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759B1 -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59B1
KR100700759B1 KR1019990055727A KR19990055727A KR100700759B1 KR 100700759 B1 KR100700759 B1 KR 100700759B1 KR 1019990055727 A KR1019990055727 A KR 1019990055727A KR 19990055727 A KR19990055727 A KR 19990055727A KR 100700759 B1 KR100700759 B1 KR 10070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machine
hardnes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768A (ko
Inventor
이성환
이명호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작동효율 및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감지장치는 세제통에 앞서 위치된 버퍼부(32)에 저수된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10)와; 세탁기 뚜껑이 닫히고, 세탁조 내의 수위가 변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만 전도도센서(10)의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안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안전수단은 전도도센서와(10) 마이컴(14)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마이컴(14)에 의해 제어되고, 수위센서 및 뚜껑개폐감지장치로부터 상기 마이컴(14)에서 보내온 신호에 의해 세탁조 내 수위의 변화가 없고, 세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그 접속상태가 온(on)되는 릴레이(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질감지장치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은 급수밸브(16)를 통해 정해진 양만큼의 세탁수를 버퍼부(32) 내로 급수하는 예비 급수단계(S1)와; 급수밸브(16)의 폐쇄여부를 판단하는 밸브개폐 판단단계(S2)와; 급수밸브(16)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세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뚜껑개폐 판단단계(S3)와; 세탁기 뚜껑이 닫힌 상태로 판단될 경우 세탁조 내 세탁수의 일정 시간 동안 수위 변화량의 기준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수위 측정단계(S4)와; 수위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될 경우 릴레이(20)를 온(on)시킴으로써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는 경도 파악단계(S5)와;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을 결정하고 세제를 투여하는 세탁조건 결정단계(S6)와; 결정된 세탁시간과 세탁패턴 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 진행단계(S7)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S2)에서 급수밸브(16)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와, 상기 뚜껑개폐 판단단계(S3)에서 세탁기 뚜껑이 열린상태로 판단될 경우 및, 상기 수위 측정단계(S4)에서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20)가 오프(off)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도도센서(10)에 의한 세탁수의 경도 측정 없이 세탁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표준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와 혼합되기 전에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세탁조건을 미리 설정하게 되며, 급수밸브(16)가 오작동되거나 세탁기의 뚜껑이 열린 것과 같은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전도도센서(1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기 사용자가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세탁기의 작동효율 및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Water hardness Sensing unit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thereby}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에 구비된 수질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중에서 전도도센서의 취부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중에서 전도도센서와 버퍼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와 마이컴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도도센서 12: 온도센서
14: 마이컴 16: 급수밸브
20: 릴레이 30: 세제통
32: 버퍼부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작동효율 및 안전성에 도움이 되는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는 하나의 세탁조 내에서 세탁, 헹굼, 탈수의 모든 행정이 진행되며, 세제의 투여 및 행정전환 시에 필요한 급수 및 배수작용 등이 자동 수행되는 것으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내장되며 펄세이터(pulsator)가 구비된 세탁조와, 세탁수의 급배수를 위한 급배수밸브와, 세탁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각종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보내온 신호를 바탕으로 투여되는 세제의 양이나 세탁패턴 등을 결정하고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10) 및 세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로 구성된 수질감지장치와, 세탁조에 저장된 세탁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전도도센서(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세탁조 내의 세탁수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두개의 전도편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수질감지장치에서는 전도도센서의 양 전도편 사이에 흐르는 세탁 수의 전도도와, 온도센서(12)를 통해 측정한 세탁수의 온도값을 마이컴(14)에서 조합 환산하여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세탁수의 경도파악은 세탁수의 전도도가 마그네슘이온(Mg2+) 및 칼슘이온(Ca2+) 등의 경도성분 함유량과 세탁수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원리가 응용된 것이다. 