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37B1 -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 Google Patents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137B1
KR100702137B1 KR1020010061011A KR20010061011A KR100702137B1 KR 100702137 B1 KR100702137 B1 KR 100702137B1 KR 1020010061011 A KR1020010061011 A KR 1020010061011A KR 20010061011 A KR20010061011 A KR 20010061011A KR 100702137 B1 KR100702137 B1 KR 10070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liquid
volatilized
control componen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215A (ko
Inventor
다다히로 마츠나가
도모노리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Abstract

해충방제기는, (1) 해충방제성분 휘산면 및 액체휘산면을 가지며 상기 해충방제성분 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갖는 해충방제제를, 해당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액체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 가능하게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와, (2)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있어서 액체휘산면에 액체를 공급하는 중심 및 상기 중심에 의해 상기 액체휘산면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휘산면에서 휘산되는 해충방제성분의 잔량을 상기 용기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Pest control device and volatile substance holder for use in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해충방제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 유지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 유지체를 지지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유지체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액체유지체와 중심의 접촉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a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체의 형상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체의 형상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c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체의 형상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다른 액체공급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또 다른 액체공급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10a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다른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기류발생기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12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기류발생기의 또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13은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 유지체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14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 유지체의 또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휘산성을 갖는 살충성분 또는 기피성분 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발시키는 비가열식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열식 해충방제기를 대신하여 캠프할 때 등 옥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온휘산성을 갖는 살충성분이나 기피성분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해충방제제를 종이 등의 유지체에 침투시켜 해당 유지체를 향해 팬으로 바람을 보냄으로써 활성성분을 대기중에 휘산시켜 살충작용을 발휘시키는 해충방제기가 개발되어 있다(일본공개공보인 특개평7-236399호 공보(공개일 1995년 9월12일) 등 참조).
또 해충방제제를 함침시킨 유지체 자체를 구동수단으로 회전시켜 활성성분을 대기중에 휘산시키는 해충방제기도 제안되어 있다(일본공개공보인 특개평5-68459호 공보(공개일 1993년 3월 23일) 참조).
이와 같은 해충방제기는, 가열식 해충방제기와 같이 해충방제제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해충방제기는 소비에너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상용전원에 접속할 필요가 없고 건전지 등을 이용하여 팬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해충방제기는 휴대성이 우수하며 또 해충방제기 자체 또는 주위환경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상이나 화염 등의 위험성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해충방제기를 유지체에 함침시켜 사용하는 경우, 휘산하는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이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잔량을 확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해충방제기는 그 약효가 다했는지를 판단할 수 없으며 대강의 사용 가능시간의 기준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그 사용빈도나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아직 활성성분이 남아있는데도 사용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대로 약효가 다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약효 소멸)을 확실히 확인하는 수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종점 확인 방법으로서, 예컨대 전지의 수명에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량을 맞추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전지가 없어지면 종이에 배어들게 한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이 없어진다고 판단하여 종이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지의 수명에 의해 약효 소멸을 판단하는 방법은,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와 전지의 소비가 항상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는 없기 때문에 약효 소멸과 전지의 수명에 차이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대략 사용 가능시간의 기준밖에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어느날 갑자기 전지의 수명이 다했다는 것을 알아차렸을 때에는 이미 약효가 제로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휘산시키는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을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일본공개공보인 특개평8-147호 공보(공개일 1996년 1월 9일) 등과 같이 해충방제제 또는 유지체를 착색하여 색이 사라지면 유지체의 교환시 기인 것을 알리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해충방제제 또는 유지체를 착색하는 방법은, 착색상태를 눈으로 판단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의 착색은 활성성분 자체의 색은 아니다. 이 경우의 착색은 첨가한 색소의 색이며, 상기 방법은 이 색이 예컨대 화학변화 등에 의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옅어짐으로써 이 색이 없어지는 시간과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이 없어지는 시간을 맞추는 데 지나지 않는다. 즉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휘산과 색소의 색 변화는 물리적으로 모두 다른 현상이다. 이 때문에 상기 방법은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실효(약효 소멸)와 유지체의 색의 소실을 잘 맞출 수는 없으며 조절이 어려우므로 종점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색의 소실에 따른 종점의 판단에는 개인차가 있다. 또한 색이 변해도 얼룩이 져서 종점을 판별하기 어려워지거나 완전히 색이 소실되지 않아서 등의 이유에 의해 사람에 따라서는 교환시기라고 판단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직 괜찮다고 판단하는 사람도 있다. 이 때문에 누구라도 확실하게 종점을 판단할 수는 없다.
종래 종점관리가 용이하고 또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약효 소멸)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로는, 액체모기향과 같이 용매에 해충방제제를 녹인 해충방제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해당 용기에서 해충방제액을 빨아올려 이것을 가열하고 그 활성성분과 함께 용매를 휘산시킴으로써 해충방제액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해충방제기를 이용한 방법은, 해충방제액의 가열을 필요로 한 다. 이 때문에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제를 용매에 용해시켜 용기에 수용하고 해당 용기에서 해충방제액을 끌어올려 바람으로 휘산시키려고 하면, 예컨대 용매로서 에탄올과 같이 저비점의 용매를 이용하면 바로 증발하여 없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극히 단시간 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반대로 고비점의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해충방제제의 휘산성이 저하되어 해충방제능력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해충방제제를 용매에 용해시켜 용기에 수용하여 상온휘산형 해충방제기에 사용하는 경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해충방제제의 휘산량이 저하되어 해충방제제의 효력이 유효하게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제를 이용한 비가열식 해충방제기에 있어서, 종점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약효 소멸)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해충방제능력이 우수하며 게다가 종점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약효 소멸)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해충방제능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종점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해충방제제의 활성성분의 감소 또는 종점(약효 소멸)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과 해당 해충방제성분의 잔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분리하고 해당 해충방제성분의 잔량을 인디케이터부의 액체수용수단 중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냄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해충방제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제1 및 제2휘산면을 가지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고,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 가능하고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와,
(2)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있어서 상기 제2휘산면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기구 및 상기 액체공급기구에 의해 상기 제2휘산면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수용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휘산면에서 휘산되는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 중의 잔량을 상기 액체수용용기 중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가 2개의 휘산면을 구비하며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액체를 별도의 휘산면으로 유지·휘산시킴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이 저해되지 않고 해당 해충방제성분의 해충방제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해충방제제와 인디케이터 기능을 담당하는 인디케이터부가 서로 상관성을 갖고 있지만 구성으로는 분리되며 별도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해충방제성분의 종점(약효 소멸) 관리 및 휘산량 제어가 용이하며 상 기 액체의 소실점과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실효점을 임의 또는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잔량(감소)을 눈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우수한 해충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종점관리, 제어가 용이하며 더욱이 해충방제성분의 감소 및 종점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상기 액체에 필요에 따라 다른 약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부에 인디케이터로서의 기능과, 약제유지부로서의 2가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해충방제성분보다도 고휘산성(고휘발성) 또는 저휘산성(저휘발성)의 약제 또는 고체의 약제라도 상기 해충방제성분과의 복합화를 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상기 약제의 약효가 다한 시간을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기에 소취작용이나 항균작용, 방향작용 등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각종 복합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활성성분의 실효까지의 유효기간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휘산성 