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322B1 -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322B1
KR100701322B1 KR1020050094588A KR20050094588A KR100701322B1 KR 100701322 B1 KR100701322 B1 KR 100701322B1 KR 1020050094588 A KR1020050094588 A KR 1020050094588A KR 20050094588 A KR20050094588 A KR 20050094588A KR 100701322 B1 KR100701322 B1 KR 10070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ain body
opening
image forming
pus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322B1/ko
Priority to US11/438,072 priority patent/US20070080493A1/en
Priority to CNA2006101317349A priority patent/CN194544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3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 B65H9/106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using rotary driven elements as part acting on the art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03G15/6564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with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9Transfe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감광드럼; 감광드럼과 대응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가 설치되며 본체로부터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계 동작하여 기록매체를 본체의 외부로 밀어내는 기록매체푸싱부재; 기록매체푸싱부재를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기록매체푸싱부재를 탄성부재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기록매체푸싱부재는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싱부;를 포함하고,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기록매체푸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 반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90942호에 개시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록매체푸싱부재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1 : 본체 103 : 감광드럼
105 : 전사롤러 107 : 개폐부재
110 : 레지스트레이션유닛 130 : 정착유닛
150 : 기록매체푸싱부재 151 : 힌지축
153 : 지지부 155 : 기록매체푸싱부
157 : 와이어스프링걸림부 159 : 끼움홈
160 : 가압부재 161 : 가압돌기
170 : 탄성부재 171 : 와이어스프링
171a : 고리부 171b: 걸림부
본 발명은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 이송로상에 걸린 기록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된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반송로내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개폐식으로하고, 반송로에서 기록매체 잼이 발생할 때에 안내부재를 개방해서 기록매체 제거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길이가 긴 기록매체가 상류의 반송롤러와 하류의 반송롤러에 물려져 있을 경우, 또는 기록매체가 정전기에 의해 반송로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기록매체를 화상형성기본체의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예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90942호에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 반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90942호에 개시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부 재(8)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를 개방해서 기록매체반송로를 노출시킴으로써, 기록매체(2) 추출이 가능하다. 기록매체반송로의 내측으로부터 기록매체반송로상의 기록매체(2)를 본체의 외측으로 추출하는 기록매체추출부재(21)와, 기록매체추출부재(21)를 안내부재(8)의 개방에 연동시키는 연동기구(22)를 구비한다.
연동기구(22)는 링크부재로서 그 일단이 안내부재(8)의 지점(15)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링크부재(22)의 타단은 장홀(22a)이 형성되어 기록매체추출부재(21)의 지점(2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마련된 축(21b)이 장홀(22a)에 끼워져 슬라이딩된다.
기록매체추출부재(21)는 스프링(23)에 의해 지지되며, 그 기록매체추출부재(21)의 선단부(21a)는 기록매체 반송시에는 안내부재(7)의 일부를 이룬다.
도면에서 부호(4,5)는 급지롤러를 나타내고, 부호(10)은 반송롤러를 나타내고, 부호(11,12)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안내부재(8)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링크부재(22)의 장홀(22a)의 단부가 축(21b)에 접하여 기록매체추출부재(21)는 외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기록매체추출부재(21)의 전방에 위치하는 기록매체(2)는 기록매체추출부재(21)의 선단(21a)에 의해서 외측으로 추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를 추출하기 위한 기록매체추출부재(21) 및 연동기구(22)의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기록매체 잼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된 기록매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기록매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대응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계 동작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밀어내는 기록매체푸싱부재;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싱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고리부가 걸리는 와이어스프링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 의 걸림부 외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드럼의 상류측에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을 정렬하는 레지스트레이션유닛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감광드럼의 하류측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유닛 및 상기 감광드럼의 사이의 기록매체 이송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이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체로부터 개방되어 상기 이송로를 개방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계 동작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밀어내는 기록매체푸싱부재;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고리부가 걸리는 와이어스프링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 의 걸림부 외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제 1 이송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 2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가압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체(101)의 내부에 감광드럼(103)이 설치된다. 감광드럼(10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사롤러(105)가 설치되어 감광드럼(103) 및 전사롤러(105)의 사이(이하, 화상형성닙이라 함)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에 화상이 전사된다.
전사롤러(105)는 본체(101)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폐부재(107)에 설치된다. 개폐부재(107)의 일단은 힌지축(109)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개폐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전사롤러(105)는 개폐부재(107)의 개폐동작에 따라 감광드럼(103)과 접촉되거나 떨어진다.
감광드럼(103)의 상류(기록매체 이송방향(화살표A)을 기준)측에는 레지스트레이션유닛(110)이 추가로 포함된다. 레지스트레이션유닛(110)은 화상 위치 제어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사롤러(105)로 기록매체(P)를 이송시키기 전에 일시 정 지시켜 기록매체(P)의 선단 정렬을 수행한다. 레지스트레이션유닛(110: Registration Unit)은 구동레지스트레이션롤러(111:Drive Registration Roller) 및 아이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3:Idle Registration Roller)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03)의 하류측에는 정착유닛(130)이 추가로 설치된다. 정착유닛(130)은 전사롤러(105)를 통해 기록매체(P)에 전사된 화상을 가열 압착하는 것으로서, 가열롤러(131) 및 가압롤러(133)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유닛(110) 및 감광드럼(103)의 사이의 기록매체 이송경로 상에는 기록매체푸싱부재(150)가 설치된다.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본 발명의 특징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개폐부재(107)의 개방시 본체(101)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P)를 본체(101)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사용자가 쉽게 기록매체(P)를 잡아서 빼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개폐부재(107)의 내부에는 기록매체푸싱부재(150)와 간섭되는 가압부재(160)가 마련된다. 가압부재(160)는 가압돌기(161)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록매체푸싱부재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본체(101)의 일측에 힌지축(15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153)와, 지지부(153)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싱부(155)를 포함한다.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본체(101)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7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개폐부재(107)가 닫힌 상태에서는 개폐부재 (107)의 내부에 마련된 가압부재(160)를 이루는 가압돌기(161)가 지지부(153)와 접촉되어 탄성부재(170)는 가압된 상태를 이룬다(도 2참조).