즉, 마이컴(14)에서는 전도도를 결과값으로 하고, 경도성분 함유량과 세탁수의 온도를 상기 결과값을 결정하는 두개의 변수로 하는 경도결정 공식에, 측정된 전도도(결과값)와 세탁수의 온도(제1변수)를 대입함으로써 경도성분 함유량(제2변수)을 측정한 다음, 이를 경도단위(ppm)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계면활성제 등의 세제성분과 빠르게 반응하여 불활성 물질을 생성하는 경도성분의 특성상,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세탁수에 잔류된 세제량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즉, 세탁조 내에 급수된 세탁수의 경우, 세제통을 거치면서 세제를 함유한 상태이기 때문에 세탁공정이 종료된 후,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하여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의 양을 파악한 다음, 이를 기준으로 헹굼 횟수를 정하거나, 일정횟수의 헹굼을 거친 후라면 추가 헹굼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게 되며, 헹굼행정이 종료된 다음에는 헹굼수에 함유된 세제의 잔량을 파악하여 탈수행정으로의 진행 가능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의 경도성분은 세제성분과 결합하여 세탁에 기여하지 않은 불활성 물질을 생성하므로, 세탁을 위해 공급되는 물에 대한 경도측정은 세제 투입량 결정을 위한 기준이 되는데, 종래의 수질측정장치에 의하면 이미 세제가 용해된 상태의 세탁수에 대한 경도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세탁을 위해 공급되는 물 원래의 경도는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제의 투입량에 대한 결정을 수위센서를 통한 세탁수의 양만을 기준으로 하게된다. 따라서, 세제 투입량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등 세탁기의 작동상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수질감지장치에 의하면 전도도센서(10)의 작동특성상 양 전도편 사이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도도센서(10)의 작동시간 동안 세탁조 내의 세탁수가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도도센서(10)가 작동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세탁기 뚜껑을 열고 세탁물을 추가하거나 하기 위해 세탁수에 손을 담그게 되면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세탁기의 사용상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세제와 혼합되기 전에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하여 세탁기의 세탁조건을 보다 적절히 설정하고, 세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히고 세탁수의 수위가 변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만 전도도센서의 작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세탁기의 작동효율 및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제공되는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는 세제통에 앞 서 위치된 버퍼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와; 세탁기 뚜껑이 닫히고, 세탁조 내의 수위가 변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만 전도도센서의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안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안전수단은 전도도센서와 마이컴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고, 수위센서 및 뚜껑개폐감지장치로부터 상기 마이컴에서 보내온 신호에 의해 세탁조 내 수위의 변화가 없고, 세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그 접속상태가 온(on)되는 릴레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세탁기 제어방법은 급수밸브를 통해 정해진 양만큼의 세탁수를 버퍼부 내로 급수하는 예비 급수단계와; 상기 예비 급수단계가 종료된 다음, 급수밸브의 폐쇄여부를 판단하는 밸브개폐 판단단계와;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에서 급수밸브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뚜껑개폐감지장치를 통해 세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뚜껑개폐 판단단계와; 상기 뚜껑개폐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세탁기 뚜껑이 닫힌 상태로 판단될 경우 수위센서를 통해 세탁조 내 세탁수의 일정 시간 동안 수위 변화량의 기준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수위 측정단계와; 상기 수위 측정단계의 판단결과, 수위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될 경우 전도도센서와의 사이에 구비된 릴레이를 온(on)시킴으로써 상기 전도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수의 전도도 및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수의 온도를 기준으로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는 경도 파악단계와; 상기 경도 파악단계에서 측정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을 결정하고 세제를 투여하는 세탁조건 결정단계와; 상기 세탁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 는 세탁 진행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에서 급수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와, 상기 뚜껑개폐 판단단계에서 세탁기 뚜껑이 열린상태로 판단될 경우 및, 상기 수위 측정단계에서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가 오프(off)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도도센서에 의한 세탁수의 경도 측정 없이 세탁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표준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부터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내용 중 종래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감지장치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급수밸브(16)로부터 세제통(30)을 거쳐 세탁조로 연결된 유로상에 위치된 전도도센서(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도도센서(10)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세제통(30)의 상방에 형성된 버퍼부(32) 내에 저수된 물의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버퍼부(32)는 일종의 요홈형태로서 급수밸브(16)로부터의 급수작용이 중단된 상태에서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질감지장치는, 세탁기 뚜껑이 닫히고, 세탁조 내의 수위가 변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만 