물질 유지체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휘산면을 가지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 가능하고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가 상기 2개의 휘산면을 구비하며,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액체를 별도의 휘산면에서 유지·휘산시킴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이 저해되지 않고 해당 해충방제성분의 해충방제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상기 액체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담당하는 인디케이터부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우수한 해충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종점관리, 제어가 용이하며 더욱이 해충방제성분의 감소 및 종점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는 상기 제1휘산면에 필레스로이드(pyrethroid)계 화합물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에 의해 우수한 해충방제기를 제공하는 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특성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도시한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일형태에 대해 도 1∼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방제기 본체(1)와, 인디케이터부(2)(인디케이터수단)를 구비한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 해충방제기 본체(1)는 중공형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가능하게 설치된 챔버(20)와, 전지(31)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지수용부(30)에는 전지(31)의 전극과 접촉하는 미도시된 단자 등이 설치되며, 해당 단자는 미도시된 제어회로 등을 통해 상기 챔버(20) 내에 설치된 후술하는 기류발생기(23)(기류발생수단)의 모터(23b)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챔버(20)는 축받이대(21)와, 해체할 수 있게 설치된 덮개(22)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챔버(20)에 있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기(23)와 휘산성 물질 유지체(40)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류발생기(23)는 회전날개(23a)와, 해당 회전날개(23a)를 회전구동하는 모터(23b)와, 지지축(23c)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날개(23a)는 상기 지지축(23c)에 의해 상기 모터(23b)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23b)는 모터지지틀(24)에 의해 상기 축받이대(21)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날개(23a)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에서는 상기 회전날개(23a)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 상부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설치된 모터(23b)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해충방제기 본체(1)의 주벽(周壁)(12)에는 흡기공으로서의 통기공(11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22)의 천장벽(22a)에는 배기공으로서의 통기공(11a)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도 2에 도시한 해충 방제기에서는,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입에 의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에서 휘산되는 휘산성 물질(휘산성 성분)을 상기 통기공(11a)에서 해당 해충방제기 본체(1) 외부로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상기 축받이대(21)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대(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상기 해충방제기 본체(1)의 주벽(12)에서 해당 해충방제기 본체(1)의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돌출부(21a)를 가지며,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a) 위에 재치(載置)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휘산성 물질 유지체(42)를 위틀(43) 및 아래틀(44)로 이루어진 한쌍의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로 협지(挾持)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도 3 및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충성분 또는 해충기피성분 등의 해충방제성분을 유지하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해충방제성분 유지부)와, 상기 인디케이터부(2)에서 공급되는 액체(5)(도 1 및 도 2 참조)를 유지하는 액체유지체(46)(액체유지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4a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구성하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 및 액체유지체(46)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 및 액체유지체(46)를 지지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 유지체(46)는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며,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재(42)인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와, 상기 액체 유지체(46)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재(42)인 액체유지재(46a)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인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제1휘산면)과, 상기 액체유지체(46)의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인 액체휘산면(46b)(제2휘산면)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와 액체유지재(46a)는, 상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각각 별도로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 예컨대 상기 위틀(43) 및 아래틀(44)로 협지한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 위틀(43) 및 아래틀(44)의 재료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액체유지재(46a)의 형상유지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액체유지재(46a)로 유지되는 해충방제성분이나 액체(5)(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위틀(43) 및 아래틀(44)에는 예컨대 플라스틱 등이 이용된다. 나아가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와 액체유지재(46a)는 각각 유지하는 해충방제성분이나 액체(5)의 종류에 따라 다른 재질의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와 액체유지재(46a)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위틀(43) 및 아래틀(44)로 협지한 상태에서 예컨대 도 4b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 위에 재치하여 이용되며, 해당 휘 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마다 상기 축받이대(21)의 돌출부(21a)에 재치되어 이용된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은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의 형상에 맞춘 구멍(47a)과, 액체휘산면(46b)의 형상에 맞춘 구멍(47b)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휘산면(46b)에 통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에 있어서 상기 구멍(47a)과 구멍(47b)을 분할한 경계부분에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를 비접촉상태에서 분리하는 칸막이판(칸막이)으로서의 돌출부(49)(분리대)가 상기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立設)되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도 4b에서는 상기 돌출부(49)가 상기 경계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49)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나아가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구성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를 협지하는 아래틀(44)을 수평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해당 아래틀(44) 하부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4a)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유지체(46)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액체유지체(46)를 계합(係合) 또는 감합(嵌合)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위틀(43)이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 휘산면(46b)을 서로 비접합으로 2개로 분할하는 칸막이부(분리대)로서 기능한다.
또한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을 사용하는 대신에 축받이대(21)의 돌 출부(21a)가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는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은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 및 액체유지재(46a)를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 유지체(46)는 기류발생기(23)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만 있다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 지지틀(47) 위에 직접,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 및 액체유지재(46b)를 재치해도 상관 없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 액체유지재(46a)를 다른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그 중 어느 한쪽만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나 액체 유지재(46a)를 상술한 위틀(43) 및 아래틀(44)로 끼우는 경우, 위틀(43)과 아래틀(44)은 도 4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48) 등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또 교합(咬合) 또는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가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 및 액체유지재(46a)와, 이들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 및 액체유지재(46a) 위에 웨이트로서 재치되는,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 및 액체 휘 산면(46b)의 형상에 맞춘 구멍을 갖는 위틀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으로 고형의 것 또는 후술하는 해충방제성분이 함유된 조성물 중 고체의 것 또는 해당 조성물을 고체화한 것을 사용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발생기(23)에 있어서 회전날개(23a)가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위쪽(배기공으로서의 통기공(11a)측)에 설치되며, 해당 기류발생기(23)의 흡입에 의해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으로부터 휘산하는 해충방제성분을 상기 통기공(11a)에서 해당 해충방제기 본체(1) 외부로 배기하는 경우, 또는 자연증산(휘산)형 해충방제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기류발생기(23)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등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대해 바람을 관통(통풍)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휘산성 물질유지체(40)로서는 서로 비접촉으로 설치된, 대기중으로의 휘산성분의 휘산이 가능한 2개의 휘산면을 가지며, 해충방제성분과 액체(5)가 각각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만 하다면 반드시 통풍 가능한 구성을 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해충방제성분 유지부(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부(액체유지체(46)) 사이에 칸막이가 설치되며 해충방제성분 유지부와 액체유지부가 함께, 또는 해충방제성분 유지부만이 상부가 개방된 트레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로는 이와 같이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는데, 종점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도중에 중단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가 해당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해충방제성분을 적당히 휘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이용되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로는, 해당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해충방제성분을 적당히 휘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이용되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종이, 부직포, 직물, 스폰지, 펄프, 수지필름, 세라믹, 다공질수지(발포폴리프로필렌, 발포우레탄 등), 합성섬유(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천연섬유(양모, 견, 면, 마 등), 무기섬유(유리섬유 등), 무기질 성형물 및 