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799B1 - 천일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일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799B1
KR101164799B1 KR1020100117705A KR20100117705A KR101164799B1 KR 101164799 B1 KR101164799 B1 KR 101164799B1 KR 1020100117705 A KR1020100117705 A KR 1020100117705A KR 20100117705 A KR20100117705 A KR 20100117705A KR 101164799 B1 KR101164799 B1 KR 10116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ontainer
sealed
sun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137A (ko
Inventor
최진산
Original Assignee
최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산 filed Critical 최진산
Priority to KR102010011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방법인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제조되는 천일염을 적절한 숙성조건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뜰은 맛과 쓴맛을 네는 마그네슘과 칼륨 등 제거하여 순도 높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해수를 염전저수지에 유입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천일염을 제조하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전의 결정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간수가 배출되는 밀폐용기에 담아 밀폐하는 단계; 상기 밀폐용기에 밀폐된 천일염을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결정지 밖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된 밀폐용기를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햇빛은 들지 않고 정화된 외부 공기는 공급되는 숙성창고로 운송 적재하는 단계; 상기 밀폐숙성용기가 적재된 숙성창고의 내부온도는 상온, 습도는 50 ~ 85%를 유지시키며 6개월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완료된 천일염을 포장용기 또는 포장포대에 담아 밀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일염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salt}
본 발명은 통상의 방법인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제조되는 천일염을 적절한 숙성조건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뜰은 맛과 쓴맛을 네는 마그네슘과 칼륨 등 제거하여 순도 높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天日鹽)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소금 결정들을 모아 만든 것으로서 김장 김치를 만들거나 각종 장류를 담그는데 널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천일염은 사리 만조 때 해수를 저수조에 유입된 것을 증발지로 보내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서 건조되어 염도가 20%정도 되면 결정지로 보내어 석출되는 염을 갈퀴 모양의 고무래로 소금을 긁어모아 수레에 담아서 창고까지 운반하여 보관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일정량의 소금이 보관창고에 모아지면 포장하여 출하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재래식 방법으로 생산되는 천일염은 생산 당일의 기후 조건(기온, 풍속, 일조량)에 따라서 성분의 차이가 발생됨은 물론, 염도와 미네랄의 함량이 다른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는데 상기의 방법은 각기 다른 제품을 선별 보관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천일염에는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간수로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99474 호는 천일염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리사이트(sericite), 크로라이트(chlorite), 일라이트(illite) 등의 광물을 채취하여 파쇄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광물들을 각각 곱게 분쇄하여 500메시 이상의 입도(粒度)를 유지하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 정수된 물 92~94중량%에 곱게 분쇄된 세리사이트 분말 3~5중량%, 일라이트 1~3중량%, 크로라이트 0.8~1.2중량%를 투입하여 고르게 저어 광물 분말들이 물에 고르게 희석되도록 하는 단계; 광물 분말들이 희석된 물과 천일염이 중량비율로 1 : 2가 되도록 혼합하여 물의 염분 농도가 포화상태를 이루도록 천일염을 물에 담그는 단계; 찌꺼기와 함께 융해된 물은 버리고 물에 잠겨진 천일염을 마대에 담아서 2~3일간 자연탈수 시키는 단계; 탈수된 천일염을 고르게 펼쳐놓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 천일염을 정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3-0086184호는 유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일염전의 해수탱크에 원재료인 바닷물이나 심층수를 끌어 올린 후 밀폐상태에서 음이온 오존 살균기나 초음파 세척기로 1단계 제독시키고 숯과 은을 마대에 담아서 투입시켜 2단계로 제독시키거나 바닷물이나 심층수를 끌어올리기 전에 미리 염전 바닥을 파고 잘게 부순 숯과 옥을 넣고 덮은 뒤 잘 다지기한 후 바닷물을 넣고 1단계 제독한 바닷물이나 심층수에 은을 담가두고 해수탱크 주변에 갈대를 심거나 갈대를 뿌리체로 채취 널빤지 중앙에 구멍을 뚫어 삽입 고정시켜 띄워둠으로써 바닷물에 함유된 각종 유해한 성분 등을 염전의 해수 탱크, 증발지, 결정지 까지 오존, 숯, 은, 갈대를 이용하여 3단계에 걸쳐서 제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짠맛 약초인 함초나 몸에 좋은 약초나 과일이나 양념이나 해초를 즙을 내어서 음이온오존 살균기나 초음파 세척기로 1단계 제독시키고 숯과 은을 담가두어 2단계 제독시킨 뒤 동력살분무기에 넣고 결정지의 바닷물이나 심층수에 고루 뿌려줌으로써 약초나 과일이나 양념이나 해초 즙과 바닷물이나 심층수가 어우러져 신개념의 천연소금이 생산되며, 또한 염전의 바닥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천역석인 옥이나 게르마늄석으로 대체함으로써 고품질의 무 독소 천일염을 조기에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등록특허 10-0881922호는 해수를 염전저수지로 유입시켜 저장하는 해수저장단계; 상기 저장된 해수를 증발지로 유입시켜 보메 비중 14ㅀ~20ㅀ으로 농축시키는 함수생성단계; 상기 농축된 함수에 보메 비중 30ㅀ~31ㅀ의 함수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보메 비중 23ㅀ~25ㅀ의 함수를 생성하는 고농축 함수생성단계; 상기 고농축 함수를 염수탱크내로 투입하고 층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층 분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고농축 함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여과된 고농축 함수를 지붕에 설치된 투명필름을 통해 자연채광이 유입되고 폐쇄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최종결정부의 내부에 설치된 결정판부의 수평 판유리로 투입하여 자연증발에 의해 자연 농축시키는 결정화단계; 상기 결정화된 소금을 채염하여 탈수 및 건조시키는 탈수단계로 이루어진 고품질 천일염 제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천일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일염은 