반대로, 개폐부재(107)가 개방되면, 가압돌기(161)가 지지부(153)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탄성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본체(101)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P)를 본체(101)의 외측으로 밀게된다(도 3 참조).
상술한 탄성부재(170)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스프링(171)을 제안한다, 와이어스프링(171)의 일단은 수회의 벤딩 작업을 통해 고리부(171a)와, 기록매체푸싱부재(150)의 지지부(153)에 걸쳐지는 걸림부(171b)가 마련된다.
여기서, 와이어스프링(171)의 고정을 위하여 기록매체푸싱부재(150)의 지지부(153)의 일측에는 와이어스프링(171)의 고리부(171a)가 걸리는 와이어스프링걸림부(157)가 마련되고, 지지부(153)에는 와이어스프링(171)의 걸림부(171b)의 외면이 끼워지는 끼움홈(159)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스프링(171)은 일단부가 기록매체푸싱부재(15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본체(101)의 일측에 연결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 잼 제거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동작에 따라 레지스트레이션유닛(110)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기록매체 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기록매체(P)의 선단이 정렬된다. 이후, 감광드럼(103) 및 전사롤러(107)의 사이인 화상형성닙으로 기록매체 (P)가 이송되면서 소정의 화상이 전사되고, 정착유닛(130)을 통해 기록매체(P)에 전사된 화상이 가열 압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개폐부재(107)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부재(107)의 내부에 설치된 가압부재(160)인 가압돌기(161)가 기록매체푸싱부재(150)의 지지부(153)를 가압한다. 따라서,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기록매체(P)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고, 잼이 발생할 경우 개폐부재(107)를 개방한다. 이때, 개폐부재(107)의 가압돌기(161)가 기록매체푸싱부재(150)의 지지부(153)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탄성부재(170)인 와이어 스프링(171)의 복원력에 의해 기록매체푸싱부재(150)는 본체(101)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P)를 본체(101)의 외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기록매체(P)는 컬이 형성되어 젬 제거가 용이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을 이용하여 기록매체(P)를 본체(101)로부터 쉽게 잡아 빼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기록매체푸싱부재(150)가 감광드럼(103) 및 레지스트레이션유닛(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감광드럼(103)과 대응된 위치에 전사롤러(107)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기록매체푸싱부재(150)를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경로 상의 어느 위치라도 설치 가능하다. 즉, 이송경로를 개방하여 기록매체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모든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잼이 발생하여 개폐부재를 개방할 경우 기록매체를 본체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사용자가 기록매체를 쉽게 잡아 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대응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계 동작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밀어내는 기록매체푸싱부재;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고리부가 걸리는 와이어스프링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걸림부 외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가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용지 진입측에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을 정렬하는 레지스트레이션유닛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감광드럼의 용지 배출측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이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유닛 및 상기 감광드럼의 사이의 기록매체 이송경로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이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개방되어 상기 이송로를 개방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계 동작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부로 밀어내는 기록매체푸싱부재;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미는 기록매체푸 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고리부가 걸리는 와이어스프링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걸림부 외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제 1이송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 2 이송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록매체푸싱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가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이송장치.
KR1020050094588A 2005-10-07 2005-10-07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70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88A KR100701322B1 (ko) 2005-10-07 2005-10-07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438,072 US20070080493A1 (en) 2005-10-07 2006-05-22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A2006101317349A CN1945449A (zh) 2005-10-07 2006-09-29 打印介质进给装置及利用该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88A KR100701322B1 (ko) 2005-10-07 2005-10-07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322B1 true KR100701322B1 (ko) 2007-03-29

Family

ID=379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588A KR100701322B1 (ko) 2005-10-07 2005-10-07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80493A1 (ko)
KR (1) KR100701322B1 (ko)
CN (1) CN19454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6914B2 (ja) 2010-12-27 2013-11-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48401B2 (ja) * 2015-02-16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674A (ja) *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7506B2 (en) * 2002-05-28 2004-06-29 Xerox Corporation Media clearance member
US7448621B2 (en) * 2004-03-29 2008-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61369B1 (ko) * 2004-10-18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760314B2 (ja) * 2005-11-09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674A (ja) *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5449A (zh) 2007-04-11
US20070080493A1 (en)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5317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13184754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41892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15701B2 (ja) 画像形成装置
US5443255A (en) Paper transport mechanism
KR100701322B1 (ko) 기록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2996003B2 (ja) 用紙搬送装置
JP626605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892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622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51922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66381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JP5364246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部構造
JP6039243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及びシート搬送装置
JP200325575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2124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69097A (ja) 用紙搬送装置
JP385261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8691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554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123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7182A (ja) 用紙搬送路構造
JP2007125741A (ja) 熱転写プリンタ
JP2007264137A (ja) 画像形成装置
JP3937720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