이들 성형품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시트형 담체를 필요에 따라 적당히 접거나 그 일부분을 붙이거나 벌집 모양으로 가공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등 담체의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확대를 꾀할 수도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는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을 구성하기 위해 체적당 표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는 통기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로는, 예컨대 네트형, 벌집형의 소재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시트형 등의 소재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접거나 그 일부분을 붙이거나 또는 그 표면에 요철을 만들어서 담체의 체적, 즉 유지(담지)하는 해충방제성분에 대한 표면적의 확대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네트형 내지 벌집형 소재를 겹쳐 쌓거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접거나 그 일부분을 붙여 액체유지재(46a)의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확대를 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는, 그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에 미리 해충방제성분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해충방제성분으로는, 해충방제활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휘산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의 관점에서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이란 천연의 필레스린(pyrethrin) 또는 합성필레스로이드로 이루어진 살충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2-메틸-3-아릴-4-옥소-2-시클로펜텐-1-일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메틸-3-프로파르길-4-옥소-2-시클로펜텐-1-일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5-프로파르길-2-푸르푸릴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5-프로파르길-2-푸르푸릴 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에티닐-2-메틸-2-펜테닐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에티닐-2-메틸-2-펜테닐 3-(2-클로로-2-플루오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2-클로로-2-플루오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2,2-디클로로비닐)-2, 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메톡시이미노메틸-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 3-(2,2-디클로로비닐)-2, 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 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메틸-3-아릴-4-옥소-2-시클로펜텐-1-일 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천연필레스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1종류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그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의 관점에서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에테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가 바람직하며 그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의 관점에서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는 헤충방제 활성성분으로서, 일본공개공보인 특개2000-63329호 공보(공개일 2000년 2월 29일)에 기재된 화합물로서 해당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상기 해충방제성분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또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용제, 색소, 산화방지제, 공력제(共力劑),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함유하는 해충방제성분 함유의 컴포지션을 함침, 도포, 인쇄, 혼련하는 방법 외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또는 해충방제성분이 함유된 컴포지션을 고화, 성형하는 방법 등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는 해충방제성분의 양은 그 용도, 사용상황, 사용기간 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0.001g 이상, 10g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g 이상, 5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g 이상, 1g 이하이다.
또한 상기 액체유지체(46)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부(2)에서 해당 액체유지체(46)에 공급되는 액체(5)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는데 종점관리가 용이하며 또 도중에 중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인디케이터부(2)에서 해당 액체유지체(46)에 공급되는 액체(5)를 빨아들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해당 액체유지체(46)를 통과하는 기통에 의해 해당 액체유지체(46)에 유지되어 있는 액체(5)를 적절하게 휘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액체유지체(46)에 이용되는 액체유지재(46a)로는 상기 인디케이터부(2)에서 해당 액체 유지체(46)에 공급되는 액체(5)를 빨아들일 수 있으며 해당 액체유지재(46a)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해당 액체유지재(46a)에 유지되어 있는 액체를 적절히 휘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유지체(46)에 이용되는 액체유지재(46a)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펠트, 목면, 직물, 펄프, 종이, 다공질 수지(발포폴리프로필렌, 발포우레탄 등), 부직포, 석면, 다공질 세라믹, 합성섬유(나일론, 폴레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천연섬유(양모, 견, 면, 마 등), 무기섬유(유리섬유 등), 무기질 성형물 및 이들 성형품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액체유지재(46a)는 액체휘산면(46b)을 구성하기 위해 체적당 표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유지재(46a)는 통기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액체유지재(46a)로는, 예컨대 네트형 내지는 벌집형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네트형 내지 벌집형 소재를 겹쳐 쌓거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접거나 그 일부분을 붙여서 해당 액체유지재(46a)의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확대를 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체유지체(46)에는 인디케이터부(2)로 연장되는 돌출부(46d)가 설치되며 상기 액체유지재(46a)는 이 돌출부(46d)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a에 도시한 액체유지체(46)에 있어서는, 휘산성 물질유지재 고정부 재로서의 위틀(43) 및 아래틀(44)의 형상에 맞춰 액체유지재(46a)가 상기 돌출부(46d)에도 연장설치된 구성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액체유지체(46)에 돌출부(46d)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7)에는 도 4b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6d)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해당 지지부가 상기 돌출부(46d)에 있어서 액체유지재(46a)로의 액체(5)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액체 유지체(46)에 공급하는 액체(5)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3)(액체수용수단, 액체수용용기)와, 해당 용기(3)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상기 액체유지체(46)에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액체공급기구)으로서의 중심(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2)는 해당 중심(4)을 해당 중심(4)의 일부가 용기(3)의 상부에 설치된 개구부(3a)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3) 내에 늘어뜨리고 해당 중심(4)을 상기 액체유지체(46)의 돌출부(46d)에 있어서 액체유지재(46a)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당 중심(4)을 통해 상기 용기(3)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의 잔량을 가지고 상기 해충방제기 본체(1)의 챔버(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활성성분)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주로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그 해충방제성분량의 조합, 및 상기 용기(3)에 수 용되는 액체(5)와 그 사용량의 조합 중 적어도 한쪽 조합에 따라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그 해충방제성분량, 상기 용기(3)에 수용되는 액체(5)와 그 사용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의 표면적의 비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재질,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재질의 조합이 설정(결정)되어 있다.
해당 설정은, 예컨대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종류와 그 해충방제성분량, 상기 용기(3)에 수용되는 액체(5)의 종류와 그 사용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의 표면적의 비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재질,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재질을 변동요소로 하고 이들 변동요소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은 모두 해충방제기 본체(1)의 챔버(20) 내에 수용되며 같은 공간 내에서 동일한 기류발생기(23)로 만들어지는 기류의 영향을 받는다. 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는 같은 휘산환경하에 놓여져 있다.
이 때문에 인디케이터 기능을 하는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의 휘산과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의 휘산과는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용기(3)에 수용된 액체(5)를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액체유지체(46)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 충방제성분의 잔량(감소)을 눈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2)에 있어서 이용되는 용기(3)은 액체(5)를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수용하는 액체(5)가 일정기간, 예컨대 1년 이상 누출되지 않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잔량을 외관으로 파악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용기(3)을 인디케이터(인디케이터 수단)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 나아가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의 잔량의 확인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로는, 예컨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또는 이들 복합재료 등의 합성수지, 유리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용기(3)에는 중심(4)을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3) 내의 액체(5)가 휘산되지 않도록 용기(3)의 개구부(3a)를 막는 심홀더(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4)으로는, 상기 용기(3)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빨아들이고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심(4)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펠트; 목면; 직물; 펄프; 종이; 발포폴리프로필렌이나 발포우레탄 등의 다공질수지; 부직포; 석면; 다공질 세라믹; 합성수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피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섬유; 양모, 견, 면, 마 등의 천연섬유; 유리섬유 등의 무기섬유; 무기질 성형물; 및 이들 성형품 등의 흡액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상기 액체(5)로는 그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상온에서 휘산될 수 있는 액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디케이터로서의 기능만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물, 탄화수소, 에스테르, 알코올 등의 용제 및 그 혼합용액 등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액체(5)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동일 또는 다른 해충방제성분, 식물정유 등에 포함되는 향기·항균·해충기피성분, DEET 등의 합성해충기피제, 향료, 색소,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등의 약제를 함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용기(3)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액체(5)의 잔량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액체(5)에 해당 액체(5)에 용해하는 색소 등을 함유시켜도 상관없다.