숙성기간이 불규칙하며 숙성조건이 적절하지 못하여 천일염에서 뜰은 맛과 쓴맛이 나게 되는데 이는 숙성기간과 숙성조건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기 뜰은 맛과 쓴맛을 네는 마그네슘과 칼륨이 제거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통상의 방법인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천일염을 생산 시기별로 특징이 같은 상품을 구분하여 일정한 용기에 보관 및 운송하는 방법과 적절한 숙성조건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마그네슘과 칼륨이 내는 뜰은 맛과 쓴맛을 제거하여 순도 높고 미네랄이 풍부한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을 제조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 구성은 해수를 염전저수지에 유입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천일염을 제조하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전의 결정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간수가 배출되는 밀폐용기에 담아 밀폐하는 단계; 상기 밀폐용기에 밀폐된 천일염을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결정지 밖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된 밀폐용기를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햇빛은 들지 않고 정화된 외부 공기는 공급되는 숙성창고로 운송 적재하는 단계; 상기 밀폐숙성용기가 적재된 숙성창고의 내부온도는 상온, 습도는 50 ~ 85%를 유지시키며 6개월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완료된 천일염을 포장용기 또는 포장포대에 담아 밀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숙성용기는 소나무, 편백나무, 단풍나무, 대나무, 참나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의 내부에는 밀폐숙성용기와 동일한 재질의 목재편이 복수 개 매립되며, 상기 밀폐숙성용기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기, 석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의 내부에는 밀폐숙성용기와 동일한 재질의 토기 또는 석기편이 복수 개 매립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방법인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천일염을 품질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적절한 숙성조건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뜰은 맛과 쓴맛을 내는 마그네슘과 칼륨을 제거하여 순도 높고 미네랄이 풍부한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천일염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천일염 제조방법은 먼저 해수를 염전저수지에 유입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천일염을 제조하는데 그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바닷물을 염전저수지에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소금 결정들을 모아 만드는 것인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생략하고 본 발명의 숙성을 위한 밀폐용기의 적용과 숙성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염전 결정지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을 목재, 토기, 석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복합재질로 된 간수가 배출되는 밀폐용기에 담은 후 상기 밀폐숙성용기를 운반 수레를 이용하여 결정지 밖으로 이송하며 지게차나 차량을 이용하여 밀폐숙성용기를 숙성창고로 이송하여 적재한다.
상기와 같이 밀폐숙성용기 즉 숨 쉬는 용기에 담아 적재된 천일염을 숙성창고에서 숙성시키는데 그 숙성시키는 이유는 소금의 산화를 방지하고 뜰은 맛과 쓴 맛을 제거(이하 "간수"라 통칭함)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밀폐숙성용기가 적재된 숙성창고의 내부온도는 상온을 유지시키며, 습도는 50 - 85% 유지시키고 숙성기간은 6개월 이상이다.
상기 염전저수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햇빛은 들지 않고 정화된 외부공기는 공급되는 숙성창고에 저장하는 이유는 햇빛이 들게 되면 염전저수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이 빠른 시간에 산화되거나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를 예방하기 위함이고,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이유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숙성창고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숙성창고의 내부온도를 상온, 습도를 50 - 85% 유지시키는 이유는 숙성창고의 내부온도가 상온 이하를 유지하면 온도가 너무 낯아 간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온 이상을 유지하면 간수가 너무 많이 발생함은 물론, 그와 동시에 소금의 주성분이 염화나트륨과 미네랄이 간수와 함께 빠져나가기 때문에 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숙성창고의 습도를 50 - 85% 유지시키는 이유는 천일염의 함수율이 15% 미만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한데 그 함수율을 조절하기 위함과 동시에 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본 발명의 천일염 숙성과정에서 천일염 함수율 10 - 12%를 유지시키고자할 때에는 숙성창고의 습도를 50 - 60% 유지하고 천일염 함수율 13 - 15%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숙성창고의 습도를 61 - 85%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천일염의 함수율은 숙성기간과 숙성온도 및 습도의 조절에 따라 달라지며 그와 동시에 천일염의 사용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숙성창고에서의 숙성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숙성창고의 온도가 설정치를 기준으로 10 - 18℃에서는 간수의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그 간수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고, 숙성창고의 온도가 설정치를 기준으로 19℃ - 25℃에서는 간수의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그 간수의 빠른 사간을 감안하여 6개월 이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밀폐숙성용기는 목재, 토기, 석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간수가 배출되는 용기나 상기 재질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용기를 사용하는데 상기 목재, 토기, 석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숨 쉬를 용기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밀폐숙성용기의 구체적인 목재는 소나무(해송, 미송), 편백나무, 단풍나무, 대나무, 참나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목재들의 효능이 본 발명의 천일염에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고, 그 효능을 더욱 높임은 물론, 천일염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목재 편을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 내부에 골고루 분포시킨다.
