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353B1 -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353B1
KR100226353B1 KR1019970023996A KR19970023996A KR100226353B1 KR 100226353 B1 KR100226353 B1 KR 100226353B1 KR 1019970023996 A KR1019970023996 A KR 1019970023996A KR 19970023996 A KR19970023996 A KR 19970023996A KR 100226353 B1 KR100226353 B1 KR 100226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level
time
un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875A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2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3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밸런스(balance) 탈수, 휴지기간 등에서 수위감지 오판이나 세탁기 자체성능이 나쁘다거나 또는 그 밖의 이유로 하여 비정상적인 진동 및 세탁물 편심에 의한 세탁조의 언밸런스 상태에서 보정수류를 공급하여 밸런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고 있으나 이는 세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보정수류의 수위가 관계 되는데도 불구하고 수위에 관계없이 보정수류를 공급함으로서 언밸런스 상태를 밸런스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보정수류 공급의 효과를 상실하게 되어 언밸런스 해제데 따른 물/시간/전력 낭비 등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서 언밸런스 보정수류 공급 동작시에 세탁조내의 수위가 고수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고수위 일때는 보정수류를 공급하면서 펄세이터를 구동시키고 아닐 때는 경과시간을 게산하여 설정된 고수위 만큼 소수위 수량의 보정수류 공급 및 급수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세탁기의 탈수 기동시에 저수조에 생기는 언밸런스 상태에서 세탁조의 수위에 따라 보정수류를 공급하면서 펄세이터를 구동시킴으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언밸런스 상태를 용이하게 밸런스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재헹굼에 따른 물/시간/전력 낭비 등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세탁기는 도 1과 같이 본체(30) 내에 회전되는 세탁조(33)를 수용하고 있는 저수조(32)와, 상기 세탁조(33)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져서 모터의 동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34)와, 상기 세탁조(33) 및 펄세이터(34)에 모터(35)의 동력이 감속되어 전달되도록 매개하여 주는 감속부(36)와, 모터(35)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세탁기에서 세탁기 구동 등에 관련된 시스템 회로는 도 2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시스템 제어의 마이크로 컴퓨터(21)와, 시스템 동작을 위한 각 행정들의 수순 데이터와 감지기들의 감지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와, 각종 동작 수행에 관한 표시 및 동작 완료 등을 청각음으로 고지하는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경보부(24), 각종 스위치 절환에 관련된 릴레이 구동부(23), 키입력부(22), 부하 구동부(25), 세탁조의 언밸런스 동작시에 시스템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스위치부(31)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시스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21)의 각종 제어동작을 위한 수위 감지부(26), 부하 감지부(27), 온도 감지부(28), 언밸런스 감지부(29), 인터럽트부(32) 등이 구비되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기 시스템이 탈수동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세탁조내에 고르게 놓여있지 않아 저수조가 이상 진동을 하는 경우 시스템은 안전 스위치부(31)의 오픈 타임에 따라 자동 언밸런스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는 배수 및 탈수 단계 이후 안전 스위치부(31)가 탈수회로를 순시(瞬時) 차단하는가를 마이크로 컴퓨터(21)가 체크하여 순시 차단하면 동작이 세 번이상 게속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그것이 세 번이상 게속되면 언밸런스 불량 경보(UE)를 외부에 표시한다.
상기에서 순시 차단이 아닐 때는 탈수동작을 진행하고 다시 안전 스위치부(31)가 탈수회로를 순시 차단하는가를 체크하여 순시 차단이면 그 동작이 세 번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간다.
