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216B1 -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216B1
KR100702216B1 KR1020050080843A KR20050080843A KR100702216B1 KR 100702216 B1 KR100702216 B1 KR 100702216B1 KR 1020050080843 A KR1020050080843 A KR 1020050080843A KR 20050080843 A KR20050080843 A KR 20050080843A KR 100702216 B1 KR100702216 B1 KR 10070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alt crystals
hours
sea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082A (ko
Inventor
최영민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에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에바다 filed Critical (주)씨에스에바다
Priority to KR102005008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2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이나 비소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천일염을 다시 불가마 내에서 고열 처리함에 따라 생성된 투명 및 불투명의 소금 결정체를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정 입도로 파쇄하여 얻을 수 있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닷물을 무명천으로 걸러 저장용기 내로 수집하고 2∼3일간 그대로 방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바닷물을 500∼700℃로 2∼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과 동시에 건조하여 소금 결정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 소금 결정체를 세라믹 용기에 재 투입하여 불가마 내에 적재시킴과 동시에 그 주위에 소나무 장작을 채워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소각하여 1300∼1500℃로 8∼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세라믹 용기 내의 소금 결정체가 투명 상층부 및 불투명 하층부로 구획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불가마 입구의 밀폐상태를 해체한 후 소금 결정체를 2∼5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소금 결정체의 경계를 컷팅한 후 용도에 따라 각각의 분쇄기를 통해 파쇄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닷물, 천일염, 불가마, 미네랄, 소나무

Description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for salt season}
본 발명은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고 수분을 증발시켜 생성된 천일염을 다시 불가마 내에서 고열 처리하는 것에 의해 중금속(重金屬)이나 비소(砒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투명 및 불투명의 소금 결정체를 제조하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소정 입도(粒度)로 파쇄하여 얻을 수 있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을 제조하는 방식은, 크게 자연 증발식 및 인조 가공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자연 증발식에 의해 제조되는 천일염(天日鹽)은 바닷가 인근의 염전(鹽田)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염화나트륨(NaCl)을 비롯하여 우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인 미네랄 성분(마그네슘, 칼륨, 칼슘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급속한 산업발전과 더불어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중금속(重金屬)이나 비소(砒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섭 취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인조 가공식에 의해 제조되는 소금으로서는, 정제염(화학염), 재제염(꽃소금), 구운소금, 맛소금(조미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화학처리를 한 것들이기 때문에 실제 조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체에 유익한 소금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상기 정제염은 일반 소금을 재결정하여 염화나트륨의 순도를 높인 것으로 여러 단계의 단순 반복적인 가열을 통해 중금속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 소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재제염은 일반 수입염과 국산 천일염을 거의 9:1의 비율로 녹여 솥에서 100∼200℃ 정도로 끓여서 재 결정시킨 것으로 염도(鹽度)가 대략 88∼90% 정도의 저염도 소금에 속하는 것이긴 하나 중금속이나 기타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구운소금은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 넣어 온도 및 시간을 다르게 한 3단계의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제조한 것이고, 맛소금의 경우에는 정제염에 글루탐산 나트륨을 피복시킨 소금, 생금과 천일염을 1300℃ 이상에서 3번 이상 구운 소금, 죽염 등이 있으나, 이들 역시 중금속, 비소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완전 제거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소금에 함유되어 있어야 할 미네랄 성분이 쉽게 파괴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소금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등록되어 있는 선행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제042701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소금 제조방식에 불순물 제거공정을 첨가하여 인체에 유익한 순수 소금을 제조할 수 있 도록 한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0374711호 공보에는 황토관에 소금을 채워 다지고 소성로 속에서 가열하여 소성시킨 후 이 소성된 소금과 지장수를 혼합 및 건조하여 분쇄하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 제0432435호 공보에는 맥반석 성분 및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황토용기 내에 천일염을 충진하고 산화불 및 환원불을 이용하여 소금을 구워냄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금 제조방식 들에 있어서는 소금의 제조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그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양산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소금이 가지고 있어야 할 미네랄 성분이 거의 파괴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비소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완전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미네랄 성분이 파괴되지 않음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닷물을 무명천으로 걸러 저 장용기 내로 수집하고 2∼3일간 그대로 방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바닷물을 500∼700℃로 2∼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과 동시에 건조하여 소금 결정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 소금 결정체를 세라믹 용기에 재 투입하여 불가마 내에 적재시킴과 동시에 그 주위에 소나무 장작을 채워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소각하여 1300∼1500℃로 8∼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세라믹 용기 내의 소금 결정체가 투명 상층부 및 불투명 하층부로 구획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불가마 입구의 밀폐상태를 해체한 후 소금 결정체를 2∼5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소금 결정체의 경계를 컷팅한 후 용도에 따라 각각의 분쇄기를 통해 파쇄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가마는 황토 82∼85 중량%,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2∼5 중량%, 물 10∼13 중량%를 골고루 섞은 후 돔형으로 양생시켜 제작한 것이며, 상기 소금 결정체를 이루는 투명 상층부는 900∼12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파쇄되고 불투명 하층부는 250∼5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닷물을 유입관로를 통해 채취하거나 혹은 운반용기로 공급하여 무명천으로 걸러 저장용기 내에 0.5톤 가량 수집한 후 2∼3일간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소금물을 500∼700℃ 정도의 온도로 2∼5시간 동안 가열시킴에 따라 소금물 내의 수분이 완전 증발되고 그대로 건조하여 소금 결정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소금 결정체의 양은 상기 저장용기 내에 수집되었던 양에 비해 대략 1/3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금 결정체는 다시 여러개의 세라믹 용기로 분산되어 재 투입됨과 동시에 이들 세라믹 용기를 불가마 내부로 운반하여 다단으로 적재시키고, 이들 세라믹 용기의 주위에 소나무 장작을 채워넣고 상기 불가마의 입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소나무 장작을 모두 소각 처리한다.
상기 불가마를 구성하는 성분은 황토(黃土) 82∼85 중량%,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2∼5 중량%, 물 10∼13 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골고루 섞어서 혼합한 진흙을 거푸집의 바깥면에 돔형(dome type)으로 양생시켜 제작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세라믹 용기를 1300∼1500℃ 정도의 온도로 8∼15시간 동안 가열시킴에 따라 소나무 특유의 유황, 효소, 송진 등의 성분과 소금 결정체가 하나의 덩어리로 응집되면서 수정(水晶)과 같이 맑게 응고된 투명 상층부와 불투명 하층부가 1:2 정도의 비율로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세라믹 용기는 고열로 인해 파쇄된다.
이 때, 상기 세라믹 용기를 가열시키는 온도나 시간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금 결정체 상의 투명 상층부가 생성되지 않거나 불필요한 연료의 낭 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 상기 불가마 내부에서 세라믹 용기 내의 소금 결정체가 고열 처리될 때 소금과 공기중의 분자들과 소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유익한 성분이 상호 작용하여 각종 광물질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로 변하면서 불순물과 독성분 및 기타 유해물질이 제거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불가마 입구의 밀폐상태를 해체한 후 그대로 2∼5시간 동안 소금 결정체를 자연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어느 정도 냉각된 소금 결정체를 취출해 낸 후 이 소금 결정체가 이루는 투명 상층부 및 불투명 하층부의 경계를 절단하여 분리시킨다.
그 후, 상기 투명 상층부는 분쇄기를 통해 900∼12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곱게 파쇄되어 주로 화장재료, 치약, 제약, 제과 등과 같은 고급 용도로 사용되며, 또 상기 불투명 하층부는 250∼5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파쇄 처리되어 일반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용량에 맞추어 포장 처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순수 소금은 각종 불순물이나 독성분이 제거되고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천일염이나 정제염 등과 같이 화학 처리된 소금을 섭취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가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반 바닷물을 채취하여 무명천으로 걸러 침전시킨 후 1차 및 2차에 걸친 각각의 가열과정을 통해 생성된 소금 결정체를 파쇄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중금속, 비소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완전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미네랄 성분이 파괴되지 않아 인체에 보다 유익한 기능성 소금 조미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바닷물을 무명천으로 걸러 저장용기 내로 수집하고 2∼3일간 그대로 방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바닷물을 500∼700℃로 2∼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과 동시에 건조하여 소금 결정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 소금 결정체를 세라믹 용기에 재 투입하여 불가마 내에 적재시킴과 동시에 그 주위에 소나무 장작을 채워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소각하여 1300∼1500℃로 8∼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세라믹 용기 내의 소금 결정체가 투명 상층부 및 불투명 하층부로 구획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불가마 입구의 밀폐상태를 해체한 후 소금 결정체를 2∼5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소금 결정체의 경계를 컷팅한 후 용도에 따라 각각의 분쇄기를 통해 파쇄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마는 황토 82∼85 중량%,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2∼5 중량%, 물 10∼13 중량%를 골고루 섞은 후 돔형으로 양생시켜 제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 결정체를 이루는 투명 상층부는 900 ∼12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파쇄되고, 불투명 하층부는 250∼500 메쉬의 입도범위를 갖는 분말체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20050080843A 2005-08-31 2005-08-31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70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43A KR100702216B1 (ko) 2005-08-31 2005-08-31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43A KR100702216B1 (ko) 2005-08-31 2005-08-31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82A KR20070025082A (ko) 2007-03-08
KR100702216B1 true KR100702216B1 (ko) 2007-04-03