상기 액체(5)에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각종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부(2)에 인디케이터로서의 기능과 약제 유지부로서의 2가지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해충방제성분보다도 고휘산성(고휘발성) 또는 저휘산성(저휘발성)의 약제 또는 고체의 약제라도 상기 해충방제제와의 혼합화를 꾀할 수 있다.
이 결과, 미리 향료 등의 저비점의 약제를 해충방제제와 함께 함침시켜 놓은 경우, 그 비점의 차이에서 해충방제제의 실효 전에 약제가 모두 휘산되어 버린다는 문제점도 극복하고,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상기 약제와의 약효 소멸 시간을 용이하 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기에 소취작용이나 항균작용, 방향작용 등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각종 복합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활성성분의 실효까지의 유효기간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액체에 함유되는 약제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보다 휘산성이 높은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종류와 그 해충방제성분량, 상기 용기(3)에 수용되는 액체(5)의 종류와 그 사용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의 표면적의 비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의 재질,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재질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보다 저휘산성(저휘발성)의 약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액량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의 해충방제효과가 유효하지 않게 된 시점, 즉 약효가 다한 시점에서, 또는 약효가 다하기 직전에 상기 용기(3) 내의 액체가 소실되거나 또는 극소량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효가 다한 시점에서 상기 용기(3) 내의 액체가 소실되거나 또는 극소량이 남아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기를 사용하면,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휘산성과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휘산량이 관련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종점관리 및 휘산량의 제어가 용이하므로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소실점과 상기 해 충방제성분의 실효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심(4)에 의해 흡액된 상기 액체(5)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중심(4)을 상기 액체유지체(46)의 돌출부(46d)에 있어서 액체유지재(46a)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당 중심(4)을 통해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에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중심(4)에 연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중심(4)을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적절히 비틀어 넣어 찌그러지지 않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4)의 주위, 예컨대 심홀더(6)에 스토퍼(stopper)기구로서 리브(rib)(7)(돌기부)를 형성하고 해당 리브(7)를 상기 액체 유지체(46)의 아래틀(44)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액체유지체(46)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3)에는 상기 액체유지체(46)를 중심(4)과의 접촉부로 인도함과 동시에 상기 액체유지체(46)를 상기 중심(4)이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접촉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벽(8) 및 상기 액체유지체(46)를 정위치에 지지하는 스토퍼 기구로서의 고정벽(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4)을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접촉시킬 때에는 상기 액체유지체(46)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지재(46a)와 중심(4)의 접촉부 위에 홀더고무(10)를 재치함으로써 상기 접촉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접촉부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홀더고무(10)의 재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에서는, 상기 용기(3)을 해충방제기 본체(1) 에 인접하여 설치하고 해당 용기(3) 내의 액체를 상기 액체유지체(46)에 설치된 돌출부(46d)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였는데 상기 용기(3) 내의 액체의 공급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유지체(46)를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중앙에 형성하고 해당 액체유지체(46)의 이면측에 용기(3)을 배치하고 해당 액체유지체(46)에 있어서 액체유지재(46a)의 이면측에 중심(4)을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용기(3)을 해충방제기 본체(1)에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해충방제기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을 액체유지체(46)의 이면측에 설치함으로써 해충방제기의 폭을 작게 하여 슬림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용기(3)의 위치는 사용용도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형상도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도 4a,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어도 좋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어도 좋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액체유지체(46)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이어도 좋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이어도 좋고 도 7a·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돌출부(46d)는 용기(3)의 위치에 따라 설치하면 되는데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액체유지체(46)의 위치도 용기(3)의 위치에 따라 도 4a 및 도 7b·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이들 휘산성 물질 유지체(40), 해충 방제성분 유지체(45), 액체유지체(46)의 형상이나 그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a, 도 5 및 도 7b,·도 7c에서는 상기 돌출부(46d)에 있어서 상기 중심(4)과의 접촉부가 볼록해져 있는 구성으로 했는데, 해당 돌출부(46d)는 반드시 상기 중심(4)과의 접촉부가 볼록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액체 유지재(46a)로의 상기 액체(5)의 액체공급기구(액체공급수단)로는, 상기 용기(3) 내의 액체를 흡액하는 흡액체를 상기 심중(4)으로서 이용한 흡액공급기구가 간소하고 저렴하게 연속적으로 일정한 액체량을 상기 액체유지체(46)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되는데 상기 액체공급기구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상기 액체유지체(46)의 액체휘산면(46b)에 공급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예컨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3)이 개구부(3a)를 아래쪽으로 하여 유지되고 상기 액체공급기구가 용기(3) 내에 예컨대 압압(押壓)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용기(3)의 개구부(3a)를 막는 덮개로서의 볼(51)과, 상기 볼(51)을 밀어 올려서 용기(3)의 개구부(3a)를 개구시키는 덮개 이동부재(52)와, 상기 덮개 이동부재(52)에 의해 개구된 개구부(3a)에서 배출되는 액체(5)를 흡액하여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해당 액체(5)를 공급하는 흡액체(5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비투입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a)를 덮는 볼(51)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전원 투입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 이동부재(52)를 구동하여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개구부(3a)를 막고 있던 볼(51)이 들어올려져 개구부(3a)와 볼(51) 사이에 틈이 생긴다. 그래서 이 틈에서 중력으로 아래에 흘러나오는 액체(5)를 흡액체(53)에 의해 모으고, 해당 액체(53)를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체(5) 및 해충방제성분이 그 휘산에 기류발생기(23)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전원투입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이동부재(52)의 구동과 기류발생기(23)의 구동이 같은 시기에(예컨대 동시에) 수행된다. 더욱이 상기 개구부(3a)를 막는 덮개로는, 상기 볼(51)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덮개이동부재(52)의 구동에 의해 밸브가 개폐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액체유지재(46a)로의 상기 액체(5)의 액체공급기구(액체공급수단)로는, 예컨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액체공급기구가 상기 용기(3)이 개구부(3a)를 아래로 하여 유지되고 상기 액체공급기구가 용기(3) 내에, 예컨대 압압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용기(3)의 개구부(3a)를 막는 덮개로서의 볼(51)과, 상기 용기(3)을 개구부(3a)를 아래로 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3)을 상기 볼(51)이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압압되도록 하강시키는 미도시된 액체수용수단 이동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비투입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a)를 막는 볼(51)의 선단을,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전원 투입에 연동하여 상기 액체수용수단 이동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용기(3)을 구동하여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압압시킴으로써 해당 볼(51)이 약간 들리고, 들린 볼(51)과 상기 개구 부(3a) 사이에 발생한 틈에서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된 액체(5)가 유출됨으로써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5)를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도 상기 액체(5) 및 해충방제성분이 그 휘산에 기류발생기(23)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전원 투입에 연동하여 상기 액체수용수단 이동부재의 구동과 기류발생기(23)의 구동이 같은 시기에 수행된다.
