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297B1 -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 Google Patents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297B1
KR100700297B1 KR1020050089889A KR20050089889A KR100700297B1 KR 100700297 B1 KR100700297 B1 KR 100700297B1 KR 1020050089889 A KR1020050089889 A KR 1020050089889A KR 20050089889 A KR20050089889 A KR 20050089889A KR 100700297 B1 KR100700297 B1 KR 10070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mulberry leaves
leaves
mulberry leaf
sid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숙자
Original Assignee
차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숙자 filed Critical 차숙자
Priority to KR102005008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설탕, 헛개나무, 양파, 간장을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의 양념장에 잠기도록 한 후 일정기간 밀봉시켜 양념이 배도록 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뽕잎반찬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장, 헛개나무, 설탕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양념장에 잠기도록 넣고, 뽕잎 사이 사이에 고추가루, 깨, 쪽파를 더 넣어 일정기간 냉장보관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뽕잎반찬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뽕잎반찬을 제조하는 경우 뽕잎이 갖고 있는 영양성분을 하루 세 번의 식사에서 반찬으로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뽕잎을 섭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뽕잎을 매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뽕잎의 잘 알려진 영양성분과 본 발명의 헛개나무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영양성분이 함께 작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뽕잎, 헛개나무

Description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THE METHOD OF MAKING A SIDE DISH OF MUL BERRY LEAVES AND THE SIDE DISH}
도 1은 실시예 1의 뽕잎반찬 제조 과정을 요약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뽕잎반찬 제조 과정을 요약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뽕잎을 이용한 반찬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뽕잎 반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뽕잎을 간장 및 기타 재료로 제조한 양념장에 장기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현대인이 가장 관심을 갖는 분야 중의 하나는 건강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올바른 식생활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발전과 더불어 식생활이 점차 영양보다는 기호성에 치중하게 되면서 영양균형이 파괴되
고, 고 칼로리 음식에 의한 비만의 문제들이 국민 건강의 큰 장해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능성 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경제성이 낮아 주식처럼 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대두되어 왔다.
건강식품으로서, 최근 뽕잎을 이용한 다양한 약품과 식품이 등장하고 있다. 뽕잎의 효능에 대하여 살펴보면, 중국의 본초강목에서는 ‘뽕나무는 뿌리, 잎, 껍질, 열매 어느 하나도 약으로 쓰이지 않는 것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각기병, 당뇨병, 뱀과 벌레에 물린 데 등등 뽕잎과 오디 등 양잠과 관련된 18가지 산물에 대해서 무려 177여 군데에서 몸에 좋다는 여러 가지 효과를 기록하고 있다. 뽕잎이 약재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2,200여 년 전 후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후한시대 장 중경이 편찬한 신농본초경은 그 전에 발간된 의서를 총 집대성한 최초의 의서인데, 이 책에 뽕 뿌리 껍질인 상근백피와 함께 ‘뽕잎이 약재로 좋다’고 소개되고 있다.
또한, 현대의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뽕잎에는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50여 종 이상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영양학적으로 매우 훌륭한 재료이다. 무와 비교해 보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해주는 칼슘은 60배, 피의 원료가 되는 철분은 160배, 우리 몸속에서 중요한 여러 가지 성분을 만드는 인은 10배나 더 들어있다. 우리가 즐겨 마시는 녹차와 비교해 보면 비타민 A, C는 떨어지지만 칼슘은 6.1배, 철분은 2.2배, 칼륨은 1.4배, 섬유성분은 4.7배나 높다. 특히 칼슘 이 풍부해 대표적 칼슘 식품인 우유의 6배이고, 철분은 시금치의 3배나 더 많이 들어있다
하기 표 1은 뽕잎과 녹차의 영양 성분을 비교한 표이다.