Family

ID=3809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843A KR100702216B1 (ko) 2005-08-31 2005-08-31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2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82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217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702216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885218B1 (ko) 쌀의 가공방법
KR100763540B1 (ko) 순수 소금 조미료 제조용 불가마의 제작방법
KR20040028886A (ko)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20010069159A (ko) 순수소금의 제조방법
KR100718281B1 (ko) 구운 소금의 제조방법
KR101644852B1 (ko) 천일염 채염방법
KR102292900B1 (ko)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101777388B1 (ko) 정제 소금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720764B1 (ko) 폐석회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석회비료의 제조방법
KR101036538B1 (ko)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
KR20040060897A (ko) 죽염 조미소금 제조방법
KR101164799B1 (ko) 천일염 제조방법
KR20100028770A (ko) 유황소금의 제조방법
KR19990048004A (ko) 황토염 제조방법
KR102568106B1 (ko) 전통방식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가마와 지장토 도자 용기를 이용한 지장토 소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지장토 소금
KR102065334B1 (ko) 게르마늄 참나무 구운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4905A (ko) 고온가열법에 의한 천연 소금의 제조방법
KR102277488B1 (ko) 무 분말이 포함된 소금 제조방법
CN1142479A (zh) 海洋植物生长素及制法
JP7126092B2 (ja) 塩素除去材及びこれによってろ過された塩素除去水
KR20130011724A (ko) 기능성 액상 소금 제조방법
KR20180085620A (ko) 복사열을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의 구운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0915A (ko) 기능성 천일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기능성 천일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