또한 상기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3)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간소하고 저렴하면서 확실한 방법인데, 그 외의 확인방법으로서, 예컨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3)을, 예컨대 전기포트와 같이 불투명한 용기(61)와, 해당 용기(61)를 따라 입설됨과 동시에 해당 용기(61)의 바닥에 접속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파이프(62)(인디케이터)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해당 파이프(62)의 정면에서 보면 해당 파이프(62) 내의 액체(5)의 잔량을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된 액체(5)를 액체유지체(46)에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으로는, 예컨대 상기 중심(4)을 사용하고, 해당 중심(4)의 일부가 상기 용기(61)의 상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61) 내로 늘어뜨려지고 해당 중심(4)을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예컨대 미도시된 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용기(61)로부터 액체(5)를 상기 액체유지재(46a)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그 외의 방법으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가솔린 잔량을 나타내는 미터 등과 같이 상기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을 계량하고, 미터로 해당 계량 결과를 나타내는 미도시된 계량·표시장치(인디케이터 수단)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3) 내의 액체(5)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용기(3) 내에 미도시된 센서를 설치하고 액체(5)에 침지한 해당 센서가 액체(5)의 잔량에 의해 노출되고 전기전도도가 변화됨으로써 램프를 점등 또는 단계적 점등 표시 또는 점멸하는 검지·표시기구(인디케이터 수단)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인디케이터 수단으로는, 상기 용기(3) 내에 수용하는 액체(5)의 함유성분이나 그 밖의 조건에 의해 적절히 최적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에서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설치위치를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 즉 상기 해충방제기 본체(1)에 설치된 배기공으로서의 통기공(11a) 쪽으로 했는데,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설치위치와 기류발생기(23)의 설치위치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설치하고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향해 송풍함으로써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바람을 내뿜어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대해 회전날개(23a)만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에 배치하고 모터(23b)는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반대로 도시되지 않았으 나,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대해 회전날개(23a)만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배치하고 모터(23b)를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치로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대해 회전날개(23a)도 모터(23b)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에 배치하거나 또는 회전날개(23a)만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에 배치하고 모터(23b)는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서 휘산되는 휘산성분을 상기 기류발생기(23)에 의해 흡입하여 배기하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대해 회전날개(23a)도 모터(23b)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배치하거나 또는 회전날개(23a)만을 상기 기류발생기(23)의 흡기측에 배치하고 모터(23b)는 상기 기류발생기(23)의 배기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바람을 내뿜어 해당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서 휘산되는 휘산성분을 배기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유지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즉 해충방제성분이나 액체(5)의 휘산효율면에서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서 휘산되는 휘산성분을 상기 기류발생기(23)에 의해 흡입하여 배기하는, 난류를 발생하지 않는 흡기형 배치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날개(23a)와 모터(23b)를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형상으로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그 중앙에 지지축(23c)이 관통하는 관통공(40a) 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23c) 위에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끼워넣고 그 위에 회전날개(23a)를 끼워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미도시된 홈을 만들고 해당 홈을 상기 지지축(23c)에 끼워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상기 관통공(40a)에 상기 지지축(23c)을 감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지지축(23c)에 상기 휘산성 물질 지지체(40)를 계합시킴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는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여러 영역을 형성하고 그 임의의 여러 영역을 해충방제성분 유지부(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로서 사용하고 남은 임의의 영역을 액체유지부(액체유지체(46))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류발생기(23)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의 속도, 즉 상기 휘산성 물질 지지체(40)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양, 휘산하기에 충분한 속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은 해충방제성분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0.01m/s 이상, 10m/s 이하인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1m/s 이상, 10m/s 이하의 범위 내이다.
상기 해충방제성분이나 액체(5)의 휘산량은 이들 해충방제성분이나 액체(5)의 종류,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의 면적이나 재질(즉,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의 재질), 액체유지체(46)에 있어서 액체휘산면(46b)의 면적이나 재질(즉 액체유지재(46a)의 재질), 기류발생기(23)의 풍량 등에 의해 적절히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도 5, 도 7a∼도 7c, 도 11, 도 12에 있어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했는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해충방제기에 사용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로는 2종류의 휘산면을 가지며 한쪽 휘산면이 상기 해충방제성분을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휘산면이 상기 액체(5)를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만 하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이 예컨대 상하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바람 부는 방향으로 상기 액체 유지체(46)를 배치하면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이 챔버(20)에서 외부로 휘산, 배기되기 어려우므로 바람 부는 방향, 즉 기류발생기(23) 설치측에 액체유지체(46)를 배치하고, 바람 부는 방향, 즉 배기공이 되는 통기공(11a)측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에는, 상기 액체유지체(46)가 축받이대(21)의 돌출부(21a) 위에 배치되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가 덮개(22)에 설치된 지지틀(22b) 위에 각각 독립하여 배치된 구성에 대해 도시했는데, 상기 해충방제성분 지지체(45) 및 액체지지체(46)의 지지기구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 액체유지체(46)와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가 지주 등의 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서로의 확산면끼리, 즉 액체확산면(46b)과 해충방제성분 확산면(45b)이 접촉하지 않도록 접속(일체화)되어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 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를 서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 사이에 기류발생기(23)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는 같은 타이밍으로 기류발생기(23)의 기류를 받기 때문에 서로 상관관계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도 상기 각종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5)의 종점(소실)관리,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유지되어 있는 해충방제성분의 잔량(감소)을 상기 액체(5)의 