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651B1 - 컨베이어 스톱퍼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651B1
KR100701651B1 KR1020060072685A KR20060072685A KR100701651B1 KR 100701651 B1 KR100701651 B1 KR 100701651B1 KR 1020060072685 A KR1020060072685 A KR 1020060072685A KR 20060072685 A KR20060072685 A KR 20060072685A KR 100701651 B1 KR100701651 B1 KR 10070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veyor
main body
stopp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규
Original Assignee
황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규 filed Critical 황용규
Priority to KR102006007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컨베이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 상부에 관통된 상태로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적재물을 걸림되게 하는 지지대와; 일단부가 굴곡되며, 타단부는 본체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와 지지대의 중심축을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를 상하 유동되게 하는 기어부; 및 지지대의 중심축 일단부에 외삽된 상태로 본체 내면에 지지되어 지지대의 상하 유동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스톱퍼가 개시된다. 개시된 컨베이어 스톱퍼에 의하면, 자동으로 상승하는 지지판이 구비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낙하를 차단함으로써 작업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컨베이어, 스톱퍼, 지지대

Description

컨베이어 스톱퍼{Stopper of conveyer}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스톱퍼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컨베이어 스톱퍼 200...본체
300...지지대 310...중심축
320...가이드축 330...환봉롤러
340...고정축 350...안티백스톱퍼
400...손잡이 500...기어부
510...피니언기어 520...래크기어
600...탄성부재
본 발명은 컨베이어 스톱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적재물의 낙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물의 하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컨베이어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제품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며, 이 컨베이어는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 롤러컨베이어와 인력을 가해 제품을 이송하는 프리 롤러컨베이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롤러컨베이어의 경우 제품이 컨베이어로 이송될 때 이송되는 제품의 수량이 증가하게 되면 제품이 상호 접촉되어 배출부 방향으로 밀리면서 낙하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컨베이어 스톱퍼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스톱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컨베이어 스톱퍼(10)는 일단부가 컨베이어의 양측에 결합된 상태로 마주하는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홈(21)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20)가 구비된다.
또한,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대(20)의 안내홈(21)에 인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제품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판(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는 컨베이어에서 제품이 이송되면 작업자가 상기 차단판(30)을 탈거시키고 이송되는 제품을 운반한 후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차단판(30)을 장착하여 반대편에서 다량의 제품을 올려놓더라도 제품이 상기 차단판(30)에 걸림되어 낙하 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차단판(30)을 장착 또는 탈거 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작업이 종료된 후 작업자가 상기 차단판(30)의 장착을 잊어버리는 실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제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제품의 낙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 시킨 컨베이어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스톱퍼는, 양단부가 컨베이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관통된 상태로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적재물을 걸림되게 하는 지지대와; 일단부가 굴곡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축을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상하 유동되게 하는 기어부; 및 상기 지지대의 중심축 일단부에 외삽된 상태로 상기 본체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유동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손잡이에 외삽 고정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축 외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가 상호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중앙부에 중심축이 구비되고, 양단부에는 가이드축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 유동 되며, 상기 중심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에는 회전에 의해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환봉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유동 되는 중심축과, 상기 본체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 일단부에는 일측으로만 회전되는 안티백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일단부에는 컨베이어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환봉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스톱퍼를 나타낸 사시도 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스톱퍼(100)는 양단부가 컨베이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 상부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지지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 일측에 관통되는 손잡이(400)와, 상기 손잡이(400)와 상기 지지대(300)가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300)에는 탄성체(6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0)가 컨베이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200)는 양단부에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컨베이어에서 제품이 배출되는 부분의 일측에 결합 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제품을 걸림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300)는 중앙부에 중심축(310)이 구비되며, 양단부에는 한쌍의 가이드축(3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중심축(310) 및 상기 가이드축(320)이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된 상태로 상하 유동 되면서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제품이 걸림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 상부에는 회전하는 환봉롤러(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00)가 하부로 유동 되었을 때 상기 환봉롤러(330)의 회전에 의해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유동 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본체(200)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축(3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310) 일단부에는 일측으로만 회전되는 안티백스톱퍼(35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340)의 일단부에는 컨베이어와 동일하게 위치한 상태로 회전에 의해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환봉롤러(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티백스톱퍼(350)는 일측으로만 회전되게 때문에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제품은 걸림 되게 하며, 컨베이어로 인입되는 제품은 회전되어 누어지면서 걸림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하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단부가 굴곡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200)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자가 당겨서 소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기어부(500)는 상기 손잡이(400)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대(3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기어부(500)는 상기 손잡이(400)에 외삽 고정되는 피니언기 어(5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중심축(310) 외주면에는 래크기어(5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510)와 상기 래크기어(520)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00)가 당겨지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3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지지대(300)의 상하 유동에 탄성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310) 일단부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0) 내면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400)에 외력이 가해져 회전되면 상기 지지대(300)가 하강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310)과 상기 본체(200) 내면에 지지된 상태로 압축되며, 상기 손잡이(4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300)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스톱퍼(100)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0)의 본체(200)를 컨베이어에서 제품이 배출되는 부분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중심축(310)과 한쌍의 가이드축(320)이 상기 본체(200)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 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한쪽에서 제품을 올려놓고 밀게 되면 반대편으로 제품이 이송되면서 상승된 상기 지지대(300)에 걸림 되게 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의 다른 한쪽의 작업자가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을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손잡이(400)를 파지한 상태로 당겨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400)에 외삽된 상기 피니언기어(51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기어(510)의 치형과 상기 래크기어(520)의 치형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승된 상기 지지대(300)는 하강하여 컨베이어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310)에 외삽된 상기 탄성부재(600)는 압축상태가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운반하게 되는데 제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대(300)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부에 구비된 상기 환봉롤러(330)가 제품과 접촉하여 회전되면서 제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을 운반하고 상기 지지대(300)를 가압하는 제품이 없게 되면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탄성부재(600)에 탄성력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기어부(500)의 상기 피니언기어(510)과 래크기어(520)가 반대로 작동하면서 상기 손잡이(400)는 처음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0)는 컨베이어에 의해 제품이 이송되면 상기 손잡이(400)를 당겨 상기 지지대(300)를 하강시킨 후 제품을 운반하며, 제품 운반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300)가 자동으로 상승 되어 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밀리는 제품이 외부로 낙하 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스톱퍼(100)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운반한 후 상기 지지대(300)가 자동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지지대를 매번 장착 및 탈거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제품의 낙하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의 하강 시에는 상기 환봉롤러(330)에 의해 제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스톱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가 자동으로 상승 되면서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제품의 낙하를 차단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제품이 낙하는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지지대를 매번 장착 및 탈거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지지대에 회전하는 환봉롤러가 구비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양단부가 컨베이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 상부에 관통된 상태로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적재물을 걸림되게 하는 지지대(300)와;
    일단부가 굴곡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200)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손잡이(400)와;
    상기 손잡이(400)와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을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300)를 상하 유동되게 하는 기어부(500); 및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 일단부에 외삽된 상태로 상기 본체(200)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300)의 상하 유동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스톱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00)는 상기 손잡이(400)에 외삽 고정되는 피니언기어(510)와, 상기 지지대(300)의 중심축 외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520)가 상호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스톱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중앙부에 중심축(310)이 구비되고, 양단부에는 가이드축(320)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본체(200)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 유동 되며, 상기 중심축(310) 및 상기 가이드축(320)의 상부에는 회전에 의해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환봉롤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스톱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본체(200)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유동 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본체(200)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축(34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310) 일단부에는 일측으로만 회전되는 안티백스톱퍼(35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340)의 일단부에는 컨베이어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환봉롤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스톱퍼.
KR1020060072685A 2006-08-01 2006-08-01 컨베이어 스톱퍼 KR10070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85A KR100701651B1 (ko) 2006-08-01 2006-08-01 컨베이어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85A KR100701651B1 (ko) 2006-08-01 2006-08-01 컨베이어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651B1 true KR100701651B1 (ko) 2007-03-29