또한 상기 밀폐숙성용기의 재질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기 또는 석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그 이유 역시 상기 목재와 마찬가지로 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기 또는 석기들의 효능이 본 발명의 천일염에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고, 그 효능을 더욱 높임은 물론, 천일염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토기 또는 석기 편을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 내부에 골고루 분포시킨다.
한편 상기의 재질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용기는 각각의 재질이 가지는 물리적인 단점을 개선하고 각각의 재질이 가지는 인체에 유익한 효능이 천일염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본 발명의 천일염 숙성과정이 완료되면 포장용기 또는 포장포대에 담아 밀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천일염 제조방법은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천일염은 생산별로 다른 품질의 천일염이 혼합되지 않고 분류되어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밀폐용기의 재질에 따라서 다양한 상품개발이 가능하며, 적절한 숙성조건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마그네슘과 칼륨이 내는 뜰은 맛과 쓴맛을 제거하여 순도 높고 미네랄이 풍부한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이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해수를 염전저수지에 유입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천일염을 제조하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전의 결정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간수가 배출되는 밀폐용기에 담아 밀폐하는 단계;
    상기 밀폐용기에 밀폐된 천일염을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결정지 밖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된 밀폐용기를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햇빛은 들지 않고 정화된 외부 공기는 공급되는 숙성창고로 운송 적재하는 단계;
    상기 밀폐숙성용기가 적재된 숙성창고의 내부온도는 상온, 습도는 50 ~ 85%를 유지시키며 6개월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완료된 천일염을 포장용기 또는 포장포대에 담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숙성용기는 소나무, 편백나무, 단풍나무, 대나무, 참나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의 내부에는 밀폐숙성용기와 동일한 재질의 목재편이 복수 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숙성용기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기, 석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이 담겨진 밀폐숙성용기의 내부에는 밀폐숙성용기와 동일한 재질의 토기 또는 석기편이 복수 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제조방법.











KR1020100117705A 2010-11-24 2010-11-24 천일염 제조방법 KR10116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05A KR101164799B1 (ko) 2010-11-24 2010-11-24 천일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05A KR101164799B1 (ko) 2010-11-24 2010-11-24 천일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137A KR20120056137A (ko) 2012-06-01
KR101164799B1 true KR101164799B1 (ko) 2012-07-11

Family

ID=4660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705A KR101164799B1 (ko) 2010-11-24 2010-11-24 천일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755B1 (ko) * 2018-10-23 2020-05-20 손양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134A (ja) 2000-02-14 2001-08-14 S F C:Kk 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酵素入り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
KR100860847B1 (ko) 2007-04-16 2008-09-30 주식회사 태평소금 천연 꽃소금 제조방법
KR100913853B1 (ko)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134A (ja) 2000-02-14 2001-08-14 S F C:Kk 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酵素入り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
KR100860847B1 (ko) 2007-04-16 2008-09-30 주식회사 태평소금 천연 꽃소금 제조방법
KR100913853B1 (ko)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137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922B1 (ko) 고품질 천일염 제조방법
JP2010252752A (ja) 植物系原料を含む食用塩の製造方法
KR101164799B1 (ko) 천일염 제조방법
KR101299205B1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KR100587399B1 (ko) 함초를 이용한 간장과 된장의 제조방법
KR100702217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1147914B1 (ko)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0351468B1 (ko) 천연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보존 알카리성 가공염의 제조방법
KR20120093031A (ko) 식물성분이 함유된 천연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253323B1 (ko) 미네랄이 강화된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KR20130062568A (ko) 고품질 천일염 제조방법
KR101040198B1 (ko) 엽록소 추출방법
KR100963558B1 (ko) 기능성 마늘 소금의 제조방법
KR101644852B1 (ko) 천일염 채염방법
KR20040060897A (ko) 죽염 조미소금 제조방법
Jaikaran et al. Growth and bioremediation propertie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using gold and bauxite mining soils in Guyana
KR100702216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1681672B1 (ko) 나무의 유용성분 및 미세조류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소금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16685A (ko) 해양심층수로부터 분리된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네랄 소금의제조 방법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KR102217101B1 (ko) 고로쇠수액 염수 제조방법
KR20130011724A (ko) 기능성 액상 소금 제조방법
KR20180117871A (ko) 옥김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옥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