잔량으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11∼도 14에서는, 동일 챔버(20) 내에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를 수용함과 동시에 해당 챔버(20) 내에 해당 챔버(20) 내에 있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기(23)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에 대한 통풍과 상기 액체유지체(46)에 대한 통풍을 같은 타이밍으로 수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액체유지체(46)를 수용하는 챔버 내에 각각 별도로 기류발생기를 설치하고 이들 기류발생기의 구동을 같은 시기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는 동시에 기류발생기(23)의 기류를 받기 때문에 서로 상관관계가 발생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하면 기류발생기를 구동하는 모터로의 부담을 줄이고 장기사용형 해충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단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의 상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는 동일한 챔버(20) 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기류발생기(23)에서 같은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와 액체유지체(46)가 동일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렴하고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가 그 휘산성 물질 확산면(41)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도시했으나,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휘산성 물질유지체(40)가 그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이 중력방향에 대해 평행, 즉 예컨대 상기 휘산성 물질 휘산면(41)이 상기 해충방제기 본체(1)의 주벽(周壁)(12)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2)의 천장벽(22a)의 내벽과, 예컨대 상기 지지틀(22b)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휘산성 물질 유지재 고정부재(위틀(43), 아래틀(44))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도 14에서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체(45)만이 상기 덮개(22)에 설치된 구성으로 했는데, 예컨대 도 14에 있어서 휘산성 물질 유지체(40) 전체가 덮개(22)에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해충방제기의 기류발생기(23)가 전지(31)에 의 해 구동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상기 전지 수용부(30)로서 이용되는 공간에 전지(31) 대신에 코드류를 수용하고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류발생기(23) 등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더욱이 전지(31)를 이용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또한 소형화함으로써 휴대시킬 수도 있으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 수용부(3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 아래에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그 설치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에서는 배기공이 되는 통기공(11a)의 형상을 격자형으로 하고 통기공(11b)을 슬릿형으로 했는데, 이들 통기공(11a)·(1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해충방제기에 의해 방제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해충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각종 유해곤충, 진드기류 등의 절지동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비상성 해충, 예컨대 홍모기, 작은 홍모기 등의 집모기류, 열대줄무늬모기, 흰줄숲모기 등의 각다귀류, 중국얼룩날개모기 등의 얼룩날개모기류, 깔따구류, 집파리, 큰 집파리, 작은 집파리 등의 집파리류, 검은 파리류, 쉬파리류, 초파리류, 나방파리류, 벼룩파리류, 등에류, 파리매류, 샌드플라이류, 등에모기류 등의 쌍목 해충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각 해충방제기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해충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해충방제성분의 감소 및 종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유지되어 있는 해 충방제성분의 약효가 다할 때쯤 휘산성 물질 유지수단으로서의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 또는 휘산성 물질 유지재(42)를 교환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균일 규격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사용하고 상기 휘산성 뮬질 유지체(40)에 유지되는 해충방제성분의 종류 및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에 있어서 해충방제성분 휘산면(45b)과 액체휘산면(46b)의 비율에 따라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액량을 해당 액체(5)의 성분(비점, 휘산성(휘발성) 등)에 근거하여 액체(5)의 성분마다에 각각 설정함으로써 균일 규격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사용하고 소모품으로서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나 그에 유지되는 휘산성 물질 및 액체공급수단(예컨대 상기 중심(4)), 액체(5)가 수용된 용기(3) 또는 상기 액체(5) 등을 교환하면, 예컨대 소모품을 교환할 때마다 해당 교환에 따라 예컨대 다른 향기성분이 배합된 액체가 수용된 용기(3)의 구입자가 그때마다 인디케이터로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등, 각종 사용방법, 사용용도가 있으며, 게다가 소모품을 교환해도 정확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갖는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액체량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는데 상기 액체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하에 도시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우선 처음에 용기(3)에 표를 내는 방법에 의해 용기(3) 내의 액면의 높이를 파악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해충방제기를 구동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해충방제활성시험 또는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휘산량 측정시험을 한다. 그리고 해충방제활성 또는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휘산량이 목표치보다 저하된 시점의 상기 용기(3) 내의 액면의 높이를 파악하고, 최초의 액면의 높이, 즉 상기 해충방제기 구동전의 용기(3) 내의 액면의 높이와, 해충방제활성 또는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휘산량 저하시의 액면의 높이로부터 소비된 액체량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액량을 상기 해충방제활성시험 또는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휘산량 측정시험에 제공한 액체(5)의 액체량으로 한다. 해당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용기(3) 내에 수용되는 액체(5)의 액체량을 변동값(변수)으로 하여 종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액체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산성 물질 유지체의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직경 5.5㎝, 두께 0.2㎝의 나일론(상표: 폴리아미드계 합성고분자 화합물)제 메쉬(주식회사 산와후쿠오카제)에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0㎎을 도포하여 균일하게 함유시키고 시험용 휘산성 물질 유지체(40)를 제작했다. 나아가 액체유지재(46a)에도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와 동일한 나일론제 메쉬를 사용했다.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재(45a)에 대한 액체유지재(46a)의 표면적의 비율은 1/5로 했다.
더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기(3)(높이 5.5㎝, 직경 2.5㎝의 유리제) 내에 액체(5)로서 테트라데칸/펜타데칸 = 6/4로 이루어진 용액 15㎖를 넣고 상기 시험용 휘산성 물질 유지체(40)와 함께 도 14와 동일한 해충방제기 본체(1)에 설치하고 시험용 해충방제기를 제작했다. 단 도 14에 도시한 해충방제기와는 달리 전지(31)는 사용하지 않고 교류전원에서 얻은 전류를 직류로 교환하여 사용하였다.
중심(4)으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펠트(길이 7.5㎝, 직경 3㎜)를 사용하고 상기 시험용 해충방제기의 팬(기류발생기(23))을 구동시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방제활성 및 볼트(3) 내의 바닥으로부터의 액면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해충방제활성의 확인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우선 높이 12㎝, 내직경 4㎝인 유리관에 홍모기(Cuplex pipens pal) 암컷 성충 10마리를 넣고 양단을 16메쉬의 나일론(상표: 폴리아미드계 합성고분자 화합물)제의 네트로 덮은 것을 2개 준비했다.
다음에 높이 80㎝m, 직경 20㎝인 시험용 실린더 상부에 직경방향, 중심부분에 폭 7.8㎝인 금속제의 상기 유리관용 받침대를 걸쳤다. 이 받침대에는 실린더의 중심에서 4㎝의 위치에 유리관의 외직경과 동일한 직경 4㎝의 구멍이 대칭으로 2개 뚫려있다. 이 받침대에 홍모기 암컷 성충을 넣은 상기 유리관을 놓고 시험용 실린더 아래로부터의 기류가 유리관 내를 빠져나가는 상태로 하였다. 직경 20㎝, 높이 30㎝인 관찰용 투명수지제 원통을 시험용 실린더 상부에 양자(兩者)의 외직경이 겹치도록 설치하였다.