Family

ID=4156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685A KR100701651B1 (ko) 2006-08-01 2006-08-01 컨베이어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370A (zh) * 2013-10-28 2015-04-29 安阳合力创科冶金新技术研发股份有限公司 盘卷挡料装置
KR20160100052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턴오버 장치 및 방법
KR102013244B1 (ko) * 2019-03-06 2019-10-21 심상진 곤충의 대량 사육 모듈화 시스템
CN114261682A (zh) * 2021-11-24 2022-04-01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滚筒式agv的自动接驳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926A (ja) * 1990-12-26 1992-08-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ステーションのストッパ解除装置
JPH06271059A (ja) * 1993-03-17 1994-09-27 Hitachi Ltd パレットストッパ機構
JPH1017141A (ja) 1996-06-27 1998-01-20 Murata Mach Ltd ストッパー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926A (ja) * 1990-12-26 1992-08-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ステーションのストッパ解除装置
JPH06271059A (ja) * 1993-03-17 1994-09-27 Hitachi Ltd パレットストッパ機構
JPH1017141A (ja) 1996-06-27 1998-01-20 Murata Mach Ltd ストッパーユニ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370A (zh) * 2013-10-28 2015-04-29 安阳合力创科冶金新技术研发股份有限公司 盘卷挡料装置
KR20160100052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턴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701483B1 (ko) * 2015-02-13 2017-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턴오버 장치 및 방법
KR102013244B1 (ko) * 2019-03-06 2019-10-21 심상진 곤충의 대량 사육 모듈화 시스템
CN114261682A (zh) * 2021-11-24 2022-04-01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滚筒式agv的自动接驳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651B1 (ko) 컨베이어 스톱퍼
KR10137803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2013531963A (ja) ケーブルスリーブをケーブル上にフィ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器械
KR101411845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60057604A (ko) 과일 씨앗 제거장치
KR100519171B1 (ko) 배관 이송투입장치
CN201559962U (zh) 卧式可移动输送机
CN111169906B (zh) 飞机座椅搬运装置
CN212049191U (zh) 一种带偏心装置的提升转移机构
CN205376484U (zh) 硅片篮的搬运传输机构
CN109476424B (zh) 输送机
CN112173753B (zh) 一种禽类装载抬升摇摆输送装置
KR101171627B1 (ko) 슈트의 부착광 제거장치
JP4270513B2 (ja) 除塵機
CN210942505U (zh) 杯身落料机
CN210557361U (zh) 一种输箱机
CN106516616B (zh) 一种传送机构
CN208979630U (zh) 一种应用于生姜种植园的输送设备
CN107098199B (zh) 一种包装纸板码垛收集系统
CN108088796B (zh) 一种拍摄设备
KR102022306B1 (ko) 회전 도금 장치
CN214297739U (zh) 用于棒材的爬升传动链
CN210502768U (zh) 一种单晶硅棒搬运机构
CN205021753U (zh) 一种圆柱木材斜坡式间歇供料设备
CN217837301U (zh) 一种间歇式提升送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