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743B1 -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743B1
KR101635743B1 KR1020140093250A KR20140093250A KR101635743B1 KR 101635743 B1 KR101635743 B1 KR 101635743B1 KR 1020140093250 A KR1020140093250 A KR 1020140093250A KR 20140093250 A KR20140093250 A KR 20140093250A KR 101635743 B1 KR101635743 B1 KR 10163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edication
information
patient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930A (ko
Inventor
김종욱
전성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가 정시에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별도의 거추장스러운 장비와 활동 반경에 제약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포 패키지의 각 약포마다 장착되는 것으로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환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전파/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신호를 변환/전송하는 복약식별수단을 이용한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선택된 약포의 절취 유무에 따라 신호발생수단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단계와; 상기 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약포절취감지단계; 및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기설정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MEDICINE TAKING MANAGING METHOD}
본 발명은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근래 들어 만성질환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비만을 비롯하여 뇌혈관계 질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결핵 등 과거에 유행했던 질병이 창궐하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들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발병하여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질병들은 꾸준한 장기 복약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치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정 시간에 정량정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는 환자의 경우 업무 등 바쁜 일과로 인하여 정시에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정시에 정량의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여 질병에 대한 치료기간이 늘어나고 치료효율도 떨어져 환자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됨은 물론, 환자 개인 및 보험공단의 재정 비용이 날로 증가하게 되어 막대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연로한 노인층 환자인 경우 자녀와 떨어져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홀로 사는 독거 노인의 수가 상당히 많은 점을 고려할 때 노인층 환자들이 정상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49709호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복약 관리 시스템은 복약 관리 장치에 장착된 약포 패키지 중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에 따라 약포를 분리 및 배출하고, 약포의 인출 및 미인출에 관한 복약 이력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복약 관리 장치는,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 중 최 전단의 약포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와, 내측에 상기 절단된 약포가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절단된 약포가 상기 인출구 및 상기 저장부 중 어느 하나로 진행되도록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른 종래기술의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복약 관리 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약포 패키지를 로딩하는 로딩단계와, 상기 복약 관리 장치가 상기 약포 패키지에 인쇄된 2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하여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 단계와, 상기 복약 관리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약 정보에 따라 약포를 배출하는 인출단계와, 상기 복약 시기 내에 해당 약포가 인출되지 않는 경우 미인출된 해당 약포를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분리 및 별도로 저장하는 스킵 단계와, 상기 복약 관리 장치가 상기 복약 정보에 따른 약포의 인출 여부, 상기 복약 정보에 따른 약포의 인출 이력, 미인출된 시기, 미인출 횟수 및 미인출된 약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약 이력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이력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적절한 복약 시기에 복약이 가능하도록 환자의 복약을 관리하는 동시에 환자의 복약 및 미복약 정보를 보호자, 관리자 및/또는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정확한 환자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복약 관리 서비스는 환자가 복약할 때마다 복약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복약 관리 장치는 복잡한 구성과 중량의 무게 및 큰 부피로 인해 항시 환자가 거주하는 공간 내에서만 설치 가능하고 설치된 공간 내에서도 위치를 옮기기 힘든 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약물 복용을 위해서는 항시 복약 관리 장치가 설치된 공간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환자의 활동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종래의 복약 관리 장치는 휴대가 불가능하여 환자가 장시간 출타한 경우 환자가 약물을 복용했는지 판별하기 힘들고, 정확히 어느 시각에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은 복잡한 구성과 함께 영상 인식을 위한 카메라 등과 같은 고가의 부품이 들어가는 복약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서비스 관리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82005 B1 KR 10-2014-0049709 A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정시에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별도의 거추장스러운 장비와 활동 반경에 제약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복약 관리 장치를 구입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약물 복용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포 패키지의 각 약포마다 장착되는 것으로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환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전파/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신호를 변환/전송하는 복약식별수단을 이용한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선택된 약포의 절취 유무에 따라 신호발생수단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단계와; 상기 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약포절취감지단계; 및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기설정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발생단계 이전에,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상기 약포에 부착된 정보기록매체에 약물조제정보, 복약정보, 환자정보 및 의료기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약국에 비치된 조제장치를 통해 기록하는 정보기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기록단계에서 정보기록매체에 정보가 기록되면 이 정보를 상기 약국의 조제장치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가 상기 약국의 제조장치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는 환자의 진료 내역 및 추후 진료 일정을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기록단계에서 정보기록매체에 정보가 기록되면 상기 복약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복약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단말기는 상기 복약정보에서 약물의 복용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복용 시각에 도달할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가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되면 알람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면 상기 관리단말기는 약물 미복용 신호를 생성하여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단말기는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날 때마다 약물 미복용 신호의 이미지 및 경고문구를 위험 단계별로 다르게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전송단계에서 상기 관리단말기가 상기 복약식별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시각마다 상기 관리단말기는 환자가 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복약 이력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복약이력저장단계; 및 상기 복약이력저장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복약이력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약식별수단은 환자의 팔목이나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복약식별수단과 