상기 시험용 실린더의 바닥에 구동중인 상기 해충방제기를 설치하고 경과시간마다 쓰러진 홍모기 암컷 성충을 세어 시험용 홍모기 암컷 성충의 50%가 쓰러진 시간(KT50값)을 구했다. 상기 유리관을 제거하고 다시 팬의 구동을 계측했다. 처음에 구동을 시작한 시점에서 500시간 후, 600시간 후, 700시간 후 및 800시간 후에 새로운 홍모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하였다. 이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표 1>
측정개시부터 경과시간
0 시간후 500 시간후 600 시간후 700 시간후 800 시간후
KT50값(분) 4.7 5.2 5.1 4.8 >10
볼트바닥에서부터 액면의 높이(㎝) 3.2 2.1 1.8 1.6 1.3
표 1의 결과에서 시험용 해충방제기의 효력은 구동개시후 700∼800시간에서 소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동개시후 700시간까지 휘산된 용기(3) 내의 테트라데칸/펜타데칸=6/4로 이루어진 용액의 양은 액면의 높이에서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3.2-1.6)/3.2×15 = 7.5(㎖)
따라서 미리 용기(3) 내에 넣은 테트라데칸/펜타데칸 = 6/4로 이루어진 용액의 양을 7.5㎖로 해두면 시험용 해충방제기의 구동개시후 700시간의 시점에서 용기(3) 내의 액량은 제로가 되며 효력의 종점과 거의 일치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각 구성은 각각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합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충방제기는, (1) 제1 및 제2휘산면을 가 지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며,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 액체를 유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와, (2)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있어서 상기 제2휘산면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 및 상기 액체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제2휘산면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수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휘산면에서 휘산되는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 중의 잔량을 상기 액체수용수단 중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해충방제기는, (1)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는 해충방제성분 유지체와, (2)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해당 액체가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체유지체와, (3) 상기 액체유지체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 및 상기 액체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액체유지체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수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해충방제수단 유지체로부터 휘산되는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중의 잔량을 상기 액체수용수단 중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며, 해당 구성에 따르면, 우수한 해충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해충방제성분의 감소 및 종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유지체를 수납(수용)하고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유지체에서 휘산되는 휘산성분을 외부로 배기하는 해충방제제 수납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유지체는 상기 동일 해충방제제 수납용기 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양자의 상관성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를 휘산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며 해당 기류발생수단이 상기 해충방제제 수납용기 내에 있어서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 및 액체유지체의 수용부에 있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와 액체유지체의 상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기가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휘산에 제공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휘산에 기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발생수단이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휘산에 제공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휘산과 액체의 휘산 사이의 상관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종점(소실)관리,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양자의 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휘산에 기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을 상기 기류발생수단에서 용이하게 같은 거리에 형성할 수 있으며 양자의 상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액체수용수단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액체수용수단을 직접 인디케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해충방제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액체수용수단 내의 액체의 잔량, 즉 해충방제성분의 잔량의 확인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해충방제성분이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에테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이 우수한 해충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제기는 상기 해충방제성분과 그 해충방제성분량, 상기 액체수용수단에 수용되는 액체와 그 사용량,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의 표면적 비율, 상기 제1휘산면의 재질 및 상기 제2휘산면의 재질이 상기 해충방제성분의 휘산량과 상기 액체수용수단에 수용되는 액체의 휘산량이 관련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종점관리, 휘산량의 제어가 용이하며 정확하고 미묘한 종점제어를 할 수 있는 해충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해충방제기를 사용하면 같은 원리로 30일용이건 60일용이건 100일용이건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미묘한 종점제어가 가능하고 정확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휘산성 물질 유지체는 상기 해충방제기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로서, 제1 및 제2휘산면을 가지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며,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비접촉상태로 동일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휘산성분(휘산성 물질)을 휘산하는 휘산면과 서로 비접촉으로 2개씩 분할하는 칸막이부(분리대)를 구비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해충방제성분을 유지하고 또 상기 해충방제기에 인디케이터 기능을 부여하며 해충방제성분의 감소 및 종점을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해충방제기에 우수한 해충방제효과를 주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의 상관성, 즉 상기 해충방제성분 유지체와 액체유지체의 상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2개의 휘산면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액체와 해충방제성분이 접촉하지 않고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성이 우수하며 최대한의 해충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해충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는 상기 제1휘산면에 상술한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해충방제활성, 휘산성이 보다 우수한 해충방제기를 제공하는 데 바람직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되는 특허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제1 및 제2휘산면을 가지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고,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 가능하게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와,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있어서 상기 제2휘산면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 및 상기 액체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제2휘산면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수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휘산면에서 휘산되는 해충방제성분의 휘산성 물질 유지체 중의 잔량을 상기 액체수용수단 중의 액체의 잔량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방제성분 및 액체의 휘산에 제공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가 상기 기류발생수단의 흡기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류발생수단은 흡입에 의해 상기 휘산성 물질 유지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휘산면에서 휘산되는 성분을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은 서로 비접촉상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의 경계부분에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휘산면이 네트형 또는 벌집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용수단이 투명 내지 반투명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충방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수단이 상기 액체수용수단 내에 늘어뜨려지고 상기 액체수용수단 중의 액체를 흡액하여 상기 제2휘산면에 접촉공급하는 흡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방제성분이 필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방제성분이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2,3,5,6-테트라플로오로벤질 3-(2,2-디클로로에테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기.
  12. 제 1항에 기재된 해충방제기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로서,
    제1 및 제2휘산면을 구비하며 제1휘산면이 상온휘산성 해충방제성분을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유지하고, 제2휘산면이 상온휘산성의 액체를 유지 가능하게 또한 해당 액체를 대기중에 휘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은 서로 비접촉상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이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휘산면과 제2휘산면의 경계부분에 칸막이가 설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휘산면이 네트형 또는 벌집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KR1020010061011A 2000-10-04 2001-09-29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KR10070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5481 2000-10-04
JPJP-P-2000-00305481 2000-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215A KR20020027215A (ko) 2002-04-13
KR100702137B1 true KR100702137B1 (ko) 2007-03-30

Family

ID=1878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011A KR100702137B1 (ko) 2000-10-04 2001-09-29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84438B2 (ko)
KR (1) KR100702137B1 (ko)
CN (1) CN1197454C (ko)
DE (1) DE10148833A1 (ko)
ES (1) ES2222770B1 (ko)
FR (1) FR2814643B1 (ko)
IT (1) ITMI20012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7861B2 (en) 2000-06-08 2006-03-07 S.C. Johnson & Son, Inc.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US6675528B2 (en) * 2001-09-14 2004-01-13 Richard Jablin Mosquito incinerator
US7459168B2 (en) * 2002-02-22 2008-12-02 Dainihon Jochugiku Co., Ltd.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US6926902B2 (en) * 2002-02-22 2005-08-09 Dainhon Jochugiku Co., Ltd.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US7244398B2 (en) * 2003-03-21 2007-07-17 S. C. Johnson & Son, Inc.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using a wick in an ambient air stream
US7007863B2 (en) 2002-10-08 2006-03-07 S.C. Johnson & Son, Inc. Wick-based delivery system with wick made of different composite materials
US20040262419A1 (en) * 2003-06-27 2004-12-30 Kotary Kara L. Breakable wick for use in a dispenser for a volatile liquid
US20060163376A1 (en) 2002-10-08 2006-07-27 Lakatos Kara L Breakable wick for use in a dispenser for a volatile liquid
US7032831B2 (en) * 2003-03-21 2006-04-25 S.C. Johnson & Son, Inc. Container for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US7309024B2 (en) * 2003-06-30 2007-12-18 S.C. Johnson & Son, Inc. Wick assembly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from a contain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938883B2 (en) * 2003-06-27 2005-09-06 S.C. Johnson & Son, Inc. Guide for selectively receiving a wick in a dispenser for a volatile liquid
US7744833B2 (en) 2003-06-27 2010-06-29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liquids having predetermined evaporation profiles
GB2407770A (en) * 2003-11-07 2005-05-11 Reckitt Benckiser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ying insects
MX2007001073A (es) * 2004-07-27 2007-03-26 Fumakilla Ltd Aparato de difusion quimica, de tipo soplador, con suministro de energia de celda de combustible.