또, 상기 동작이 세 번 계속되지 않을 때는 급수를 하고, 2분간 헹굼동작을 진행한 뒤 배수 단계로 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언밸런스 상태와 관련하여 시스템 동작을 정지 시킬 것인가 또는 게속 세탁진행 상태로 할 것인가 등을 판단하고 이것에 따른 조처를 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우리 나라 공개 특허공보 제 1714호(공개번호 96-1289호), 제 2031호(공고번호 제 96-37934호)등에서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전자의 기술은 초기 탈수 단계에서 언밸런스 신호를 검출하여 시스템 구동 모터를 정지시킬 것인가 또는 본 탈수를 진행시킬 것인가를 언밸런스 신호검출 상태에 따라서 처리하는 수단은 제시하고 있으며, 후자의 기술은 헹굼행정 이후 탈수 운전을 수행할 때 언밸런스 상태를 검출하면 소정 수위로 급수를 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모터를 온/오프 제어한후 배수하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포쏠림에 따른 언밸런스 상태를 풀어주기 위한 펄세이터 구동과 함께 보정수류를 공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보정수류를 공급할 때 세탁조에 넣어져 있는 세탁량에 따른 수위와 관계없이 저수위에서 보정수류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보정수류를 이용한 효과적인 언밸런스 방지동작을 얻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일례로, 이러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포쏠림으르 풀어주는 보정수류 공급이 세탁조의 세탁량이 적을때는 수위에 비교적 영향을 덜받지만 세탁량이 많을 때, 저수위 상태에서 행하여 지게되면 보정수류 공급 효과가 없기 때문에 언밸런스 해제 및 재헹굼에 따른 물/시간/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어서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이러한 세탁기 시스템에서 세탁조의 언밸런스 상태에서 보정수류를 공급할 때 설정된 고수위 만큼(세탁조의 소수위 수량을 추가한 보정수류를 공급함으로서 포쏠림 등에 따른 언밸런스 상태를 밸런스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재헹굼에 따른 물/시간/전력 낭비 등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서 언밸런스 보정수류 공급 동작시에 세탁조내의 수위가 고수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고수위 일때는 보정수류를 공급하면서 펄세이터를 구동시키고 아닐 때는 경과시간을 계산하여 설정된 고수위 만큼 소수위 수량의 보정수류 공급과 급수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언밸런스 방지처리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 방법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므로써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세탁기 단면을 나타낸 참고도
제2도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세탁기의 시스템 회로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언밸런스 방지처리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마이크로 컴퓨터 22 : 키입력부
23 : 릴레이 구동부 24 : 표시경보부
29 : 언밸런스 감지부 31 : 안전스위치부
100 ; 언밸런스 방지처리 프로그램
즉, 도 4는 본 발명의 언밸런스 방지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언밸런스 방지처리 프로그램(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시스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급수모드로 급수하고 소수위인가를 체크한 후, 소수위 이면 소수위 급수까지 경과된 시간을 메모리에 기억하며 다시 설정된 세탁 수위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스텝 101 내지 103)와, 지금 세탁모드인가를 체크하여 세탁모드이면 좌반동작과 우반동작을 수행시키는 단계(스텝 104 내지 106)와, 이후 세탁조의 설정 수위는 고수위 상태인가를 체크하여 고수위이면 보정수류를 공급하고 아니면 설정 세탁시간 t4-소수위 걸린시간 t2-보정수류시간 t3=t1 경과시간 t 설정세탁시간t4-보정수류시간 t3=t1+t2의 조건식에서 경과시간 t가 상기 소수위 공급 시간인 상기 상태를 만족하면 급수를 수행하여 소수위 까지 수위를 올리는 단계(스텝 107 내지 109)와, 상기에서 t가 t1+t2보다 큰가를 체크하여 큰 경우에는 소수위 레벨까지 수위가 차있다고 보고 보정수류를 공급하고 아니면 스텝 104로 가서 세탁모드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스텝 110, 111)와, 이후 시스템은 세탁조의 수위 상태가 소수위에 해당하는 만큼 수위가 증가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증가 되었으면 리턴하고 아니면 스텝 109로 가는 단계(스텝 112)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탁기를 세탁 상태로 하게 되면 시스템은 사용자 설정 세탁 행정에 따라 급수를 한후 소수위인가를 체크하여 소수위이면 소수위까지 경과된 시간을 메모리에 기억 시키며, 이후 현재 수위가 설정된 세탁 수위이면 펄세이터를 좌반 또는 우반동작을 시키면서 세탁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 과정에서 세탁조가 언밸런스 상태에 있게 되면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설정 세탁시간을 t4, 소수위 걸린시간을 t2, 보정수류시간 t3, 경과시간을 t이라 할 때 설정 세탁시간 t4-소수위 걸린시간 t2-보정수류시간 t3=t1 경과시간 t 설정세탁시간t4-보정수류시간 t3=t1+t2의 조건식에서 경과시간 t가 상기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의 세탁조 수위는 설정된 소수위 만큼 수위를 유지 하지 않고 있다고 보아 급수를수행하고, 상기에서 t가 t1+t2보다 큰 경우에는 소정 고수위 상태에서 소수위 수량만큼의 보정수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세탁조의 언밸런스 상태를 설정된 고수위 상태에서 보정수류를 공급함으로서 세탁조내의 포쏠림 등에 따른 언밸런스 상태를 효과적으로 밸런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언밸런스 방지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21)가 도 4와 같은 언밸런스 방지처리 프로그램(100)과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급수모드로 급수하고 소수위인가를 체크한후 소수위 이면 소수위 급수까지 경과된 시간을 메모리에 기억한다(스텝 101, 102).