전도도센서(10)의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안전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안전수단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도도센서(10)와 마이컴(14)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마이컴(14)에 의해 제어 되는 릴레이(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14)은 급수밸브(16), 수위센서(미도시), 뚜껑개폐감지장치(미도시)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급수밸브(16)의 폐쇄상태, 세탁조 내 수위의 변화상태, 세탁기 뚜껑의 개폐상태가 감지 가능한 회로구조로 이루어지고, 릴레이(20)는 세탁조 내 수위의 변화가 없고, 세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그 접속상태가 온(on)되는 로직으로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질감지장치와 연계된 마이컴(14)의 로직 즉, 세탁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수질감지장치와 연계된 세탁기 제어방법은 안전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이른바 정상제어 알고리즘과, 안전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비정상제어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정상제어 알고리즘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세탁기의 작동이 시작되어 급수밸브(16)를 통해 소량의 세탁수를 버퍼부(32) 내로 급수하는 예비 급수단계(S1)와, 상기 예비 급수단계(S1)가 종료된 후, 급수밸브(16)의 폐쇄상태를 확인하는 밸브개폐 판단단계(S2)와,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S2)에서 급수밸브(16)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뚜껑개폐감지장치를 통해 세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뚜껑개폐 판단단계(S3)와,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S2)의 판단결과 급수밸브(16)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판단될 경우에 수위센서를 통해 세탁조 내 세탁수의 일정 시간 동안 수위 변화량의 기준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수위 측정단계(S4)와, 상기 수위 측정단계(S4)에서 수위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될 경 우에 전도도센서(10)와의 사이에 구비된 릴레이(20)를 온(on)시킴으로써 전도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세탁수의 전도도를 기준으로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는 경도 파악단계(S5)와, 상기 경도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세탁수의 경도와 세탁물의 양 등을 기준으로 투여될 세제량과 세탁시간 및 세탁패턴을 결정하는 세탁조건 결정단계(S6)와, 상기 세탁조건 결정단계(S6)에서 결정된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 진행단계(S7)로 구성된다. 상기 세탁 진행단계(S7)는 세탁조 내로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행정과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포함한 통상적인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비정상제어 알고리즘은 밸브개폐 판단단계(S2)의 판단결과 급수밸브(16)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뚜껑개폐 판단단계(S3)의 판단결과 세탁기 뚜껑이 열린상태로 판단될 경우 및 상기 수위 측정단계(S4)의 판단결과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릴레이(20)가 오프(off)됨으로써 전도도센서(10)에 의한 세탁수의 경도 파악단계(S5)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세탁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표준 알고리즘 수행단계(S8)를 거쳐 세탁 진행단계(S7)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질감지장치 및 세탁기 제어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탁기의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밸브(16)를 통해 버퍼부(32) 내로 소량의 세탁수가 급수되는 예비 급수단계(S1)가 수행되고, 예비 급수단계(S1)가 종료된 후에는, 급수밸브(16)의 폐쇄상태를 확인하는 밸브개폐 판단단계(S2)가 진행되 는데, 이때, 급수밸브(16)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파단될 경우에는 릴레이(20)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전도도센서(10)를 통한 세탁수의 경도 측정없이 곧바로 표준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밸브(16)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뚜껑개폐감지장치를 통해 세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뚜껑개폐 판단단계(S3)가 진행되는데, 이때, 세탁기 뚜껑이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밸브개폐 판단단계(S2)에서와 마찬가지로 곧바로 표준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세탁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는 수위센서를 통해 세탁조 내 세탁수의 일정시간 동안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일정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수위 측정단계(S4)가 수행된다. 상기 수위 측정단계(S4)는, 마이컴(14)에 의해서는 급수밸브(16)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되나 실제로는 급수밸브(16)의 고장 등으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위 측정단계(S4)에서의 판단결과, 수위 변화량의 측정치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컴(14)에서는 급수밸브(16)의 작동상태가 급수를 하지 않는 폐쇄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실제로는 오작동 및 고장 등의 이유로 작동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수가 누수되는 상태에서는 곧바로 표준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위 측정단계(S4)에서 그 측정치가 기준이하로 판단될 경우에는 릴레이(20)를 온(on)시킴으로써 전도도센서(10)를 통해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는 경도 파악단계(S5)가 수행되며, 이어서, 파악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을 정하고 세제를 투여하는 등의 세탁조건 결정단계(S6)가 수행된다.