상기 관리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자성(magnetism)을 가지는 마그네틱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약포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에서 변형된 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복약식별수단은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변형된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는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어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되,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약포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에서 변형된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는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에 연접하게 배치되어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되, 상기 패키지로부터 약포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에서 변형된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는 자기테이프 형태로 상기 약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약식별수단에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주파수발생부의 주파수에 의해 동작하여 기저장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태그(RFID ta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 환자가 약포를 절취하는 것을 감지하여 약물 복용 여부를 자동으로 기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공유하는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기관 등에서 복용 이력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독거 노인과 같이 홀로 거주하는 환자의 안전에 보다 면밀히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포 절취를 감지하는 별도의 중장비 없이 환자의 신체나 의복에 간단히 장착 가능한 신호감지부를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연계될 수 있는 환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2는 도1의 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순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7은 도3의 실시예에서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8은 도7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 관리 방법에 연계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순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의료기관(병원)에서 담당의사의 처방 내역을 전달받은 단말기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전을 제공하는 처방전제공단계(S1)와, 상기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약물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약물조제단계(S3)와,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약포에 부착된 정보기록매체에 약물조제정보, 복약정보, 환자정보 및 의료기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약국에 비치된 조제장치를 통해 기록하는 정보기록단계(S5)와,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조제장치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7)와,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가 상기 약국의 제조장치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가 상기 환자의 진료 내역 및 추후 진료 일정을 환자가 소지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진료일정전송단계(S9)를 포함한다.
상기 처방전제공단계(S1)에서 처방전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인쇄기능이 가능한 것으로 처방전을 인쇄하고 추가로 진료 내역 등 환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것이 인쇄 가능하다. 특히 유선망이나 무선망을 이용해 다양한 기능의 확장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기록단계(S5)에서 조제장치는 약사에 의해 조제된 약물을 약포에 넣고 봉합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비용이 저렴한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그래픽코드(1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조제장치에는 상기 그래픽코드(12)를 인쇄하기 위한 라이터가 장착된다. 여기서, 정보기록매체에 정보가 기록되면 상기 복약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60)로 전송하여 환자가 언제든지 복약정보를 확인하고 정확한 복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기록단계(S5)에서는 약포의 표면에 별도의 식별란(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식별란(14)은 약물의 복용 시기별로 서로 다른 색상이 인쇄되어 복용 시기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로 처방 내역 및 복용 방법이 기록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전송단계(S7)에서 조제장치는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모듈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조제장치는 이동통신망이나 유선망을 이용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나 단말기로 정보가 담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폰의 테더링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와 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간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환자의 보호자나 해당 지역의 복지사 등이 사용하는 휴대폰으로도 전송되어 환자가 진료를 받고 약물을 처방받은 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료일정전송단계(S9)에서 관리단말기(60)는 통상 환자의 휴대폰(특히 스마트폰)이 사용되며, 스마트폰과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가진 모든 단말기가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관리단말기(60)로 전송된 진료 내역 및 진료 일정은 상기 관리단말기(60)와 연동하는 보호자나 복지사에게도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단말기(60)와 보호자의 휴대폰 간에 정보 공유를 위해 상기 관리단말기(60)와 휴대폰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약포 패키지(1)의 각 약포(10)마다 장착되어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20)과, 환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발생수단(20)에서 발생된 신호를 변환/전송하는 복약식별수단(40)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방법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포 패키지(1)로부터 선택된 약포의 절취 유무에 따라 신호발생수단(20)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단계(S10)와, 상기 신호발생단계(S10)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40)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약포절취감지단계(S30)와,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S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40)을 통해 기설정된 관리단말기(6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발생단계(S10)에서 신호발생수단(20)은 상기 약포(10)가 절취될 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구성이 선택되더라도 무방하며, 특히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수단(20)은 자성(magnetism)을 가지는 마그네틱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틱 소자는 약포 패키지(1)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다가 상기 약포 패키지(1)로부터 약포(10)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배치가 달라지면서 변형된 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복약식별수단(40)은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변형된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소자(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포 패키지(1)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배치된 마그네틱 소자(20)는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다가 상기 약포 패키지(1)로부터 약포(10)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20)의 배치가 변경됨으로 인해 변형된 자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한 쌍의 마그네틱 소자(20)의 배치가 달라지면서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이 변형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소자(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포 패키지(1)의 절취선에 연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틱 소자(20)는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다가 상기 약포 패키지(1)로부터 약포(10)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 소자(20)에서 변형된 자력을 발생시킨다. 즉, 하나의 마그네틱 소자(20)가 절취선을 기준으로 둘로 나누어지면서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이 변형된다.