표 1
Figure 112005054203520-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차보다도 뽕잎에 더 많은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뽕잎은 당뇨병을 예방해주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뛰어나다. 우리 나라에는 적어도 2백만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어린 아이 중에서도 당뇨로 시달리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누에 가루가 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상태이고, 누에가 먹고 사는 뽕잎 역시 혈당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여러 가지 밝혀졌다. 뽕잎에는 당뇨 치료 효과가 있는 모란 A라는 성분과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제해제라고 알려진 노지리마이신과 칼리스테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뽕잎의 의학적 및 영양학적인 효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등록 제54727호는 물과 표준 농도의 막걸리가 각각 50중량%식 혼합하여서 된 혼합액 속에 깨끗이 수세한 생 뽕잎을 침지시킨 후 약 2-3분간 교반시키고 혼합액이 함유된 뽕잎을 이 혼합액으로부터 인출하여 묻어 있는 여분의 혼합액을 수세 제거시킨 다음 약 50 - 60초간 찌고 이것을 건조시킨 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얻은 막걸리 성분이 함유된 뽕잎 분말을 60-80℃의 온도하에 서서히 가열하여 바스락 거릴 정도로 볶아서 뽕잎차의 주원료인 음성의 뽕잎 분말 70-80중량%를 만들고 이것과 20-30중량%의 양성원료인 계피가루, 생강가루, 곽향가루를 별도 보관하도록 하되 사용시에는 양 원료를 동시에 열수속에 투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276351호는 소맥분 80 ∼ 86중량%, 소맥전분 5 ∼ 11중량%, 뽕잎 분말 3 ∼ 9중량% 및 정제염 6 ∼ 12중량%로 구성되는 냉면 조성물에 대하여 자몽추출물 0.05 ∼ 0.5중량%가 첨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냉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450827호는 껌베이스 28.0중량%, 당알콜 68.0중량%, 연화제 0.2중량%, 보습제 0.3중량%, 유화제 0.2중량%, 향료 2.0중량%, 뽕잎미세분말 0.1중 량%, 뽕잎엑기스 0.5중량%, 뽕잎엑기스분말 0.3중량% 및 과일농축액 0.4중량%를 포함하는 뽕잎을 이용한 츄잉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 뽕잎은 부가적인 성분일 뿐으로서 충분한 양의 뽕잎을 섭취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뽕잎차나 뽕잎 아이스크림, 뽕잎떡 등은 특별한 목적과 노력 기울이지 않으면 일상 생활에서 장기간 매일 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뽕잎을 하루 세 끼의 식사에서 접할 수 있는 반찬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하루 세 끼 식사 중 뽕잎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잘 알려진 뽕잎의 건강학적ㆍ영향학적 효능을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매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뽕잎을 이용한 반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실시예로서,
물, 설탕, 헛개나무, 양파, 간장을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그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의 양념장에 잠기도록 한 후 일정기간 밀봉시켜 양념이 배도록 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비는 물 1리터에 대하여 설탕 50g ~ 100g, 헛개나무 30g ~ 100g, 양파 50g ~ 200g, 간장 50 mg ~ 20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 단계에서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기간이 8일 내지 12일이며, 상기 3 단계에서 뽕잎에 양념장이 배도록 하는 기간이 20일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와 뽕잎 반찬을 제공한다.
간장, 헛개나무, 설탕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양념장에 잠기도록 넣고, 뽕잎 사이 사이에 고추가루, 깨, 쪽파를 더 넣어 일정기간 냉장보관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 단계에서,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기간이 8일 내지 12일이며, 3 단계에서 뽕잎에 양념장이 배도록 하는 기간이 20일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보다 자세히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뽕잎반찬을 위해 양념장을 제조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의 양념장은 물, 설탕, 헛개나무, 양파, 간장을 넣고 끓여준다. 상기 재료 중 특히 헛개나무는 여러가지 인체에 좋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다. 헛개나무(지구)의 효능은 알콜성 간염, 간경화, 지방간, 황달, 당뇨, 혈압, 갈증해소, 대·소변 기능(방광염, 변비) 등에 좋은 작용을 하며, 특히 술독(酒毒)을 푸는데 탁월한 효력을 발휘한다. 헛개나무(지구)의 잎이나 줄기, 열매 등을 술독에 넣으면 술이 발효가 되지 않고 술의 알콜 성분이 없어지며 물과 같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재료들의 각 성분비는 물 1리터에 대하여 설탕 50g ~ 100g, 헛개나무 30g ~ 100g, 양파 50g ~ 200g, 간장 50 mg ~ 20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들을 적정비율로 물에 혼합한 후 먼저 센불로 20분 내외, 중간불로 20분 내외 끓인 후 건더기는 채에 걸러 버리고 양념장만을 사용한다. 물론, 불의 조절 및 양에 따라 30분 내지 3시간 내에서 끓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념장을 준비함과 함께 뽕잎을 소금물에 삭힌다. 뽕잎을 소금물에 삭힘으로써, 뽕잎을 부드럽게 하며, 뽕잎에 존재하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뽕잎의 소금간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소금물에 뽕잎을 삭히는 시간은 10일 전후, 약 8일 내지 12일 정도가 적당하며, 소금물에 삭히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뽕잎이 충분히 삭혀지지 않으며, 상기 기간 이상 과도하게 삭히는 경우 뽕잎이 너무 물러져서 흐물거리게 되므로 좋지 않다.
상기에서 준비한 양념장에 소금물에 절인 뽕잎을 담가, 뽕잎에 양념맛이 배도록 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준비된 양념장에 뽕잎을 잠기도록 한 후 무거운 돌과 같은 것으로 뽕잎이 양념장 위로 뜨지 않도록 눌러준 후 밀봉시켜 보관한다. 약 20일 이후부터 뽕잎을 꺼내서 먹는 것이 좋다. 너무 짧은 기간 보관하였다가 꺼내어 먹으면, 충분한 양념장이 뽕잎에 배지 않으므로 양념맛이 충분히 뽕잎에 스며들도록 20일 이상 양념장에 뽕잎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양념장에 있어서 물을 배제시키고 간장, 헛개나무, 설탕을 넣고 센불에서 20분 내외, 중간불에서 20분 내외로 끓인 후 식혀 양념장을 준비한다. 물론, 불의 세기와 양에 따라 30분 내지 3시간 정도로 끓이는 시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제 1 실시예와 같이 10일 이상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준비하여, 삭힌 뽕잎을 상기 양념장에 잠기도록 넣고, 다시 고추가루, 깨, 쪽파 등의 통상적인 양념을 더 넣는다. 10일 이상 냉장보관한 후 꺼내서 먹는 것이 좋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통상의 양념류나 채소 등을 더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뽕잎반찬을 제조하는 경우 뽕잎이 갖고 있는 영양성분을 하루 세 번의 식사에서 반찬으로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뽕잎을 섭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뽕잎을 매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뽕잎의 잘 알려진 영양성분과 본 발명의 헛개나무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영양성분이 함께 작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7)

  1. 물, 설탕, 헛개나무, 양파, 간장을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의 양념장에 잠기도록 한 후 일정기간 밀봉시켜 양념이 배도록 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비는 물 1리터에 대하여 설탕 50g ~ 100g, 헛개나무 30g ~ 100g, 양파 50g ~ 200g, 간장 50 mg ~ 20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기간이 8일 내지 12일이며, 상기 3 단계의 뽕잎에 양념장이 배도록 하는 기간이 20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뽕잎반찬.