이후 시스템은 설정된 세탁 수위인가를 체크하여(스텝 103) 설정된 수위이면 지금 세탁모드인가를 체크하고, 여기서 세탁모드이면 좌반동작과 우반동작을 수행시킨다(스텝 104 내지 106).
이후 세탁조의 설정 수위는 고수위 상태인가를 체크하여 고수위이면 세탁물의 포쏠림을 풀어주기 위한 보정수류를 공급하고 아니면 설정 세탁시간 t4-소수위 걸린 시간 t2-보정수류시간 t3=t1 경과시간 t 설정세탁시간t4-보정수류시간 t3=t1+t2의 조건식에서 경과시간 t가 상기 상태를 만족하면 지금 수위는 설정된 소수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급수를 수행한다(스텝 107 내지 109).
또, 상기에서 t가 t1+t2보다 큰가를 체크하여 큰 경우에는 설정된 고수위 상태로 보고 세탁물 쏠림을 풀어주기 위한 보정수류를 공급하며(스텝 110, 111), 다시 시스템은 세탁조의 수위 상태가 소수위에 해당하는 수위가 증가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증가 되었으면 리턴하고 아니면 설정된 소수위 수량 만큼 급수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스텝 112).
이러한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 언밸런스 방지를 위해 설정된 고수위 상태에서 보정수류를 공급함으로서 세탁물 량에 따른 언밸런스 상태를 효과적으로 밸런스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재헹굼 동작 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재헹굼등에 따른 물/시간/전력 낭비 등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마이크로 컴퓨터(21)등을 포함한 세탁기에서 시스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급수모드로 급수하고 소수위인가를 체크한후 소수위 이면 소수위 급수까지 경과된 시간을 메모리에 기억하며, 다시 설정된 세탁 수위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스텝 101 내지 103)와, 지금 세탁모드인가를 체크하여 세탁모드이면 좌반동작과 우반동작을 수행시키는 단계(스텝 104 내지 106)와, 이후 세탁조의 설정 수위는 고수위 상태인가를 체크하여 고수위이면 보정수류를 공급하고 아니면 설정 세탁시간 t4-소수위 걸린시간 t2-보정수류시간 t3=t1 경과시간 t 설정세탁시간t4-보정수류시간 t3=t1+t2의 조건식에서 경과시간 t가 상기 상태를 만족하면 급수를 수행하는 단계(스텝 107 내지 109)와, 상기에서 t가 t1+t2보다 큰가를 체크하여 큰 경우 보정수류를 공급하는 단계(스텝 110, 111)와, 이후 시스템은 세탁조의 수위 상태가 소수위에 해당하는 만큼 수위가 증가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증가되었으면 리턴하고 아니면 급수모드로 가는 단계(스텝 112)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 방법.
KR1019970023996A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KR10022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996A KR100226353B1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996A KR100226353B1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875A KR19990000875A (ko) 1999-01-15
KR100226353B1 true KR100226353B1 (ko) 1999-10-15

Family

ID=1950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996A KR100226353B1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2654A (zh) * 2020-06-23 2021-12-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875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432B1 (ko) 세탁기의 세탁시간 보상제어방법
KR19990000871A (ko) 세탁기의 서비스모드 처리방법
KR100700759B1 (ko)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KR100226353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방지방법
KR19990038159A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경보제어방법
KR0179313B1 (ko) 세탁기의 세제농도조절방법
KR19990013048A (ko)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투입에 대한 언밸런스 처리 방법
KR0174478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JPH0631089A (ja) 洗濯機
KR20000043409A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KR0134313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기억방법
KR19990000874A (ko) 세탁기의 밸런스 온타임 설정처리 방법
JPS6139075B2 (ko)
KR900000557B1 (ko) 세탁기의 세탁물 치우침 수정장치
KR100198326B1 (ko) 세탁기의 헹굼방법
KR19990000880A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오픈타임 제어처리 방법
KR19990056514A (ko) 드럼식 세탁기의 거품감지 및 제거장치
KR100394219B1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JPS6341598B2 (ko)
KR100210195B1 (ko) 세탁기의 유연제 투입방법
JPH0417077B2 (ko)
KR100223240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KR100243566B1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9990033185A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주기 설정 방법
KR0162398B1 (ko) 세탁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