상기 마그네틱 소자(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약포에 부착될 수 있으나, 자기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약포에 부착되는 것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S30)에서 복약식별수단(40)은 상기 신호발생수단(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팔목이나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는 환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20)에서 발생하는 자력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복용을 위해서는 통상 양손을 사용해 약포 패키지(1)에서 약포(10)를 절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약식별수단(40)이 환자의 팔목이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라면 복용 확인을 위한 불필요한 과정 없이 약포(10)를 절취하는 동작에서 신호의 발생과 감지 및 전송이 단번에 유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복약식별수단(40)은 신호발생수단(2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감지부(44) 및 신호전송부(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부(44)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20)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센서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변형된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전송부(46)는 상기 신호감지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감지부(44)에서 변환된 신호를 관리단말기(6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전송부(46)는 일반적인 통신모듈 형태이며, 상기 관리단말기(6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NFC 등 당업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약식별수단(4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신호발생수단(20)은 상기 주파수발생부(42)의 주파수에 의해 동작하여 기저장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태그(RFID tag)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태그(20)는 상기 주파수발생부(42)의 주파수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수동형의 RFID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동형은 능동형과는 달리 내부전지가 필요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태그(20)에는 데이터가 저장된 제어회로와 연결되는 전선이 모서리를 따라서 여러 번 감겨 있으며, 여기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상기 전자태그 내에 감겨있는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제어회로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발생부(42)와 전자태그(20)에 의하면 신호발생단계(S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를 제공하는 단계(S12)와 상기 주파수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14)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후 단계는 동일하게 실시된다.
상기 신호전송단계(S50)에서 관리단말기(40)는 정보기록단계(S5)를 거쳐 수신된 복약정보를 통해 약물의 복용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복용 시각에 도달할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약물을 복용해야하는 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알람을 환자가 인지하고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 약포(10)를 절취하게 되면 신호발생수단(20)에서 신호가 발생하고 이를 복약식별수단(40)이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된 신호가 상기 관리단말기(60)로 전송되면 환자가 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관리단말기(60)는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면 환자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약물 미복용 신호를 생성하여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와 의료기관은 원격지에서도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약물 미복용 상태시 환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기(60)는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날 때마다 약물 미복용 신호의 이미지 및 경고문구를 위험 단계별로 다르게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기관에서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환자의 약물 미복용 신호를 조기에 확인하지 못하고 뒤늦게 확인한 경우라도 단번에 위험 단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알람이 기설된 횟수를 초과하여 24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적색이 깜빡이는 이미지와 함께 위험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기관에서는 환자가 거주하는 곳으로 즉시 구급차가 출동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신호전송단계(S50) 이후에, 복약 이력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복약이력저장단계(S70)와, 상기 복약이력저장단계(S7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곳으로 전송하는 복약이력전송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약이력저장단계(S70)에서는 상기 관리단말기(60)가 상기 복약식별수단(4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시각마다 환자가 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복약 이력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복약 이력 데이터는 상기 관리단말기(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디스크에 저장되며,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기지정된 서버에 상기 복약 이력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약이력전송단계(S90)에서는 디스크 또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호자나 의료기관에서는 기저장된 복약 이력 데이터를 수시로 참고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진료나 처방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 환자가 약포를 절취하는 것을 감지하여 약물 복용 여부를 자동으로 기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공유하는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기관 등에서 복용 이력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독거 노인과 같이 홀로 거주하는 환자의 안전에 보다 면밀히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포 절취를 감지하는 별도의 중장비 없이 환자의 신체나 의복에 간단히 장착 가능한 신호감지부를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약포 패키지 10: 약포
12: 그래픽코드 14: 식별란
20: 신호발생수단 40: 복약식별수단
42: 주파수발생부 44: 신호감지부
46: 신호전송부 60: 관리단말기

Claims (15)

  1. 약포 패키지의 각 약포마다 장착되는 것으로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환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전파/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신호를 변환/전송하는 복약식별수단을 이용한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선택된 약포의 절취 유무에 따라 신호발생수단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단계;