상기 세탁조건 결정단계(S6)에서 세제를 투여하고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을 결정한 다음에는 이러한 조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 진행단계(S7)가 수행됨으로써 세탁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도센서(10)의 작동이, 급수가 종료된 다음 급수밸브(16)의 이상으로 인해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만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기설정된 표준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이 진행된다. 또한, 전도도센서(10)가 세탁조 내의 세탁수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급수과정에서 버퍼부(32)에 고인 세탁수에 접촉되므로, 상기 전도도센서(10)의 작동 시에도 세탁조 내의 세탁수는 절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도도센서(10)의 작동 시 사용자가 세탁물을 추가하기 위해 세탁조 내에 손을 넣음으로써 세탁수와 접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감전되는 등의 사고가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에 의하면 버퍼부(32) 내에서 세제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게 되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건들이 충족되는 상황에서만 전도도센서(10)를 통한 세탁수의 경도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에 의하면 세제와 혼합되기 전에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효율 적인 세탁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급수밸브가 오작동되거나 세탁기의 뚜껑이 열린 것과 같은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전도도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기 사용자가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세탁기의 작동효율 및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세탁조에 저장된 세탁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세탁기 뚜껑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뚜껑개폐장치와;
    수질감지장치를 통해 세탁수의 경도를 측정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투여되는 세제량이나 각 행정시간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급수밸브로 부터 세제통을 거쳐 세탁조로 연결된 유로상에서 세제통에 앞서 세탁수를 저수하는 버퍼부와,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버퍼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로 구성된 수질감지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감지장치는
    전도도센서와 마이컴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고,
    수위센서 및 뚜껑개폐감지장치로부터 상기 마이컴에 보내온 신호에 의해 세탁조내 수위의 변화가 없고, 세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그 접속상태가 온(on)되는 릴레이
    로 이루어진 안전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급수밸브를 통해 정해진 양만큼의 세탁수를 버퍼부내로 급수하는 예비 급수단계와,
    상기 예비 급수단계가 종료된 다음, 급수밸브의 폐쇄를 확인하는 밸브개폐 판단단계와,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에서 급수밸브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뚜껑개폐감지장치를 통해 세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뚜껑개폐 판단단계와,
    상기 뚜껑개폐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세탁기 뚜껑이 닫힌 상태로 판단될 경우, 수위센서를 통해 세탁조 내 세탁수의 일정 시간 동안 수위 변화량의 기준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수위 측정단계와,
    상기 수위 측정단계의 판단결과, 수위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될 경우, 전도도센서와의 사이에 구비된 릴레이를 온(on)시킴으로써 상기 전도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수의 전도도 및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수의 온도를 기준으로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는 경도 파악단계와,
    상기 경도 파악단계에서 측정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을 결정하고 적절한 양의 세제를 투여하는 세탁조건 결정단계와,
    상기 세탁조건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세탁시간과 세탁패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 진행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 판단단계에서 급수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와,
    상기 뚜껑개폐 판단단계에서 세탁기 뚜껑이 열린상태로 판단될 경우 및,
    상기 수위 측정단계에서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가 오프(off)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경도 파악단계를 거치지 않고 세탁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표준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KR1019990055727A 1999-12-08 1999-12-08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KR10070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27A KR100700759B1 (ko) 1999-12-08 1999-12-08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27A KR100700759B1 (ko) 1999-12-08 1999-12-08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68A KR20010054768A (ko) 2001-07-02
KR100700759B1 true KR100700759B1 (ko) 2007-03-27

Family

ID=1962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27A KR100700759B1 (ko) 1999-12-08 1999-12-08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717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량 조절방법
KR100929231B1 (ko) * 2002-11-28 2009-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질감지형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046993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투입 방법
KR101016301B1 (ko) * 2003-08-07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016295B1 (ko) * 2003-08-07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701940B1 (ko) * 2003-08-07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88162B1 (ko) * 2003-08-07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042092B1 (ko) * 2003-12-26 201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332549B1 (ko) * 2007-08-27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109763301A (zh) * 2019-03-04 2019-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投放装置、洗衣机及投放装置控制方法
KR20210077472A (ko) 2019-12-17 2021-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68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1828B1 (en) Washing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0700759B1 (ko)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KR20080015268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 개방 제어방법
KR100262882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개방 제어 방법
JP3212103B2 (ja) 洗濯機の運転表示装置
JPH02174898A (ja) 洗濯処理剤識別装置及び脱水洗濯機
KR0159755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447503B1 (ko) 무세제 세탁기의 전기 분해 장치 세척 방법
KR101037149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H04361795A (ja) 洗濯機
KR20000004438A (ko) 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100226353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JPH07293806A (ja) 純水仕様ボイラの水位制御方法
JPS6031675Y2 (ja) 洗たく機
KR0134364Y1 (ko) 세탁기의 탈수시 도어 열림감지 해제장치
KR19990027567A (ko) 세탁모터 구속시의 경고방법
KR20040046927A (ko)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KR19990028417U (ko)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자동공급장치
KR20030056722A (ko) 전기 분해 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및 세탁 방법
KR0159554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325748Y2 (ko)
JPH05261196A (ja) 洗濯機
JPH09276590A (ja) ポンプ付き二槽式洗濯機
KR20000043414A (ko) 오존수 세탁 제어방법
KR20000043402A (ko) 세제투입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