  5. 간장, 헛개나무, 설탕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끓여서 양념장을 제조하는 1 단계;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2 단계; 및
    상기 2 단계에서 소금물에 삭힌 뽕잎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양념장에 잠기도록 넣고, 뽕잎 사이 사이에 고추가루, 깨, 쪽파를 더 넣어 일정기간 냉장보관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서,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뽕잎을 소금물에 삭히는 기간이 8일 내지 12일이며, 상기 3 단계에서 뽕잎에 양념장이 배도록 하는 기간이 10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반찬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7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뽕잎반찬.
KR1020050089889A 2005-09-27 2005-09-27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KR10070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89A KR100700297B1 (ko) 2005-09-27 2005-09-27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89A KR100700297B1 (ko) 2005-09-27 2005-09-27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297B1 true KR100700297B1 (ko) 2007-03-29

Family

ID=4156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89A KR100700297B1 (ko) 2005-09-27 2005-09-27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54B1 (ko) 2013-06-27 2015-03-27 그린맥스영농조합법인 기호도 및 저장성이 향상된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35A (ko) * 1996-03-30 1997-10-13 김진영 뽕깻잎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0344171B1 (ko) 2000-05-23 2002-07-20 방금녀 뽕잎김치
KR20040014833A (ko) * 2002-08-12 2004-02-18 백록종합식품(주) 뽕나무 추출액을 주재로한 뽕우육, 뽕돈육, 뽕면류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뽕우육, 뽕돈육 및뽕면
KR20060025409A (ko) * 2004-09-16 2006-03-21 최승기 야생식물을 이용한 김치 및 절임식품 제조방법
KR20060081014A (ko) * 2005-01-06 2006-07-12 함양군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35A (ko) * 1996-03-30 1997-10-13 김진영 뽕깻잎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0344171B1 (ko) 2000-05-23 2002-07-20 방금녀 뽕잎김치
KR20040014833A (ko) * 2002-08-12 2004-02-18 백록종합식품(주) 뽕나무 추출액을 주재로한 뽕우육, 뽕돈육, 뽕면류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뽕우육, 뽕돈육 및뽕면
KR20060025409A (ko) * 2004-09-16 2006-03-21 최승기 야생식물을 이용한 김치 및 절임식품 제조방법
KR20060081014A (ko) * 2005-01-06 2006-07-12 함양군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54B1 (ko) 2013-06-27 2015-03-27 그린맥스영농조합법인 기호도 및 저장성이 향상된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2172A (zh) 一种肉酱及制备方法和用途
CN102960666B (zh) 一种黄瓜咸菜及其腌制方法
KR100851913B1 (ko) 해물 및 생선용 양념장
KR20060049360A (ko) 마늘 발효 식용유 및 제조방법
KR20170013688A (ko) 뽕잎 추출액을 함유한 양파즙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4923B1 (ko) 양념 및 양념육의 제조방법
CN110973567A (zh) 一种焖锅用复合调味酱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069550A (zh) 藿香复合调味料及在用于炖鱼方面的应用
KR102108609B1 (ko) 떡볶이용 소스의 제조 방법
KR20120015497A (ko) 라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156211A (zh) 一种用新鲜无花果烹制的鱼
KR101280873B1 (ko) 대추 된장의 제조방법
KR102503979B1 (ko)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03461415B (zh) 一种泥螺面包及其加工方法
KR20210044949A (ko) 키토산이 풍부한 칠게와 양념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칠게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700297B1 (ko)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CN102090618A (zh) 一种扇贝酱及其加工方法
KR20140024692A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626B1 (ko) 초계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9166A (ko) 북동충하초가 함유된 김치용 양념 조성물 및 그것으로 제조한 김치
KR101472871B1 (ko) 흑 닭갈비
KR101006723B1 (ko) 전통된장을 포함하는 삼겹살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7945A (ko) 버섯과 포도즙이 가미된 소스를 활용한 육류숙성 및 숙성육류
KR20060117412A (ko) 육류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474A (ko) 뽕잎 반찬의 제조방법 및 그 뽕잎 반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