    상기 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약포절취감지단계; 및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기설정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발생단계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자성(magnetism)을 가지고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어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는 마그네틱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신호발생단계는 상기 약포 패키지로부터 약포가 절취되면 상기 마그네틱소자의 배치가 달라지면서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이 변형됨에 따른 변형된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수단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 있어서 상기 복약식별수단은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변형된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가 구비되고 환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환자의 팔목이나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며,
    상기 복약식별수단과 상기 관리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신호전송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기설정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단계 이전에,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상기 약포에 부착된 정보기록매체에 약물조제정보, 복약정보, 환자정보 및 의료기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약국에 비치된 조제장치를 통해 기록하는 정보기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단계에서 정보기록매체에 정보가 기록되면 이 정보를 상기 약국의 조제장치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가 상기 약국의 제조장치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는 환자의 진료 내역 및 추후 진료 일정을 환자가 소지한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단계에서 정보기록매체에 정보가 기록되면 상기 복약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복약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상기 복약정보에서 약물의 복용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복용 시각에 도달할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약포절취감지단계에서 변환된 신호가 상기 복약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되면 알람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면 상기 관리단말기는 약물 미복용 신호를 생성하여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상기 알람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날 때마다 약물 미복용 신호의 이미지 및 경고문구를 위험 단계별로 다르게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전송단계에서 상기 관리단말기가 상기 복약식별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시각마다 상기 관리단말기는 환자가 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복약 이력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복약이력저장단계; 및
    상기 복약이력저장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보호자의 휴대폰이나 의료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복약이력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소자는 자기테이프 형태로 상기 약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식별수단에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주파수발생부의 주파수에 의해 동작하여 기저장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태그(RFID t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KR1020140093250A 2014-07-23 2014-07-23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KR10163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50A KR101635743B1 (ko) 2014-07-23 2014-07-23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50A KR101635743B1 (ko) 2014-07-23 2014-07-23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30A KR20160011930A (ko) 2016-02-02
KR101635743B1 true KR101635743B1 (ko) 2016-07-04

Family

ID=5535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250A KR101635743B1 (ko) 2014-07-23 2014-07-23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929B1 (ko) * 2017-12-11 2023-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질병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197A (ja) * 2004-09-22 2006-04-06 Fuji Xerox Co Ltd 薬管理システムおよび薬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読取装置
JP2010075227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US20130117696A1 (en) * 2011-11-09 2013-05-09 Timothy Roberts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05B1 (ko) 2009-06-15 2011-11-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KR101497307B1 (ko) 2012-10-18 2015-03-18 (주)제이브이엠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197A (ja) * 2004-09-22 2006-04-06 Fuji Xerox Co Ltd 薬管理システムおよび薬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読取装置
JP2010075227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US20130117696A1 (en) * 2011-11-09 2013-05-09 Timothy Roberts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30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2549B (zh) 整合药物管理的系统、方法及模组
US9807174B2 (en) Medic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9846766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illing of a medication dispenser, and medication dispenser
US201703371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spensing doses of medication
EP3191972A1 (en) Medic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151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regulating removal of patient medications
KR20190047566A (ko)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15708A (ko) 처방약품 자동 인출 시스템
WO20182226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afe medication dispensing
KR20140127133A (ko)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KR101635743B1 (ko)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US11344477B2 (en) Synchronized medication tracking system
KR20160051534A (ko) 복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시스템 및 방법
KR101635744B1 (ko) 약물 복용 관리 장치
WO2021033188A1 (en)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and system
EP3743034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medication-taking by a patient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KR20230033783A (ko) 약통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512B1 (ko) 개인 식별 rfid 태그를 이용한 경구 약물 복약 순응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3993496A (zh) 药物递送设备和系统
JPWO2022249643A5 (ko)
CN117355901A (zh) 服药管理系统、服药管理方法、药剂分包装置以及分包完毕药剂
KR20180013192A (ko) 건강, 독고사 관리를 위한 전자태그를 구비한 처방약포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