JP4898472B2 (ja) * 2006-04-11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検査装置
WO2007136795A1 (en) * 2006-05-19 2007-11-29 Porex Corporation Vapor dispenser with indicator
US7540432B2 (en) * 2006-05-30 2009-06-02 S.C. Johnson & Son, Inc. Passive dispensing device
WO2008069345A1 (en) * 2006-12-07 2008-06-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est control device
ES2304868B1 (es) * 2007-02-13 2009-10-02 Zobele Holding Spa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evaporacion de sustancias activas desde una solucion liquida.
JP2008255039A (ja) * 2007-04-03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US20080244954A1 (en) * 2007-04-03 2008-10-09 Samuel Shannon Hunter's Scent Dispersing Apparatus
US20100065653A1 (en) * 2008-08-01 2010-03-18 Wingo James P Wicks for dispensers of vaporizable materials
WO2010081013A1 (en) * 2009-01-09 2010-07-15 Porex Corporation Hydrophilic porous wicks for vaporizable materials
KR101314078B1 (ko) * 2009-05-12 2013-10-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휘발성 조성물을 위한 분배기
US20100287816A1 (en) * 2009-05-18 2010-11-18 Abelbeck Partners, Ltd. Insect trap
US8677679B2 (en) * 2009-09-28 2014-03-25 Fmc Corporation Ampoule for the storage and dispersion of volatile liquids
US8967832B2 (en) 2010-10-11 2015-03-03 Broan-Nutone Llc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US8485696B2 (en) 2010-10-11 2013-07-16 Broan NuTone, LLC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US8382332B2 (en) 2010-10-11 2013-02-26 Broan NuTone, LLC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US8524158B2 (en) * 2011-05-11 2013-09-03 S. 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with useful life indicator
US10694747B2 (en) 2012-11-21 2020-06-30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comprising only one single hinge
TWI578906B (zh) * 2014-12-15 2017-04-21 大日本除蟲菊股份有限公司 藥劑揮散裝置及藥劑揮散方法
US10918085B2 (en) * 2016-10-24 2021-02-16 Francesco PAGANO Canine power wake training aid and methods of using same
FR3064449B1 (fr) * 2017-04-04 2019-06-14 Centre De Cooperation Internationale En Recherche Agronomique Pour Le Developpement - C.I.R.A.D. Systeme de diffusion attraction pour piege a insectes
FR3068204B1 (fr) * 2017-06-28 2020-08-28 Xeda International Ensemble et procede de traitement, ensemble de stockage et de culture de produits vegetaux comportant l'ensemble de traitement
CN107258735A (zh) * 2017-07-07 2017-10-20 台江福康苗药种植有限公司 一种重楼种植地防病虫装置
KR102619497B1 (ko) * 2018-12-14 2023-12-28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해충, 진드기 방제 방법, 및 해충, 진드기 방제용 에어로졸
EP4091444A1 (de) * 2021-05-21 2022-11-23 Bayer AG Fangschale für pflanzenschädlinge
CN113229267A (zh) * 2021-05-26 2021-08-10 红河学院 一种具有空气清新功能的便携式驱虫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399A (ja) * 1994-03-01 1995-09-12 Earth Chem Corp Ltd 揮散性薬剤の拡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469A (en) * 1900-06-20 1901-02-05 John Wynne Tighe Apparatus for fumigating or perfuming rooms.
US2662332A (en) * 1950-10-16 1953-12-15 George W Mcintire Insecticide fogger
US3192167A (en) * 1962-09-20 1965-06-29 Ogawa Abiko Low pressure liquid vaporizer which is electrically heated
US3607780A (en) * 1968-10-28 1971-09-21 Forrest G Scott Nonlethal thermal-aerosol generator weapon
US3548533A (en) * 1969-05-23 1970-12-22 Us Health Education & Welfare Disinsection system and cartridge for use therewith
US3793763A (en) * 1971-12-27 1974-02-26 H T Mcgill Inc Insecticide dispenser
US4024163A (en) * 1972-05-25 1977-05-17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Insecticides
ZA732376B (en) * 1973-10-05 1975-02-26 T Keet A device for broadcasting the vapour of a volatile liquid
US4183950A (en) * 1976-12-22 1980-01-15 Bayer Aktiengesellschaft Combating arthropods with 2,2-dimethyl-3-vin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esters of halogenated benzyl alcohols
GB2147216B (en) * 1982-09-30 1987-03-04 Dainippon Jochugiku Kk Apparatus for heat-volatilizing medicinal agent
JPS6063058A (ja) * 1983-09-16 1985-04-11 塩田 栄子 空気浄化器兼衛生害虫殺虫器
DE4025828A1 (de) * 1990-08-16 1992-02-20 Automatische Walzenmuehle Hei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aedlingsbekaempfung im vorratsschutz oder in verarbeitungsraeumen
JP3361541B2 (ja) 1991-07-12 2003-01-07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揮散性薬剤の拡散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薬剤拡散用材
US5335446A (en) * 1991-11-21 1994-08-09 Nihon Naishi Inc. Room insecticide dispenser
JPH07213212A (ja) * 1994-01-29 1995-08-15 Nippon Naishi Kk 屋内用殺虫剤散布機
JP3630244B2 (ja) 1994-06-24 2005-03-16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揮散性薬剤の拡散装置
US6143313A (en) * 1994-08-08 2000-11-07 Earth Chemical Co., Ltd. Insect pest control method
JPH08154555A (ja) * 1994-12-02 1996-06-18 Kaishin:Kk 害虫駆除装置および害虫駆除液の気化ユニット
MY118214A (en) 1998-02-26 2004-09-30 Sumitomo Chemical Co Ester of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and their use as pestici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399A (ja) * 1994-03-01 1995-09-12 Earth Chem Corp Ltd 揮散性薬剤の拡散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363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4643B1 (fr) 2004-01-23
CN1346592A (zh) 2002-05-01
ITMI20012030A1 (it) 2003-03-28
KR20020027215A (ko) 2002-04-13
ES2222770B1 (es) 2006-03-16
ES2222770A1 (es) 2005-02-01
FR2814643A1 (fr) 2002-04-05
US6484438B2 (en) 2002-11-26
DE10148833A1 (de) 2002-04-25
ITMI20012030A0 (it) 2001-09-28
CN1197454C (zh) 2005-04-20
US20020062593A1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37B1 (ko) 해충방제기 및 그에 이용하는 휘산성 물질 유지체
EP2376130B1 (en)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ES2207651T3 (es)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de plagas de insectos.
EP0925717B1 (en) Pesticide applicator
US8043569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AU2007211212B2 (en) Air treatment devices with use-up indicators
AU781543B2 (en) Fan type chemical diffusing apparatus
US7007861B2 (en)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US7682575B2 (en) Low cost, easy to manufacture scent dispersing mat apparatus
JP2009534031A (ja) 詰め替え容器の付いた空気処理装置
WO2006061803A1 (en)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and method for its activation
US6926902B2 (en)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EP1352562A1 (en)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US7459168B2 (en)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CA2197191C (en) Insect pest control method
JP2009201430A (ja) 薬剤拡散装置
JP2006006184A (ja) 加熱式薬剤蒸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