이 떨어져 나가면 다시 브리지는 평형조건 R1(R4+ΔR)=R2(R3+ΔR)을 만족하고 전압이 흐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함으로써, 증폭기에서 전류(또는 전압)의 변화량 증폭하고,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투약인식수단(200)는 상기 증폭된 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증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증폭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가지면 투약으로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통전용 클립(도2의 300)은 첨부 도면 도 10과 같이 슬롯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슬롯형태로 투약팩 접속단자를 구현할 경우 특히 조제용 약봉지의 경우 접촉단자 부위를 다소 단단한 물질로 형성시켜 상기 슬롯에 잘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병원이나 가정에서 환자의 의약 복용 결과를 의사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환자가 투약 지시대로 투약하지 않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약물 투약의 결과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게 처방전을 만들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를 좀더 적극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복용시간 저장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약물의 임상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의약 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약 배분수단과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약배분수단에 조제된 약을 분배한 후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절취선을 형성시켜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 끝단과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쇄되어 있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 사이에 인쇄되어 있는 저항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제용 약봉지의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하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제용 약봉지가 떨어져 나감에 따라 불균형이 발생하고, 상기 불균형을 이 용하여 투약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 회로와 상기 브릿지 회로에 직병렬로 연결되는 저항체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증착 또는 프린팅방식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4. 약 배분수단과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약배분수단에 조제된 약을 분배한 후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절취선을 형성시켜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조제용 약봉지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제용 약봉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도전체가 각각 인쇄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 사이에 저항체가 인쇄되어 있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도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용 클립; 및
    상기 통전용 클립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항체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출력하는 저항 변화 감지부;
    상기 저항 변화 감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을 이전에 등록된 전류값과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투약하였음을 인식하고, 내부 메모리에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미리 설정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용 약봉지 모니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제용 약봉지의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하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용 약봉지 모니터링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투약정보 및 투약시간을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미리 세팅되어 있는 서버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용 약봉지 모니터링 장치.
  7. 알약 패키지에 있어서,
    윗방향으로 함몰되어 알약을 보관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은박지; 및
    상기 은박지 하단에 부착되는 투약인식 스티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패키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상기 함몰부를 중심으로 일측 양단에 프리팅된 도전체와, 상기 함몰부를 가로질러 프린팅되는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패키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상기 함몰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프린팅된 도전체와, 상기 함몰부를 가로질러 세로방향으로 프린팅된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패키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알약 패키지에서 알약이 이탈될 때마다 저항이 떨어져 나감에 따라 불균형이 발생하고, 상기 불균형을 이용하여 투약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 회로와 상기 브릿지 회로에 직병렬로 연결되는 저항체가 상기 스티커부재에 증착 또는 프린팅방식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알약패키지.
KR1020040116429A 2004-12-30 2004-12-30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KR100702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429A KR100702570B1 (ko) 2004-12-30 2004-12-30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429A KR100702570B1 (ko) 2004-12-30 2004-12-30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39A KR20060077539A (ko) 2006-07-05
KR100702570B1 true KR100702570B1 (ko) 2007-04-02

Family

ID=3716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429A KR100702570B1 (ko) 2004-12-30 2004-12-30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53A (ko) 2021-02-17 2022-08-24 남현구 약포지 리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76B1 (ko)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7557A (en) 1984-11-08 1986-10-14 National Patent Development Corporation Medication compliance aid for unit dose packaging
JPH02257960A (ja) * 1989-03-31 1990-10-1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薬の服用時間警報装置
US5412372A (en) 1992-09-21 1995-05-02 Medical Microsystems, Inc. Article dispenser for monitoring dispensing times
US6839304B2 (en) 2000-07-07 2005-01-04 Ddms Holdings, L.L.C.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7557A (en) 1984-11-08 1986-10-14 National Patent Development Corporation Medication compliance aid for unit dose packaging
JPH02257960A (ja) * 1989-03-31 1990-10-1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薬の服用時間警報装置
US5412372A (en) 1992-09-21 1995-05-02 Medical Microsystems, Inc. Article dispenser for monitoring dispensing times
US6839304B2 (en) 2000-07-07 2005-01-04 Ddms Holdings, L.L.C.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116429 - 65774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53A (ko) 2021-02-17 2022-08-24 남현구 약포지 리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39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49073T3 (es) Sistema de monitoreo para monitorear el uso del contenido de un envase inteligente
ES2698323T3 (es) Un envase inteligente y sistema de supervisión con indicador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os mismos
EP2485704B1 (en) Medication dispenser
ES2965455T3 (es) Sistema de dispensación de medicamentos y método de dispensación
ES232916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stinado a la gestion de objetos.
EP31673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medication-containing cells of a medication container
JP2010035789A (ja)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KR20060077523A (ko) 투약 조력 시스템 및 방법
JP2019524391A (ja) 薬剤用スマートパックシステム
KR100702570B1 (ko)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KR20120026285A (ko) 처방약 자동 인출 시스템
CA2353350A1 (en) Packaging device and content use monitoring system
JP2010075227A (ja)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JP3119049U (ja) 投薬監視システムおよび投薬監視装置
CA2404805A1 (en) Analog packaging device and content use monitoring system
KR20220117653A (ko) 약포지 리더기
KR101635743B1 (ko)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JP2016010493A (ja) 包装材
US11001466B2 (en) Trackable, packetized distrubution system
JP2005204685A (ja) 医療管理システム
JP2005204686A (ja) 投薬管理システム
KR101635744B1 (ko) 약물 복용 관리 장치
WO2009008811A1 (en) Package for drug intake monitoring or control
JP2018140138A (ja) 服薬管理システム付き服薬支援装置
JPWO202224964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